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등덕유산향적봉기」(登德裕山香積峯記) 연구 - 산지적(山誌的) 성격을 중심으로 -

        유정열(Yu, Jeong-yeol)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동서인문학 Vol.0 No.60

        본고는 덕유산(德裕山)을 본격적으로 조명한 첫 시문으로 추정되는 임훈(林薰)의 「등덕유산향적봉기」(登德裕山香積峯記)를 고찰했다. 덕유산 인근의 안음현(安陰縣) 갈천동(葛川洞) 출신이자 산수 취미를 갖고 있던 임훈은 젊은 시절 덕유산의 사찰들에 머무른 인연으로 인해 불영봉(佛影峯)과 황봉(黃峯)을 유람한 바 있었다. 주봉인 향적봉(香積峯)도 유람하고 싶은 열망을 품고 있었으나 특별한 계기가 없었던 탓에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그는 낙향해 있던 1552년 가을 더 이상 늦추다가는 그 열망을 이룰 수 없다는 생각 아래 향적봉 유람을 감행했다. 이 유람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이 「등덕유산향적봉기」이다. 「등덕유산향적봉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는 덕유산 관련 정보를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불교 유적, 식생, 지명 유래, 지리 등에 대한 정보가 그것이다. 그중 덕유산 지리 정보를 제시한 것이 백미이다. 임훈은 향적봉에 올라 주변을 조망한 부분에서 김종직(金宗直)이 「유두류록」(遊頭流錄)에서 사용한 체계, 즉 내부 정보와 외부 정보를 교직하는 방식을 끌어와 덕유산의 다양한 지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한편 거기서 그치지 않고 구체성을 더하는 방식 등을 활용해 기존 체계의 부족한 점을 보완함으로써 「유두류록」보다 한층 섬세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지리 정보를 제시하려 노력하기도 했다. 그 지리 정보는 신경준(申景濬)의 「산수고」(山水考)와 성해응(成海應)의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 같은 후대 문인들의 저술한 산지(山誌)에 수용되기도 했다. 이는 「등덕유산향적봉기」가 후대 문인들에게 덕유산 관련 긴요한 정보를 수록한 작품으로서 인정받은 사실을 증명해 준다. This paper considers Im Hoon’s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hich is supposed to be the first literature to illuminate Deogyusan fully. Im Hoon, a native of Galcheondong in Aneumhyeon near Deogyusan, possessed the beauty of mountains, traveled to Bulyeongbong and Hwangbong due to his relationship in the temples of Deogyusan before. Hyangjeokbong, which is the highest peak, also had a desire to tour, but the tour could not do it due to the lack of opportunity. In the fall of 1552, when he went down into the country, he went on a tour of Hyangjeokbong, thinking that he could no longer achieve his aspirations. The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as created based on this excursion experience.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e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is that it contains much information related to Deogyusan.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Buddhist relics, vegetation, the origin of the name of a place, and geography. The geographic information of Deogyusan was the highlight. From the part where Im Hoon climbed Hyangjeokbong and surveyed the mountain, he systematically presented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of Deogyusan by pulling intersecting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that is Kim Jongjik used in ‘Youduryurok.’ It also tried to present geographic information more delicately and systematically than ‘Youduryurok’ by improving the existing system’s weaknesses by adding concreteness. Besides, Sanji accepted the geographic information written by later writers, such as ‘Sansugo’ by Shin Kyungjun and ‘Donggukmyungsangi’ by Sung Haeeung. It proves that “Deungdeokyusanhyangjeokbongki” was recognized as a work that contained vital information related to Deungyusan to future literary people.

      • KCI등재

        남덕유산의 식물상

        이동혁,진동필,이정현,최인수,최병희 한국식물분류학회 2013 식물 분류학회지 Vol.43 No.1

        We investigated the flora of Mt. Namdeogyu, southern regions of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April of 2011 to September of 2012.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summarized as 507 taxa, including 102 families, 296 genera, 444 species, 8 subspecies, 49 varieties, 6 forms. Among the recorded taxa, Korean endemic plants were 9 species and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ere 80 taxa including 3 taxa in grade V, 3 taxa in grade IV, 19 taxa in grade III category.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5 taxa comprising 1 endangered species (EN) of Rhododendron tschonoskii, 5 taxa of vulnerable (VU) such as Cynanchum inamoenum, Lilium cernuum, Gastrodia elata, Bupleurum euphorbioides, Paeonia japonica, and 9 least concerned (LC). In addition, the subalpine plants of the region were summarized as 24 taxa, and Mt. Deogyu area inclunding the Mt. Namdeogyu was suggested as the north most limits line of the distribution for 2 taxa, Abies koreana and Rhododendron tschonoskii, and as the south most limit of the distribution for Bupleurum euphorbioides. 덕유산국립공원 남부에 위치한 남덕유산일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현지조사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19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남덕유산지역의 관속식물은 102과 296속 444종 8아종 49변종 6품종 507분류군이었다. 이중에서 한국특산식물은 9종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3분류군, IV등급 3분류군, III등급 19분류군 등 총 8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에 흰참꽃 1종, 취약종(VU)에 선백미꽃, 솔나리, 천마, 등대시호, 백작약 등 5분류군, 약관심종(LC)에 9분류군 등 총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남덕유산에 자생하는 아고산식물은 2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구상나무와 흰참꽃은 남덕유산을 포함한 덕유산지역이 분포의 최북단이고, 등대시호는 분포의 최남단이었다.

