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 자유도 동조자이로 직교배치에 대한 고장검출기법 연구

        김정용(Jeong-Yong Kim),오준석(Jun-Seok Oh),노웅래(Woong-Rae Roh)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07 항공우주기술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2축 자유도를 갖는 동조자이로 3개가 직교배치를 이루고 있는 관성항법장치의 관성센서 고장검출기법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동조자이로 고장특성을 고려하여 동조자이로 입력 축에 대한 고장 판단보다는 자이로 단위의 고장 판단을 수행하였으며, 보다 신뢰성 있는 고장 판단을 위해 검출할 고장 크기에 따른 개별 고장검출 모듈을 설정하였다. 큰 고장 감지는 현재 순간의 관성센서 정보만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 내에 고장판단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작은 고장감지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정보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고장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소 길지만 보다 신뢰성 있는 고장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동조자이로 고장특성 및 고장 크기에 따른 개별 고장검출 모듈을 통해 성공적인 관성센서 고장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FDI) method for inertial navigation system with three two-degree of freedom dynamically tuned gyros(DTG) on orthogonal sensor configuration, we propose the FDI method which can detect the fault of each DTGs rather than the fault of each sensing axis. The proposed FDI method is separated into two FDI modules according to the fault magnitude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fault detection information. For large fault detection, only instantaneous DTG measurement is used to detect a fault DTG within a short time. For small fault detection, the integrated value of DTG measurements are used to detect a fault DTG. It takes a more time to detect a fault but it serves more reliable fault detection information. Using the proposed FDI method with consideration of DTG fault characteristic, we could find out a fault DTG successfully.

      • KCI등재

        提婆達多 破僧伽의 지지세력 고찰 Ⅱ- 비핵심동조자를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破僧伽와 관련된 전적들에는 파승가와 관련해서 提婆達多를 지지한 핵심인물 4人을 기록하고 있고 이외에 단순가담자로 500人을 들고 있다. 그리고 단순가담자 500인은 파승가 직후 사리불과 목건련의 교화에 의해서 다시금 불교승단으로 回歸하였다고 되어 있다.그러나 파승가가 붓다 재세시 이외에는 가능하지 않다는 점과, 제바달다 파승가가 붓다 만년의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僧殘과 逆罪를 통해서 강도 높게 비판되고 있다는 점은 이 사건이 단순히 봉합되지 않았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해 준다. 또한 후대까지도 제바달다파가 건재하게 잔존하고 있었다는 法顯과 玄奘, 그리고 義淨의 기록들은 파승가에 가담한 지지자들이 핵심동조자 4인과 단순가담자 500인 외에도 일부가 더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提婆達多派 측의 기록이 잔존하지 않는 상황에서 불교적인 기록들만으로 이의 확실한 측면을 이해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그러나 파승가 관련전적들이 불교 안에서도 다수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보다 실상에 근접한 단편들을 살펴볼 수가 있게 된다. 본고는 파승가의 핵심동조자 4인 이외의 파승가 지지세력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모색을 시도한 것이다.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먼저 인명이 거론되고 있는 승단의 문제인사들에 대해 검토하고, 다음으로 핵심동조자 4인과 단순가담자들 사이를 연결했을 존재로 제바달다의 문도와 직계제자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바달다의 문도와 제자는 단순가담자들과는 달리 파승가 이후에도 불교교단으로 회귀하지 않고 남아 제바달다파를 유지했을 것으로 사료된다.이 외에 阿闍世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확보되는 단순가담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파승가 이후 사리불과 목건련에 의해서 회귀되는 주된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구승단 내의 인사들과는 다른 비구니 지지세력도 일부 발견되며, 제바달다와 그 지지세력을 후원했을 재가인들의 측면 및 교류관계의 外道에 대해서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In relation with the saṃgha-bheda, the Buddhist classics recorded not only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for Devadatta but also the 500 simple confederates. The 500 simple confederates are recorded to have returned to the Buddhist saṃgha right after the saṃgha-bheda through the guide of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But,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aṃgha-bheda was possible only during the Buddha's life time and the fact that, even if the Devadatta's saṃgha-bheda happened in the later days of Buddha, it was strongly blamed through the saṃghāvaaśeṣa and the treason, it strongly suggests that this event was not simply put down. Furthermore, the records of Fa-hsien, Hsuantsang and Iching that the Devadatta's sect still remained in the later days implies that there had been more participants in the saṃgha-bheda than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and the 500 simple confederates. But, as the records written by the Devadatta's sect do not remain now, it is very hard to clearly understand the situation only with the Buddhist documents.But there still are many traditions on the saṃgha-bheda in the Buddhist documents, we can approach the more realistic situation by integrating the fragments. This paper tries the more concrete search for the supporting group of the saṃgha-bheda in addition to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s first the rebellious persons of the saṃgha whose names were recorded in the documents. Then, it deals with the Devadatta's direct disciples and proteges who might have connected the four essential supporters and 500 simple confederates. Unlike the simple confederates, the Devadatta's direct disciples and proteges are considered to have maintain the Devadatta's sect without returning to the Buddhist order.In addition to them, there were simple confederates, who were secured by the total support of Ajātaśatru. These people seemed to be restored mainly by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 In addition to the persons in the monk saṃgha, some other supporting groups were found in the monks. Furthermore, there must have been the laymen who supported Devadatta and his groups. Their aspects and the external ways of their interchange were reviewed in this paper.

