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전기 도감제(都監制)의 연원과 성립

        羅榮勳 ( Na Young-hun )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Dogam(都監) was offices that had the “Install If there is work, and abolition to When you have finished work” temporary natur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Dogam(都監),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luck camp an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features and personality of the system itself, such as phase. Thus, the system is why was created, how study of the receptor has been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system established and the process was not quite so.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and origin of Dogam(都監). Dogam(都監) such as this to Goryeo in the era central political institutions Dobyungmasa(都兵馬使) and Sikmokdogam(式目都監) as a Korea-specific own system, have been described and occupies a special position. I guess the origin of the Dogam(都監) intended to try to explain this fact more clearly. I was able to find the institutional progenitor of ‘Dogam(都監)’ in the Dogam(都 監) of China Tangmal(唐末) era. However, this time, the Chinese Dogam(都監) had a system that has a different personality to clear the Dogam(都監) of Korea. The author Dogam(都監) of Goryeo and its management function, does not deny that from a structural aspect, it was the Dogam(都監) and other unique system of Chin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bout what was a unique system of Goryeo not any influence also received the external, such as the Tang(唐) and Song(宋), was not clear. Goryeo of the Dogam(都監) is not developed its own Korea, after the priority accommodate the Chinese Dogam(都監), would be reasonable to see that it has transformed.

      • KCI등재

        17세기 후반~18세기 국장도감(國葬都監)의 재원 조달과 규모

        나영훈 ( Younghun 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1 No.-

        都監은 ‘일이 있으면 설치하고, 일이 끝나면 폐지하는’ 임시적 성격을 지닌 관서였다. 이 제도는 상설관서가 처리하지 못하는 다양한 임시 사안을 처리하기 위한제도로서 조선시대에 상당히 중요한 제도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럼에도 그간 도감제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조차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1674년에서 1776년까지 설치된 國葬都監을 통해, 도감의 재정 운영의 일면을 검토하고자 한다.조선후기 국장도감의 재원은 그 조달 방식과 물종에 따라 ‘인건비’와 ‘현물’로 양분할 수 있다. 조선후기 국장도감의 ‘인건비’는 산릉도감을 통해 分定받았다. 산릉도감의 인건비 조달은 중앙에서는 진휼청을 중심으로 한 재정아문과, 어영청을 중심으로 한 군영아문, 그리고 사복시와 사옹원 등에서 조달되었으며, 지방에서는 각감영과 병영, 수영 등을 통해 마련하였다. 국장도감은 이러한 재원의 출납을 호조를 통해 해결할 수 있었다. 이때 마련된 ‘인건비’ 규모는 산릉도감의 ‘인건비’ 규모인대략 55,000냥의 7~11% 수준인 5,000냥을 전후하는 액수였다. 국장도감에 조달된인건비는 대부분 장인과 모군의 역가로 사용되었지만, 일부에서는 발인시의 반전가나 賞格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국장도감은 국장의 진행을 위한 輦轝와 명기·복완·의장·제기 등을 제작해야 했으므로, 여기에 소요되는 현물 자재 역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물품이었다. 국장도감의 자재는 중앙의 각 경관서와 군문에서 현물을 직접 납품받는 형식으로 조달받았다. 다만, 石材나 木材와 같이 규모가 큰 물종의 경우에는 지방에서 ‘卜定’을통해 마련하였다. 국장도감의 자재는 『탁지준절』 등을 통해 공가로 환산하여 추산한다면 대략적인 재정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영조국장도감의 총 물종은 585종으로, 1,051건에서 61.6%인 647건의 가격 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 비용은 26,859냥 정도로 추산되었다. 조선후기 국장도감의 재원 조달과 규모를 통해, 국장도감이 재정적으로 상당한 효율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도감은 그 인원이 대부분 겸직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관사를 기존 상설관서의 관사를 빌려서 사용하였으며 비품을 무상으로 대여하여 사용했다는 점에서 그 재정 절감 효과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제적 절감 효과는 도감이 오랜 기간 존속될 수 있었던 원인의 하나일 것으로 생각된다. Dogam(都監) was offices that had the "Install If there is work, and abolition to When you have finished work" temporary nature. This system, as a system for processing an extraordinary cases, where its permanent offices is not processing, played a very important institutional role in the Joseon Dynasty. Is a situation which is not also performed basic studies on Dogam(都監) also in that it. Thus, in this study, through the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that has been installed from 1674 to 1776, to try to consider one side of the fiscal management of Dogam(都監). Financial resources of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 in "personnel expenses" and "kind" in accordance with the procurement methods and species. "Personnel expenses" of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was receive through ``Dogam(都監) for build the Royal Tomb``. The cost procurement of ``Dogam(都監) for build the Royal Tomb`` was raised in financial offices such as jinhyul-cheong(賑恤廳), the military offices such as Uyoung-cheong(御營廳) and Sabok-si(司僕寺) in the middle. it has been raised in Gamyoung(監營), Byungyoung(兵營) and Suyoung(水營) in rural areas. Scale of "personnel expenses" that have been procured for state obsequies was amount of back and forth about 5,000nyang(兩). Since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was necessary to manufacture a variety of ceremony of for the progression of state obsequies, actual material being used was also treated important. Materials of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was raised in a format that can receive delivery in kind at the center of each offices and the Gunmoon(軍門) directly. However, in the case of species large scale as stone and wood was raised in rural areas. Materials of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can confirm the approximate financial scale if estimated by converting the Gong cost(貢價) using "Takjijunjul(度支準折)". The total species of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of King Youngjo(英祖)`` in 585 species, but was able to confirm the 647 reviews price information is 61.6% in the 1,051, the cost was estimated to be 26,859nyang(兩). Through Funding and size of the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ogam(都監) for state obsequies`` was able to know that it has been a financially fairly efficient operation. Dogam(都監), a civil servant(官員) has been appointed almost concurrent positions, using borrowed official residence permanent offices the official residence, in that they were used to lend the equipment at no charge, to know the financial savings it can. These economic cost savings, w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auses that could Dogam(都監) to survive more than a thousand years.

