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마이클 더밋의 철학과 실재론-반실재론의 분류

        이윤일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81 No.-

        Michael Dummett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ritish philosophers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Dummett’s main philosophical project is to demonstrate that theory of meaning can provide a definitive resolution of metaphysical debates, for example, the debate between realism(scientific realism, platonism in mathematics, etc.) and anti-realism(phenomenalism, intuitionism in mathematics, etc.). In his former philosophy, he thought that metaphysical debates were properly understood as debates about logical laws. So he equated acceptance of bivalence principle with realism, and the denial of bivalence with anti-realism. His global anti-realism insists that the meaning of sentence is tied directly to what we count as evidence for it. But in his later philosophy, the denial of bivalence brings with it only a very attenuated form of anti-realism. So. the classification of realism and antirealism is subdivided into 4 category as follows. 1.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 plus a reductive thesis = sophisticated realism. 2. A realist view of some class of statements which are non-reductive class(bare true) = naive realism. 3. Anti-realism that is the result of some reductive thesis = reductive anti-realism. 4. Anti-realism which is non-reductive = outright anti-realism. We can see that for this classification, he used the ‘reductionism’ as a principle of division. In this essay, I claim that we should not value Dummett’s philosophy a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Rather, we should see his work for the way in which it maps the semantic area, explor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various theories of meaning. For this purpose, I will summarize a forming trace of his philosophy first, and then investigate his later major book mainly, The Logical Basis of Metaphysics. According to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all the metaphysical issues turn on questions about the correct meaning theory for our language. So, we should investigate how our language actually functions, and how we can construct a workable systematic description of how it functions. The answers to metaphysical questions will determine the answers to the metaphysical ones. Therefore, the questions which Dummett raised about the correct theory of meaning for our language are questions about what exists. In this aspect, I will evaluate him as a renewer of metaphysics in post-analytic philosophy. And I hope that in Korean philosophical academy society, the incorrect thinking that Dummett is an advocate of global anti-realism will be changed. 마이클 더밋은 20 세기 후반 영국의 분석철학을 대표하는 탁월한 철학자였다. 지금까지 우리 학계에서 더밋은 도널드 데이비슨의 진리조건적 의미 이론에 맞서 검증주의적 의미 이론(verificationistic theory of meaning)을 제창하고, 이런 의미 이론을 바탕으로 반실재론(anti-realism)이라는 형이상학적 입장을 정립한 인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후 더밋은 자신의 전기 철학 중 일부 내용을 수정하거나 포기하고, 자신을 전반적 반실재론자라고 보는 상식적 평가에 대해 재고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그의 사상적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글로는 1982년에 쓴 논문 ‘실재론’과 1991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형이상학의 논리적 기초』가 있다. 특히 이 책은 이전까지의 더밋 철학의 전반적 면모를 가장 잘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목부터가 의미심장한 함축을 담고 있다. 후기 분석 철학의 전개 과정에서 형이상학의 갱생을 이처럼 노골적으로 알리는 책 제목은 없었던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후기 더밋 철학의 이런 변화가 아직 우리 학계에서 검토된 일이 없으므로, 그 방향 전환에 대해 소개하고, 그 전환에 따라 실재론, 반실재론이라는 형이상학적 개념이 더밋의 후기 철학 내에서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 결과 논자는 후기 더밋 철학에서의 실재론-반실재론 지도가 전기 철학에서와는 다른 모습으로 그려졌다는 것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후기에 가서 더밋은 자신을 어떤 특수한 종류의 반실재론을 옹호하는 자로서 보아주기보다는, 다양한 의미 이론의 강점과 약점을 탐구하면서 그 바탕 위에서 여러 형이상학적 입장의 수용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에 종사하는 자로서 보아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기 철학에서의 이가 원리의 부정과 반실재론 간의 긴밀한 연관은 후기에 갈수록 느슨해 졌으며, 실재론-반실재론이라는 각박한 이분법에서 벗어나 각 형이상학적 입장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실재론적이거나 덜 실재론적인(또는 더 반실재론적이거나 덜 반실재론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분류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논자는 그간 우리 학계에서 발표된 더밋 철학에 관한 논문들에서, 더밋을 마냥 반실재론만을 옹호하는 철학자라고 규정했던 상식적 평가도 재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 KCI등재

