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덕 윤리학에서의 덕 개념과 교육

        심장후 ( Jang Hoo Sim ),노철현(교수) ( Cheol Hyeon Roh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48

        이 글의 목적은 현대 윤리학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덕 윤리학의 주장을 덕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그것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대체로 알려져 있듯이, 근대 이후 윤리학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칸트주의나 공리주의는 윤리학적 관심이 행위에 대한 정당화나 의무, 책임 문제에 한정되었으며, 그리하여 행위 수행의 당사자를 윤리학적 관심에서 배제시켰다. 덕 윤리학은 행위 자체가 아닌 행위자를 윤리학적 관심의 전면에 부각시키면서 종래 윤리학이 지닌 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덕을 ‘칭찬할 만한 인격 성향’으로 규정하고 있는 감성주의적 덕론에서는 종래 윤리학이 타인 배려 경향이 강한 인격성향만을 도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고 비판하면서, 자기 배려 경향의 인격 성향 또한 덕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감성주의적 덕론은 덕의 본질을 ‘직관’ 또는 ‘상식’에 의존하여 설명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윤리학의 임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닌다. 맥킨타이어의 서사적 덕론은 덕의 본질을 역사적, 사회적 고찰을 바탕으로 규명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르면, 덕은 한 개인이 구체적인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살아갈때 드러나는 인격적 특성을 가리킨다. 덕은 사회적 전통이나 실천과 유리된 것이 아니며, 그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살아가는가 하는 것과 불가분으로 연결되어 있다. 교육이 전통 또는 실천에로의 입문으로 규정될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사적 덕론은 중요한 교육적 시사를 제공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guments of virtue ethics based on the concepts of virtue and their educational meanings. As is generally known, Kantian ethics and Utilitarianism that was representative of ethics since the Modern Age limited their ethical concerns to the act itself and excluded the agent from their concerns. So called virtue ethics accentuates the agent in ethics and tries to find solution to modern ethics``s problems. First of all, ethical sentimentalists who define virtues by ``admirable character traits`` treat not only ``other-regard traits`` but also ``self-regard traits`` as moral thing. However, they explain the nature of virtue by ``intuition`` or ``common sense``, and doesn``t find solution to objectivity of ethics. It seems that A. MacIntyre``s narrative concept of virtue tries to solve that problem by historical, 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virtue. He defines virtue by character traits which we have or can have when we live through playing a specific role in the particular society. Virtues don``t isolated from social traditions or practices and are closely connected with our living. Considering that education means pupil``s initiation into social traditions or practices, his concept of virtue is full of suggestions for education.

      • KCI등재

        덕의 가르침 가능성과 덕의 단일성

        강성훈(Kang, Sung-Ho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3 西洋古典學硏究 Vol.50 No.-

