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료지지모임에 참여한 상담자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윤정,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6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among counselors who participated in peer support groups an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with peer counselors was examined through narrative inquiry.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three counselors with more than six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participants' narratives were organiz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reflection notes, and SNS data for a year from March 2019 to February 2020. Based on the topics repeatedly mentioned in a peer support group, three to five in-depth interviews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hey went through a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and new challenges in their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fellow counselors. The story of counselor's self-reflection experience through a peer support group revealed was divided into “story of the life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living as reflective counselors” shared by a peer support group. The meaning of the counselor's self-reflection experience through a peer support group consisted of ‘being a safety base for each other’, ‘awareness and expansion of the perception frame’, ‘self-ness discovered in the relationship’, ‘a field of new attempts’, and ‘a embodiment of self-reflection experience’. These mean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ersonal, practical, and social justification, respectively, as ‘self-transformation connected to self-ness’, ‘counselors seeking human understanding as relational beings’, and ‘use as a supporting system in the counselor's maturation process’, and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이 연구에서는 동료지지모임에 참여한 상담자들의 자기성찰 경험이 어떠한지, 동료상담자들과의 자기성찰 경험이 어떤 의미를 형성하는지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동료지지모임에 참여한 상담 경력 6년 이상의 상담자 3명이며, 2019년 3월부터 2020년 2월까지 1년간 동료지지모임에서 나눈 자기성찰 경험을 참여관찰, 심층면접, 성찰노트, SNS 자료 등을 통해 연구참자여들의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동료지지모임에서 반복적으로 나온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별로 3∼5회의 심층면접을 하고 보완이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추가면담을 하였다. 동료상담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성찰 경험에서 자기이해, 자기수용을 거쳐 새로운 도전을 시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드러난 동료지지모임에 참여한 상담자의 자기성찰 경험 이야기는 동료지지모임에서 말한 ‘연구참여자의 삶의 이야기’와 ‘성찰하는 상담자로 살아가기’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동료지지모임에 참여한 상담자의 자기성찰 경험의 의미를 ‘서로의 안전기지가 되어줌’, ‘인식의 틀을 알아차리고 확장시킴’, ‘관계 안에서 발견한 자기다움’, ‘새로운 시도의 장’, ‘자기성찰 경험의 체화’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의미를 개인적, 실제적, 사회적 정당성 차원에서 각각 ‘자기다움으로 연결되는 자기변용’, ‘관계적 존재로서 인간이해를 추구하는 상담자’, ‘상담자 성숙과정에서 지지체계로 활용’으로 논의하였고, 이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노인요양시설의 요양보호사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수로

        노금수 ( Noh Keum Soo ),김광호 ( Kim Kwang Ho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8 사회복지경영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현장에서 핵심요원으로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들의 독립적인 요인으로 보상공정성, 동료의 지지, 상사의 지지 그리고 정서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고 또한 요양보호사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역할을 실증 분석함으로서 자아탄력성을 통하여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의 실증분석을 위해 수도권과 경기도의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연구 대상으로 총 385부의 설문지를 PASW(SPSS)18.0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요양보호사의 성별은 여성이 대부분이며, 연령대는 50대~ 60대가 가장 많고, 고등학교 졸업자가 대부분이며, 종교는 기독교가 많았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가장 많았으며, 요양보호사 1명이 담당한 인원수는 5명 이하가 대부분이며, 근무형태는 2교대와 주·야간 그리고 3교대가 자장 많았으며, 근무경력은 3년~5년이 가장 많았다.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대부분이며, 평균월급은 150만~170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립변수인 요양보호사 하위요인인 보상공정성, 정서적 지지, 동료의 지지, 상사의 지지는 모두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하위요인인 보상공정성과 상사의 지지는 매개변인 자아탄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자아탄력성이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하위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보상공정성, 동료의 지지, 상사의 지지, 정서적 지지에서 자아탄력성은 보상공정성, 동료의지지, 상사의지지, 정서적 지지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through self- efficacy and ego-resilie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by verify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in compensation fairness, peer’s support, superior’s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as independent factors of nursing care worker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caring the elderly in the elderly nursing care facilities, and empirically analyzing the medicating role of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actors of nursing care workers affect the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in the emo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age; in compensation fairness in the service period; and in emo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shift pattern. Second, it was found that sub-factors of the nursing care workers such as compensation fairness, emotional support, peer’s support, and superiors' support,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which w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sub-factors of the nursing care workers such as compensation fairness and superior’s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hich were the mediating variables; and both self-efficacy and ego-resilience, which were the mediating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n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sub-factors of nursing care workers on job satisfaction, 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in compensation fairness, peer's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and the ego-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in compensation fairness, peer’s support, superior’s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 KCI등재후보

