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네스코와 1950~1960년대 한국미술 국제화

        정무정 한국미술연구소 2025 美術史論壇 Vol.- No.60

        1945년 11월 런던에서 창립총회를 가진 유네스코는 교육, 과학, 문화, 정보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통해 전쟁 방지와 평화를 구축한다는 설립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며 국제문화교류의 교두보 역할을 자처했다. 유네스코의 프로그램은 한국전쟁의 후유증으로 별다른 전시회도 열리지 않고 외부와의 교류도 거의 단절된 문화적 진공 상태에 있던 한국미술계에서 세계로 통하는 창문과 같은 의미를 띠었다. 그러나 유네스코가 실행한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서 예술 분야, 특히 시각 미술 분야에 관한 학술적 관심은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로 1950-60년대 한국미술계에서 국제교류의 물꼬를 트는 데 적극적이었던 유네스코의 활동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미술의 국제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유네스코가 수행한 다양한 프로그램 중 동서문화교류 10개년 계획은 다양한 문화적 가치에 대한 국제적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유네스코의 가장 핵심적 사업이었다. 이 사업의 일환으로 유네스코가 동양문화에 대한 서양인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추진한 전시 프로그램 중 한국미술품이 포함된 사례는 1957년의 《아시아와 서양의 미술 Art in Asia and the West》과 1958년의 《동양-서양: 5천 년 예술의 만남과 영향 Orient-occident, rencontres et influences durant cinquante siècles d'art》가 있다. 그러나 미국과 유럽의 일방적 관점에서 기획된 두 전시는 아시아와 서양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상호 이해라는 전시의 취지가 무색하게 아시아 미술에 대한 그들의 무지를 노출하고, 심지어는 유네스코가 내세우는 평화와 조화의 이념 아래, 오히려 침략과 약탈의 역사를 감추는 아이러니를 부각시켰다. 이는 서구의 관점에서 추진된 동서문화교류 10개년 계획에 내재한 근본적 한계를 시사한다. 한국은 1950년 유네스코에 가입하였으나 그 직후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인해 한국 내 유네스코 활동은 전란으로 파괴된 교육 재건 지원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55년 대한미술협회가 국제조형미술협회 한국대표로 나서면서 유네스코가 추진한 미술작품의 교류 및 순회전시가 활성화되었고 이는 한국미술계에 적극적인 미술 교류에 관한 관심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정치, 경제적 여건이 갖춰지지 않아 동서문화교류 10개년 계획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기는 어려웠다. 더구나 동서문화교류 10개년 계획이 추진되던 1958년부터 1963년의 시기에 단 한 명의 미술가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에 위원으로 선임되지 않아 한국미술계가 유네스코의 사업을 통해 활발한 국제교류를 펼칠 기회를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1960년대 들어 아시아 국가와의 미술 교류가 활성화된 것은 동서문화교류 10개년 계획에 대한 인식전환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관해서는 후속 연구로 남겨두고자 한다. UNESCO, which held its founding General Conference in London in November 1945, became a key platform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dvancing its mission to prevent war and build peace through global cooperation in education, science, culture, and information. For the Korean art world, which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found itself in a cultural vacuum—devoid of exhibitions and largely isolated from international exchange—UNESCO’s programs served as a window to the world. However, among the many initiatives carried out by UNESCO, relatively little scholar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ose related to the arts, particularly the visual arts. This paper investigates UNESCO’s initiatives during the 1950s and 1960s that fostered international exchange of Korean art and analyzes their role in advancing its presence on the global art stage. Several exhibitions held during the 1960s were implemented as part of UNESCO’s Major Project on the Mutual Apprecia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Values. This Major Project, which commenced in 1957 and continued until the end of 1966, was among UNESCO’s most significant initiatives aimed at enhancing international understanding of diverse cultural values. As part of this initiative, exhibitions aimed at fostering Western understanding of Eastern cultures occasionally featured Korean art, notably in Art in Asia and the West(1957) and 《Orient-Occident: Rencontres et Influences durant Cinquante Siècles d’Art》(1958). Nevertheless, these exhibitions—conceived predominantly from American and European perspectives—ultimately undermined the intended objective of foster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al traditions. Instead, they revealed a profound lack of awareness regarding Asian art and, paradoxically, under the auspices of UNESCO’s ideals of peace and harmony, served to obscure the historical realities of aggression and cultural appropriation. This underscor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embedded within the Major Project. South Korea became a member of UNESCO in 1950.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however, redirected UNESCO's activities in the country toward support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war-ravaged education system. In 1955, the Korean Fine Arts Association assumed the role of Korea’s representative organization in the Association Internationale des Arts Plastiques, thereby facilitating the exchange and touring exhibitions of artworks initiated by UNESCO. These development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raising awareness and fostering interest in international artistic exchange within the Korean art community. South Korea, however, constrained by its politic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during the 1950s, was una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UNESCO’s programs. Furthermore, the bureaucratic structure of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posed additional limitations: from 1958 to 1963,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ajor Project, the Korean art community had no members in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Consequently, the Korean art community was largely excluded from opportunities to be involved in UNESCO-led activities. The increased artistic exchanges with other Asian nations during the 1960s indicate a paradigmatic shift in the perception of UNESCO. However, a more in-depth exploration of this shift remains a subject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프로이스의『일본사』에 보이는 동서교류 초기 차문화 기록 해석