        『프로타고라스??』편의 전반부는 덕의 가르침 가능성이 주제이고, 후반부는 덕의 단일성이 주제이다. 그런데 이 두 주제가 어떻게 연결되는지가 분명하지 않아서, 전체 대화편의 통일성과 관련한 문젯거리로 여겨져 왔다. 본 논문은 프로타고라스가 덕의 기준을 낮게 잡음으로써 덕이 가르쳐질 수 있다는 증명에 성공하였고, 소크라테스의 덕의 단일성 질문은 그러한 낮은 덕 기준에 대한 문제제기로 읽을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소크라테스는 지혜로운 아테네인들이 나라경영의 문제에 대해서 아무에게나 발언기회를 주는 것으로 볼 때 그들은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과, 페리클레스와 같은 뛰어난 시민들이 자신의 덕을 다른 사람에게 전수해 줄 수 없었다는 것을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증거로 제시한다. 프로타고라스는 아테네인들이 모든 사람이 덕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들이 모두에게 발언기회를 주는 것이 소크라테스의 결론을 함축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고, 모두가 모두에게 덕을 가르치는 경우에는 천성적 재능의 차이가 중요해서 뛰어난 아버지의 아들이 덕이 좀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논의에서 드러나는 프로타고라스의 덕 개념은 야만인과 문명인을 가르는 기준이 될 수는 있으나, 문명사회의 성원들 중 탁월한 사람을 구별하는 기준이 될 수는 없다. 따라서 프로타고라스가 전자로서의 덕이 가르쳐질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고 해도 후자로서의 덕도 가르쳐질 수 있다는 것을 밝힌 것은 아니다. 후자로서의 덕 개념은 덕이 파편적이지 않은 단일한 것임을 필요로 하는데 비해, 전자로서의 덕은 한 부분을 가지면서 다른 부분을 가지지 않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파편적이다. 소크라테스가 주도하는 덕의 단일성 논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덕은 그렇게 파편적일 수 없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 된다. The Protagoras consists of two major parts: The former deals with the teachability of virtue, and the latter discusses the unity of virtue. But it is unclear how these two parts relate to each other, and this presents a problem to the unity of the dialogue.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Protagoras succeeds in the proof of the teachability of virtue in the Great Speech only by setting the criterion of virtue very low, and that Socrates’ questioning about the unity of virtue can be read as an attack to such a low conception of virtue. Socrates argues that wise Athenians think that the virtue is not teachable, on the ground that they allow anyone to speak about political matters. He also argues that virtue is not teachable, seeing that people like Pericles could not transmit their virtue even to their own sons. In response, Protagoras argues that since Athenians think that everyone has virtue to a degree, Socrates’ conclusion does not follow from the fact that they allow everyone to speak about political matters. He also points out that when everyone teaches virtue to everyone, natural talent plays a great role and sons of excellent people may turn out to be not as virtuous as their fathers. Protagoras’ conception of virtue revealed in these discussions may work as a criterion to distinguish civility from savagery, but not a criterion to distinguish excellent people among civilized people. Thus, even if Protagoras shows the former is teachable, it does not follow that the latter is also teachable. While the latter conception of virtue requires that virtue be not fragmentary, according to the former conception of virtue one may have one virtue but not another. Socrates’ subsequent discussion about the unity of virtue is an attempt to show in effect that the true virtue cannot be so fragmentary.

      • KCI등재

        법에 있어서 덕의 역할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16 법철학연구 Vol.19 No.2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ole of virtue in the law. Virtue jurisprudence is a legal theory that makes use of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virtue epistemology, virtue ethics, and virtue politics to answer the central questions of law. Modern legal theory has strong connections with modern moral philosophy. Virtue jurisprudence is a new jurisprudence which reflects the theoretical achievements of virtue ethics. Virtue is the character and disposition of a person to do the right thing for the right reason in the appropriate way. It involves the affective and intellectual aspects. The final end to which virtue contribute is eudaimonia or human flourishing. Legal virtue is a specific kind of virtue which is applied in the realm of law. The major components of legal virtue are legal wisdom, legal temperance, justice, and legal integrity. The role of legal virtue in the law is as follows. Legal virtue can provide the foundations for formulating the conception of legal human. Legal virtue also can provide the end and content of legal norms. Virtue jurisprud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legal justification. In legal ethics, legal virtue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lawyers to perform their legal profession. The concepts and methods of virtue jurisprudence can be applied in formulating legal theories in various areas of law including constitutional law, antitrust law, criminal law, and environmental law. 이 논문은 법에 있어서 덕의 역할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덕법학은 법의 중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덕인식론, 덕윤리학, 덕정치학의 이론적 자원들을 활용하는 새로운 법이론이다. 권리중심의 근대법학은 의무중심의 근대윤리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21세기에 등장한 덕법학은 20세기 후반부터 윤리학의 주요한 흐름으로 부각되고 있는 덕윤리학의 이론적 성과들을 반영하는 새로운 법학이다. 덕법학의 중심적인 개념은 덕이다. 덕이란 올바른 이유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올바른 행위를 하려는 인간의 성품이나 성향을 말한다. 덕은 감성적 측면과 지성적 측면을 갖는다. 덕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다. 법적 덕이란 법의 영역에 적용되는 특수한 종류의 덕이다. 법적 덕의 유형은 법적 지혜, 법적 용기, 법적 절제, 정의, 법적 충실 등으로 나뉜다. 법의 영역에 있어서 덕의 역할을 다음과 같다. 법적 덕은 법적 인간상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법적 덕은 법규범의 목적과 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법적 덕은 법조윤리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덕법학의 주요한 개념과 방법들은 헌법, 독점금지법, 형법, 환경법 등 다양한 법영역에서 법이론을 구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영문(Young-Mun Le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을 분석하여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것이 학교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은 단순히 지식과 행동의 일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행동의 수준도 함께 높아지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하고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제가 덕(arete)이다. 덕은 인간의 삶을 질서·조화·절제 있게 만드는 영혼 속의 통치 체제로서 그 자체가 인간의 모든 인식과 기능을 탁월하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러하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사람들과 대화하면서 이 덕을 길러주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소크라테스가 가르치려고 의도하는 덕은 개별적인 덕들이 뿌리를 두고 있는 전체로서의 하나의 덕, 즉 덕 그 자체인데 이것의 원천은 좋음의 이데아이다. 이리하여 소크라테스가 의미하는 덕을 제대로 갖추게 된 사람은 진정한 의미의 지행의 일치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 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 도덕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는 모든 좋은 것의 원인이 되는 좋음의 이데아의 도움을 받아서 학생의 영혼으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절제·조화·자기통제하게 하고 자신의 모든 행동을 자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게 하는 덕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 된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n moral education which Socrates pursues as the purpose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aim, the study analysed the meaning of the Greek word, ‘arete’ which Socrates explains in Plato’s dialogues such as Protagoras, Meno, Phaedo and Republic. The reason is because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can be attained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means the mental state that the human being’s soul is controlled by order, harmony and self-control. In the light of this view, we can know that students should cultivate arete in moral education for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Another thing that we should know is that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not that one’s moral knowledge insures moral action without any condition, but that one’s moral behavior is enhanced only when one’s moral knowledge is based on the idea of arete and the idea of good. In conclusion, the core of Socratic meaning of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that the tru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cultivation of arete which comes from the idea of good.

