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 친환경교통개선지구 활성화 계획

        지우석,최서윤 경기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우리나라는 유례없이 급격한 산업화를 경험하면서 도시화 역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볼 때 많은 도시문제들이 짧은 시간안에 발생하고 또 그 해결을 위한 노력들도 숨가쁘게 진행되어 왔다. 과거 도시와 교통의 주제어가 효율, 규모, 속도 등 경제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최근 도시와 교통의 화두는 사람이 살기 편안하고 안전한 공간으로의 전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통부문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자동차의 속도와 자동차의 통행량을 줄이며 그대신 보행, 자전거 등 녹색교통수단 이용이 편리하도록 물리적 시설을 조성하며 정책적 인센티브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래서 결국 도시에서 자동차의 통행이 편리하기 보다는 사람들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것이 궁극적으로 도시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가지게 되는 길이다. 이러한 도시교통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하여 경기도는 2015년 「경기도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지정 · 운영 조례」를 제정하였다. 조례의 목적은 도심 또는 부도심을 대상으로 사람중심의 녹색교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구를 지정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친환경교통개선지구로 지정하게 되면 보행자 전용지구, 주차시간 상한제, 도심자전거도로, 대중교통전용지구, 보행우선구역 등을 설치 또는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보고서에서는 조례에서 명시한 친환경교통지구내에서 추진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에 대해 필요성, 국내외 성공사례, 설치기준 등을 살펴봄으로써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운영에 관심있는 시군에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사업과 관련하여 경기도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는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운영의 확산을 위해 시범사업을 경기도가 추진하는 안이다. 경기도가 시군에 대해 공모사업 형식으로 시군특성에 맞는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사업을 제안 받아 재정적 지원과 행정적 지원을 해주는 방안이다. 둘째는 공해차량단속강화 방안으로서 현재 유명무실한 공해차량 단속을 실제적으로 경기도가 시행하는 방안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세 번째는 경기도에서 운행되는 경유차량 버스에 대해 CNG로의 전환을 서두르는 것이며, 네 번째로 친환경교통개선지구 조례안에 대한 일부 조정 및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도시생활권을 단절하고 있는 대규모 교통시설물에 대해 지하화, 공원화 등을 추진하는 메가프로젝트에 대해서도 경기도가 고민을 시작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South Korea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accordingly the rapidest urbanization. In this process diverse urban problems have been 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Much efforts to resolve those urban and transportation problems have also been poured in a breathless pace. Those efforts in the past were mainly focused on economic feasibility such as efficiency, travel speed and large traffic volume. However recent key words of urban and transportation have become changed from vehicles to human, which is to create space for people to reside safe and comfortable. In this respect, to reduce vehicle speed, traffic volume, and instead to revitalize green transportation use becomes a main transportation policy. Now there is a indisputable consensus that green transportation oriented city can be sustainably competitive. In order to mirror this paradigm shift, Gyeonggi-Do enacted 「Gyeonggi-Do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ation Zone Designation and Operation Ordinance」in 2015. The purpose of this ordinance is to promote use of green transportation in the city core or subcore. Once an area is designated as an environment friendly transportation zone, pedestrian only district, bicycle lane construction, transit mall, parking time restriction, car free zone and those similar green transportation policies can be actively implied. In this report, necessity, examples, and standard of establishment of those projects are introduced for interested cities to pursue their projects. Also fiv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Gyeonggi-Do. First, it is necessary for Gyeonggi-Do to lead some pilot projects. Gyeonggi-Do can suggest public contest with financial incentives. Second, rigid enforcement of regulations against automobile exhaust is needed, which is nominal at present time. Third, diesel buses should be changed to CNG buses in a more expeditious manner. Fourth, some changes in the ordinance are suggested. Finally, mega projects related to making expressway a park or burying highways are suggested.

      • 보행자 중심 교통보행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명수(Kim, Myung Soo),김예지(Kim, Ye Ji) 대한교통학회 201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5 No.-

        이 연구는 보행자 중심 교통보행환경 개선을 다루고 있으며 대전광역시 괴정동 롯데백화점 일대를 중심으로 대상지를 선정하여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보행자 중심의 교통보행환경 개선을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서 각각의 개념 및 특성을 정의하고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보행자중심의 환경개선 사례를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보행자중심의 교통보행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도로에 각각 주어진 환경을 활용하여 ‘테마를 부여한’ 보행자 중심 도로를 계획하여 안심하고 보행할 수 있는 보행의 자유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보행환경 정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시 괴정동 일대를 대상으로 보행환경의 실태를 조사하여, 열악한 보행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보행에 있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대상지 가운데 특징 있는 도로에 대하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설계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의 도로부문 지표 개선방안 연구