        신정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5 유라시아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차문화 발전 및 동서 차문화교류사에 관한 기왕의 서양 학계의 연구성과를 보완하는 새로운 자료를 고찰한다. 동서양 교류 과정에서 서양의 크리스찬 선교인의 눈에 노출된 동아시아의 차문화 관련 초기 기록이 이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프로이스의 『일본사』에 기록된 내용은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동서 차문화교류사 맥락에서 해당 자료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서양의 동서 차문화교류 연구, 서양의 일본 차문화연구사, 선차발전사에 대한 기왕의 주요 연구 시각을 입체적으로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의 기초 위에서 프로이스의 『일본사』에 언급된 차문화 관련 기록들에 대하여 차문화발전사의 맥락에서 그 성격을 고찰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국내의 일본 차문화 발전에 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확장한다. 센리큐의 다도 정신을 중심으로일본 차문화발전사를 평가하는 점에 주목하면서, 동시에 동서양의 차문화교류의 초기 양상으로부터 동시대의 센리큐의 다도 정신과 다른 권력층 내부의 일본 다도의 실제적인 면을 확인하게 된다. 동서 차문화교류사의 초기 양상을 해석하는 학술적 작업은 동아시아의 차문화역사, 동서문화교류사를 새로이쓰게 한다. This study examines new data that complements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Western academia on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East Asia and the history of tea culture exchanges in East and West. This corresponds to the early records related to tea culture in East Asia, which were exposed to the eyes of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West in the process of East-West exchange. To this end, the contents recorded in Luis Frois, S, J's History of Japan have important significa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tus of the data in the context of East-West tea culture exchange history, it is necessary to three-dimensionally refer to the previous major research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East-West tea culture exchange in the West, the history of Japanese tea culture research in the West, and the history of Zen Tea. On the basis of such previous studies, the records related to tea culture mentioned in Luis Frois, S, J's History of Japan wer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tea culture development history. This study primarily expands the research results o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tea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evaluation of the hisstory of tea culture development in Japan centering on the spirit of the tea culture in the West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initial aspects of the tea culture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Japanese tea culture within the other power groups were confirmed. Academic work to interpret the initial aspects of the history of East-West tea culture exchange makes a new history of tea culture and East-West culture exchange in East Asia.