      • KCI등재

        破僧事의 구가리에 관한 고찰

        염중섭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In its characteristics as the separation of Buddhist sect, the saṃgha-bheda is not an event that one person Devadatta could control. It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many followers around him. Kokālika was one of four key members who followed Devadatta to the last. Therefore, the correct comprehension on Kokālika has the meaning in that it widens our understanding on the fundamental Buddhism of the saṃgha-bheda and Buddha's later life. Actually, Kokālika was involved in the whole aspects of the saṃgha-bheda. From the point that the saṃgha-bheda was decided by Devadatta, Kokālika began to follow him. After the saṃgha-bheda, in the restraint against Sariputra and Maudgalyayana and in the process that Devadatta's error was pointed out and most of his followers were led back by Sariputra and Maudgalyayana, much of the responsibility lay on Kokālika. Thus, he went together with Devadatta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aṃgha-bheda. So, Kokālika was the next most essential person to Devadatta in the saṃgha-bheda.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saṃgha-bheda was raised by a group, the role of the helper must have been very important. Despite it, when dealing with this problem, we have given too much focus on one person Devadatta up to now. Through the study on Kokālika, we can attain the more plausible recognition about how Devadatta could get and keep his supporting group and why the key followers did not return to Buddhist sect but kept on following Devadatta. With this, we can secure higher understanding about the saṃgha-bheda. Thus, Kokālika is an indispensable person i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saṃgha-bheda and the monk organization of early Buddhism. 파승가는 승단의 분열이라는 특성상 제바달다 1인이 할 수 있는 사건이 아니다. 그러다 보니 다수의 동조자들이 존재하게 되는데, 구가리와 같은 경우는 이러한 동조자들 중에서도 최후까지 제바달다를 따르는 핵심동조자 4인 중 1명이다. 그러므로 구가리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는 파승가와 붓다 만년의 근본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확보할 수 있다. 구가리가 실질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파승가의 측면은 전체적이다. 파승가가 제바달다에게서 결정되는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승단분열 이후에는 사리불과 목건련을 견제하는 부분, 그리고 제바달다의 오류를 지적하는 부분과 사리불과 목건련에 의해서 대다수의 지지자들이 불교승단으로 되돌아가게 되었을 때, 책임의 대상이 되는 부분까지 구가리는 제바달다와 더불어 파승가의 시종을 함께하고 있다. 즉, 구가리는 파승가에 있어서 제바달다 다음가는 핵심 인물이었던 것이다. 파승가는 집단에 의한 사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조력자의 역할 역시 중요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우리는 문제를 너무 제바달다 1인만을 중심으로 해서 파악한 측면이 있다. 구가리에 대한 정리를 통해서 제바달다가 어떻게 지지기반을 확보·유지했으며, 핵심동조자들이 끝까지 불교교단으로 회귀하지 않고 제바달다를 따르게 된 이유에 관해 우리는 보다 타당한 인식에 도달해 보게 된다. 이는 파승가에 있어서 보다 높은 이해를 확보할 수 있는 측면이라고 하겠다. 즉, 파승가의 이해와 초기불교의 승단이해에 있어서 구가리에 관한 측면은 주목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 KCI등재