      • KCI등재

        18세기 중후반 훈련도감의 立役 범위 확대와 도감군의 상업활동

        최주희(Choi, Joo-Hee) 고려사학회 2018 한국사학보 Vol.- No.71

        18세기 들어 대외정세가 안정됨에 따라 중앙군문의 위상은 이전시기와 달라졌다. 영조대 戊申亂이후 왕실 호위와 궁궐 숙위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며, 도성 순라와 성곽 보수, 禁松, 捉虎등 도성을 재정비하는 차원의 각종 국역이 균역법 시행 이후 재검토되었다. 삼군문이 중앙정부의 각종 역사를 분담하는 체제가 형성되었으며, 그중 훈련도감군은 금·어 양영의 상번군보다 각종 역사에 우선적으로 차출되었다. 18세기 중반 이후 훈련도감군이 각종 국역에 일차로 동원된 배경은 첫 번째, 균역청으로부터 감필에 따른 급대재원을 비교적 충실히 지급 받은 데에서 찾을 수 있다. 둘째, 영조 32년(1756)부터 금위영과 어영청의 停番을 훈련도감군이 대신 서게 하고 이들에게 旅需錢을 지급하는 조치가 취해지면서 나타난 효과로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훈련도감군은 도성의 상업활동에 적극 가담하여 초기 手持之物을 판매하던 수준에서 점차 난전을 열고 도고활동을 벌이는 단계로까지 나아갔다. 정부입장에서는 서울의 공물조달역을 행하는 공시인과 마찬가지로 도감군 역시 국역을 수행하는 자들이었기 때문에, 일부 상업활동을 허용해주는 선에서 이들의 생계를 보전해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이들이 난전, 도고행위로 서울시장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자, 정부는 도감군의 상업활동을 제재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애초에 국역체제의 틀 속에서 정부는 도감군의 입역을 확대하였으나, 그에 따른 반대급부로 난전, 도고활동을 전면 허용해줄 수 없는 상태에서 군문에 대한 정부의 상업정책은 이처럼 미온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었다. 辛亥通共이 반포된 이후 도감군의 상업활동에 대한 정부의 규제 역시 도고행위를 금지하는 수준 이상을 넘지 않았다. 이에 18세기 후반 훈련도감은 난전과 도고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 부수적인 이익을 도모하였으며, 경강선인들과 경쟁하여 삼남의 세곡을 임운하는 권한도 확보하였다. 또한 景慕宮을 개건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정비하고 모민을 조성하는 역할을 주도함에 따라 서울의 동부권 상업 발달에도 기여하였다. Tributes to be delivered to royal merchants and governmental offices were procured by the brokers in the capital city upon expansion of Daedongbeop to 6 Provinces since 18<SUP>th</SUP> century. The brokers who were paid by the government on tributes and services started to be responsible for the transportation of the inflowing goods to the capital and maintenance services of palaces and official residences. The national services that had been dispatched and handled by the people were changed into the payment system since Daedongbeop was effective. Hence, the market merchants and brokers in the capital paid by Hojo and Sunhyechung provided with a variety of goods to be required for King’s visit or movement. On the other hand, soldiers were dispatched to the defense of the castle as well as services by obligation unlike market merchants or brokers. Especially, the soldiers in Hullyeon Dogam played roles a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among three armies upon dispatching to defend the royal family as well as various services such as castle defense and patrol, maintenance of castle wall, Gumsong, Chakho, and so on. They were mobilized to the construction of Chunggye stream in Youngjo period and played a crucial role to reconstruct Kyungmo Palace and install ship bridge on Han River in Jungjo period. Since the soldiers who were under brokers and army of the capital were responsible for the national services requested by the government with different roles, livelihoods of market merchants and brokers were threatened if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soldiers who had been already paid were expanded and acknowledged. This is the reason that the government could not but to control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the soldiers with Nanjeon in terms of governmental commercial policy in 18<SUP>th</SUP> century. Therefore,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soldiers since Shinhaerongong in late 18<SUP>th</SUP> century was announced were still controlled. Nonetheless, HullyeonDogam tried to gain the benefit additionally upon continuous commercial activities and Nanjeon, and they secured the right of grain paid as a tax in three Souths competing with Gyunggang merchants. In addition, the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eastern commercial area partly upon leading the role to organize Momin and to perform maintenance during the course of reconstruction for Kyungmo Palace.

