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중심 도시농업의 공동체경제와 지역 돌봄 : 서울시 금천구 사례를 중심으로

        강지연(Kang, Ji Yeo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2

        이 연구는 서울 금천구에 있는 여성들의 도시농업 공동체를 사례로 하여 여성 중심 도시농업 공동체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공동체경제와 공동체적 돌봄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여성들의 도시농업 공동체가 텃밭강사라는 일자리 사업으로부터 출발하여 지역에서 도시농업 단체를 결성하였고 도시농업과 먹거리라는 여성들의 일을 기반으로 공동체 활동과 지역 돌봄을 실천한다는 점에서, 돌봄 윤리에 기반한 공동체경제와 공동체적 돌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천지역 여성들은 텃밭강사라는 여성 일자리로 시작하여 도시농업 단체를 설립하고 지역에서 도시농업 운동을 전개하여 공동체텃밭을 운영하고 텃밭조성 사업을 벌여 나가며 학교텃밭을 정착시켜 나간다. 이러한 도시텃밭들은 지역 공동체를 조직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금천도시농업네트워크’에서 분리해 텃밭조성 사업을 해온 ‘건강한농부사회적협동조합’은 도시농업에서 먹거리 사업으로 확장해 나간다. 여성들은 텃밭에서의 생산,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직거래 농부시장, 분배의 공유부엌, 반찬카페, 어린이 식당,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와 같은 자원 순환까지, 지역먹거리 순환체계를 만들어가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셋째, 도시농업 공동체는 여성들의 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지역의 필요에 기반한 대안적이며 돌봄 윤리에 기반한 공동체경제이고 지역순환 경제이다. 넷째, 여성 도시농업 활동가들은 금천구 주말농장을 위탁 운영하면서 지역의 다양한 주민들을 만나게 되고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립과 단절, 돌봄의 위기를 깨닫고 도시농업 공동체가 지역 돌봄의 책임을 공유하고 공동체에 의한 돌봄을 실천한다. 이 연구를 통해 기후위기 시대 도시농업의 기능과 역할, 도시농업과 먹거리 공동체경제, 이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적 돌봄, 그리고 이것들을 실천해 가는 여성의 역할을 살펴본다. The study is based on the case of women’s urban agricultural community in Keumchon-gu, Seoul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men-centered urban community and to analyze its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community economy and communal care. The Keumchon women’s urban agricultural community started as a job creation project to train small plot farming instructors but in time grew to become an urban agriculture organization which pursue community activities and communal care through women-led activities such as urban farming and food. The study examines their progress and activ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economy based on care ethics and care. The content of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First, the women in Keumchon started their work as a training center for eco-farming instructors, but they expanded their activities to creating and running community garden, securing spaces where there were not enough plots, and utilizing school gardens. In the process, the activists met and worked with local women, and the increase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m led to a creation of network which in turn strengthened the community as whole. Second, Healthy Farmers Social Co-Op(HFSC) became separated from Keumchon Urban Agriculture Network and extended its activities from just urban farming to food project. Women farmers of Keumchon aim to establish a circular local food system that runs a sustainable cycle from producing food at local farm, to running farmer’s market for distribution and common kitchen for consumption, side dish cafe or children’s cafeteria, and finally to decomposing waste to make natural fertilizer. Third, the women’s urban agriculture community is based on the work of women, the purpose of their work is not to gain profits but to meet the needs of their community. Therefore their work and economy is alternative and communal, or rather a regional circulation economy with a focus on ethics of caring for each other and creating sustainable living together. Fourth, as the women activists shifted their focus from training eco-farming instructors to farming some rented weekend farms in Keumchon-gu, they got to meet various members of the community. What became clear was how these residents were in need of help in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but were not getting much assistance and thus feeling isolated. The women activists therefore began to be involved in community ca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lluminate the functions and roles of urban agriculture, the urban agriculture and food communal economy, communal care based on them, as well as the crucial role women play in pursuing such alternative economy in this era of climate crisis.