      • KCI등재

        나치의 용감함과 덕의 통일성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에 기초한 덕 윤리의 해명

        장동익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6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for a way to maintain the unity of virtue without compromising the characteristics of virtue. Section 2, while discussing the issue of whether the bravery of a Nazi soldier can be a virtue, will explain what difficulties could arise in asserting the unity of virtue. Section 3 will suggest the conditions for the unity of virtu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ty of virtue. Besides, it will also present three viewpoints of the unity of virtue: an ontological, a semantic, and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will suggest that, of the three viewpoints, the condition for the unity of virtue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is the most reasonable in virtue ethics. In section 4,this paper will show that Aristotle’s unity of virtue has a special relation to practical wisdom, and thus corresponds to a theoretical view of the unity of virtue. In section 5, as a conclusion,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confusion and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unity of virtue can be resolved by distinguishing the ‘natural virtue’ and ‘virtue in the strict sense’. 덕의 통일성을 견지하면서도 덕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하나의 방안을 찾아볼 것이다. Ⅱ장에서는. 나치 병사의 용감함이 덕일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통해 덕의 통일성을 주장하는 것이 어떤 난관에 봉착하게 되는지를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Ⅲ장에서는 덕의 통일성의 조건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덕의 통일성의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덕의 통일성에 대한 존재론적 관점, 의미론적 관점, 그리고 이론적 관점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 세 관점 중 이론적 관점의 덕의 통일성 조건이 가장 합당하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Ⅳ장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덕의 통일성이 실천적 지혜와 특별한 관련이 있으며, 그래서 덕의 통일성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 해당한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Ⅴ장에서는, 결론으로, 덕의 통일성에서 생겨나는 혼란과 어려움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자연적 덕’과 ‘엄밀한 의미의 덕’을 구분하지 못한 것에서 생겨나는 문제라는 것을 논구할 것이다.