        안성준,이규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장애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도시환경 정비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정부는 관련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에 건축물에 대한 인증실적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에 대한 인증 실적은 건축물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F인증을 취득한 도로의 현황 분석을 통해 평가지표에 관한 세부적인 검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BF 인증지표 중 도로부문 인증지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증적용 사례를 분석하기 위한 대상시설은 도로부문 예비인증을 취득한 8개 도로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도로 및 보행환경과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를 고찰하며, 해외 선진 도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예비인증을 취득한 도로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현장에 적용된 지표항목에 대해 분석한다. 도로 인증 평가지표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검토하기 위하여 장애당사자인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인을 포함한 BF인증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진행하였다. (결과) 현장조사를 통해 보행안전구역과 횡단시설의 설치가 가장 적정하게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그 외의 장애물 구역, 유도방식, 보행지원시설, 교통신호기, 승하차 시설과 같이 세부적으로 실제 보행자의 편의와 밀접한 부분에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도로의 편의를 위한 설비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기준을 통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개선방향은 크게 인증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인증지표개선 방안에 대한 의견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법에 규정되지 않은 기준에 대해서도 일부 적용하는 등 전체적으로 인증지표를 강화하는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지표내용에는 법적기준이 우수 등 높게 평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현행법에 맞춘 재구성이 필요하다. 도로는 보행자 중심인 평가기준으로 구성되어져야 하며 이에 대한 기본원칙이 반영된 큰 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표에서 제시되고 있는 항목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안내시설과 같이 현행 지표에 없는 항목을 새로 제시하고 있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향후 추가가 되어야 하는 지표에 대한 세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도로인증지표가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으나, 추후 타인증과의 관계, 교통약자법, 장애인등편의법 등 관련법령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세부평가내용의 재검토 등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Korea, the grow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urban environmental improvements, spurred by an aging population and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disabled individuals, has led the government to implement a variety of policies. Although the certification performance for buildings is increasing, the certification performance for roads is less than that of the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etailed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roads that have obtained the barrier free (BF) certification.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road sector indicators within the BF certification system, specifically analyzing eight roads that have achieved preliminary certification in this sector. The study review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roads and walking environments and presents advanced road cases abroad. In addition, an on-site survey is conducted on roads that have obtained domestic preliminary certific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and the index items applied to the field are analyzed. To review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road certification evaluation index,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BF certification experts, including wheelchair users and the visually impaired. (Results) While the on-site survey revealed that pedestrian safety zones and crossing facilities were appropriately installed, issues were identified in specific areas closely related to pedestrian convenience, such as obstacle zones, guidance methods, walking support facilities, traffic signals, and boarding/alighting fac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acilities based on specific and detailed standards for road convenienc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derived from expert interviews can be classified into opinions on measures to revitalize certification and improve certification indicators. It is understood that a composition to strengthen certification indicators, such as applying some of the standards not prescribed by law, is necessary. The current index content is highly evaluated with excellent legal standards; therefore, it needs to be re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law. Roads should be composed of pedestrian-centered evaluation criteria, and a large framework that reflects the basic principles should be made. (Conclusions) This study addresses the review and modification of existing indicators, revealing a limitation in presenting new items not included in the indicators, such as information facilities. As such, detailed research on indicators to be added in the future is needed. The study suggests that road certification indicators need to be improved; however, they should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people’s identification,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Act, and the Convenience Act for the Disabled. For overall improvement, such as a review of the evaluation will be needed.

      • 교통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 연구 도로이동오염원을 중심으로

        한진석 ( Jin-seok Hahn ),서은주,서원호,김승범,최윤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기본연구보고서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동오염원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교통환경정책의 수립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정책 추진에 따른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과 이로 인한 인구의 건강영향을 순차적으로 고려한다. 특히,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 변화는 정책 효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 시 교통분석모형 기반의 상향식(BUA: Buttom Up Approach) 방법을 적용하여 하향식(TDA: Top Down Approach) 방법 대비 정책 추진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를 상세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은 기존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분석 방법론 및 대기질 분석 방법론, 건강영향 분석 방법론, 국내외 관련 연구 사례 등을 검토하여 거시·중위 수준의 분석 방법론과 미시 수준의 분석 방법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제시한 분석 방법론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분석 방법론은 정책 유형에 따라 TDA 접근 방법, BUA 접근 방법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책 추진으로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BUA 접근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론은 정책의 수혜 규모, 파급효과 등에 따라 거시·중위 수준 또는 미시 수준으로 적용이 가능하나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에 대한 미시 수준의 BUA 방법은 아직까지 공신력 있는 기초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인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an analysis method to test the improvement effects of air quality that can be used at the establishment stage of transport policy targeting mobile sources. The method considers changes to the volume of mobile emissions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air pollutants, atmospheric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and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sequentially. In particular, changes to the traffic volume of mobile sources must be considered in the method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ecause the traffic volume has a direct connection to the effects of the policy.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tail the changes to travelers`s travel behavior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We will apply the bottom-up approach (BUA) based on the traffic demand model rather than top-down approach (TDA) when calculating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This study proposes analysis methods to test the effects of air quality by classifying into macro/meso-level analysis and micro-level analysis based on reviewing the analysis methodology used to test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analysis methodology for air qua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health effects, and the related study cases from within and outside Korea. The TDA method and/or BUA method will be used to analyze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However, the BUA method must be applied when changes to the traveler`s travel behavior are expected in response to policy enforcement.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t the macro/meso level or micro lev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nefit from the policy, ripple effect, and other factors; however, application of the micro level BUA method in calculating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is limited because the database on public confidenc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 KCI등재

