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에 토대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 Story Maps 기반 온라인 독서기행을 중심으로

        고주환(Joo Hwan Go),이동민(Dong-mi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총 39명의 예비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 어플리케이션의 하나인 Story Maps로 가상 독서기행을 구성하는 독서교육 활동을 2020년 11월 11일 실시하였다. 문학 작품의 내러티브나 문학가의 삶을 재현하는 활동을 시행하였다. 활동 후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학습 경험의 해석에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론인 현상기술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2020년 12월-2021년 1월). 결과 분석 결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유형 A, B)은 Story Maps 기반 독서교육 활동을 통하여 텍스트와 디지털 공간 내러티브의 결합을 통한 심층적⋅맥락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독서 지도의 구체적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그리고 독서 텍스트의 공간적 재현과 재구성에 기초한 다각적이고 창의⋅융합적인 온라인 독서 활동의 가능성 또한 모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참여자들 (유형 B)은 Story Maps를 활용한 가상 독서기행 활동의 독서교육적 의의를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활동의 장점이 지리적 성격이 강한 독서교육에만 국한되리라는 견해를 보였다. 그리고 1명의 연구참여자(유형 C)는 Story Maps의 독서교육적 의의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이 예비 국어교사들의 독서교육에 대한 안목 증진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공간정보기술이 갖는 한계에 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시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layze the potential of the reading education using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for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proceed the research, the first author designed and conducted an online virtual reading-travelling program based on Story Maps on Novermber, 11, 2021, and a total 39 participating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flective journals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rote after paricipating the virtual reading-travelling program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interpretating learning experiences (December 2020-January 2021).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ype A and B)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conduct in-depth, contextual, and meaningful teaching of read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exts and digital spatial narratives as they engaged in Story Maps-based reading-travelling activities. Moreover, they became to consider directions and methods of conducting multifacted, creative, and comprehensive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Story Maps-based reading-travelling activities. However, a few particiapnts (Type B) pointed out that the potential of the Story Maps-based virtual reading-travelling were probably limited to highly geography- or place-oriented reading education. In addition, one participant (Type C) stated that Story Maps had little potential on reading educ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possibly contribute to improv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sigts on reading educa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necessity of following-up studies on the limites of the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on read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대안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의 독서교육 비교 분석

        이세나(Lee, Sena)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대안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의 주요 방법으로 독서교육이 이용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일반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과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와 문법」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내의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학교의 중점 과제로서 진행되는 독서교육을 중심으로 일반학교와 대안학교의 독서교육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독서와 문법」 교과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으로서의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에서는 일반고등학교와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중 학교 교육 목표나 중점 과제로 독서교육을 제시한 학교들의 경우, 인문학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주요 방법으로 독서교육을 제시하였고, 이를 위해 학생들의 일상적인 독서활동을 점검 확인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독서교육의 목표를 인문학적 사유 능력의 성장으로 잡는다면, 이것에 대해 전체 교사가 합의, 동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책을 읽고 그 결과를 기록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교사가 확인, 점검해주는 체계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이러한 독서교육과 정규 교육과정 상의 교과목 수업을 어떻게 통합, 연계하여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이러한 독서교육에 대한 내용을 일반학교에 어떻게 적용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alternative school would use reading education as a method of self-derected learning to pursue them. The reading education takes place in the general high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s were analyzed. For this analysis, colledt the reading curriculcum, Ministry of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policy, research reports, academic papers, alternative schools’ reading curriculum, education plan, and analyzed.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eral school and alternative school 「reading and grammar curriculum」 around subjects as reading education, reading programs of school library, Some of alternative school suggested reading training school to focus on task. That schools suggested reading education as the main method for teaching humanistic thinking. For this purpose, they equipped with a system to check the students’ daily reading activities. If the goal of reading education with humanistic thinking, the procedure for the entire teachers agree were necessary. And reading a book with students routinely record the results, and it requires a system that continuously checks the teacher. For the more how to integrate read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is required for the study it will be operating. Also the study of the possible application of these reading education in general school is needed.