      • KCI등재

        덕 인식론의 관점에서 본 지(智)와 지각(知覺)의 문제: 성리학에서 지적인 덕에 관한 두 입장의 현대적 해석

        김우형 ( Woo Hyung Ki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5 No.-

        이 논문은 현대 인식론의 한 경향이라 할 덕 인식론(virtue epistemology)의 관점에서 성리학의 지(智)와 지각(知覺)에 관한 전통적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전체적인 양상과 성격, 그리고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자 한다. 지적인 덕(intellectual virtue)에 관한 견해에 있어 덕 인식론이 대체로 두 진영으로 나뉘는 것처럼, 유가철학사도 지각 기능이나 능력을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과 지각과는 차별되는 지를 지적인 덕으로 간주하는 입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주희는 이 두 입장을 종합했지만, 궁극적으로 그는 지를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에 귀착된다. 조선에 이르러 이황은 지각론적 내재론의 입장에서 지를 지적인 덕으로 보았던 반면, 이이는 지각론적 외재론의 입장에서 지각 기능을 지적인 덕으로 보았다. 조선후기에는 내재론과 외재론이 상호작용하면서 서로의 입장 일부를 승인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김창협은 외재론과 내재론의 절충을 모색하였으나, 궁극적으로 지각 능력을 지적인 덕으로 보는 입장을 강화시켰다. 반면, 이익은 외재론의 자연주의적 경향을 일부 수용하였으나, 지를 지적인 덕으로 간주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와 지각에 관한 두 입장은 조선후기로 갈수록 덕 인식론적 성격과 경향을 점점 더 많이 띠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성리학의 지와 지각에 관한 견해들을 현대 덕 인식론과 비교 고찰함으로써 지적인 덕에 관한 더 많은 이해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will shed light on the whole phases,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raditional discussions on ji (智) and jigak (知覺) in the Seongnihak (性理學)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pistemology (VE hereafter), which is a trend of contemporary epistemology. As VE is divided into two positions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tellectual virtue, we can understand the history of Confucian philosophy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following two standpoints: the one sees jigak (cognitive abilities) as intellectual virtue but the other sees ji (wisdom) as intellectual virtue. Although Zhu Xi (朱熹, 1130-1200) integrated these two positions, he was in favor of the latter and deepened it. In the Korean Neo-Confuciansm, Yi Hwang (李滉, 1501-1570) regarded ji as intellectual virtue from the internalist standpoint, whereas Yi I (李珥, 1536-1584) as the defender of externalism thought that jigak actually corresponded to the intellectual virtue. In the late Joseon (朝鮮) dynasty, internalists and externalists started to admit part of each other`s view existing in interactions between them. Kim Changhyup (金昌協, 1651-1708) pursued the compromise between internalism and externalism, but in the long run he strengthened the position to regard jigak as intellectual virtue. In contrast, Yi Ik (李瀷, 1681-1763) clarified his own standpoint to regard ji as intellectual virtue while accepting a portion of naturalistic inclination of externalism. These two positions concerning ji and jigak tended to show more and more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VE as time went on toward the late Joseon. Therefore, we can understand much more about intellectual virtue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VE and the doctrines of ji and jigak in the Seongnihak.

      • KCI등재

        덕은 하나인가(Ⅱ): 플라톤의 소망

        박상철 한국도덕교육학회 2022 道德敎育硏究 Vol.34 No.4

        The proposition ‘one virtue is on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key pillars of Socrates’ ethics or moral education theory. G. Vlastos, the eminent scholar on Plato, noting that the meaning of this proposition is unclear, offers a new view of interpreting it, on the basis of the concept ‘Pauline predication’. According to that point of view, the meaning of the proposition is that a person possessing certain virtues also possesses other virtues, and in that sense ‘the virtue is one’. However, this view is not helpful in understanding Socrates' ethics or moral education theory, because it excludes the problem of educability of virtue,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on the problem of unity of virtue. The problem of unity of virtue is fairly understood by revea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blem of educability of virtue and that of the unity of virtues. And an important clue can be found in the concept of ‘form of good’. The ‘form of good’ exists in the realm of God and the realm of hope, and in order to properly carry out such-and-such virtue education, before such kinds of education is carried, it is necessary to acquire knowledge of 'form of good' that makes them all meaningful. ‘덕은 하나’라는 명제는 소크라테스의 윤리학 또는 도덕교육 이론을 구축하는 핵심 기둥 중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플라톤 연구가인 블라스토스는 이 명제의 의미가 불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바울의 서술어’라는 독특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여 그것을 해석하는 한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 관점에 의하면, ‘덕은 하나’라는 명제는 어떤 덕을 갖춘 사람은 다른 덕 또한 갖춘 사람이며, 그 점에서 ‘덕은 하나’이다. 그러나 블라스토스의 이 관점은, 덕의 단일성 문제에 대한 논의의 배경인 덕의 교육 가능성 문제를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명제를 둘러싼 소크라테스의 윤리학 또는 도덕교육 이론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덕의 단일성 문제는 덕의 교육 가능성 문제의 관련을 밝힘으로써 드러나며, 그 중요한 단서는 ‘선의 형식’이라는 개념에서 찾을 수 있다. ‘선의 형식’은 신의 영역, 소망의 영역에 존재하며, 이런저런 덕들에 대한 교육이 올바르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그 전에’ 그것들 전체를 의미 있게 만들어 주는 것, 즉 ‘선의 형식’에 대한 지식을 획득해야 한다.