      • KCI등재

        고려전기 都監制의 연원과 성립

        나영훈 한국중세사학회 2016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47

        Dogam(都監) was offices that had the “Install If there is work, and abolition to When you have finished work” temporary natur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Dogam(都監), with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luck camp and the structure of the system, features and personality of the system itself, such as phase. Thus, the system is why was created, how study of the receptor has been one of the background of the system established and the process was not quite so.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and origin of Dogam(都監). Dogam(都監) such as this to Goryeo in the era central political institutions Dobyungmasa(都兵馬使) and Sikmokdogam(式目都監) as a Korea-specific own system, have been described and occupies a special position. I guess the origin of the Dogam(都監) intended to try to explain this fact more clearly. I was able to find the institutional progenitor of ‘Dogam(都監)’ in the Dogam(都監) of China Tangmal(唐末) era. However, this time, the Chinese Dogam(都監) had a system that has a different personality to clear the Dogam(都監) of Korea. The author Dogam(都監) of Goryeo and its management function, does not deny that from a structural aspect, it was the Dogam(都監) and other unique system of Chin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bout what was a unique system of Goryeo not any influence also received the external, such as the Tang(唐) and Song(宋), was not clear. Goryeo of the Dogam(都監) is not developed its own Korea, after the priority accommodate the Chinese Dogam(都監), would be reasonable to see that it has transformed.