      • KCI등재

        독서교육전문가의 자격 관리에 관하여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6

        2003년 한국독서학회에 의해 지정된 독서교육 분야의 민간 자격으로서 독서교육전문가는 독서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연구자 및 교육자들에게 그들의 전문성 수준에 부합하는 공인된 전문 자격을 부여하고자 만들어졌다. 지난 11년 동안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 약 1,000여 명에게 세 등급으로 나뉜 자격을 부여하면서 이 분야의 대표적 전문 민간자격으로 자리매김되어 왔다. 하지만 독서지도사를 비롯한 기존의 유사 민간자격들이 난립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들어 오히려 급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자격 자체의 신뢰성을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의 근본 원인이 공인된 민간자격의 부재에 있다고 진단하고, 실질적으로는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이 본래의 취지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이 문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전문가 자격 규정과 운영 상황을 살펴, 1) 자격 발급 요건의 엄정함에 비해 이를 실행할 방안이 미비했던것, 2) 자격의 권한과 각 자격별 직무에 대해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것, 그리고 3) 자격 발급 후 질 관리를 위한 재인증과 재교육에 관한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지 못한 것 등을 구체적인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이를 보완할 정책 방안으로 자격 양성을 자격 인증과 분리함으로써 자격 관리자로서 한국독서학회의 공공성과 대표성을 강화하고, 자격 급별 직무의 범위와 전문성 분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관련 기관 및 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이를 뒷받침함으로써 독서교육 분야 종사자들에게 해당 자격 취득의 구체적인 필요를 갖게 하며, 재교육 및 재심사 등의 자격 유지 요건을 강화함으로써 독서교육전문가의 전문성 및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 defined the term ``Reading specialist`` as a private qualification of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in 2003, in order to authorize professional qualification apt for the level of expertise of scholars and instructors specializing in reading education. The term has been established as legitimate throughout the past eleven years, endowing over a thousand people in three different levels of credentials. However, similar non-certified qualifications continue to flood, and moreover, recently show a sharp increase in number, ultimately undermining the credibility of the qualifi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diagnosed the fundamental problem to be in the lack of an authorized system, and the failure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to execute its original purpose. Based on observations of the Korean Reading Association`s regulations and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reading specialist qualification program, I discovered that 1) compared to the strictnes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certification, the management was insufficient; 2) the boundaries of the scope of authority given to the qualified and the roles of each specific qualification are obscure; 3) there exists no system nor regulations for retraining or re-certification after once the qualification has been given. Therefore I propose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to complement these problems: First,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and representability of the Korean Reading Asscociation as the qualification manager, the certifi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of training through establishing qualification programs for institutions and programs. Second, to provide the necessity of the certification to the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reading education, the scope and level of expertise of each qualified level should be clearly publicized and recognized through association with respectiv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Third, to maintain the professionalism and reliability of reading specialists the conditions of maintaining said qualification should be rendered stricter through re-training programs and re-examinations.

      • KCI등재

        국제독서협회(IRA)의 독서교육 기준에 관한 연구

        김성준,Kim, Sung-J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이 연구는 국제독서협회에서 제시한 독서교육자 전문성 기준, 언어교육 기준, 읽기 쓰기 평가기준을 살펴보고, 이 기준이 우리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의 독서교육에 비추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고찰하였다. 국제독서협회는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독서교육을 접근하고 있는데, 이 협회는 독서교육자를 7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전문성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독서를 포함한 언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문서이며 독서교육을 계획, 전개, 실천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다. 그리고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언어평가의 목적과 방법을 규정함으로써 학생의 독서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기준들이 우리 상황에서 지니는 의미는, 독서교육자 기준은 독서교육자의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이들에게 책무성을 강화시키며, 양성과정을 정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언어교육 기준은 일관된 독서교육을 실천하고 구체적 교육방법을 구상하는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 평가기준은 독서능력을 측정하고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독서교육을 실시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investigated IRA's 3 standards related to reading instruction and examined the value which can be meaningful to Korean situation. IRA divided reading educators into 7 types and proposed each detailed professional standard through the '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 The next standard called 'Standards for the English language art' described their direction and content for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reading instruction. The 'Standards for the assessment of reading and writing' aims at the basis to evaluate students' reading ability. The value found through these standards is as follow: IRA's reading professionals standard can be a useful way to define the type of reading educator in Korea. A reading instruction standard like IRA's language art standard can guide reading instruction of Korean libraries in a more systemic and consistent way. A valid evaluation standard to measure students' reading ability can show the possibilities to define the students who struggle with reading and to provide more suitable instruction for them.