      • KCI등재

        덕과 아레테

        이호찬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1

        ‘Virtue’ in modern virtue ethics is conceptually related to ‘arete’ in ancient Greek philosophy as virtue ethics is often called the revival of Greek ethics. However more exactly, virtue that virtue ethicists insist is not arete of Socrates-Plato’s ethics but that of Aristotle’s. In fact, Aristotle’s ethics is not compatible with Socrates-Plato’s. Plato’s ethics is based on two fundamental elements: the proposition that ‘arete is knowledge’ and the theory of ‘the Idea of Good’. Aristotle, on the other hand, criticizes them and suggests the concepts of ‘moral ethics’ and ‘phronesis’(practical wisdom) as his core elements of ethics. Virtue ethicists principally depend on the concept of arete from Aristotle’s ethics; thu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concept of virtue in virtue ethics is different from the arete of Socrates-Plato’s ethics. But in ancient Greece, Socrates and Plato evoked the interest in morality and ethics, and systematized it as a theory. In spite of modern virtue ethicists’ reference to Aristotle’s concept of arete, Socrates-Plato’s concept may present a viable alternative to their concept of virtue. 현대 덕윤리학이 희랍 윤리학의 부활이라고 일컬어지듯이 덕윤리학의 ‘덕’(virtue)은 희랍 윤리학의 ‘아레테’(arete)와 개념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덕윤리학이 주장하는 ‘덕’은 소크라테스-플라톤 윤리학에서의 아레테 개념이 아닌,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의 아레테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관점은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윤리학적 관점과는 화해할 수 없는 관계에 놓여있다. 그도 그럴 것이, 플라톤의 윤리학은 ‘아레테(덕)는 지식이다’라는 명제와 ‘선의 이데아’ 이론을 핵심 요소로 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두 요소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성품의 덕’과 ‘실천적 지혜’를 윤리학의 핵심요소로 삼는다. 덕윤리학의 덕의 개념이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존하는 한, 그것은 플라톤적 의미의 덕의 개념과는 다를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희랍철학에서 윤리학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하나의 사상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바로 소크라테스-플라톤이었다.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중요성은 윤리학적 관심을 촉발한 것 이상으로 독보적인 윤리학 체계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있으며, 그들의 윤리학 체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는 명백히 상이한 관점을 보인다.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윤리학 체계에 들어있는 아레테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주로 의존하는 현대 덕윤리학에 대하여 대안적인 덕 개념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덕 윤리학을 위한 덕 개념 고찰