      • KCI등재

        도농복합지역내 도시농업의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포항시 중심으로

        김은영,이태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agriculture promotion in Pohang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on the urban agriculture promotion of urban agriculture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research were based on the central government's urban agriculture plan, the local government's plan, and the urban agriculture status of major local government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SWOT analysis to derive a successful urban agriculture promotion pla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urban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create healing spaces in the areas used, to utilize various idle spaces in the areas, and to link businesses in urban regeneration zon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sixth linked urban agriculture is required,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data to foster human resources and reflect citizens' opinions. The restoration of cultural communities in the region and the promotion of practical urban agriculture, which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urban agriculture as a bridge between rural areas and citi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griculture, need to be applied to urban agriculture so that it can solve problems in a sustainable and independent manner through the Living Lab project. Finally, it is necessary to expand urban agriculture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various problems, such as co-prosperity, climate change, and welfare problems due to aging, in urban and rural area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luralistic function of urban agriculture.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내 도시농업의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로 포항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내 도시농업 추진의 현황 및 특성을 통한 추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의 대상과 범위는 중앙정부의 도시농업계획안, 지자체 계획안, 주요 지자체의 도시농업 현황을 대상으로 하여 SWOT 분석을 통한 결과를 확인하여 성공적인 도시농업 추진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도시농업을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힐링 공간 조성과 이를 위한 지역 내 유휴공간의 다양한 활용 및 도시재생 구역 내 사업연계가 필요하다. 그리고 도시농업의 인력양성 및 시민의견 반영을 위한 자료구축과 도농복합지역의 특성을 감안한 6차 연계형 도시농업의 전개가 요구된다. 이러한 도시농업의 특성을 반영 지역내 문화공동체의 복원과 농촌과 도시를 이어주는 가교로서의 도시농업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실천적 도시농업의 추진은 리빙랩(Living-Lab) 프로젝트를 통해 지속가능하고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시농업에 적용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주목하여 도시와 농촌의 상생 및 기후변화 그리고 고령화에 따른 복지문제 등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으로써 도시농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이종일,권진욱,Lee, Jong-Il,Kwon, Jin-Wook 한국조경학회 2017 韓國造景學會誌 Vol.45 No.4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과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고산골 마을을 대상으로 계획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는데, 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 공원 조성 시 고려하여야 할 개발전략을 제안하는 것과 실제 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및 도입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이에 해당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공원의 조성은 도시공원의 수요적 진화로부터 유도된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이의 실현을 위한 농업 행위가 주제로 결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성전략으로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도시농업의 장마련', '농업 경관 중심의 녹지체계 구축', 그리고 '지역소통을 위한 여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도시농업공원이 갖추어야 할 주요 기능은 '생산적 측면'의 농산물 생산과 거래, 농지임대, '환경적 측면'의 토양보존, 자원순환, 녹지제공 등, '사회문화적 측면'의 여가 및 체험, 공동체 활성화, 교육, 사회복지 등이 해당되며, 아울러 도시공원이 요구하는 위락적 기능, 생태적 기능, 보호적 기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주요 시설로는 공원관리시설을 제외한 도시농업시설, 조경시설, 휴양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 편익시설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도시농업시설의 중심시설인 텃밭의 경우, 다양한 이용목적과 행태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과 규모의 도입이 요구되므로, 본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대상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한계를 지니나, 공원형 도시농업 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stly, suggesting development strategies to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as a theme park, and secondly, presenting guidelines for spatial programs and facilities to be introduced for actu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ills a role as a local community space prompted by the demand-oriented evolution of urban parks, and agricultural behaviors to be incorporated in the theme. In this context,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space focusing on sustainability', 'constructing green space systems focusing on agricultural landscape', and 'structuring leisure spaces for communications in the community' are presented as development strategies. Secondly, key functions that an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have include production and trade of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production side, soil preservation, resource cycling and green space provision on the environmental side, leisure and experience, community vitalization, education, and social security on the social and cultural side, and entertainment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protective functions as urban park functionality. Thirdly, key facilities needed when build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include urban agricultural facilities other than park management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recreational facilities, sports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family gardens as the key facility of the urban agricultural park should be scal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urposes and behaviors of their us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the subject site was limited to a specific area bu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a planning model for the spatial structuring of park-type urban agriculture.