      • KCI등재

        기획주제: 교과 교육과 독서 지도의 방향 : 교과독서의 본질과 과제

        박수자 ( Soo Jah Park ) 한국독서학회 2005 독서연구 Vol.0 No.14

        이 연구는 문자언어와 사고력의 영향 관계를 검토하면서 국어과 교육에의 시사점과 교육 방향에 관해 논의하면서 출발하여, 독서의 사회문화적 의의와 교육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어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수업과 이른바 독서교육이 목적과 방법 면에서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또 진정한 의미의 독서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연습용 독서 지도만이 아니라 실제로 출판된 책을 대상으로 하는 실질적인 독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바로 이런 측면에서 소위 말하는 학습 독서, 즉 다른 내용 교과에서 이루어지는 교과독서와 만나게 된다. 해당 분야의 학문적 지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용 교과의 현재 당면 과제는 교과서를 통한 해당 분야의 지식의 전수만이 아니라, 구성주의 학습관에 입각하여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재구성하는 사고 활동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과서에 수록된 한정된 분량의 지식은 수업에서 그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좀더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의 제공이 필수적인데, 바로 이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을 독서에서 찾고 있다. 따라서 국어과 교육의 독서 교육에서는 그러한 교육적 상황에 주목하고, 교과독서라는 용어로 국어과 교육의 독서 교육과 다른 내용교과의 독서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범교과적 독서 교육의 분야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 학습자의 사고력, 즉 내용적 문식성의 계발이라는 핵심 과제를 두고, 진정한 의미의 사회 참여 행위로서 지식의 소비와 생산 활동으로서 독서를 지도하고자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범교과적 독서가 효과적으로 지도될 수 있는 가장 효용성이 높은 분야의 발견이자, 교과 연계와 통합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범교과적 차원에서 다른 교과와 연계한 독서 프로그램의 개발이 매우 절실한 과제로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content area reading`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Language teaching has an effect on many content subjects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Especially since korean language teaching focused on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5th curriculum period, it`s wide range functions and relationships on other subjects, like social and science subject, were begin to reinforce. Then, it`s cross-curriculum characteristics was taken notice of other disciplines. And at that time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did not avoid to meet another dilemma. They had to prescribe it`s original domain, on the other hand, to use other contents area materials widely,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 contents disciplines. Now korean lessons are to guide & elaborate their students` thinking way, instead of teaching directly knowledge for their students` study. So it doesn`t matter what subjects are used in lessons. Because of constructivism`s knowledge viewpoint, content area teaching is ahead to develop their students` thinking process, not focusing on their own content knowledge. It is called `content literacy`. At that point, korean reading lessons and content area reading finally meet together, and have one goal, to develop their students` literacy. Therefore it need to start cooperative research on constructing reading program for content literacy, and ask more institutional supports.

      • KCI등재

        독서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전라북도교육청 독서교육 담당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성준,서진원,Kim, Sung-Jun,Suh, Jin-W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 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is survey is perform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on reading education for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o do this, this survey asked 239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ch school's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support projects from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current level of schools' reading education and priorities of policy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are contented with current support projects. Each school provides an average of 4 reading programs per year. Elementary schools'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level. And more employment of full time reading experts as teacher librarian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are revealed to be more important priorities on the policy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maintenance of current support projects,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development of specialized policies for elementary schools, enhancement of reading teachers'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as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교사의 독서교육 실천 경험 분석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3