      • KCI등재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와 중앙아시아의 교류

        전호태(Jeon, Ho-tae)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8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서역문화 요소는 인물, 기물에서 회화기법과 종교 관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평양권 및 집안권 고분벽화에서 고르게 발견되는 서역문화 요소도 있지만 평양권이나 집안권 고분벽화에서만 확인되는 것도 있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집안권 고분벽화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불교 관련 서역 문화요소이다. 서역인의 형상을 한 승려, 여래, 보살과 천인 등은 고구려가 불교신앙과 문화를 받아들이는통로로 기존의 북중국길 외에 초원길도 사용했음을 확인시켜준다. 초원길과 북중국길을 이용한 고구려의 동서교류는 동북아시아에서 고구려의 패자적 지위가 확립된 5세기 전반부터 본격화 한 것으로 보인다. 1세기 이상 지속된 동아시아 4강체제는 고구려가 동서교류를 통하여 보다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고 소화하면서 보편성 높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에 좋은 토양을 제공해준 것으로 판단된다. 6세기 중엽 이후, 고구려의 동서교류가 고분벽화 제재 구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이 시기로 편년 되는 벽화고분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어 현실적으로 분석 대상이 거의 없어서이기도 하지만, 벽화 구성이 단순화 하면서 제재 분석이 어려워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651년경 사마르칸드의 소그드왕 와르후만을 방문했던 고구려 사절의 존재로 보아 초원길을 통한 고구려의 동서교류는 7세기 이후에도 계속되었음이 확실하다. 그러나 고구려 사절단의 이러한 활동이 고구려 사회 문화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는 아직은 미지의 상태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Central Asian elements seen in Koguryo tomb murals range from figures and instruments to painting techniques and religious concepts. Some are distributed evenly to both Pyeongyang and Jian region tomb murals but others are only found in Jian tomb murals. What catches our eyes is Central Asian elements related to Buddhism that are found in significant number in Jian region tomb murals. Monks, Buddha, and Bodhisattvas with Central Asian physiques confirm that Koguryo used steppe road as well as the north China route for adopting Buddhist religion and culture. Koguryo’s exchange with the west via the steppe road or north China seem to have took spur from the first half of 5thcentury when Koguryo’s power in northeast Asia was secured. The balance of power that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a century in East Asia seem to have made a good ground for Koguryo’s adopting and digesting foreign culture to recreate a cosmopolitan culture through its exchange with the west. It is not clear how Koguryo’s exchange with Central Asia affected tomb mural compositions after mid-6thcentury. On the one hand, the number of mural tomb significantly decrease during this period, limiting sources, but on the other hand, the mural composition became more simppe, making it harder to analyze themes and motifs. Looking at Koguryo delegate who visited Sogdian KingWarhuman in Samarkand in 651 shows that Koguryo’s exchange with the west via steppe road continued after 7thcentury. However, the effects of such foreign affairs on Koguryo’s society and culture are yet to be known.

      • KCI등재SCOPUS

        중세 직금금(織金錦)의 동서교류에 관한 연구

        김문숙 ( Moon Sook Kim ) 한국의류학회 2002 한국의류학회지 Vol.26 No.12

        본 논문은 중세 동서 아시아 사이의 직금금(織金錦: gold brocade)의 장식적 교류에 대한 연구이다. 중세 직금금에 대해서는 선행 학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이나 디자인과 관련하여 논의한 바 있다. 그러나 동서 아시아 직금금의 기술적 및 장식적 교류와 관련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다. 특히 한국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직금금은 다른 나라의 직금금과 비교하여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에 보존되어 있는 고려시대 직금금을 포함한 동서 아시아 직금금의 장식적 교류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한국의 직금금을 포함한 동아시아의 직금금 21점과 서아시아의 직금금 37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동서아시아의 직금금 각각을 그 장식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동서 아시아 직금금 사이에 교류된 문양과 패턴의 장식적 특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성경 도해와 문화전수 : 『천주강생출상경해』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를 중심으로