      • KCI등재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장동헌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도시농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하였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의 기본방향이 정립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시농지에 대한 계획적인 관리 및 이용으로 도시에서 농업을 해치는 개발행위를 막을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농업의 확보 및 지속을 위한 심의 강화, 생태적 보전에 대한 활동지원 등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농업과 연관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넷째,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교류시스템의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시민, 농업인, 시민단체, 관련단체 및 행정 등의 네트워크 속에서 계획의 공유, 정비확충, 육성·관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끝으로 도시농업의 유지를 위한 접근 방식이 개별적이 아닌 종합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mutual agreement for policy on urban agriculture development. To that end, a research was carried out on relevant recognition targeting experts,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First, fundamental objectives of urban agri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systematic management and use of urban farmland is required, calling for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prevent reckless development, In this regard, deliberative process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ctivities for ecological conservation be introduced so as to continue to secure and maintain farmland. Third, various programs related with urban farming should be promoted. Fourth, establishment of networks is essential to information exchange. Such networks allow citizens, farmers, civic groups, relevant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share plans, carry out maintenance and management, and promote development. Finally, a comprehensive approach should be taken to urban agriculture rather than separate measures.

      • KCI등재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평가

        박원제,구본학,박미옥,권효진,Park, Won-Zei,Koo, Bon-Hak,Park, Mi-Ok,Kwon, Hyo-Ji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4

        본 연구는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비교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도시농업 정책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장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도시농업의 최근 경향과 관련법령 및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도심 내 주거공간을 세밀히 분석하여 옥상녹화, 도시텃밭, 공원녹지 등 이용 가능한 경작지를 확보해야 한다. 둘째, 도시농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도시농업 관계법을 제정하고, 제도적 기술적 차원에서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셋째, 도시민과 공무원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경작활동 시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건의하고, 농업기술 등을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도시농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에게 재배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참여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텃밭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다섯째, 조경관련협회를 통해 전문적인 정규교육과 실무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도시민의 흥미를 일으킬만한 프로모션 활동이 수반되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끝으로 도시농업 공원 및 도시농업시설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향후 도심 내 도시농업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정책의 모색과 실천이 추진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s within the urban agriculture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y base on the comparison of the consciousness of the urban agriculture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and to inquire into the further revitalization scheme in the e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through studying latest trend and the legisl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rban agriculture and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Because of this research, the revitalization schemes of urban agriculture are as follows: First, it's necessary to secure the usable arable land, such as the green roof, community garden, as well as urban agriculture park, etc.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urban agriculture relations act suited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and to back up the legislation at an institutional, technological level in terms of a nation in order to secure the durability of urban agriculture. Third, it is advisable to make a proposal about the problems in time of activities for cultivation by forming a network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and to prepare the plan for the active exchange of farming technologies. Fourth, it'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gardens by supplying the education through cultivation method & its management method, and a variety of urban-agriculture-participation programs. Fifth,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specialized and practical education through an institute for landscape architecture. Sixth,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urban agriculture from urban farmers accompanied by the activities for promotion that are worth arousing urban farmers' interest. Lastl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of urban agricultural parks and facilities as well as to promote a search for multilateral policies and their practice so that the further urban agriculture can be stably continued within city boundaries.

      •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비교 분석

        이사무엘(Samuel Lee),노경란(Kyungran No),유금명(Jinming Liu),이미자(Miza Lee),이상훈(Sanghoon Lee),전영희(Younghee Jeon),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 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도시농업에 대한 참여 동기와 태도, 장애요인으로 분석한 일자리 창출: 대구 청년농부를 중심으로

        오익근,서정아,장승옥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1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perspectives on job creation for the young through urban farm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which consisted of young urban farmers in order to obtain insights about the issue. The results revealed that even though national support policies for young farmers were lacked and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participating in urban farming, farming itself was not only perceived physically demanding and unrewarding work, but also regarded as a promising industry with creating jobs by young farmers. In addition, they considered that agricultural support systems an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set up to foster young farmers. However, young farmers intended to introduce new technologies such as drone, big data, LED system and smart farming system. Farming using new technology needs less labor than conventional farming. There was a contradiction between farming with new technologies and traditional farming in creating jobs. 본 연구는 도시농업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에 대한 탐색적 고찰로서, 연구의 목적은 청년들의 도시농업 참여동기, 참여태도, 장애요인 등을 파악하여 도시농업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도시농업 트렌드, 도시농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사례 등에 관련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도시농업을 생업으로 하고 있는 청년농부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에 적 참여하는 청년들의 도시농업에 도전하는 동기이면서 목적은 경제적인 수입이었으며 미래 산업으로서 농업의 비전 또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청년들이 도시농업에 있어서 장애요인은 농지 확보의 어려움, 국가의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 부족과 지원 대책의 부족 등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도시농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도시농업의 지원 제도과 정책의 변화의 필요성과 농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청년들의 교육과 인큐베이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추구하고자 하는 도시농업은 전통적인 방법이 아니라 스마트팜 등 신기술을 이용한 혁신적인 방법이었다. 신기술을 이용하는 농법은 기술과 자본이 더 투입되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농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산 인력을 덜 요구하기에 일자리 창출과는 모순을 이루고 있었다.