        비엣 탄 응웬의 동조자에 나타난 형제애 고찰과 국제관계론적 해석

        임영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4 유라시아연구 Vol.21 No.2

        비엣탄응웬(Viet Thanh Nguyen)의 소설 동조자 속 세 명의 남성 등장인물들은 베트남전쟁과 이후 시기를 거치는 동안 자유주의와 공산주의의 서로 다른 정치이념을 추구하면서도 서로의 안위를 우선한 진한 형제애를 가진다. 그들의 형제애는 동포애와 인류애로 확장될 만큼 당시뿐만 아니라현재 베트남, 미국, 한국과 같은 베트남전쟁 당사국 사이에 조성된 우호적인 국제관계에 시사하는 바가적지 않다. 이 논문은 응웬의 화제작『동조자』에 등장한 남성 등장인물들이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형제애에 담긴 함의를 주로 베트남전쟁 이후 국제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이 작품에대한 일반적인 연구 경향과 형제애를 설명한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국제관계론적 해석의 필요성을 진단한다. 다음으로 형제애를 중심으로 본문을 다시 읽고 나서, 베트남전쟁 시기와 이후국제정세와 정치이념의 허구성을 밝힌 다음 소설에 나타난 형제애의 의미를 조명하고, 그것을 국제관계론적으로 당시 상황에 적용한다. 이 연구는 기존 접근법들과 다르게 중간자 역할을 담당한 주인공과그의 친구들 간 우정이 현재의 국제관계에도 적용 가능한 평화윤리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를둔다. 더하여 이 논문은 미국과 프랑스 등 서방, 중국과 러시아의 공산주의 세력, 일본제국 등의 외세개입 때문에 발생한 베트남 등 아시아 국가들의 아픈 역사에 대한 공감대를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소설의 결말에서 주인공이 우리는 살 것이라고 다짐한 문구가 가진 함의에 대한 고찰을 후속 연구로 예상한다. During the Vietnam War and later periods, the three male characters in Viet Thanh Nguyen's novel, The Sympathizer, have a strong brotherhood that prioritizes each other's safety while pursuing different political ideologies of liberalism and communism. Their brotherhood has many implications for the friendly international relations established between the countries, such as Vietnam,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to The Vietnam War as well as at the time, as it extends to fraternity and hum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the brotherhood in which the male characters in Nguyen's hottest work, The Sympathizer, want to live together, focusing on international relations mostly after The Vietnam War.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diagnose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by critically analyzing the general research trend and previous studies that explained brotherhood of this work. Next, after rereading the text focusing on brotherly love, the researcher reveals the fictitious natur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political ideology during and after The Vietnam War, and then illuminates the meaning of brotherly love in the novel, and applies it to the situation at the time in te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Contrary to the existing approaches, this study is especially meaningful in revealing that the friendship between the protagonist, who plays the role of intermediary, and his two friends, can be a peace ethics applicable to current international relations. In addit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consensus on the painful history due to the foreign intervention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Communist forces of China and Russia, and the Empire of Japan. Finally, a follow-up study is expect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phrase in which the protagonist vowed to live in the plural at the end of the novel.

      • KCI등재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 연구동향 및 과제

        안효영(Ahn Hyo young),진영은(Chin Young 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직접 당사자인 가해자, 피해자 보다 주변인인 일반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변인 연구는 이러한 다수의 역할행동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또래괴롭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의 주변인 역할을 다룬 국내의 학술지 논문, 석ㆍ박사학위논문 총 57편을 분석하였다. 국내 연구의 대부분은 주변인의 역할을 유형별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주변인은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의 역할유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방어자는 대부분의 특성이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동조자와 강화자는 비슷한 특성을 보였다. 동조자 및 방관자는 방어자와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특성, 학교환경 및 사회적 인지, 가족환경, 도덕변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라 또래괴롭힘 상황에 있는 주변인들은 다른 역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은 주변인의 역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래괴롭힘 감소를 위한 실천적인 과제로 주변인 역할의 사회생태관점에서의 이해, 주변인 역할의 변화 가능성에 초점 맞추기, 방어자 역할을 하도록 하는 교육과 환경 조성, 질적연구의 확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변인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또래괴롭힘 감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bystanders in bullying situations. In any general student population, there are many more bystanders than there are bullies and victims directly associated with bullying. Bystanders research starts from the idea that to reduce bullying one must understand role behaviors. For this, a total of 57 papers of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hat researched the role of bystanders in dealing with bullying situations. Most of the domestic research studied divided the bystander roles into assistants, reinforcers, defenders, and outsiders. When analyzing these roles, defenders showed the most positive characteristics. Assistants showed similar properties with reinforcers. And, assistants and outsiders contrasted with the defenders. This study survey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chool environment, family environment, and moral variables as factors that affect the role behaviors of bystanders. Depending on these factors, bystanders' role behaviors in bullying situations exhibited differenc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 in particular, had a major influence on bystanders' role behaviors. This paper suggests practical tasks to be made based on the research of bystanders' roles to help reduce bullying. The tasks are understanding the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 of the role of bystander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hanging bystanders' roles, to educate and create a positive atmosphere for a defenders actions, and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The broadening of the understanding of bystander's roles throughout this study was done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bullying.