      • KCI등재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추갑철 한국환경생태학회 200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14 No.1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 지형경관 자원의 평가 및 공원 관리 방안

        신재열,류희경,홍영민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1

        This study reports on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with high preservation value in Deogyusan National Park.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s the risk zone of the trail and suggests a suitable and useful management plans for the par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k area frequently underwent rockslide, has many rocky slopes and frequently damaged trails due to winter exploration activiti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atus of potential risk zone and construct the database, and establish a long-term management plan.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unmanned crackdown systems and spatial analysis are requir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 park areas. It is expected that the supply and installation of useful facilities, such as smart safety shelters and emergency boxes, are necessary for safety.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내 보전 가치가 높은 지형경관 자원의 분포 및 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나아가 이러한 공원 특성에 적합하고 유용한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우수한 지형경관 자원의 분포는 주요 탐방로 주변으로 밀집해 분포한다는 점에서 탐방로 위험 구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관리 방안 도출에 반영하였다. 덕유산국립공원 일원은 사면 물질의 발생과 낙하가 빈번히 발생하며 암설 사면을 이루는 곳이 많으며, 겨울철 탐방 활동에 따른 설식도 빈번하여 안전 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탐방로 내 잠재적 위험 구간을 대상으로 현황 파악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며, 장기적 관리 계획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넓은 공원 구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무인 항공기 및 무인 계도 시스템 도입과 안전 사고 발생 시 유용한 시설물의 확대 설치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덕유산 국립공원내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보전실태

        임경빈,김용식,전승훈,김선희,김휘 한국환경생태학회 199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7 No.2

        덕유산 국립공원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답사하여 그 생육상황을 조사하였으며, 복수초 군락 등 16종류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는 분류결과와 최근에 작성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기준에 따라 재분류를 시도하였다. 본 조사에서 검토된 식물 종은 복수초 군락,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왕괴불나무, 금강애기나리, 누른종덩굴, 백작약, 개불알꽃,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한라부추, 솔나리 및 감자난 등 모두 16종류였다. 이들을 I.U.C.N.의 S.S.C.에서 마련 중인 회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재평가한 바 Endangered (E)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너도바람꽃, 구상나무, 주목, 뻐꾹나리, 백작약, 노각나무, 흰참꽃, 등대시호, 솔나리 및 감자난 등 10종이, Critical (C)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왕괴불나무, 누른종덩굴, 개불알꽃, 한라부추 등 4종이, Vulnerable (V)에 해당하는 종으로는 복수초와 금강애기나리 등 2종이었다. 상기의 구분은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분류되어 알려져 있는 구분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식물종들의 관리보전계획을 위해 앞으로 더욱 검토, 보완되어야 하리라 판단된다. 덕유산 국립공원내에 생육하고 있는 보전대상 특정식물은 주로 등산로변이나 개발계획지 등지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앞으로 더욱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resent conservation status on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Tokyusan National Park were surveyed and re-evaluated by the new criteria which prepared by I.U.C.N. The species such as Lonicera vidalii, Clematis chiisanensis, Cypripedium macranthum and Allium taquetii were grouped as Critical, Eranthis stellata, Abies koreana, Taxus cuspidata, Tricyrtis dilatata, Paeonia japonaca, Stewartia koreana, Rhododendron tschnoskii, Buplerum euphorbioides, Lilium cernum and Oreorchis patens were grouped as Endangered, Adonis amurenis and Disporum ovale were grouped as Vulnerable. The above mentioned species were mainly located at the vicinity of mountain trails and projected developing sites. The potentials for the habitat destructions, mainly, due to human activities are expected to be serious in the future unless the proper management plans prepared for the specific plants and the specific habitats.