        장동익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0 No.1

        For more complete form of virtue ethics, definitions and explains about the virtue should be made of enough and obviously. Until now, discourses about virtue in ethics be made of two type. First type, duty rule is a primary conception, from which virtue conception be derived. Second type, virtue conception should take central position in ethics and position and function of moral rul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virtue conception. If we hope to have a virtue ethics which we can understand as the obvious, we should have a concept of virtue which, on one hand, in point of view on pure virtue ethics, can explain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virtue and, on other hand, in point of view on duty ethics,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ion of duty and obligation. So I tri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virtue and here this thesis is discussed on four type, "the perspective of duty ethics." the perspective of consequentialism, the perspective of Teleology, the perspective of common sense morality. 완성된 형태의 덕 윤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덕에 대한 정의와 해명이 충분하고 분명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그동안 윤리학 내에서 덕에 대한 논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첫째, 의무 규칙이 윤리적 삶의 일차적 개념이며, 덕은 이들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며, 둘째, 덕이 윤리학 내에서 중심자리를 차지해야 하며, 규칙의 권위와 기능은 오직 덕을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덕 윤리에 소극적 기능만을 유지하는 입장이든, 적극적인 기능을 인정하여 덕 윤리만으로 윤리 영역 전체를 해명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든, 무엇이 덕이며, 이러한 덕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해명이 있어야만 한다. 덕 윤리의 온전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윤리적인 덕의 주된 특징이 무엇인지에 관한 해명이 있어야 하며, 의무 윤리를 핵심적인 축으로 삼고, 덕 윤리를 보조적인 입장으로 받아들이려는 입장은 의무나 책무 개념과 잘 부합할 수 있는 덕 개념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덕 개념이 의무나 책무의 윤리 이론 내에서 잘 작동할 것이라는 해명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이러한 일환으로 덕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해명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덕 개념에 대한 입장을 세분하여 의무론적 관점, 결과론적 관점, 목적론적 관점, 또는 상식적 관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 덕 윤리의 현대적 이해와 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박찬호(Park, Chanh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0 No.-

        인간적 행위의 윤리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은 각각의 윤리적 입장에 따라 다르다. 그 기준은 행위가 쾌락을 가져오는지 여부일 수도 있고, 행위의 목적이나 결과가 유익한지 여부일 수도 있고, 규범에 일치하거나 행위 자체가 갖는 당위성에 부합하는지 여부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판단의 기준이 무엇인지에 따라 동일한 행동이라도 상반되는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날로 복잡해지는 현 시대에 이들 중 그 어떤 입장도 극도의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만한 답을 주지는 못한다. 이러한 현대의 상황에서 다시금 주목을 받는 윤리학의 입장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덕 윤리이다. 고대 그리스 철학을 모태로 하는 덕 윤리는 행위 자체가 아닌 행위자에 주목하여, 좋은 삶을 이루는 품성상태인 덕을 갖춘 인격의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곧 인간 외적인 가치들을 윤리성의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궁극 목적인 행복과 직결되는 내적 특질인 덕을 수련함으로써 그 어떤 상황에서도 덕에 따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인격의 완성이 덕 윤리의 핵심이다. 이러한 덕 윤리의 입장은 율법이 아닌 사랑을, 안식일법이 아닌 사람을 중심에 세운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도 일맥상통한다. Es gibt verschiedene ethische Positionen, die die Moralität einer Handlung nach ihren eigenen Maßstäben bestimmen. Ein Maßstab ist, ob die Handlung Lust oder Leiden bringt. Ein einderer Maßstab ist das Ziel bzw. die Folgen der Handlung. Wieder ein anderer liegt darin, ob die Handlung den Normen entpricht. Deshalb kann es vorkommen, dass die gleiche Handlung nach jeweiligen Positionen moralisch unterschieldlich beurteilt wird. Keine davon scheint aber in der äußersten Konfliktsituation eine eindeutige Antwort zu geben, die alle zu befriedigen vermag. Seit einiger Zeit hat man wiederum das Augenmerk auf eine ethische Position gerichtet, die Tugendethik heißt. Die Tugendethik, die ihren Ursprung in der antiken griechischen Philosophie hat, konzentriert sich nicht auf die Handlung selbst, sondern auf die handelnde Person, und zielt darauf, eine tugendhafte Person auszubilden, die in der beliebigen Situation nach Tugenden handeln kann. Das heißt, der Maßstab der Tugendethik ist nicht irgendein Wert außerhalb der Person, sondern die Person selbst. In diesem Sinne hat Tugendethik etwas Gemeinsames mit der Lehre Jesu, der nicht das Gesetz sondern die Liebe, nicht den Sabbat sondern den Menschen in die Mitte gestellt 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