        CVM을 적용한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및 선형공원 조성사업의 편익 측정

        엄영숙 ( Young Sook Eom ),김상기 ( Sang Ke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 2023 자원·환경경제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으로 조성될 선형공원이 제공할 여가 및 휴양 서비스 그리고 방음벽 및 옹벽 철거와 경관 개선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의 비시장적 편익을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천시 내 여러 구역에 걸쳐 있는 선형공원의 특성과 일반도로로 전환되지만 인근 도시 주민들 역시 통행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경기도와 서울시 일부지역 주민들을 잠재적 수혜자로 보고 표본에 포함하였다. 2018년 4월에 이루어진 1,000명 대상 CVM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의 70%정도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아울러 저항응답자들을 제외한 757명의 분석표본의 50% 정도가 추가세금을 납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공원형태의 녹지공간 조성에 찬성할수록, 그리고 본 사업이 주변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들일수록 추가세금 납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을 위한 연간 지불의사 평균은 인천시 거주자들이 15,300원 정도, 그리고 수도권 거주자들이 6,800원 정도로 측정되었다. 본 사업의 간접영향권이라고 볼 수 있는 수도권 거주자들도 본 사업을 위해 상당한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pplied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o measure the benefits from an urban liner park that will be created as part of the Gyeongin Expressway downgrade project by Inch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e Incheon city government plans to create a liner park (10.5 km) in the middle of the downgraded road to provide leisure and recreation services to residents, and plans to remove retaining walls and soundproof walls to improve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liner park that spans several districts in Incheon city and the downgraded road that will be passed by residents of nearby cities as well as Incheon residents, the target population included residents of part of Seoul and several cities surrounding Incheon. In a CVM survey of 1,000 respondents conducted in April 2018, about 70%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is project positively. About 50% of 757 respondents, excluding protest bids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taxes for this project. The more the respondents favored the creation of a linear park and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is project would improve the surrounding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ore positively they evaluated the additional tax payment. The average annual willingness to pay for this project was about 15,300 won for Incheon residents and 6,800 won for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that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area, who a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is project, were willing to pay a considerable amount for this project.

      • KCI등재

        도로이동오염원 대기오염 저감대책에 의한 수도권 지역 계절별 질소산화물 개선효과

        김유정(Yoo Jung Kim),정혜선(Hye Seon Jeong),김수향(Suh Yang Kim),마영일(Young Il Ma),이우근(Woo Keun Lee),김정수(Jeong Soo Kim),선우영(Wooyoung Sun) 大韓環境工學會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5

        수도권지역의 대기오염을 개선하기 위해 수도권 대기환경 개선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고 2005년부터 시행되었다. 그 결과 수도권의 대기질은 개선되었으나 각 대책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저감정책이 질소산화물의 농도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MM5-SMOKE-CMAQ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모사를 수행하였다. 2007년 수도권 NO(x) 저감 배출량은 16,561톤으로서 4.7%의 저감률을 보였다. 여러 대책 중 제작차 배출허용기준강화 대책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지역별 삭감실적은 차이가 커서 서울의 삭감률은 인천과 경기의 약 2배에 달하였다. 결과적으로 NO(x) 저감의 효과는 서울 도심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동오염원 저감대책에 의하여 서울의 NO₂ 농도는 연평균 0.60 ppb (2.0%)저감되었고 인천과 경기는 각각 0.18 ppb (1.5%), 0.22 ppb (1.7%)가 저감되었다. 봄과 겨울의 저감농도는 여름과 가을에 비해 1.5~2.0배 정도 높았다. 도심과 풍하지역으로의 NO₂ 저감효과 분산때문에 도심지역의 NO(x) 배출량 저감이 직접적인 NO₂ 농도 저감에 효과적이지 않았다.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the "Special Act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Improvement" has been enforced since 2005. The strategy has resulted in some reduction of air pollution, but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into the quantitative impact analysis of each separate preventive countermeasure. Therefore, we analyzed nitrogen oxide reduction resulting from implementation of the emission control plan for on-road mobile sources. The MM5- SMOKE-CMAQ model system was employed for air quality prediction. Reduced NO(x) emissions for SMA was 16,561 ton, 4.7% of reduction rate, in 2007. One countermeasure, tighter acceptable standards for manufacturing vehicles, dominated other countermeasures for effective NO(x) emission control. Large spatial differences in reduced emissions, those for Seoul being twice that of Incheon and Gyeonggi, showed greater NO(x) emission reduction impact in the heart of the metropolitan complex. The NO₂ concentration decreased by 0.60 ppb (2.0%), 0.18 ppb (1.5%), and 0.22 ppb (1.7%)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spectively. Concentration decreases in spring and winter were larger, 1.5~2.0 times, than summer and fall. However, the NO₂ reduction impact did not correspond directly to local NO(x) emission controls in the city area because of the natural flow and dispersion, both urban and downwind.