        서원모,곽문석 한국교회사학회 2017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7 No.-

        최근 동서교류, 특히 그리스도교와 동아시아 문화의 만남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리스도교 한문 전교서가 동서 문화 교류 연구에 주요한 사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저술되었다. 이 연구의 초점은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 쥴리오 알레 니(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가 저술한 천주강생출상경해(天主降 生出像經解, 1637; 이하 출상경해)이다. 출상경해는 예수의 생애를 탄생부터 승천까지 그림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스페인 출신 예수회 사제인 제 로니모 나달(Jerónimo Nadal, 1507-1580)의 복음역사 도해집(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의 한문본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알레니는 복음역사 도해집을 3분의 1정도로 간추려 번역했다. 이 연구는 알레니가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을 중국인 독자를 위해 어떻게 번역하고 변용시켰는지, 곧 번역과 문화 전수란 관점에서 출상경해를 연구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네 가지 주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는 서문격인 “천주강생출상경해인”(天主降生出像經解引)을 통해 출상경해의 목적과 원리를 규명한다. 둘째,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과 출상경해의 구조를 비교하여, 알레니가 복음역사 도해집에서 어떤 도해를 선택하고 또 어떻 게 배열했는지를 다룬다. 셋째, 알레니가 복음역사 도해집에 없는 도해 를 삽입하거나 여러 도해를 하나로 합성한 사례를 중심으로 라틴어 저본의 한문 번역에 대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시각 이미지 측면에서 출상경해의 특징을 고찰한다.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은 출상경해 뿐만 아니라 다 로카 신부(Giovanni da Rocha, 1565-1623)의 송염주규정(誦念珠規程, 1620)에 수록된 그림과 요한 아담 샬 폰 벨(Johann Adam Schall von Bell S.J., 1592-1666)의 진정서상(進呈書像, 1640)의 일부 그림의 저본이 되 었다. 이 연구는 나달의 복음역사 도해집의 중국화라는 점에서 이 세 작 품을 비교하여 출상경해의 특징을 규명한다. 결론적으로 출상경해는 라틴어 도상과 해설의 한문화를 통해 서양 그 리스도교의 핵심적 내용을 중국인과 소통하고 전수하려는 시도였다고 평 가할 수 있다. 출상경해는 라틴 그리스도교 문화를 중국에 전수할 때 예 수회 선교사들이 가졌던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자세와 함께, 문화적 적응 내지 중국화보다는 서양의 문화를 충실하게 번역하고 전달하려는 양면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러한 양면적 성격은 17세기 동서 문화 교류를 이해하 고 평가하는 중요한 틀이 될 수 있다. 출상경해 이외에도 이 시대 수많 은 한문 전교서에 대한 폭넓은 연구는 명청 시대의 가톨릭교회의 선교를 통해 이루어진 동서 교류의 성격과 면모를 더욱 분명하게 밝혀줄 것이다. Recently studies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especially the encounter between Christianity and East Asian Culture have drawn great scholarly atten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corroborate that Chinese Christian literature in the Ming-Qing dynasties serves to provide historical resources for research of the East-West cultural conta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天主降生出像經解, 1637) composed by Giulio Aleni (艾儒略, 1582-1649).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is a collection of visual images, which depicts Jesus’ life from the conception of John the Baptist to the Pentecost and the crowning of the Virgin Mary, and a Chinese version of the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of Jerónimo Nadal (1507-1580), one of Spanish Jesuit priests. In his translation, Aleni reduced this work to one-third of the original 153 images. This study examines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quesiton, how Aleni translated and modified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and cultural transmi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als with four topics. First, drawing on its preface, it elucidates the purpose and principl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Second, it compares the structure of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with that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e, and demonstrates which images Aleni selected out of the original text and how he arranged them. Third, it examines the principle and method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Latin original by analyzing the cases in which Aleni combined several images of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imagines into one. Finally, it investigates the visual and artistic aspect of the imag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Nadal's Evangelicae historiae became the original source of not only the images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ie but also those of Giovanni da Rocha's Song nianzhu guicheng (誦念 珠規程, 1620) and some pictures of Johann Adam Schall von Bell S.J.'s Jìncheng shu xiang (進呈書像, 1640). This study reveals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by comparing these thre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Chinese translation of the same original work. This study asserts in conclusion that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as an attempt to communicate and transmit the core of Christianity with Chinese by means of translation of Latin images and notes.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shows the practical and creative mind of Jesuit missionaries in transmitting the heritage of Latin Christianity into the Chinese soil, on the one hand, and their intention to translate and adapt the Western culture in a faithful way, on the other hand. My conviction is that such dual aspect will serves as a crucial criterion to understand and evaluate the East-West cultural encounter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extensive study of numerous Christian literature in addition to Tianzhu jiangsheng chuxiang jingjjie will disclos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contacts through Catholic mission in the Ming-Qing period.

