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준범(Jun Beom Jo),김정수(Jung Soo Kim),곽창재(Chang Jae Kwak) 응용생태공학회 2021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8 No.4
일반적으로 도심지에서의 유출은 도로 노면을 따라 유출되어 빗물받이를 통해 우수관거로 배수된다. 따라서 적절한 도로 배수능력의 평가는 도로와 빗물받이 뿐만 아니라 우수관거의 설계에서도 필수적이다. 하지만 도시 도로부의 지형학적 및 수리학적 조건을 반영한 흐름해석 방안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기존에 적용되던 흐름해석모형(등류/ 부등류) 및 도달시간 산정방법 (임계/고정)을 분석하여 최적의 도로의 흐름해석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표면 흐름해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등류와 부등류 흐름해석 모형 및 도달시간 산정방법을 매개변수로 적용한 수치적 분석을 수행하여 다양한 도로조건에서의 강우 유출특성을 모의하였다. 도로조건은 국내의 설계기준을 고려하여 2차선 도로의 폭 (6 m)과 경사 (도로 종경사 1 - 10%, 도로 노면경사 2% 및 측구 횡경사 2 - 10%)가 고려되었다. 또한, 도로 표면의 흐름은 노면경사를 따라 측구에서 차집되어 하류부의 빗물받이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였으며, 측구의 폭은 0.5 m로 선정하였다. 모의 결과 도로의 유출특성은 도로 경사 조건에 따라 민감하게 변화하였으며, 부등류 해석모형이 도로의 하류부로 강우가 차집되며 변화하는 측구부에서의 유출특성을 반영하여 등류 흐름해석 모형에 비해 최대 23.66%, 평균 11.80% 긴 도달시간과 최대 9.50%, 평균 4.73% 작은 도로 표면 총 유출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우수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도달시간을 강우의 지속시간으로 반영하는 임계지속시간을 적용한 부등류 흐름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다양한 흐름해석 기법을 통합하여 도로 노면에서의 유출특성을 정밀하게 모의하고 있으므로 도로의 배수 설계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general, stormwater flows to the road surface, especially in urban areas, and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age grate inlets on roads. The appropriate evaluation of the road drainage capacity is essential not only in the design of roads and inlets but also in the design of sewer systems. However, the method of road surface flow analysis that reflects he topographical and hydraulic conditions might not be fully developed. Therefore, the enhanced method of road surface flow analysis should be presented by investigating the existing analysis method such as the flow analysis module (uniform; varied) and the flow travel time (critical; fixed). In this study, the algorithm based on varied and uniform flow analysis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flow pattern of road surface. The numerical analysis applied the uniform and varied flow analysis module and travel time as parameter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runoff in various road conditions using the developed algorithm. The width of the road (two-lane (6 m)) and the slope of the road (longitudinal slope of road 1 - 10%, transverse slope of road 2%, and transverse slope of gutter 2 - 10%) was considered. In addition, the flow of the road surface is collected from the gutter along the road slope and drained through the gutter in the downstream part, and the width of the gutter was selected to be 0.5 m. The simulation results were revealed that the runoff characteristics were affected by the road slope conditions, and it was found that the varied flow analysis module adequately reflected the gutter flow which is changed along the downstream caused by collecting of road surface flow at the gutter. The varied flow analysis module simulated 11.80% longer flow travel time on average (max. 23.66%) and 4.73% larger total road surface discharge on average (max. 9.50%) than the uniform flow analysis module.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the amount of runoff from the road, it was appropriate to perform flow analysis by applying the critical duration and the varied flow analysis module. The developed algorithm was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in the design of road drainage because it was accurately simulated the runoff characteristics on the road surface.