        의사소통과 규약 : 데이빗슨과 더밋

        이상룡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2 No.-

        데이빗슨은 언어적 규약이 없어도 의사소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공유를 함축하는 것이라면 그런 언어는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더밋은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본다. 그리고 규약의 공유가 있어야 규칙을 따르는 것과 규칙을 따른다고 생각하는 것의 차이점이 무엇인가라는 비트겐슈타인의 질문에 답할 수 있다고 본다. 데이빗슨과 더밋은 둘 다 언어적 행위가 필연적으로 사회적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한 사람 이상이 없이는 언어와 같은 것은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또는 오직 어떤 한 사람이 오직 한 번 어떤 하나의 규칙을 따랐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비트겐슈타인의 주장에 동의한다. 이들이 갈라지는 곳은 사회적 환경이 그 본질적 기여를 만드는 방식에 대한 생각에서다. 더밋은 규약이 사회적 실천을 구성하는 것이고, 규약의 역할을 거부하는 것은 언어가 이런 의미에서 실천임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데이빗슨은 규약이 언어의 조건인 것이 아니라 언어가 규약의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실천이 공유되어야 할 어떠한 근본적인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규칙 따르기 논증에서 비트겐슈타인이 보여준 결정적 통찰은 규칙 따르기의 사회적 성격이 규칙이 아니라 따르기에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규칙은 규칙 따르기라는 사회적 상호 관계의 맥락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것이다.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화자와 해석자 사이에는 일치하는 부분이 먼저 있어야 한다. 그 일치하는 부분을 더밋은 규약이라 부르는데, 그것은 규칙으로 환원하기 어렵다. 오히려 비트겐슈타인을 따라 '삶의 형태'의 일치라 불러야 할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규약이 본질적이라 주장하는 더밋은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통찰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either necessary nor sufficient for successful linguistic communication, in addition that if language is taken to imply shared conventions, there is no such a thing as a language. But Dummett thinks that if we want to communicate, we should use words in their socially accepted way. And he thinks that only a shared practice can give an answer to Wittgenstein's question what distinguishes following a rule from merely thinking one is following a rule. Davidson and Dummett both insist that verbal behavior is necessarily social. They see that there couldn't be anything like a language without more than one person. They even agree on the underlying reason, namely Wittgenstein's, that it is not possible that there should have been only one occasion on which someone obeyed a rule. Where they part company is in how they think the social environment makes its essential contribution. Dummett argues that conventions are what constitutes a social practice, and to repudiate the role of conventions is to deny that a language is in this sense a practice. On the other hand Davidson argues that convention is not a condition of language but language is a condition for having convention. That is to say there is no fundamental reason why practices must be shared. A crucial observation in discussion of following rules made by Wittgenstein is that the social nature of following rules should be discovered from the following and not rule oneself. The rule exists only in connection inside of the social correlation which is an observance of rule. In order to communicate there should be a portion which agrees between the speakers and listeners. Dummett calls the agreement convention, but it is hard to reduce the convention to rules. Rather, according to Wittgenstein, it will have to call agreement of 'form of life'. Dummett who insists that convention is essential in communication does not fully grasp these Wittgenstein's insights.