      • KCI등재

        中國 喪葬美術의 東西交流

        서윤경(徐潤慶) 한국미술연구소 2007 美術史論壇 Vol.- No.24

        본고에서는 중국 喪葬美術에 있어서 동서교류의 단면을 北朝 고분에서 출토된 '葬具'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棺槨으로 대표되는 장구는 산자가 죽은 자를 위해 마련한 최후의 안식처이며, 사후의 염원을 담아낸 기물이므로, 여기에는 당시의 喪葬觀念이 반영되어 있다. 주요 대상은 중국 내에서 발견된 서역인의 장구로서, 산시(山西) 太原에서 발굴된 虞弘墓의 石槨, 산시(陜西) 西安에서 출토된 安伽墓의 石棺床, 史君墓의 石堂, 康業墓의 石棺相, 李誕墓의 石棺, 허난(河南) 安陽에서 출토된 후 해외 박물관에 나뉘어 소장된 石棺床, 출토지역이 확실치 않은 일본 Miho박물관 소장의 石棺床, 간쑤(甘肅) 天水에서 발견된 石棺床 등이다. 장구의 주인은 주로 소그드(Sogdian) 계통 또는 북인도 계통의 민족이다. 이들은 6세기 실크로드를 이용한 동서교역을 담당하면서, 서역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방면에 있어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또한 이들이 이동하고 정착하는 과정 중에 남긴 유적과 유물은 동서문화교류 방면은 물론이고 과거 서역인들의 생활상을 복원하고 재조명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특히 사후에 축조된 고분 및 장구는 당시의 상장풍속과 그 문화적인 함의를 유추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장구상에는 당시 서역인들의 생활상과 종교신앙 및 상장관념이 묘사되었다. 생활상의 부부상, 연음도, 출행도, 수렵도 등 다양한 장면은 민속적 색채와 중원의 양식이 절묘하게 어우러져 있다. 종교신앙의 장면으로는 조로아스터교와 관련있는 불의 제단과 제시신상이 주목되며, 상장의례에 관한 장면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장구의 도상은 그리스, 페르시아 등 서아시아의 요소, 스키타이, 돌궐 등 북방 유목민족의 요소, 그리고 서역 소그드 민족의 유풍, 북인도에서 유래되는 불교적인 도상 등 다양한 문화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고분구조는 긴 墓道와 궁륭형의 單室墓를 가진 土洞墓 또는 塼室墓 형식으로 당시 북제ㆍ북주의 일반적인 고분구조를 보인다. 장구형식은 구조방식에 따라 석관, 석관상, 석곽의 세가지 유형으로 역시 북위시대부터 유행하는 중원의 형식이다. 또한 고분 내에서는 묘지가 출토되고 있어 묘주인의 신분과 정확한 편년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형식은 서역인들이 중원에 정착한 후 변형된 상장문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토의 서역문화와는 별개의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역의 장법은 天葬 후 납골단지에 안치하지만, 앞서 살펴본 서역인의 장법은 土葬의 방식에 유구를 그대로 장구 위에 안치한다. 중국 내에서 발견된 이러한 서역인 고분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토와 정착지역의 유적 및 유물에 대한 엄밀한 검증과 분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서역에 남겨진 그들의 자취가 충분치 않으므로 영향관계를 유추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때문에 우리는 도상의 분석에 있어 면밀한 분석과 고증을 거쳐야 한다. 특히 도상상의 종교적인 신상을 읽어낼 때에 우리는 상장문화의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 최근 중국에서 계속되는 서역인의 고분 발굴로 인해 우리는 고대 서역과 동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요소를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자료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자료는 앞으로 미술사적인 시각을 통해 화풍과 표현형식, 도상의 영향관계, 그 내재적인 의미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고대 중앙아시아 미술과 고대 동아시아 미술의 속성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will introduce and examine recent archeological discoveries in the tombs of sixth-century Central-Asian(mostly Sogdian) immigrants to China. The discoveries are from Shanxi and Shaanxi and include a stone coffin from the tomb of Li Dan(李誕), stone coffin beds from the tombs of An Jia(安伽) and Kang Ye(康業), and stone sarcophaguses from tile tombs of Yu Hong(虞弘) and Shi Jun(史君). We will also examine a stone coffin from Tianshui, Gansu, and stone coffin beds from the Miho Museum in Japan and Aayang, Henan. The stone coffin, stone coffin bed, and stone sarcophagus represent tile beliefs, funeral rituals, cultural environment, and life of the tomb occupant. These funeral stones are rich in content and show excellent craftsmanship with elaborate engravings, carvings, and paintings. The screens of the stone coffins show the interaction of Central-Asian burial customs with traditional Chinese rituals. These screens consist of scenes from the tomb-owner's daily life and religious beliefs. The scenes from daily life include feasting, music, dancing, hunting, domestic life, and travels. Scenes of religious rituals show a fire alter and priests, and include Zoroastrian elements. The tombs' occupants are likely sabao, or official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followers of the Zoroastrian faith. We should, however, be very cautious when linking Central-Asian Zoroastrianism with West-Asian Zoroastrianism even though the religious beliefs of Central-Asians seem to come from Zoroastrianism. When the Central-Asians crossed the Silk-Road to settle in China, over time, their religious rituals started to diverge from the originals practiced in Central-Asia.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funeral rites of the original Zoroastrians, after the flesh of the departed was eaten by dogs and wild animals, the bones would be collected and placed in ossuary vessels and buried. Sogdian immigrants to China, in contrast, adopted the Chinese style of burial in subterranean chambers, but still retained the stone coffin imagery form their ossuaries. In short, the findings from the tombs provide a wealth of valuable information not only about the living and burial customs of the Central-Asians that inhabited China during me Northern Dynasties period, but also about Sino-Western cultural exchanges and ancient Chinese painting art.