      • KCI등재

        도시농업의 이론, 패러다임 및 유형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주형(Han, Ju-Hyung),장동민(Chang, Dong-M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6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이론 구축과 패러다임?유형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의 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은 도시농업 정의의 트렌드와 유사 개념을 분석하고, 도시농업 이론 구축과 세부요소 그리고, 패러다임 유형과 관련요소를 통해 도시농업의 다원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도시농업의 정의는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트렌드는 생태환경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융합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둘째, 유사개념에서는 4개의 대표적인 사례가 있었으며, 대부분 도시농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거나 연계되는 개념이었다. 셋째, 정의 트렌드와 유사개념 사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 이론을 생태환경주의, 인간사회주의, 첨단기술주의, 자본경제주의 등 4개의 대표 키워드로 정의된다. 넷째, 도시농업 패러다임은 1차 산업에서 5차 산업까지의 피드백 연계방식으로 개발되어 도시농업은 신(新)6차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다섯째, 도시농업의 유형분석을 통해 16개의 도시농업의 개발유형이 도출되었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농업의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sustainable UAT(Urban Agriculture Theory) for organized development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and typology. As a study process, the definition trends and similar concepts of urban agriculture are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for future to figure out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by using paradigm and typology analyses. The result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urban agriculture is divided to the 5 types and the trend has been changed with variety fusion acts to maintain eco-environmental community. Second, 4 similar cases are included and connected by urban agriculture. Third, the UAT with four major concepts is defined Eco-Environmentalism, Anthropo-Socialism, Hi-Technoism and Fund-Economism through definition trend and similar concept analyses. Forth, urban agriculture paradigm evolves through feed-back connecting from primary industries to 5th industries to new 6th industries. Fifth, 16 development types are extracted through urban agriculture typology and is suggested bas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agriculture is suggested b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adigm Development Flow and Typology Development Flow.

      • KCI등재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광역지방자치단체 도시농업 조례 현황 및 개선 방향

        최지원,오충현 한국환경생태학회 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 조례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도시농업 조례 제정 현황과 광역지방자치단체 도시농업 조례 내용 중 다원적 기능 지원에 관한 부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례 지원이 상대적으로 미비한 기능을 대상으로 조례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2023년 3월 기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12개, 기초지방자치단체 226개 중 116개에서 도시농업 조례를 제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간 도시농업 조례 신규 제정 개수는 2011년 이후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도시농업 조례 내용 분석 결과, 현행 조례는 주로 도시농업의 기반 조성과 확대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농업 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지원 근거 분석 결과,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중 녹지 확보 및 활용, 식량 생산 기능의 지원 근거가 가장 많이 마련되어 있다. 반면 자원 재활용, 치유 및 보건, 사회복지, 경제 불균형 완화, 일자리 창출 기능에 대한 지원 근거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도시농업 조례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델파이 조사를 진행한 결과, 18개 개선방안 중 17개 방안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우선 도시농업 조례를 아직 제정하지 않은 지방자치단체의 조속한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자원 재활용, 치유 및 보건, 사회복지, 경제 불균형 완화, 일자리 창출 기능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조례를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도시농업 기술 개발, 다양한 도시농업 공간에 대한 법적 검토, 도시농업 관련 산업 육성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꾸준한 관심과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농 업 육성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 of metropolitan governments on supporting multi-dimensional value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urban agriculture regulations. Moreover,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ways to identify improvement opportunities for functions that showed relatively insufficient support for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12 out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116 of 226 municipalities have enacted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However, the enactment of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has generally declined since 2011.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showed that they focused on matters relating to the creation and expansion of the foundation of urban agriculture. Among the multi-dimensional values of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the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and utilizing food production functions was most widely available. On the other hand, the foundation for support of resource recycling, healing and health, social welfare, economic imbalance mitigation, and job creation functions has been shown to be relatively insufficient. A Delphi survey conducted to determine potential measures to improve urban agricultural regulations to support these functions found that 17 of the 18 ordinance improvement measures were valid. Therefore, to revitalize the multi-dimensional values of urban agriculture, it is first necessary to enact new ordinances. Also, to revitalize the multi-dimensional values of urban agriculture evenl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ordinances to include resource recycling, healing and health, social welfare, mitigation of economic imbalances, and job creation functions. In this process, the development of urban agriculture technology, legal review of various urban farming spaces, and fostering of industries related to urban agriculture are necessary. Above all, steady interest in the multi-dimensional values of urban agriculture and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s to foster urban agriculture must be supported.