      • KCI등재

        덕유산국립공원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윤승운 ( Seung Woon Yun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2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덕유산국립공원 내 13개 지점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한 결과 총 8과 21종 8,716개체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연도별 개체수는 각각 17종, 2,280개체, 17종 1,579개체, 17종 1,905개체, 17종 1,384개체, 15종, 1,568개체였다. 한국 고유종은 참종개 (Iksookimia koreensis),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등 13종이 있었다. 원당천에서만 2종의 보호종이 확인되었는데, 2015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천연기념물인 어름치(Hemibarbus mylodon)가 확인되었으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어류인 감돌고기 (Pseudopungtungia nigra)는 매년 꾸준히 관찰되었다. 외래종으로는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와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2종이 구천동천에서 확인되었다. 우점종은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 아우점종 참갈겨니 (Zacco koreanus)로써 연도별 변화는 없었다. 덕유산국립공원의 어류 군집 구조는 조사 지점과 연도에 따라 달랐는데, 하천형태가 Aa 형인 상류에 위치한 조사시점 대부분은 군집분석 결과가 좋지 않은 반면 Bb 형을 포함한 중상류 지점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분석결과 원당천에 위치한 조사지점들이 가장 높은 다양성과 안정적인 군집구조를 보여주었다. 지점별 유사도 분석 결과는 지점 간 거리보다는 서식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덕유산국립공원의 깃대종인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는 조사기간 동안 구천동천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기존 연구와 비교한 결과 12종이 확인된 2004년 조사에 비해서 종수는 증가하였으나, 22종이 채집된 2009년 조사에 비해서는 감소하였다. Fauna of freshwater fish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13 sites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4 to 2018.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8 families, 21 species, and 8,716 individuals of fishes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fish collected over the past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were 17 species and 2,280 individuals, 17 species and 1,579 individuals, 17 species 1,905 individuals, 17 species and 1,384 individuals, and 15 species and 1,568 individuals, respectively. There were 13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Iksookimia koreensis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etc. Only in Wondangcheon Stream, two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and Hemibarbus mylodon was collected continuously except in 2015, and Pseudopungtungia nigra was observed every year. And two exotic species such as Oncorhynchus masou masou and Oncorhynchus mykiss occurred in Gucheongdongcheon Stream sites. The 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oxycephalu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year.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of Deogyusan National Park was varied depending on the sites and the year. Most of the survey sites located upper stream where the river structure is Aa river type showed poor community analysis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upper-mid stream sites including the Bb type showed better results. As a result, the Wondangcheon Stream sites had the most diverse and stable community structure. Similarity dendrogram was divided into 4 groups, main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The flagship species of the Deogyusan National Park, Rhynchocypris kumgangensis, was constantly observ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Compared to the previous survey, the number of species increased from 2004 (12 species) and decreased from 2009 (22 spec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덕유산국립공원 광릉요강꽃 군락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서은경(Eun-Kyoung Seo),차회찬(Hoe-chan Cha),김영석(Young-Seok Kim),이사현(Sa-Hyun Lee),장정재(Jeong-Jae Ja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4

        광릉요강꽃 군락지 7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26일부터 2011년 5월 27일까지 5차에 걸쳐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총 56과 87속 83종 1아종 22변종 7품종 등 총 113분류군으로 확인 되었다. 층위별우점종 분석결과, 교목층의 경우 고로쇠나무, 층층나무(1번 조사구), 산벚나무, 들메나무(2번 조사구), 고로쇠나무(3번·6번 조사구), 들메나무(4번·5번 조사구), 층층나무(7번 조사구)나타났다. 관목층의 우점종은 박쥐나무, 작살나무(1번 조사구), 들메나무, 함박꽃나무(2번 조사구), 들메나무(3번 조사구), 물참대(4번 조사구), 박쥐나무(5번 조사구), 고추나무(6번 조사구), 병꽃나무(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초본층의 우점종은 조릿대, 관중, 산수국(1번 조사구), 조릿대, 관중(2번 조사구), 관중(3번·5번 조사구), 조릿대(4번·6번·7번 조사구)로 나타났다. 7개 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종은 관중, 십자고사리, 퉁둥굴레, 백작약, 생강나무, 고로쇠나무, 다래, 박쥐나무, 들메나무로 9종임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II급 3종, II급 2종, I급 5종으로 나타났다. On the subject of seven areas of Cypripedium japonicum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to the Vascular plants in five times from the 26th of July, 2008 to 27th of May, 2011. Vascular plants of investigated regions were composed of 56 families, 87 genera, 83 species, 1 subspecies, 22 varieties, and 7 forms, totally 113 taxa.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 were Acer pictum subsp. monoi·Cornus controversa (plot 1), Prunus sargentii·Fraxinus mandshurica (plot 2), Acer pictum subsp. monoi (plot 3·6), Fraxinus mandshurica(plot 4·5), Cornus controversa(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shrub layer were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Callicarpa japonica(plot 1), Fraxinus mandshurica·Magnolia sieboldii(plot 2), Fraxinus mandshurica(plot 3), Deutzia glabrata(plot 4),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plot 5), Staphylea bumalda(plot 6), Weigela subsessilis(plot 7). The dominant species of herbage layer were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Hydrangea macrophylla var. acuminata(plot 1), Sasa borealis·Dryopteris crassirhizoma(plot 2), Dryopteris crassirhizoma(plot3·5), Sasa borealis(plot 4·6·7). The common vegetation of seven area were nine species Dryopteris crassirhizoma, Polystichum tripteron, Polygonatum inflatum, Paeoni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Blume var. obtusiloba, Acer pictum subsp. mono, Actinidia arguta,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Fraxinus mandshurica. Degree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were III degree 3 species, II degree 2 species, I degree 5 spec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