      • KCI등재

        북조시대 둔황석굴벽화에 묘사된 동서 융합적 종교복식문화에 관한 연구

        조현진(Cho, Hyun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4

        본 연구는 둔황석굴벽화에 표현된 종교복식을 통해 혼란기였지만 문화교류가 활발했던 북조시대를 중심으로 당시 복식문화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계기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북조시대 둔황석굴벽화에 표현된 종교복식을 매개체로 동서복식문화의 교류와 그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21세기 글로벌 복식문화교류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 유적인문탐사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유물 사진과 관련 도판자료를 활용하여 4∼6세기 둔황석굴 벽화에 묘사된 종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의 특성을 고찰한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둔황의 종교복식에는 그리스의 드레이퍼리형 복식과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와 일월숭배 및 왕의 복식, 북방유목민족인 선비족의 두건과 헤어스타일, 인도의 전통 복식과 신들, 중국 토착 신앙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복합적인 영향을 주고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둔황석굴벽화에 묘사된 종교복식문화는 종교복식이라는 보편성을 가지고 여러 문명권의 복식요소가 교류하는 전파성과 함께 다양한 복식요소가 융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형태의 복식문화가 산출된 둔황 종교복식만의 개별성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대 종교복식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 culture of the Northern dynasty, which was a period of chaos through the religious costumes express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but in which cultural exchanges were a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global costume culture exchange in the 21st century by examining the ex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East-West costume culture using the religious costumes express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of the Northern dynasty.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 culture, focusing on the religious costumes depict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in the 4th and 6th centuries, using the photos of the relics taken by the researcher in the humanities expedition of ancient ruins and the contents of the study. As follows. Tunhuang’s religious costumes include Greek drapery clothing, Persia’s Zoroastrianism, sun and moon worship, and royal clothing, the northern nomadic Xianbei’s hood and hairstyle, Indian traditional clothing and gods, and Chinese indigenous beliefs combined with various complexities. Accordingly, the religious costume culture depicted in Tunhuang cave paintings has the universality of religious costumes, and the Individuality of the Tunhuang religious costume, which has a new type of costume culture, was produced in the process of fusion of various costume elements along with the propagation of the exchange of costume elements from different civiliz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udy of ancient religious costumes.

      • KCI등재

        초기 근대 동서교류문헌으로서 교리교육서: 발리냐노의 《그리스도교 신앙 교리교육서》 사례를 중심으로

        곽문석,서원모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7 No.-

        본고의 목적은 동서교류문헌으로서 교리교육서(catechism)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동아시아 선교 상황에서 새롭게 작성된 예수회 순찰사 발리냐노 (Alessandro Valignano 范禮安)의 《그리스도교 신앙 교리교육서》(Catechismus Christianae Fidei, 1586)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먼저 교리교육서라 는 장르의 시대적 배경을 연구하고(II), 발리냐노의 교리교육서의 그리스도 교 변증 신학을 규명하고(III), 중국 선교사 루제리(Michele Ruggieri 羅明 堅)의 《신적인 일들의 설명》(Vera et Brevis Divinarum Rerum Expositio, 1582)와 비교하여 특징을 밝힌다. 발리냐노의 일본 종교와 문화 비판과 그 리스도교 변증은 이성적 논증과 신앙적 진술로 이루어지며, 그의 변증신학 은 만물의 창조자와 통치자, 구원자인 하나의 근원자 개념과 영혼의 영적 실체, 불사불멸, 내세의 보상과 형벌을 강조했으며, 작용인, 영적 형상, 실 체적 형상, 네 원소, 질료와 형상 등 철학 개념을 활용하여 그리스도교를 변증했다. 이러한 점에서 발리냐노의 교리교육서는 동서교류의 상황에서 교리교육서가 새롭게 발전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catechism as a genre of documents of East-West Exchanges in Early Modern Period and to analyze Alessandro Valignano’s Catechismus Christianae Fidei (1586) which was composed in Latin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mission. It explor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genre of catechism (II), then investigates the apologetic strategies of Valignano’s catechism(III), and finally reveal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son with Michele Ruggieri’s Vera et Brevis Divinarum Rerum Expositio (1582) (IV). It demonstrates that this catechism consists of rational argumentations and statements based on faith, that his apologetic theology emphasizes the notion of one principle as the creator, ruler and savior as well as the concept of soul as a spiritual substance, its immortality, and the retribution in the end of the world, that it defends Christianity by utilizing philosophical concepts such as efficient cause, substantial form, four elements, matter and form. This study corroborates that Valignano’s catechism proves to be a new development of catechism literature in the context of East-West exchanges.