      • KCI등재

        고려 전기 迎送都監의 운영과 특징

        김규록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9

        고려는 정규 관부의 업무가 분장되지 않은 현실을 보완하는 동시에 소관 업무가 어느 하나의 정규 관부에 전임시키지 못할 정도로 비중이 큰 경우 별도의 기구를 설치하였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都監이었다. 도감은 국가에 중대 사안이 발생하면 설치하였다가 그것이 해결 내지는 종료되면 폐지하는 비상설 관부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폐지하지 않고 그대로 존속시키기도 했다. 『고려사』 백관지 제사도감각색에 의하면, 迎送都監은 문종대에 직제가 마련되었다고 전하나, 이때에 처음 설치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영송도감의 직제가 문종대에 마련되었고, 또 문종 30년에 제정된 권무관록에 영송도감의 녹사가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볼 때, 이보다 앞선 시기에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영송도감은 충렬왕 34년(1308)에 사선서에 병합되었다가 얼마지 않아 다시 설치되었으며, 이후로도 존치되었다. 다음으로 영송도감 사례와 여기에 속한 관원들의 활동을 살펴본 결과 영송도감은 외국사절이 개경에 도착한 이후 관사에 체류하는 동안의 지대 즉 식사류 등의 공급을 주로 담당하여 사절 영접의 실무를 담당하는 하위 기관으로써 운영되었다. 이러한 영송도감의 운영에 드는 재원은 지방의 각 군현에서 납입되는 공부 가운데 일부를 迎送庫에 정기적으로 비축하였다가 사용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영송도감의 관원이 직접 물품을 매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영송도감은 초기 개경 내 관사에서 외국사절에 대한 영접을 맡기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한 임시 관부였으나, 성종 12년 이후 거란과의 관계 성립 이래 사절의 내방이 대폭 증가하고 또 정례화됨에 따라 고려는 이에 대응하여 개경 내 관사의 증치 등 영빈 관부를 재정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영송도감의 운영 역시 상설화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고려는 정규 관부의 신설이 아닌 기존의 비상설기구인 영송도감의 상설화를 통해 소규모 관부와 관원의 운용만으로도 여러 관사 내에서의 사절 영접을 효율적으로 운영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fic management condition of Yeongsong-Dogam and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use of Yeongsong-Dogam and activities of its staff as found in materials such as Koryeosa[高麗史], Koryosajoryo[高麗史節要] and epitaphs. In Goryeo dynasty, works of formal offices were not clearly defined, and reflecting this reality, separate organizations were set up when assigned works were too significant to be managed by a single formal office. Dogam was a non-permanent office that was established when an important national affair took place and then shut down once the affair was resolved or came to an end. However, in some cases, Dogam was maintained afterward. According to Baekgwanji[百官志] in Koryeosa, Yeongsong-Dogam was 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文宗]. However, Yeongsong-Dogam was probably not set up for the first time then. Considering that the organization of Yeongsong-Dogam was provided during the reign of King Munjong, and that its Noksa[錄事] was included in Gweonmugwanlog[權務官祿], which was enacted in the 30th year of King Munjong’s reign, there is a good chance that Yeongsong-Dogam was set up earlier. However, a definite timing is hard to point out. Later Yeongsong-Dogam was merged into Saseon-seo[司膳署] in 1308 or the 34th year of King Chungryol’s reign, then reestablished soon after and maintained. An examination of uses of Yeongsong-Dogam and activities of its staff shows that the organization was mostly in charge of supplying food and beverage to foreign delegations upon their arrival in the city of Gaegyeong, and thus operated as a low-level organization in charge of everyday affairs related to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Its resources came from part of tributes or gongbu[貢賦] paid by local counties and prefectures, which were stored regularly at Yeong-song-go[迎送庫]. When necessary, staff of Yeongsong-Dogam purchased needed goods. Initially Yeongsong-Dogam was a temporary office set up to be in charge of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at GwanSa[館舍]. However, after a diplomatic relation was tied with Khitan[契丹] in the 12th year of King Seongjong[成宗]’s reign, visits from foreign delegations increased sharply and became more regular. In response, Goryeo dynasty increased the number of GwanSa in Gaegyeong and reorganized reception-related offices. During this course, Yeongsong-Dogam became a permanent office. By turning a non-permanent office into a permanent one instead of setting up a new office, Goryeo dynasty could efficiently manage reception of foreign delegations at various GwanSa with small office and staff.