      • KCI등재

        또래괴롭힘 참여역할에 따른인지적·정서적 공감의 차이

        김혜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six typ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as measured using thre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empathy, Korean version of EQ-C (Cha, et al., 2011), BEI (Bryant, 1982), and IRI (Davis, 1983), on a sample of 299 Korean children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Based on the results of a peer nomination questionnaire on participant roles (Sutton & Smith, 1999), the children were assigned to one of six roles: “bullies,” “reinforcers,” “assistants,” “defenders,” “outsiders,” and “victims.” It was found that affec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whereas cognitive empathy scores were higher for defenders than for victims, but were not higher than those for outsiders, assistants, and reinforce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efenders displayed both aspects of empathy, affective and cognitive, but victims displayed neither. In contrast, bullies displayed cognitive but not affective empathy. 아동의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또래괴롭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기 위해, 또래괴롭힘 상황에 참여하는 역할 유형에 따라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299명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아동의 공감능력을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자기보고형 한국어판 EQ-C, IRI와 BEI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괴롭힘 참여역할 척도를 또래거명 방식으로 사용하여 아동을 가해자, 동조자, 강화자, 방어자, 방관자 및 피해자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공감척도의 정서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 방관자 및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동조자나 강화자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이에 반해 인지공감 점수는 방어자가 피해자보다 높았으나 방관자나 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가담하는 가해자나 동조자보다 더 높지는 않았다. 이는 괴롭힘 당하는 아동을 방어해주는 방어자 집단은 정서공감과 인지공감이 모두 높고, 괴롭힘을 당하는 아동은 두 측면의 공감능력이 모두 낮으며, 괴롭힘에 가담하는 아동은 정서공감은 낮지만 인지공감은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동조자』 속 아시아계 혼혈인 스파이

        이효선(Hyosun Lee)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4 아시아리뷰 Vol.14 No.1

        비엣 탄 응우옌(Viet Thanh Nguyen)의 소설 『동조자(The Sympathizer)』(2015)는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 통치 하에 있던 시절 프랑스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그는 소설의 서사를 이끌어가는 화자이자 베트콩의 스파이로서 미국 중심의 시각으로 씌어 왔던 베트남 전쟁 서사에 저항하는 방식의 글쓰기를 시도하며, 기존에 목소리 없는 피해자로만 여겨져 왔던 혼혈인 및 난민이라는 존재를 새롭게 해석해 낸다. 본 글에서는 혼혈인 주인공이 전쟁 난민 경험을 하며 세계의 주변부로 밀려남에도 그가 가진 서사적 권위를 활용하여 어떤 방식으로 중심부 역사 서술의 틈을 포착하고 균열을 내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그가 혼혈인을 비하하는 사람들로부터 들어야 했던 바스타드(bastard)라는 모멸적인 단어를 자신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의 중심축에 두고 있음에 주목할 것이다. 그리하여 『동조자』 속 화자의 정체성의 핵심에 있는 혼혈인으로서의 경험이 그의 또 다른 이름이었던 바스타드를 어떻게 수정적 역사 서술의 주체로 세우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Viet Thanh Nguyen’s novel The Sympathizer (2015) features a mixed-race narrator born to a French father and Vietnamese mother while Vietnam was under French colonial rule. The first-person narrator and main protagonist in The Sympathizer is a Eurasian whose presence reflects Vietnam’s colonial history, and he has suffered discrimination because of his biracial background. Becoming a refugee after the Vietnam War, he is further pushed to the periphery of the world. However, owning the narrative authority and working as a spy, he challenges the US-centered narrative of the Vietnam War. This paper argues that the narrator positions his experience as a mixed-race person at the core of his identity so that he offers a revisionary historical narrative about the Vietnam War and its refugees. Thus, the paper looks at how he interestingly centers on the word “bastard,” which people used to call him to disdain and ignore his mixed-race identity. Next, the paper explores how he newly defines his identity as a mixed-race person and establishes the “bastard” as the subject of rewriting history. Therefore, the paper emphasizes that regarding the biracial “bastard” spy, the narrator attempts to re-historicize the Vietnam War and its refugees instead of presenting a mixed-race person who has been invisible to national history as a victim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학교폭력 주변인 행동유형 예측모형 탐색