      • KCI우수등재

        실재론적 의미론의 옹호 가능성 문제

        서원주(Wonjoo Seo)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8 No.-

        본고에서 논의의 초점은 의미론적 실재론에 대한 가장 강력한 도전으로 여겨지는 더밋(M. Dummett)의 반실재론에 놓인다. 주지하다시피 더밋은 이전까지 형이상학의 고유 문제였던 실재론/반실재론 논제를 의미 이론의 중심 문제와 명시적으로 연결시키면서, 오늘날 실재론자가 된다는 것은 특정한 주제에 관한 진술들의 집합에 대해서 실재론자가 되는 것이고, 이는 차례로 우리가 문제되는 진술들을 참이나 거짓으로 만드는 조건들을 알 경우에만 그 진술들을 이해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라고 규정했다. 바로 이런 식으로 기술된 실재론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반대자로서 그의 실재론에 대한 공격의 핵심은 소위 실재론적 의미론에 대한 비판으로, 실재론적 의미론은 인식 초월적(recognition-transcendent) 진리 조건을 (적어도 어떤) 문장들의 의미로 할당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그에게 있어서 의미 이론(theory of meaning)은 주어진 언어에 대한 화자의 이해 이론(theory of understanding)으로, 어떤 의미 이론이 작용 가능한 것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화자의 인식 능력에 대해 불가능한 요구를 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서 더밋은 독특한 언어적 지식 개념에 호소하면서, 이러한 언어적 지식이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화자가 적합하게 가지고 있다고 주장될 수 있는 좀더 실천적인 어떤 능력에 기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실재론에 대한 그의 비판은 실재론자가 인식 초월과 진리 조건의 파악을 암시하는 것으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다는 것인데, 본고에서는 더밋과 그의 추종자들 스스로가 제시하고 있는 의미론적 지식에 대한 좀더 적극적인 성격 규정이 실재론적 의미론을 옹호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고 논증될 것이다.

      • KCI등재

        프레게에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

        김영진(Young-jin Kiem)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4 No.-

        언어적 기호가 지시하도록 의도되는 사물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언어적 기호는 과연 유의미한가? 만일 그렇다면 그 같은 유의미성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는 프레게가 그의 고전적인 1892년 논문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에서 다루는 문제들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프레게가 그 문제를 풀기 위하여 언어적 기호의 뜻(Sinn)과 지시체(Bedeutung)를 구분하고 언어적 기호는 그것이 지칭하는 지시체를 결하더라도 어떤 뜻을 소유함을 통해 그 유의미성을 확보한다는 입장을 개진했다고 종종 듣는다. 이것이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이른바 더밋 류의 고전적인 프레게 해석이다. 그런데 비교적 근래에 새롭게 제시되었지만 적지 않은 영향력을 끼치는 에반스의 해석에 따르면, 지시체가 없는 표현에 뜻을 귀속시킬 수 있는 이론적 근거의 여지가 프레게 의미론의 틀속에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이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더 타당할까?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관한 프레게의 확정적이고 최종적인 입장은 무엇일까? 이 물음들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간주해 온 것과는 사뭇 달리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실제 입장이 상당히 애매하며 그리고 바로 그 애매성이 그 문제에 대한 더밋과 에반스의 상호 모순적인 해석에 나름대로의 타당성을 각각 제공하기에 프레게의 입장은 어떤 형태의 이론적인 수정 내지 관점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주장이 어떻게 성립하는지를 밝히면서, 지시체 없는 뜻의 문제에 대한 프레게의 난점이 어떤 방식에서 보다 더 적절하게 해결될 수 있는지를 언어의 지향성과 정신의 지향성 사이의 병행성과 그 특징을 해명함으로써 제시한다. Could the linguistic signs that do not have any referents in the world be meaningful? If so, how is such meaningfulness possible? This is one of the main issues that Frege dealt with in the classical 1892 paper 'On Sense and Reference'. We are often told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Freg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linguistic sign, and provided the view that even if a linguistic expression lacks a referent, it can in principle be meaningful by way of having a sense (or senses) associated with that expression. This is the classical interpretation of Frege's semantics suggested by Dummett and his followers.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cent new interpretation made by Evans, in Frege's semantics there is no real theoretical room for ascribing a sense (or senses) to the expression that lacks a referent. Between those two interpretations of Frege's semantics, which is correct? What could be Frege's ultimate solution for the puzzle about sense without reference?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Frege's real position concerning the philosophical issue is, in fact, quite ambiguous, and that since the ambiguity seems to bring about the two opposing interpretations in question, Frege's stance on the issue requires some theoretical modifications or a change of view. The author, while trying to make the claim clear, suggests how to overcome Frege's ambiguity about the problem of sense without reference, chiefly by means of clarifying the parallelism between the intentionality of language and that of the mind.