      • KCI등재

        조선후기 도감의 설치 장소와 공해 활용

        나영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8 서울학연구 Vol.- No.73

        This paper analyz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ogam(都監 ; temporary public offi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d the location and its meaning. Since the Dogam(都監) was a temporary public office, the installation alone was able to generate various negative effects. However, the actual operation of the Dogam(都監) was not as chaotic as it was pointed out at the time, nor was it just the excessive negative effects. From the installation site of the Dogam(都監), we have identified how the Dogam(都監) effectively utilized Hanyang(漢陽) space. Chapter II investigated all the locations where the Dogam(都監) were instal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firming that almost all of the Dogam(都監) were loaned to existing public offices. The installation space of such a Dogam(都監) has been on the tren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mainly in the area of ‘Hyungjo(刑曹 ; the Ministry of Justice), Gongjo(工曹 ;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Sayukwon(司譯院 ; the Ministry of translation) ‘. These spaces were selected as highly suitable locations for carrying out the vast construction of the capital city, such as the Dogam(都監). Chapter III confirmed that the Dogam(都監) that dealt with the various offices provided different space for each office. Dogam(都監) were used to separate space and appropriately. for example ① ‘Gongjo(工曹)-Sayukwon(司譯院)’ Area = State funeral, coronation, relocation of royal tomb etc, ② ‘Yijo(吏曹)-Yeojo(禮曹)’ Area = marriage of royal family, ③ Yijo(吏曹), or Byoungjo(兵曹) Area = construct of royal tomb, ④ ‘In Palaces’ Area = keep the corpse of royal family, ⑤ ‘Place of construction’ Area = build or repair of palace etc. The Dogam(都監) minimizes waste by utilizing a thoroughly fixed space. In the end, the Dogam(都監) was not random, even though it was a temporary, urgent installation. It created a way to effectively secure the work space without creating a shutdown in the event of a temporary event by fix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ogam(都 監). This Dogam(都監) was able to systematically handle tasks by keeping the installation space constant depending on the issue. 본 논문은 조선후기 도감의 설치 장소를 분석하여, 도감이 설치된 위치와 그것이 지닌 의미가 무엇인지 검토하였다. 도감은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아문인 만큼, 설치 자체로 다양한 폐단을 발생시킬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 도감의 운영은당대의 지적과 같이 그렇게 난립하지 않았고 또 무리한 폐단만 자행한 것은 아니었다. 여기서는 도감의 설치 장소를 통해, 도감이 한양 공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했는지 확인하였다. Ⅱ장에서는 조선후기 도감이 설치된 장소를 전수 조사하여 거의 대부분의 도감이 기존 상설관사를 대여하여 사용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도감의 설치 공간은 17세기후반 이후 주로 ‘형조-공조-사역원’ 일대로 정례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었다. 이들 공간은 한양 도성 내에서도 도감과 같은 방대한 역사를 수행하기에 매우 적합한 입지로서 선정된 것이었다. 즉, 관사 공간이 넓었고, 서로 연접해있어서 활용도가 높았다. 더욱이 한양의 중심가인 육조거리와 운종가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물류의 유통도 활발하였다. 또한 다른 관사보다 자기 관서에 소장하고 있는 물품이 많지 않았다. Ⅲ장에서는 시기적으로 정례화 되는 공간이 마련된 것과 별개로 다양한 사무를 처리하였던 도감이 해당 사무별로 공간 마련도 달랐음을 검증하였다. 도감은① ‘공조-형조-사역원’ 일대 : 국장ㆍ존숭(존호)ㆍ책례ㆍ부묘ㆍ천릉ㆍ예장ㆍ상례, ② ‘이조-예조-중추부’ 일대 : 가례, ③ ‘이조’ 혹은 ‘병조’ : 산릉, ④ ‘闕內’ : 빈전, ⑤ ‘工役地’ : 영건ㆍ수리 등, 그 공간을 분리하여 적절히 활용하였다. 물론핵심은 ‘공조-형조-사역원’ 일대였고, 차선책으로 ‘예조-중추부’ 일대를 활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감은 철저하게 계산된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그 폐단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였다. 임시적 사무가 갑자기 발생하더라도, 각 관서에 소속된 인원은 일사분란하게 다른 공간으로 移設해갔으며, 특정한 관서는 항상 도감의 처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식되었다. 결국 도감은 임시적으로 급하게 설치되는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중구난방으로아무렇게나 설치되었던 것이 아니었고, 또한 민간의 영역을 강탈한 것도 아니었다. 도감은 상설관사를 대여하여 활용하였는데 그마저도 ‘공조-형조-사역원’ 등일정한 영역을 정례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도감의 설치 장소를 고정시킴으로써, 혹시라도 임시적 사안이 발생하였을 때 민폐를 자행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업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방편을 마련한 것이었다. 도감은 정해진 공간이있었기에 사안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사무를 시작할 수 있었다. 특히, 도감은 1품아문의 위상을 지니며 왕실에 유관한 매우 중대한 문제를 해결했던 기구였기 때문에, 이와 같은 효율성과 신속성은 매우 중요하였다. 도감은 이처럼, 사안에 따라 설치 공간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당히 체계적으로 무리 없이 업무를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조선전기 都監의 조직과 기능