중국 전통 사상과 디자인 - 도가(道家)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
이상옥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I illuminate the elements of the contemporary Daoism design according to the case study using the approach method of the correlation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It would be the point of the paper that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Daoism design would be as follows: nothing, nature and stroll. It would be considered that in the macro level be the historic and cultural nationality and in the micro level be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China people`s cultural tradition elements. The related theories parts have included twofold: generalized related design theories and specific Daoism related theories. The generalized related theories have included the correct definition of generalized design and its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design theories. And the specific related theories have explained ‘dao’ and nothing, nature and stroll according to the ancient, middle age and modern historical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design define the practices of ‘dao’ and the thoughts and methods pursue ‘nothing’. The contexts of Daoism desine have three periods: in ancient period, Daoism design aesthetics have set up the unification of patterned models of nothing and simplicity, in middle age period, Daoism design have infused designers self aesthetics-shen and outer visualities-xing and they were from Huainanzi. And in modern period, design have expressed junxingzhe, yinyangpinghengguan and wuxingshengke principles. Three Daoism elements have included designing void spaces from ‘nothing’, and ‘nature’ has represented simplicities, and ‘stroll’ has expressed spiritual freedom.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ree points that first, the modernity processing of contemporary Daoism design have had three main elements as nothing, nature and stroll, second,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meaning of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legacies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had added to the ideal-typed contemporary Daoism design, and third, Chinese contemporary Daoism design would have constant development possibilities because of the mixed background of East and West civilization and the advent of China and Asian period. 현대 도가(道家) 디자인의 주요 요소를 역사와 문화의 시각으로 분석했다. 무(無), 자연(自然) 및 소요(逍遙)의 세 가지 원소(元素)로 귀납되었다. 도가(道家) 고유의 역사 상황과 문화적 요인이 거시적으로 작용하고 중국의 현대 생활과 중국인의 문화 전통을 미시적 도가(道家) 디자인 형성 요인으로 간주했다. 관련 이론의 검토는 일반 이론에서 중국 전통 디자인 이론사상은 선진(先秦) 제자백가(諸子百家)로부터 유래했으며 형상은 전기(한, 漢-당, 唐)시대부터 중기(송, 宋-명, 明)시대를 거쳐 전성기(청, 淸)시대에서 완성된다. 구체 이론에서는 형상(조형)과 사상의 관계를 도가 디자인 사상의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각각 무(無), 자연(自然) 및 소요(逍遙)통해 ‘도(道)’의 체현인 디자인 개념을 제시한다. 현대 도가(道家) 디자인의 특성은 인간을 위한 ‘도(道)’의 실현을 가장 중요한 사상으로 규정하고 구체적인 사상과 방법은 ‘무(無)’를 추구하는 것이다. 도가 디자인을 존재하게 한 역사 맥락을 살펴 볼 필요에서 전기, 중기와 후기로 삼분하여 고찰을 시도했다. 고대에는 도가(道家) 디자인이 발생적 입장에서 ‘도(道)’와 ‘무(無)’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중기에는 디자이너 자신의 마음이 ‘신(神)’이고 외부 자연의 형상을 ‘형(形)’이라 하여 ‘신’의 주재 하에 놓인다는 ‘회남자’의 ‘군형자(君形者)’설이 제시되었으며 전성기에는 음양평형관(陰陽平衡觀)과 오행생극(五行生剋)원칙 등 형상화가 기교와 다양한 사상이 응용되었다. 세 가지 도가(道家) 디자인의 주요 요소는 ‘무(無)’에서 빈 공간을 먼저 디자인하고 그 다음 채움 부분을 디자인한다. ‘자연(自然)’의 요소는 ‘소(素)’, ‘박(朴),’ ‘졸(拙)’과 ‘담(淡)’으로 귀결될 수 있다. ‘소요(逍遙)’에서는 육체와 정신은 상반된다. 육체의 자유와 디자인의 형상화보다는 정신적 자유로움의 형상화가 더 높은 경지에 놓여 있다.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첫째, 전통적 요소를 계발하고 응용하는 도가(道家) 디자인의 현대성을 무(無), 자연(自然) 및 소요(逍遙)의 세 가지 요소로 패턴을 귀납하고. 둘째, 서양적 요소의 디자인 사상과 실제가 우세한 현재 도가(道家) 역사와 문화의 고유성을 도가(道家) 특유의 디자인 문화에 가미하여 ‘도가(道家)적 디자인 문화’를 형성하는 과도기에 놓여 있으며, 셋째, 도가(道家) 전통적 요소를 적절히 운용하는 도가(道家) 현대 건축 디자인이 향후 도가(道家) 및 아시아의 정체(整體)적 발전에 상응하여 세계 범위에서 가장 활발한 발전 잠재력을 예시한다.