      • KCI등재

        도로환경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연구 -노점상을 중심으로-

        최길동,한경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1

        Public design studies the urban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ssues that negatively impact the use of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rationally managed. One of these issues impacting public spaces is the physical clash of the street vendor stalls and the pedestrian walking experience. Vendor stalls surrounding store fronts or located in traditional markets provide obstruction to both pedestrian walking range as well as city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s theories and case studies of street vendors in and outside of Korea by surveying various regions to uncover underlying issues. Through pilot studies and surveys on street vendor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reet vendors should be given restricted guidelines for operation and design. Street vendors should be restricted to a designated area in which to operate and provided consequences for occupying the sidewalk. The vendor stalls in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be limited to 1.5m x 1m in dimension so that pedestrians can easily move left and right of the stalls. There should be guidelines to how the stalls should be designed in terms of color and shape, and these guidelines sh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tter fit the city aesthetics. The stalls can serve as advertisement for the city’s history, culture, and tourism after their operating hours. Other restrictions can include restricting operating hours, regular sanitation and security check, fees for occupying the road, licensing, and policing restricted areas.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자의 관점에서 공공공간과 시설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공간에서 상점가나 재래시장 주변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 보행자의 통행공간에 불편을 주고 있어 도시미관과 보행권 확보 측면에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점상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국내외 노점상에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하나의 도시에서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노점상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노점상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장실태조사를 통하여 도시의 노점상은 일정한 공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인도를 점유한 노점상의 경우에는 단속에 의한 입지제한을 통해 보행환경과 거리미관의 개선 효과가 동시에 있어야 한다. 재래시장 내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에는 중앙에 1.5×1m 크기의 직사각형 공간을 지정하여 그 안에서 노점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좌·우로 시장 이용객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크기, 색상, 형태가 지역특색에 맞는 것을 정하여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것이 좋으며, 노점판매대는 영업시간 이후에는 도시의 역사·문화·관광자원 등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장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통 재래시장 활성화 측면에서 재래시장주변 노점상은 외국인을 상대로 관광 문화상품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명물시장 관광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상업공간에서 원활한 노점상 운영관리는 시간 지정제 도입, 위생검사 및 안정성 확인, 도로점유율 지불, 디자인 형태와 크기의 규격화, 실명제 및 등록증 발급, 허용 및 불허 구간을 지정하여 관리 감독하는 것이 효과적인 운영방법이다.

      • 기존 도시부 자전거도로의 운영실태에 따른 개선방안

        윤효진 경기대학교 1999 論文集 Vol.43 No.2

        本硏究は大衆交通手段連繫目的の代替交通手段である自轉車道路の現況よ運營實態に關して考察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 また,通動, 通學, 業務目的自轉車利用のたぬの道路を旣存都市空間構造上に設置する時, 地域特性別問題点および障碍要因を把握し, 都市部でのより望ましい自轉車道路の改善方案を提案しよぅとした. 結果, 現在多くの地域で自轉車道路が設置されているが, このような大部分の 自轉車道路が 形式的で設置運營されていることをわかった. また, 旣存都市部では設置と運營の制約要因が多いので, 自轉車道路本來の機能を達成するため, 安全と連繫性の側面でより具體的な對應策が用意されれなければならいことなわかった. したがって, 本硏究では事例地域の調査分析結果な地域特性と支点別に, 問題点および 制約要因な類型化し, 類型別改善方案な提案することが可能であった, このような一時的な處方あるいは改善方案に優先してより具體的な基準と制度的な準備が必要と考えられる.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