        나영훈 조선시대사학회 2014 朝鮮時代史學報 Vol.70 No.-

        Central political system of the Chosun era, are understood to bureaucratic system centralized permanent. Therefore, it has been common Most studies, it has been studied mainly in permanent government office that is mentioned in the “Gyoungguk-daejeon(經國大典)”. However, can not affairs of the country are operated by only permanent government office it is reality of course. Exceptional, is ready to occur, the management of temporary government office to deal with the sudden affairs of these were essential in any country. In particular, in the pre-modern nation, because there have been cases where you have an important political role temporary mechanism of these, discussion of this is essential. In spite of that, government office Research Chosun is concentrated in permanent government office, studies of transient government office hardly been made. Therefore, in this paper, for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higher phase in the most unique in the government office of “Dogam(都監)”, I am trying to consider the institutional basic. Research in the government office region, it is determined grasp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rganization and must precede, I learned about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the Chosun era. As a result “Dogam(都監)” in early Chosun Dynasty is possible to know the fact that through the late Goryeo(高麗), 15th century, the 16th century, was in the process to be developed in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This indicates that it is through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15 century, typified by “Gyoungguk-daejeon(經國大典)”,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 Dynasty was the time to go laid clearly in terms of function and organization. 조선시대 중앙정치체제는 “의정부-6조체제”에 근간한 상설관서 중심의 중앙 집권적 관료체제로 이해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가 『經國大典』에 기재된 상설관서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국가의 사무가 상설관서만으로 운영될 수 없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어떠한 국가에서든 예외적인 사무는 발생하기 마련이었고, 이러한 돌발 사무를 대처하기 위한 임시적 관서의 운영은 필수적이었다. 특히 전근대 국가에서는 이러한 임시기구가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관서 연구는 상설관서에 집중되어 있고 임시관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임시관서 중에도 가장 독특하고 위상이 높은 ‘都監’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기본적인 제도적 검토를 하고자 한다. 특히 관서의 연구는 조직구조와 기능의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조선시대 도감의 조직과 구조에 관해 살펴보았다. 도감의 조직은 ‘使-副使-判官-綠事’로 이어지는 고려적 관직체계를 계승하여 조직되었다. 이러한 조직체계는 15세기를 거치며 당상관과 참상관, 참하관의 순차로 정비되어 태종대 무렵 당상관은 ‘제조’로 통칭되었으며, 세조대 무렵 참상관은 ‘낭청’으로 일원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도감의 실무를 책임질 首郎廳으로 ‘都廳’이 신설되었으며, 성종대 이후 참하관 역시 ‘감조관’으로 새롭게 신설되어 운영되었다. 한편, 조선전기의 도감은 주로 ‘전문성’을 담보한 인원을 차출하려는 노력을 보였는데, 일부에서는 도감의 인사혜택을 이용하기 위한 ‘정치적 人選’이라든지, 일이 없는 한가한 자들 즉, 전직자나 봉작자가 도감에 임용되기도 하였다. 도감의 기능은 그 조직의 설치 배경 자체가 상설관서가 처리할 수 없는 사안을 처리하기 위한 제도였으므로 상설관서가 처리하지 못하는 다양한 사무를 처리하는 기능을 하였다. 특히 국가적 역량이 집중되어야 처리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을 도맡아 처리하였다. 이러한 사무로는 대략 ①의례 관련 사무, ②토목 관련 사무, ③기타 사무(신분, 외교, 정책, 음악, 공신, 출판 등)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도감의 기능은 시기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고려후기 다양한 분야에서 설치되었던 도감이 조선이 건국되며 그 수효가 급격히 줄어든 것이 첫 번째 변화였다. 이어 15세기의 국가 건립을 위해 부득이 설치되었던 사무가 필요 없어지고, 세조대의 관제개혁으로 대부분의 사무가 상설관서로 집중되는 이른바 『경국대전』체제 이후인 16세기에 들어서면, 의례나 토목과 같이 부득이 설치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만 설치되어 수효가 줄어든 것이 두 번째 변화였다. 즉, 조선전기의 도감은 고려후기, 15세기, 16세기를 거치며 조직과 기능에 있어서 정비되는 과정에 있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경국대전』으로 대표되는 15세기 말의 제도 정비를 통하여 조선적인 도감제의 특성이 조직과 기능상의 측면에서 명확히 자리 잡아 가는 시기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17~18세기 訓鍊都監의 연료 조달 방법과 변화 양상