      • KCI등재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이미지를 활용한 플로랄 디자인 제안에 관한 작품 연구

        이사무엘,노경란,유금명,전영희,서지현,김유선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23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48 No.-

        The net function of the flower not only gives a person a sens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through direct cultiva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of flowers, and in some developed countries, flower consumption has already become a very natural phenomenon in daily life. While there is a consumption culture for decoration that suits each person's taste, in Korea, flower consumption per person is less than 120,000 won, which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2018 statistic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reality is that many view flower products only as luxury goods or consumer goods or gifts that are used without recognizing them as cultural product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e and quickly wither awa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Illegal Solicitation and Money and Collection" and COVID-19, the decrease in demand for flowers used in graduation ceremonies and various events, such as collection bans, have dealt a heavy blow to the flower industry and plunged into a long-term recession. Social Network Service (SNS) can be described as a connected network and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exchange opinions on common interests with others. For companies, not only securing customers but also creating economic value as a new revenue model such as advertising and social ripple effects are drawing keen attention, and are recognized as a new marketing channel. In line with this trend, companies are strategically participating in SNS to promote and market their products and brands. When new products are released through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which can communicate with customers in real time, companies are establishing networks through a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promoting new product information, brand news, and ev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SNS is known to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qualitative limitations of information on empirical attributes that have been known after using goods and services unlike in the past. Therefore, flower shops also use SNS as a marketing tool to survive only when changes are mad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 of the times. In this study, we will provide flower-related companies with effective strategies and basic data to promote sales and operating profit of flower shops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inten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loral design work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were proposed. Color analysis data associated with urban agriculture and smart farms through case suggestions using thi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used in the operation of various projects and education in each field. 전세계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에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를 조사분석하여 각각의 연상되는 색채이미지 팔레트를 구축하고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이미지를 비교분석하여 각 분야에서 환경구성과 마케팅 전략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색채이미지 데이터 구성을 위해 20~30대 디자인전공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단어와 색채를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도시농업에 연상되는 단어는 스마트팜 23%, 텃밭 19%, 환경 1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는 자동화 38%, 식물공장 15%, 친환경 1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각각 연상되는 단어를 포탈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한 이미지 색채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도시농업에서 연상되는 단어(스마트팜, 환경, 텃밭)에서 Green Yellow, Green, Yellow Red순으로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톤(tone)은 white톤이 가장 많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스마트팜에 연상되는 단어(자동화, 친환경, 식물공장)에서 Green, Blue, White순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톤(tone)은 deep톤과 white톤이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환경, 이미지, 연상색채를 분석한 결과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의 색채 이미지는 같은 계열의 색상은 맞지만, 도시농업은 좀 더 연하고, 스마트팜은 도시농업보다 조금 짙은 색이 연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시농업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하려고 할때는 Green Yellow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때 이미지를 두각시킬 수 있으며 톤(tone)은 vivid톤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스마트팜과 관련된 교육 및 사업을 진행 할 때는 Green계열의 색채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설득력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톤(tone)은 deep톤을 선호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플로랄 디자인 작품을 제안하였으며, 도시농업과 스마트팜에서 연상되는 색채분석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사례 제안을 통해 각 분야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사업과 교육의 운영 시 사용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