      • KCI등재

        경교의 당(唐) 전래와 토착화에 대한 고찰

        신현광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경교가 당(唐)에 전래되고 오랜 기간 중국에서 활동하였지만 최근 3세기 동안 별 로 경교가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로 지나왔다. 경교의 동방 전래에 대한 더 깊이 있 는 연구와 동방기독교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는 동서 교류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의미 있는 교류와 발전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더 나 아가 기독교 선교에도 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간 소홀히 다루어졌던 당대 초기의 경교 유입의 역사, 경교의 경 서와 <대진경교유행중국비>에서 보는 토착화, 경교의 토착화와 관련된 고려사항, 당 후반기 실크로드 선교활동 등을 살펴보면서 경교를 통한 동서 교류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한국교회는 대체로 서양기독교 교회사를 중심으로 학습되어왔기에 그동안 동방기 독교사에 관한 연구 및 이해에 대한 한계가 많았음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다. 1625년 에 서안(西安)에서 <경교비>가 발견되어 이전에 서방이 알지 못하던 놀라운 기록들 이 드러난 것은 무척 다행한 일이다. 경교의 경서와 <경교비>를 통해 경교의 선교단 이 경교의 토착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서의 번역과 <경교비>에 나타나는 다소 불교적이고 도교적인 경향은 전반적으로 볼 때 경교의 대중 화를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당의 후반기에는 핍박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지만 당의 영향력이 덜 미치는 실크 로드 상에 있는 서북 변방지역에서는 여전히 그들의 경제 활동과 더불어 돈황과 고창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이 계속되고 있음을 본다. 그러나 철저한 신앙교육과 개혁적인 의지가 강력하지 못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교의 당의 전래는 동서교류에 더 없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Although Jing-Jiao(Illustrious Religion) was introduced to the Tang Dynasty and has been active in China for a long time, it has been little known for the last three centuries. I believe that a deeper study of the Eastern propagation of this religion and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Eastern Christianity will help discover the true value of East-West exchanges and promote meaningful exchanges and developmen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more efficient measures will be prepared for Christian missionary work. This paper deals with the issues of East-West exchange through religion b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influx of Jing-Jiao to Tang Dynasty in early days, the indigenousization reviewed in the sacred books of this religion and of Nestorian Monumental Tablet, some considerations related to the indigenousization of this religion, and missionary activities on the Silk Road in Tang Dynasty's last period. Since Korean churches have been generally learned around Western Christian church history, it is inevitable to admit that there have been many limitations in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Eastern Christian history. It is very fortunate that ‘Nestorian Monumental Tablet’ was discovered in Xi'an in 1625, revealing surprising records that the West had not known before. Through the books of Jing-Jiao and the ‘Nestorian Monumental Tablet’, eulogizing the propagation of Illustrious Religion in China with a Preface, composed by a priest of Syriac Church , A.D. 781, it was confirmed that the missionaries of this religion constantly tried to indigenousize the religion in China. The somewhat Buddhist and Taoist tendencies that appear in the translation of Nestorian scriptures and the content of Nestorian Monumental Tablet can be seen as a means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religion in general. In last period of Tang Dynasty, there were difficulties for Nestorians due to persecution, but in the northwest outskirts of the Silk Road, where the Tang Dynasty's influence is less, they are still active in the Dunhuang and Gochang areas along with their economic activities. However, It seems that thorough faith education and will to reform will were not strong for them. Nevertheless, the propagation and indigenousization of Illustrius Religion to Tang Dynast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East-West exchange.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