        여민주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본고는 17~18세기 훈련도감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조달 방식과 변화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훈련도감에서는 조총, 화약 등 무기를 만들거나, 군병들의 의식주를 위해 숯과 토목이 사용되었다. 군인들의 의식주를 위한 연료보다 군기 제조에 더 많은 연료가 소요되었으므로, 연료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훈련도감에서 필요한 연료는 2가지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중앙관사와 같이 시장 절수를 통한 연료 조달이다. 조선전기부터 중앙관사나 무기 제조를 담당한 관청인 군기시는 시장을 절수 받았음을 법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조선후기에 설치되어 법전에는 기록되어 있지않지만, 사료에서 시장 절수를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경기 양근과 강원 춘천‧홍천‧낭천 지역에 시장을 절수 받았고, 여기서 무기를 제조하는 등 도감에서 필요한 연료인 토목을 수취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수목이 부족하게 되면서 시장은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고, 연료 수취 방식이 현물 수취에서 세금 수취로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두 번째는 둔전 경영을 통한 연료 수급이다. 조선은 각 군영에 둔전을 지급하였는데, 둔전을 경작해서 필요한 재정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만기요람 에는 훈련도감에 14개의 둔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3개의 둔전이 연료를 마련하는 명목으로 절수된 둔전이었다. 둔전에서 경작에 대한 세금을 받아 연료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은 설치 시기와 위치, 세금 수취 등 내용이 비슷하였다. 검토한 바에 따르면 조정에서는 먼저 훈련도감에 시장을 절수를 허용하였고, 여기서 도감으로 하여금 벌목하여 연료를 수취하도록 하였다. 시장 내에 수목이 없어지자,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다. 시장 절수지가 화전으로 개간된 이후 세전을 거두어 토목을 마련하였다. 이후 시장으로 절수 받았던 곳들이 화전으로 모두 경작지로 개간되자, 이 지역을 둔전이라고 칭하였고, 이를 만기요람 등 19세기에 편찬된 사료에서는 둔전으로 명시하였다. 양근‧춘천‧홍천 지역에는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이 각각 존재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시장의 둔전화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supply method and changes of fuel used in Hullyeon-Dogam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the Hullyeon-Dog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rcoal and tomog(吐木) were used to make weapons such as handguns and gunpowder, or to provide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diers. In order to solve the fuel demand required by the military camp, it was attempted to solve it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is the supply and demand of fuel through Sijang, lik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It can be seen from the Code that GunGisi,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weapons manufacturing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received Sijang. Military camps, including Hullyeon-Dogam,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re not recorded in the code of law, but it can be seen that Sijang was pai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Hullyeon-Dogam received Sijang in Yanggeun, Gyeonggi-do, and Chuncheon, Hongcheon, and Nangcheon, Gangwon-do, and was required to receive tomog, a fuel necessary for the military camp, such as manufacturing weap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trees, Sijang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The second is fuel supply and demand through Dunjeon management. Joseon paid dunjeon to each military camp, which was cultivated and used for necessary finances. It is confirmed from 19th century data that Hullyeon-Dogam also had Dunje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14 Dunjeons in Man’gi Yoram , of which three Dunjeons were saved in the name of providing fuel. However, in the case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review, Sijang was first paid to Hullyeon-Dogam, where Hullyeon-Dogam was required to receive the in-kind. However, trees became scarce, and after it was reclaimed as slash-and-burn field, taxes were collected to prepare tomog. At this time, what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in the place where it was saved as Sijang was specified as dunjeon in historical records compiled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Mangiyoram."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Yanggeun, Chuncheon, and Hongcheon regions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did not exist, respectivel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unjeonization of Sijang appeared over time.

      • KCI등재후보

        海印寺에 소장된 江華京板 『高麗大藏經』의 ‘外藏’ 연구 2 : 高麗經板의 조성성격

        최영호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이 글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외장’에 포함된 경판들 가운데 고려시대에 판각된 총 71종 경판들의 조성 주체․체계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이들 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 성격 및 가치를 진단하였다. 그 개별 경판들 가운데 『宗鏡錄』 등 4종은 大藏都監이나 分司都監에서 조성되었으므로 都監板이라 규정할 수 있다. 아울러 외장의 개별 경판들 가운데 조성주체가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설치․운영과 관련된 경우, 경판의 판각과정에서 대장도감․분사도감의 각수 등과 같은 전문 인력을 활용한 경우,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운영체계와의 관련성을 가지는 경우도 도감판 내지 準都監板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 글에서는 그 시기를 고종 23년(1236) 大藏都監과 分司都監이 설치되어 강화경판의 대장이 산출된 이듬해부터 대장의 조성사업이 일단락된 같은 왕 38년까지로 한정하면서도 도감과 거의 관련된 경판은 그 시기를 탄력적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먼저, 3종류의 분류 기준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경판은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등 6종이다. 다음으로, 2종의 분류 기준이 관련된 사례는 『金剛三昧經論』 등 6종류를 비롯하여 『妙法蓮華經』 등 3종이 포함된다. 그 다음으로, 각수 등 전문 인력만 활용한 사례는 『大藏一覽集』 등 9종이며, 조성주체만 도감과 관련된 사례는 『金剛般若波羅蜜經』 등 2종이다. 이들 26종류 가운데 그 조성 시기가 정확하지 않아 도감인력의 활용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2종을 제외한 나머지 24종은 도감판 내지 준도감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東京分司都監의 행정조직체계를 활용하여 조성된 고종 38년의 『佛說阿彌陁經』과 충숙왕 복위 3년의 『白花道塲發願文略解』도 같은 성격의 경판으로 분류할 개연성도 남겨져 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making specific character about the Koryo-Dynasty's Woodblock(高麗刻板) of Ganghwa-Capital-Woodblock- Koryo-Dynasty Tripitaka's Woijang which located in the Haein-Temple.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Koryo-Dynasty's Woodblocks of total 71 kinds. This paper is consisted in two parts: first, analysis of making-planner & second, making-system of the individual Woodblock. Among these Woodblocks, there are 4 kinds woodblocks, which include the Zonggyeongrok(宗鏡錄), so it can be defin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Because these one had been made at the Koryo-Dynasty's Daejangdogam(大藏都監) & Bunsa-Daejangdogam(分司大藏都監). In addition to these, 26 kinds woodblocks can be included the tripitaka "Nammyungcheonhwasangsongzengdogasasil(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so they can be classifi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or semi-Dogam's product-woodblock(準都監板). Because making- planners of the individual Woodblocks had bee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also professional personnels & material resources of the Daejangdogam & Bunsa- Daejangdogam were used to the process making-Woodblocks. Moreover they had been utilized as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that has operated to a making-system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 KCI등재후보