        이 연구는 초등 독서교육 실천 현상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교육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교사 15명을 인터뷰하여 독서교육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이며, 어떠한 독서교육을 실천해 왔는지, 독서교육을 실천하는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한 독서교육 실천 경험을 분석 하였다. 초등교사는 학급 경영의 특색을 독서교육에서 찾으면서, 학교의 독서교육을 담당하면서, 독서교육 교사 공동체에 참여하면서 독서교육에 본격적인 관심을 가진다. 초등교사는 학교 독서교육에 대한 성찰, 독서교육 학습 기회, 아동 도서 읽기, 독서 지도 경험을 토대로 독서교육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초등교사는 독서교육 실천가로서 만족감, 자기 계발의지, 독서교육에 대한 신념과 독서교육관을 형성한다. 이 연구가 독서교육 연구자에게는 초등독서교육 실천에 대한 이해를 넓혀주고, 초등교사에게는 독서교육의 실천 현상을 반성하는 계기를 마련해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reading education practice in elementary schools. I interviewed 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I analyzed several aspects of reading education including when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ested in reading education, what kind of reading education was practiced, and who am I as a reading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interested in reading education in the following cases: think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management, being responsible for the reading education of the school, and participating in the reading education teacher commun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gain practical knowledge about reading education by reflecting on and studying school reading education practices, reading children`s books and, helping children through reading guidance. Through these process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ild up their sense of satisfaction and, develop self-belief as practitioners of reading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reading education practice for reading education researchers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reflect the practice of reading education.

      • KCI등재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전망

        한금윤 ( Keum Youn Ha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본 논문은 현재 대학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 교육의 특징 및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대학에서 독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대학에서 독서 활동은 사회적 자아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며, 지적인 성찰을 통하여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되기 위한 활동으로써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한국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보면, 독서를 기피하거나 흥미 위주의 독서에 치우친 경향이 강하다. 그리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낳고있다. 더욱이 21세기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폭발적으로 제공되는 사회로,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학생들에게는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안목과 새로운 정보를 만들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즉, 문제를 다각적이고도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이 대학생들에게 필요하다. 이러한 안목은 개별 전공의 사유 방식을 넘어서서 보편적이고 종합적인 사유 방식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많은 대학에서 교양 학부를 개설하여 기초 교양 교육의 일환으로 독서 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학제적 독서 교육은 기존의 국문과 중심의 독서 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공의 교수가 공동으로 교양 필수 과목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철학과 교수들의 진입으로‘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비판적 사고중심의 독서 교육은 문제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를 배양하는 데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지닌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독서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비판적 사고 중심의 독서 활동은 자유롭고 창의적인 독서 활동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비판적 사고가 복잡한 현실에 대한 명확하고 올바른 판단을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하더라도 독서에 대한 거부가 강한 대학생들의 독서 기피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다른 사람과 공감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기에도 한계가 있다. 이제 학제적 구성을 넘어서는 통합적 독서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은 특정 전공의 영역을 넘어서는 기초 교양 교육을 다시 정립하는 제3의 교육 영역의 개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중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 교육과도 의사소통하여 고등 독서 교육의 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and to suggest new goal of reading in liberal education. Recentl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regarded as a new, developing, a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 in lib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pe with the complicated and various proble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professors consist doctors of diverse department. This is effective to teach the freshman who has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creatively. But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as the goal of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which the philosophy doctors are emphasizing the point of. It is not easy for freshman to read difficult books for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To read for critical thinking makes student`s feel difficult. It is hard for them to read the classic books, and also they can`t enjoy reading books in their classes. Also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flexible thinking through learning of reading for critical thinking, which is more inclined toward logical than creative thinking.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reading books, because Korean university students don`t read even once a good books. Most importantly, it is necessary for freshman to be interested in and enjoy reading books which are regarded as academic classics. So the new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is beyond the developing of critical thinking. It should be the creative and liberal reading. That is not only logical but also various thinking. For that,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the divers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lso the liberal education professors have to communicate the prim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The reading education has to go forward developing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come the world citizen beyond the local interest. This is the liberal education suited to the new century.