        여행사 종사원의 상사ㆍ동료 지지와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

        김판영 ( Kim Pan-young ),오정학 ( Oh Jung-hak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6 Tourism Research Vol.41 No.4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조직 구성원의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의 종류에 따라 도출되는 결과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 중에서 조직 내 사회적 지지인 상사 및 동료의 지지를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선행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248명의 여행사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구성은 상사 및 동료의 지지, 자기 효능감, 직무만족의 문항을 이용하였다. 조직 내 사회적 지지로 설정된 상사 및 동료의 지지 모든 변수가 조직 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에서 상사 지지는 동료 지지에 비해 직무만족에 보다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료 지지는 상사 지지에 비해 자기효능감에 영향력이 높은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론적ㆍ실무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업무 성과를 도출하고 종사원의 자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 및 동료의 지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회사 차원의 노력과 실질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결론에서 이러한 실무적 제안과 함께 후속연구에 대한 논의를 수행하였다.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in general, is linked to positive outcomes among correctional employee, but the different types of social support may differ in their effects. This study analyzes three intra-organizational supports, supervisory and coworker as antecedents of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empirical evidence based on a sample of 248 travel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and coworkers supports the proposed model. The measures were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th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All intra-organizational forms of support are significant antecedents of staff`s self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upervisory support are strong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hile self efficacy is affected more positively by coworker`s suppor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discussed. According to the res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mployee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create a detailed plan for improving supervisor`s support and actively implement it. These findings hold implications for improving job outcomes among correctional employee an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료 및 상사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신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Support for Fellows and SuperiorShinyoung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on job attitud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face-to-face survey through e-mail from Feb. 7 to 18, 2022, targeting 216 people working as activity support workers for the disab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irst, emotional lab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and job attitude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and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and job attitu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peers and supervisors so that they can relieve emotional labor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and concentrat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 Words: Disability Assistance Worker, Emotional Labor, Fellow Support, Superior Support, Job Attitude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동료 및 상사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 신 영* 요약: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로 근무하고 있는 216명을 대상으로 2022년 2월 7일부터 18일까지 2주간에 걸쳐 e-mail을 통한 비대면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가 인식한 감정노동, 동료 및 상사지지, 직무태도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고 감정노동의 내면행동, 동료 및 상사지지는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내면행동과 직무태도 관계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을 완화하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동료 및 상사지지의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장애인활동지원사, 감정노동, 동료지지, 상사지지, 직무태도 □ 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일: 2022년 3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성운대학교 겸임교수(Professor, Sungwoon Univ., Email: jinblouse@daum.net)

      • KCI등재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생의 동료 간 관계성 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마인드셋의 조절효과

        강유신 ( Kang Yu-shin ),이근모 ( Lee Keun-m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생의 동료 간 관계성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지역의 중학생 5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549부를 연구에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를, 요인 간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중학생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학생의 흥미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정마인드셋이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임에 따라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노력지속성에, 고정마인드셋이 흥미일관성과 노력지속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중학생의 동료 간 관계성지지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동료 간 관계성지지가 학생의 흥미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정마인드셋이 유의한 상호작용을 함에 따라 정적인 조절효과가 있으며, 교사의 자율성지지보다 동료 간 관계성지지와 고정마인드셋의 상호작용이 더 높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육수업에서 교사로부터 제공된 자율성지지보다 학생들이 또래관계 속에서 지지를 받고 고정마인드셋의 성향이 강할수록 흥미일관성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동료 간 관계성지지와 학생의 고정마인드셋이 각각 흥미일관성과 노력지속성에, 성장마인드셋이 노력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set in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and student's peer-to-peer relationship support on GRIT. For this purpose, 560 middle school students in B area were surveyed and 549 copies were used except for the unfair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were performed.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adjustment among the factors. The concret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st, after examining moderating effect of mindset in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autonomy on the GRIT of middle school students, static moderating effect was found as fixed mindse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interest consistency. In addition, even interaction did not occu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growth minds had a positive effect on effort sustainability. It showed that fixed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est consistency and effort persistence. Second, afte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se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suppor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on GRIT, there was a static control effect as fixed mindset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 support and student interest consistency. In addition, even there was no interaction, the peer relationship support and the fixed mindset of students influenced positively on interest consistency and effort persistence, and the growth mindse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ffort persistence.