이경란,노정훈,김종화,이명훈,정의진,육세진 한국도로학회 2014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9
대기 공기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포장도로나 비포장도로에서 차량의 주행에 의해 발 생하는 도로 재비산 먼지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로 재비산 먼지의 농도 와 특성을 조사 및 관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로 상에 분포되어 있는 미세먼지는 각종 차량의 주 행에 의해 재비산되어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재비산 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 로 측정하여 도로의 정비와 청소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로 재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로 재비산 먼지의 측정 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측정차량의 속도, 샘플링 유량, 그리고 측정을 위한 샘플링 입구의 위치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상황에 따른 측정차 량의 다양한 속도를 고려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가 효과적으로 흡인되도록 하는 샘플링 입구의 위치 선정 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CFD 해석을 위한 상용 코드인 FLUENT를 사용하였고, 도로 재비산 먼지의 측정에 실제 사용되고 있는 측정차량을 모사하여 측정차량 주위의 공기 유동을 해석하였다. 차량의 주행 속도를 고려하여 차량 전면 부로부터 일정한 속도의 기류가 불어오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moving boundary 조건의 설정을 통 해 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의 회전과 도로면의 차량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구현하였다. 회전하는 바퀴 주변의 압력계수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여 이를 기존 문헌의 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채택한 시뮬레이션 방법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FLUENT에 내장되어 있는 DPM(Discrete Phase Models) 코드를 사용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였다. 측정차량의 주행에 따른 바퀴와 도로면의 마찰에 의해서 도로상의 먼지 또는 타이어 마모 먼지가 비산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차량의 바 퀴와 도로면의 마찰부에서부터 입자가 어떠한 경로로 공기 중에서 이동하는 지 파악하였다. 도로 재비산 먼지의 이동 경로 해석 결과로부터 도로 재비산 먼지가 가장 많이 지나가는 위치를 파악하 고, 이를 토대로 하여 도로 재비산 먼지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 입구의 위치를 제안하였다. 추후에 실험을 진행하여 제안된 샘플링 위치가 적절한 지 여부에 대해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보완 할 예정이다.
Réflexion sur la localisation spatiale dans lappellation toponymique des départements français
Pierrick Micottis,Hyo-Sook Sun(선효숙)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7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프랑스 행정 구역의 道 명칭, 즉 행정 단위를 경계로 설정된 각 지역 영토 공간을 가리키는 지명을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다루는 것으로, 프랑스 (海外道(DOM)를 제외한) 96개 道 명칭가운데 각 道에 해당하는 공간적 위치와 범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지명학적 특징을 관찰 분석하는 것이다. 