        주지선,조한익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behavioral types among school violence bystanders,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ecological systemic factors affecting school violence. For this, 1,98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16 factors derived from the ecological systemic theor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factors predicting behavioral types (i.e., the bully-follower, outsider, and victim-defender)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mining's decision tre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ecision tree model of bully-follower, the bully-followers were most often predi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strong influence of violent media, perceived social tolerance to violence as being more tolerant, low level of empathy, and interactions with peer groups. Second, in the decision tree model of outsider, the outsiders were most often predicted when there were: less frequent interactions with teachers, not well-established school violence prevention safety systems existing, lack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less influence of violent media. Third, in the decision tree model of victim-defender, the victim-defenders were most often predi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more frequent interactions with teachers, less influence of violent media, perceived social tolerance to violence as being more intolerant, and low level of soci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studying school violence bystanders and developing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m.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교폭력 주변인 행동유형을 예측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 중․고등학생 1,984명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이론에 근거한 16개 요인에 관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고, 가해동조자, 방관자, 피해방어자를 예측하는 다양한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해동조자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폭력적 매체의 영향과 지각된 사회의 폭력용인도, 공감, 또래집단화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장 많은 가해동조자를 예측하였다. 둘째, 방관자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학교폭력 예방 안전체계, 갈등 해결전략, 폭력적 매체의 영향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장 많은 방관자를 예측하였다. 셋째, 피해방어자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과 폭력적 매체의 영향, 지각된 사회의 폭력용인도, 사회불안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장 많은 피해방어자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폭력 예방과 감소를 위해 학교폭력 주변인의 중요성과 이들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의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왕따의 동조자 및 방관자 심리 분석과 기독교 상담적 돌봄 - Alfred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고유식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최근 몇 년 전부터 왕따, 특히 청소년들 사이에서의 왕따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고, 현재에도 왕따는 여전히 커다란 사회적 문제이다. 청소년 TV 프로그램이나 드라마, 영화의 주제 중 상당수가 왕따와 관련되어 있다. 그만큼 왕따와 관련된 문제는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가 되었다. 물론 왕따는 최근 갑작스럽게 형성된 현상은 아니다. 왕따는 예전부터 여러 가지 표현과 형태로 있어왔다. 또한 왕따의 연령대가 청소년에만 국한된 것도 아니다. 성인들의 경우 직장 내에서 왕따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친구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기도 하며, 심지어 교회 내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하지만 왕따 현상으로 인해 피해를 당했던 사람들의 대부분이 최초 학교 내에서 왕따를 경험한다는 것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학교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이 지식적 배움에 대한 목표뿐만 아니라, 건강한 공동체감을 키우기 위한 목표를 갖고 모인 장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모인 학교에서 왕따의 문제가 발생되고, 왕따를 경험한 아이들이 극단적 반공동체감의 경험을 통해 인간에 대한 좌절과 실망을 체험하게 되는 것은 매우 충격적이며,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현실이 매우 안타까울 뿐이다. 그래서 많은 청소년 연구자들은 왕따 현상을 분석하고 해석하여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해보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왕따의 문제를 사회 구조적인 문제로 바라본다. 그러한 연구가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연구자는 왕따 현상을 사회 구조적 문제로 바라보기 전에 개인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는 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왕따의 구조 속에 놓여 있는 개인을 분석하고 돌보는 노력을 통해 사회 구조 역시 분석되고 치유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래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통로로 왕따라는 현상이 우리의 삶 속에 발생 되었는지 살펴보고, 이 현상 속에 나타난 가해자와 피해자는 누구이며, 또한 기독교 상담가들은 이들을 어떠한 방법으로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For a few years what the bullying, particularly the bullying of youth, the great social issue now. Most TV program, Drama and Movie, in which the young people occur related to bullying. The problem of bullying is the main concern of people who live in this time. Of course, the phenomenon of bullying in recent years is not suddenly formed. the problem of bullying, there were various expressions and in different form in the past. And the age of bullying is not restricted to youth. In adults, the phenomenon of bullying appears in the workplace, also appears among friends, and even it might appear in the church. But we should note that most of the people who suffer as victims of bullying, have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d bullying at school. The school is of course a place that children and youth learn the knowledge. However, the school aims and encourages that they form a sense of healthy communities. It was shocked and intolerable that the problem of bullying appears at school, and that the victims of bullying by the experience of excessive in sensation of anti-community witnessed the despair and the failure of the people. Thus, many researchers try to youth, to solve the problem of bullying by the researchers interpret the phenomenon of bullying. They often consider the problem of bullying as a social-structural problem. It is not wrong. However, I think that for the exact analysis of bullying at first the problem of bullying needs to be researched in the personal dimension, before the problem of bullying is researched in the social-structural dimension. So I want to present the grounds for an argument with this article how the phenomenon of bullying is produced in human life, whoever is the perpetrator or the victim in the problem of bullying, and how can help pastoral counselor the offender and the vict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