      • KCI등재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료지지, 가족지지, 팀장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아,박혜선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of flight attendants as a way to identify solutions for service quality issues attributed to reduced commitment. It was also intended to determine the relational routes in terms of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s a supplementary factor in reduced air service qualit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20 for about one month and a total of 426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labor of flight attendant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the social support including support from peers, families, and team leaders. Second, support from peers and team leaders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Third, the emotional labor of flight attendant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their commitment to organization. Fourth, support from peers and team leaders were found to have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본 연구는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으로 인한 조직몰입의 문제와 조직몰입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서비스 품질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항공서비스품질 저하에 따른 보완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순차적인 관계루트를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약 1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26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은 사회적 지지인 동료지지, 가족지지, 팀장지지에 모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승무원의 사회적지지 중, 동료지지와 팀장지지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은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중, 동료지지와 팀장지지가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박다혜,김현정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지역 6개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4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따돌림, 동료의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3일부터 2015년 12월 1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동료의 지지(r=.38, p<.001) 및 자아탄력성(r=.6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따돌림(r=-.24,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F=334.33, p<.001), 동료의 지지(F=60.86, p<.001) 및 따돌림(F=22.0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설명력은 4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고, 개발된 교육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364 students from six different nursing colleges were recruited into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bout bullying, peer support, ego-resilience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19.0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3rd, 2014 to December 12th, 2015. The results indicated that bullying(r=-.24, p<.001) had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ith nursing college adapta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support(r=.38, p<.001) and ego-resilience(r=.69,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ego-resilience (F=334.33, p<.001), peer support(F=60.86, p<.001) and bullying(F=22.03, p<.001), explaining 47% of the vari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educa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peer support and ego-resilience for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 KCI등재

        정신장애인 동료지지활동 프로그램이 동료지원가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하경희(Ha, Kyung H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동료지지활동 프로그램이 동료지원가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동료지지활동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 동료지원가의 회복과 정신과적 증상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지원가 33명을 대상으로 활동 전후, 그리고 6개월 사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활동 지속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동료지지활동 후 회복과 정신과적 증상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월 사후에는 그 변화가 지속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 지속집단과 중단 집단 모두 정신과적 증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나, 회복정도에 있어서는 유지집단에만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 동료지지활동의 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to verify the peer support program effect on the recovery of peer provider. The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recovery and psychiatric symptom of peer provider through peer support. The study selected 33 peer providers and measured 3 times-pre, post, and 6 months after the peer suppor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inued and discontinued group was also analyzed. From the analysis, the peer provi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very and symptom between the pre and post, but the effect didn't last after 6 months. Both continued and discontinu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ymptom, but only the continued group did in recovery. Based on the results, it is provided the suggestion for the dissemination of peer support.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와 사회통합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의 매개효과

        박다은,이연진,정다은,정숙희 한국장애인개발원 2023 장애인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와 사회통합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낮병원, 정신장애인 당사자 온라인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성인 정신장애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for SPSS 4.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는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정신장애인이 동료로부터 받는 지지의 정도가 높을수록 사회통합감이 증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은 동료지지와 사회통합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동료로부터 받는 지지가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을 할 수 있는 영향요인이 되고, 이는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통합되어 살아갈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는 힘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수준을 높이기 위해 동료지지와 자기결정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가족건강성, 개인변인, 동료교사 및 가족의 지지가 기혼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n influences of family strength, individual variables, coworkers' support, and family's support on married,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were 133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The measures were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family strength questionnaire,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 and the teacher efficacy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values of married teachers' family strength, coworkers' support, family'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as well as the sub-factors, are higher than the middle values. Second, according to personal factors, teacher efficacy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careers, educational background, duration of marriage, and whether taking care of housework completely. Third, teacher efficacy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duration of marriage, bu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eachers' careers educational background, whether taking care of housework wholly, family strength, coworkers' support, and family' support. Fourth, a teacher's career statistically has the highest meaningful influence on it. Coworkers' support is next highest. 본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의 가족건강성, 동료교사 및 가족의 지지,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33명의 기혼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가족건강성 질문지, 사회적 지지 질문지와 교사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가족건강성과 동료교사 및 가족의 지지, 교사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은 각 하위요인과 전체에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학력, 결혼기간, 가사전담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유의차가 있었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가사전담을 하지 않을 때, 가족건강성과 동료교사의 지지, 가족의 지지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은 높았다. 넷째,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교사 경력, 동료교사의 지지 순으로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즉 교사경력이 높을수록, 동료교사의 포괄적인 지원을 받게 될 때 기혼교사는 효능감을 높게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기혼교사에게 적절한 동료교사의 지지를 높여내어 자신의 직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대감인 효능감을 높여내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