프랑스 도 명칭들은 일반적으로 강 혹은 산의 이름을 취하고 있어서 한정된 행정적 지역 영토 (territoire administratif)와 동시에, 확대된 넓은 지형적 지역 영토 (territoire géophysique)와도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확대된 지형적 지역 공간이란 강과 산의 이름이 여러 다른 도 명칭에 중복되어 나타나는 경우로,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적용되어 나타나는 도 명칭은 해당 도의 공간 지정에 대한 - 다른 도와의 관계라든지, 프랑스 전 국토 차원의 관계에서 - 일정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도 명칭이 고유명사로서 의미상 불투명하거나 지명 자체가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지 않는 경우라 해도 그것이 전달하고자 하는 (강이나 혹은 산이라는) 개념의 관점에서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도 명칭이 전달하고자 하는 개념에 따른 공간적 위치와 범위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지명만을 채택하여 하나의 자료체로서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 목록의 도 명칭들은 각 지역 고유의 공간적 위치와 범위 지정에 대한 방향성 (예로, 2개의 도가 있는 Corse에서 Haute-Corse는 Corse의 북부를 뜻함)을 나타내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적으로 연계되어 있어 그들이 속하는 도의 경계를 넘어선 방향성 (예로, Pyrénées가 포함된 도 명칭가운데 Hautes-Pyrénées는 해발고도가 높은 고지대, Pyrénées-Atlantiques는 바다를 접하며 해발고도가 낮은 서쪽이며, Pyrénées-Orientales은 동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임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논집 Vol.14 No.-
"도법자연(道法自然)"이란 명제는 철학사적인 관점에서 논의할 때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도(道)"와 만물의 관계에서, "무위(無爲)"가 "도"의 작용방식인데 반해 "자연(自然)"은 "도"의 "무위"라는 조건하에서 만물이 향수하는 존재 상태에 대한 서술이다. 다음으로 노자(老子)가 말하는 "도"는 인간이 본받아야 할 모텔이지 그대로 준수해야 할 객관법칙이 아니다. 동사 "법(法)"은 "도"에 대한 체득을 강조하는 반면 노자 이후의 문헌에서 자주 사용되는 동사 "인(因)"은 "도"에 대한 순종을 강조한다. "법"에서 "인"으로의 변화는 "도"와 "자연"의 관계 및 "도"의 성격을 변천을 반영하는 것이다. 끝으로 "도법자연"은 만물의 입장[域]에서 말한 "도상무위(道常無爲)"이다. 노자는 이를 통해 "도"와 만물의 관계가 서로 긍정하고 지지하는 관계임을 말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선이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5 No.-
조선 말 기독교가 전해진 이후, 대부분의 한국 신학자들은 한국적 신학 형성을 추구하기보다 서구신학을 수용하기에 급급했다. 그런데 1960년대 본격적으로 토착화 신학 논쟁이 시작되었고, 이후 몇몇 신학자들이 자신학화 형성에 노력하였다. 그러한 시도 가운데, 김흡영 이 기독교 신학의 새 길로써 ‘도(道)의 신학’으로 새 밀레니엄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김흡영의 도의 신학을 중심으로 선교신 학적 성찰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신학의 동향을 살피고, 도의 신학의 이해를 위하여 도의 신학의 태동, 도-그리스도론, 도 삼위일체 론 그리고 신-우주-인간적 패러다임의 생명생태신학을 다룬다. 또한, 도의 신학에 대한 선교신학적 의의와 평가로써 도의 성경적 의미의 재발견과 로고스 신학과 프락시스 신학을 넘어서는 통전적 신학의 시도, 세계기독교 시대와 생태계 위기에 대한 한국적 응답, 그리고 한국교회와 한국적 신학의 부조화 극복 과제를 논한다. 세계기독교 시대에 도의 신학이 한국적 신학 중의 하나로 정체성을 드러내며 21세기 의 세계적 신학 패러다임으로 조명받기를 바란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most Korean theologians have accepted Western theology rather than seeking to form Korean theology. However, since indigenization was discussed in earnest in the 1960s, several theologians have tried to pursue the formation of Korean theology. Notably, Heup Young Kim advocated for a paradigm shift for the new millennium to the ‘theology of Dao’ as a new path for Christian theology in 2000.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emergence of Theo-Dao, Dao Christology, Dao Trinity, and Life-ecology–theology. It i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contextualization given to Korean missiology. The Theology of Dao will be highlighted as one of the global theological paradigms of the 21stcentury by revealing the identity of Korean missiology.