        해인사(海印寺)에 소장된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외장(外藏)`` 연구(2) -고려경판(高麗經板)의 조성성격

        최영호 ( Young Ho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이 글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외장’에 포함된 경판들 가운데 고려시대에 판각된 총 71종 경판들의 조성 주체·체계를 전반적으로 분석하는 동시에, 이들 경판에 담겨진 역사·문화적 성격 및 가치를 진단하였다. 그 개별 경판들 가운데 『宗鏡錄』 등 4종은 大藏都監이나 分司都監에서 조성되었으므로 都監板이라 규정할 수 있다. 아울러 외장의 개별 경판들 가운데 조성주체가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설치·운영과 관련된 경우, 경판의 판각과정에서 대장도감·분사도감의 각수 등과 같은 전문 인력을 활용한 경우,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운영체계와의 관련성을 가지는 경우도 도감판 내지 準都監板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만, 이 글에서는 그 시기를 고종 23년(1236) 大藏都監과 分司都監이 설치되어 강화경판의 대장이 산출된 이듬해부터 대장의 조성사업이 일단락된 같은 왕 38년까지로 한정하면서도 도감과 거의 관련된 경판은 그 시기를 탄력적으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먼저, 3종류의 분류 기준이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경판은 『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등 6종이다. 다음으로, 2종의 분류 기준이 관련된 사례는 『金剛三昧經論』 등 6종류를 비롯하여 『妙法蓮華經』 등 3종이 포함된다. 그 다음으로, 각수 등 전문 인력만 활용한 사례는 『大藏一覽集』 등 9종이며, 조성주체만 도감과 관련된 사례는 『金剛般若波羅蜜經』 등 2종이다. 이들 26종류 가운데 그 조성 시기가 정확하지 않아 도감인력의 활용 여부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2종을 제외한 나머지 24종은 도감판 내지 준도감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東京分司都監의 행정조직체계를 활용하여 조성된 고종 38년의 『佛說阿彌타經』과 충숙왕 복위 3년의 『白花道場發願文略解』도 같은 성격의 경판으로 분류할 개연성도 남겨져 있다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making specific character about the Koryo-Dynasty`s Woodblock(高麗刻板) of Ganghwa-Capital-Woodblock- Koryo-Dynasty Tripitaka``s Woijang which located in the Haein-Temple.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Koryo-Dynasty``s Woodblocks of total 71 kinds. This paper is consisted in two parts: first, analysis of making-planner & second, making-system of the individual Woodblock. Among these Woodblocks, there are 4 kinds woodblocks, which include the Zonggyeongrok(宗鏡錄), so it can be defin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Because these one had been made at the Koryo-Dynasty``s Daejangdogam(大藏都監) & Bunsa-Daejangdogam(分司大藏都監). In addition to these, 26 kinds woodblocks can be included the tripitaka "Nammyungcheonhwasangsongzengdogasasil(南明泉和尙頌證道歌事實)", so they can be classified as the Dogam`s product-woodblock(都監板) or semi-Dogam``s product-woodblock(準都監板). Because making- planners of the individual Woodblocks had been related to an operation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also professional personnels & material resources of the Daejangdogam & Bunsa- Daejangdogam were used to the process making-Woodblocks. Moreover they had been utilized as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that has operated to a making-system of the Daejangdogam & Bunsa-Daejangdog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