      • KCI등재후보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송승훈(Song, Seung-hu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0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4 No.1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에 독서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앞으로 정부의독서교육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내용은 네 가지다. 초등학교에서는 첫째, 독서에 흥미 붙이기를 목표로 삼고 중등학교는 교과시간에 독서를 하는 일을 목표로 잡았다. 둘째, 교사의 독서교육 역량을 높이려고 연수를 개선하겠다고 한다. 셋째,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의 독서동아리를 지원해서 독서교육 주체를 양성하겠다고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겠다고 한다.글쓴이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독서교육 목표가 적절하다고 본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책읽기가 이루어지려면 교사별 평가권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연수체제를 개선하는 안은 그 방향이 옳지만 선언에 그치지 않기 위해 예산이 마련되고 추진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고지적한다. 독서교육 주체를 만들기 위한 독서동아리 지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이 좋다고 평가한다.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는 문제는 운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리라고 본다.글쓴이는 정부 정책의 네 가지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정책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세 가지 제언 을 한다. 첫째. 교사 개인별 평가권의 보장으로 의욕 있는 교사가 마음껏가르칠 수 있게 해서 교단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전담 장학사 제도를 마련해서 교육청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자문단 구성해서 현장지원을 받는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에 대해 전문성이 있는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정책을 마련해서 사회적 여론을 만들어가며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는 일이 필요하다. In 2009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plan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school libraries. The government's reading education plans consisted of the following 4 issues. First, to make elementary students more attracted to reading and to incorporate reading class into the middle / high school timetable. Second, it addresse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improve teachers' reading education performance. Third, it addressed the need to support book clubs amongst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nurture reading education. Forth, it planned to open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I think the plans for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e reasonable. However, I think that full authority should be given to each teacher so that the can evaluate all the students whom they teach according to their own principals. The government's plan to offer various in-service programs for teachers is reasonable but concrete schedules should be made first to fulfil these proposals. I positively agree with support for the book clubs without any objection. I see the result of opening the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would differ from school to school according to how it operates. I generally agree with the 4 dimensions of the government's plans. What is more, I would like to giv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or better achievements. Firstly, teachers have to be given the right to assess his/her students based on his/her own criteria. This would allow avid reading teachers devoted to his/her own plans of reading class without being confined by other teachers and school regulations. Secondly, we need to train school vice-commissioners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reading education and to widen the educational office's expertise in this area. It is also paramount that teachers have access to practical help from an advisory body. Thirdly, civil organizations should collaborate on sharing their ideas on reading education policy, making policy and contributing suggestions to the education ministry.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전제응(Jeon Je E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 활동을 강조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현재 초 등학교에서 실천되고 있는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 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지정한 독서 연구학교의 연구 보고서와, J도에 위치 한 30개 초등학교의 독서 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현재 독서 교육 활동의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독서의 외재적 동 기만을 강조함으로써 창의적 사고 ‘성향’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 둘째, 책 내용에 대 한 심층적인 의미 구성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학생의 창의적 이해 과정을 소홀히 다 루고 있다. 셋째, 독서 교육 활동에서 상향식 접근 방식만을 강조함으로써 분절적인 활동이 단순하게 반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독서 교육 활동에 서 내재적 읽기 동기 강화하기, 둘째, 독서 교육 활동과 읽기 교육 간의 연계 강화하 기, 셋째, 독서 교육 활동에서 하향식 접근 강화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blems of reading instruction activity for developing student s creativity, and to propose a few of solutions. I analyzed the reading program reports and plans which is to be recoded how to govern reading instruction for developing student s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The problems of reading programs to improve creativity is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external reading motivation is emphasized, we are indifferent to the inclination of creativity. Second, we are not concerned of the creative meaning construction when students read a book. Third, students repeat simple learning activities after reading a book. To solve theses problems, initially,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the internal reading motivation. Second, it is need that between reading activity and reading instruction activity are connected closely. Third, it is need to approach the top-down reading activity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