신현승(Shin Hyun-seung)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주자학과 양명학, 동아시아 근세 유교사상사를 분할하는 양대 유파의 갈림길은 道統論에서 잘 드러난다. 이 논고에서는 바로 그러한 점을 연구의 시야에 넣으면서 각 유파의 道統論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본고에서는 주자학과 양명학 각 유파에서의 道統論에 관한 논의를 검토한 뒤, 주자학과 양명학을 절충하고자 했던 明末의 大儒 劉宗周의 道統論을 비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道統論은 동아시아 유교사의 계보학이며, 각각의 학파가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보해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여하튼 新儒學?주자학과 양명학 모두를 포함하여 ?이 탄생할 수 있었던 근거는 道統論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본문의 첫 번째에서는 儒敎史의 핵심을 ‘道統論의 思想史’로 인식하고 그 계보학적 道統論의 경위를 살펴보면서 이 논고에서 가장 역점을 둔 明末期 유자들의 道統論 관련 서적을 분석의 시야에 넣었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절충과 조화를 도모했다고 평가받는 明末期의 대표적 유자, 劉宗周의 道統論 구상의 구체적 양상과 그의 제자 黃宗羲의 道統論의 의미를 비교학적 차원으로 분석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 가운데 劉宗周의 대표적 저작인 『聖?宗要』와 『皇明道統錄』에서 전개하는 道統論의 양상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When separating Confucianism, Yang-ming Studies, and the history of modern Confucianism thought, the fork of the two factions is well revealed in the Daotong theory. This assertion brings forth such points to the research and reviews the conditions of each school’s Daotong theory. Also, this document will first review the discussions about the Daotong theory in each school of Confucianism and Yang-ming Studies and examine the Daotong theory of scholar Liu Zong-zhou at the end of Myung in a comparative aspect. Such Daotong theory is the genealogy of history of Confucianism in East Asia. Also, we must not forget that it served a very importantrole for each school to secure its legitimacy. In any case, the basis for the birth of New Confucianism (including both the Confucianism and the Yang-ming Studies) is the Daotong theory. Thus, this paper has first acknowledged the core of history of the Confucianism as the ‘history of though of Daotong theory’ and reviewed the details of genealogical Daotong theory to bring forth the books related to the Daotong theory of Confucians at the end of Myung to the view of analysis.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specific conditions of the conception of Daotong theory of Liu Zong-zhou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ucians at the end of Myung and the meaning of Daotong theory of his disciple called Huang Zong-xi on the comparative dimension. Amid, the paper discussed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conditions of Daotong theory unfolded in the Shengxue-zongyao and Huangming-Daotonglu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books of Liu Zong-zhou.
김채만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의무이다. 세계보건기구는 인간의 사망원인을 전염병, 비전염성 질환, 사고부상으로 구분한다. 사고부상은 의도적 손상과 비의도적 손상으로 구분한다. 의도적 손상의 대표적 원인은 자살이고, 비의도적 손상의 대표적 원인은 도로 교통사고이다. 세계에서 사고부상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OECD 국가 중에서 최하위권이다. 2013년 기준으로 거주인구 10만 명당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0.1명으로 34개국 중 32위이고, OECD 평균인 5.5명의 1.8배이다. 자동차 1만 대당 도로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1명으로 34개국 중 32위이고, OECD 평균인 1.1명의 2.0배이다. 우리정부는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2012년 우리나라 도로 교통사고 요인분석 결과, 도로 교통사고 사망자는 차도 폭이 좁은 도로에서 보행자와 차량의 충돌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망자 교통사고는 차도 폭 13m 미만(양방 4차로 이하)의 도로에서 70%가 발생하고, 보행자사고 비율은 OECD국가에서 최고이다. 영국 TRL(Transport Research Laboratory)의 도로 교통사고에 대한 연구결과, 도로 교통사고는 차량속도, 교통량, 보행자수, 부 도로와 교차로 수, 대형차량 비율과 비례한다. 도로 교통사고는 평균속도, 속도의 분산, 제한속도초과 차량의 비율, 제한속도 초과 차량의 평균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도로는 도로의 차량속도를 낮추고, 부 도로와의 교차지점을 최소화 하여야 한다. 속도관리는 최고속도 차량의 속도를 낮추는 것이 평균속도를 낮추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우리나라는 도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에서 사용한 교통사고 줄이기 정책은 단속(속도, 음주 등), 사고다발지역 및 지구 관리(어린이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 30존, 보행자 전용도로, 대중교통 전용도로 등), 교통안전 시설 설치( 중앙분리대, 가드펜스, 험프 등)이다. 이 같은 정책의 시행으로 교통사고 건수 및 사망자 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정부 목표치인 OECD 평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도로교통사망자를 절반으로 감축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효과가 입증되어 일반화된 교통시스템 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도입되지 않는 2가지 교통시스템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STOP 표지 제어” 교차로의 도입이다. STOP 표지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도입한 정책으로 통행속도를 감소시켜 사고예방 효과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둘째, 양방향 좌회전 차로(TWLTL : Two-Way Left-Turn Lanes)의 도입하는 것이다. 양방향 좌회전 차로는 도로 공간의 효율적 활용과 주도로의 불필요한 정지를 방지하여, 교통사고를 급격히 감소시키는 교통정책이다. 양방향 좌회전 차로는 국도대체 우회도로가 건설된 기존 국도, 차량위주의 도로를 보행자와 자전거 위주의 도로로 전환하고자 하는 도심지 도로 다이어트에 적용하면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양방향 좌회전 차로는 STOP 표지와 함께 도입하여 불필요한 중앙선 단절 및 STOP을 방지한다. 경기도는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방정부이다. 정부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다. 경기도가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전하게 국민을 섬기는 지방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교통안전 분야에서 시작해야 한다. 경기도 민선 6기는 광역버스 이용자의 안전을 지키기는 것에서 시작하였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한 새로운 선진 교통시스템도입으로 시작하여야 한다. 경기도가 선진 교통시스템으로 안전한 대한민국을 선도하여야 한다.
李濬熙(Lee Jun-Hee) 한국법학원 2004 저스티스 Vol.- No.80
도로의 관리상의 하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하자가 발생한 이후 관리청이 시간적.공간적으로 도로의 상대적인 안전성을 보장할 관리행위가 미칠 수 있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할것이지만, 이에 반하여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가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는 그와 같은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는 관리청의 사후적인 관리행위의 문제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로의 설치와 관련하여 도로법 제39조, 제52조의 위임을 받아 도로의 구조ㆍ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도로표지규칙이 건설교통부령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위 규칙들은 법규명령으로서 위 규칙들에서 기속행위로 정해져 있는 기준을 준수하지 못하였다면 그러한 도로의 설치는 위법한 것이 될것이다. 종래 대법원판결이 도로의 관리상의 하자에 대하여는 축적된 많은 판단을 하고 있지만,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에 대하여 다룬 경우는 거의 없었는데, 대상판결은 비록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를 관리상의 하자와 명확히 구별하여 다루고 있지는 않지만,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를 어떠한 기준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시사하고 있는바, 대상판결을 살펴 봄으로써 도로의 설치상의 하자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네트워크 중심성 지표를 활용한 서울시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 분석
김경태,송재민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3
도로 기반시설은 시민들의 생활과 안전의 중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최근 기후환경의 변화 등으로 인해 도로 기반시설의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1999년과 2008년 사이에 도로기반 시설과 관련된 물적 피해가 전체 피해액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및 국가 차원에서 도로 기반시설의 기능 유지 및 회복탄력성 증진이 주요한 정책 사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도로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 즉 교차점과 도로로 이루어져 네트워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이론의 주요 세 가지 중심성 지표, 즉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를 활용하여 서울시 상습침수지역 도로의 네트워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도로 네트워크의 풍수해 취약성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외 도시기반시설에 관련된 네트워크 이론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도시의 안전과 기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로 네트워크의 중심성 분석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며 마지막으로 서울시 생활권 별 및 침수 지역의 도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중심성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서 상습침수지역의 도로 중심성 네트워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습침수지역에 위치한 도로 네트워크의 경우 근접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의 경우에도 0에 가까운 노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전체 도로에서 최단거리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꼭 통과해야하는 중요한 도로인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상습침수지역중 매개 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나는 도로 교차점들의 경우 해당 지역이 침수되었을 때 도로 네트워크 기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해당 노드 및 도로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대책이 필요하다. Road network is the backbone of the safety and livability of the human beings. However, the frequent extreme weather events are currently threatening its stability and resiliency. Between 1999 and 2008, the property loss in infrastructure related to roads account for 90% of the total loss in Korea. Thus,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road network and increasing its resilience with the occurrence of any extreme weather events has become an important agenda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 The road network consists of nodes and links, which are cross sections and streets respectively. In this research, we assess the vulnerability of the road network in Seoul towards flooding, using centrality indices in network theory. The centralities of the nodes in flood prone areas have been compared with those of general nodes in Seou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odes in the flood prone areas tend to have higher centrality indices, implying their important and influential roles in the function of the overall road network. The results call for the immediate attention on the vulnerable roads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road network in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