      • KCI등재

        배중률을 둘러싼 구성주의의 두 입장 비교

        오채환,강옥기,이상욱,Oh, Chae-Hwan,Kang, Ok-Ki,Ree, Sang-Wook 한국수학사학회 2011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4 No.4

        20세기 초반에 등장한 수학기초론의 주류 세 학파 (직관주의 논리주의 형식주의)는 상호 대립관계를 보인다. 큰 틀에서 볼 때, 논리주의는 프레게를 계승하는 입장이다. 이와 대립관계의 기초론 중 하나인 직관주의는 구성주의 수학철학의 주축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직관주의가 터를 닦은 구성주의 수학철학을 후속 개진시킨 주역은 의미론적 반실 재론을 주창한 마이클 더밋이다. 따라서 외형상으로는 더밋이 직관주의를 계승하는 후계세대처럼 여겨질 수 있지만 그의 철학적 기반은 분명 프레게이다. 더밋이 논리주의가 아닌 직관주의 계열에 합류한 사실의 속내는 구성주의 내부의 두 입장 (즉, 직관주의와 반실재론) 이 보이는 배중률을 둘러싼 태도의 드러난 일치뿐만 아니라 가려진 차이까지 헤아려질 때 해명될 수 있다고 본다. 본고는 이런 해명을 통해 구성주의 수학철학에 대한 이해도 한층 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제안적 노력이다. Constructionists believe that mathematical knowledge is obtained by a series of purely mental constructions, with all mathematical objects existing only in the mind of the mathematician. But constructivism runs the risk of rejecting the classical laws of logic, especially the principle of bivalence and L. E. M.(Law of the Excluded Middle). This philosophy of mathematics also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xternal world, and when it is taken to extremes it can mean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from one mind to another. Two constructionists, Brouwer and Dummett, are common in rejecting the L. E. M. as a basic law of logic. As indicated by Dummett, those who first realized that rejecting realism entailed rejecting classical logic were the intuitionists of the school of Brouwer. However for Dummett, the debate between realists and antirealists is in fact a debate about semantics - about how language gets its meaning. This difference of initial viewpoints between the two constructionists makes Brouwer the intuitionist and Dummettthe the semantic anti-realist. This paper is confined to show that Dummett's proposal in favor of intuitionism differs from that of Brouwer. Brouwer's intuitionism maintained that the meaning of a mathematical sentence is essentially private and incommunicable. In contrast, Dummett's semantic anti-realism argument stresses the public and communicable character of the meaning of mathematical sentences.

      • KCI등재

        분석철학과 비트겐슈타인

        박병철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최근 10여년 사이에 영미철학계에서는 분석철학의 역사 및 정체성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논의되어 온 것은 분석철학에 대한 더밋의 정의였다. 그러나 분석철학의 기초를 언어철학으로 보는 더밋의 견해는 분석철학의 영역을 지나치게 협소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 논문은 분석철학의 정의 및 성격 규정에 대한 최근의 연구 사례들을 검토해 보고,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통해서 분석철학의 성견을 새롭게 규정하는 것의 가능성에 대해 모색하고 있다.

      • KCI우수등재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 사이에서

        선우환(Hwan Sunwoo)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1 No.-

        프레게는 여러 시기를 통해 술어, 개념, 함수 등에 대해 서로 다른 이론과 해명을 제시했고, 또한 프레게의 그런 여러 이론들을 기초로 해서 다른 철학자들이 나름대로의 프레게적 이론들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프레게적 주어/술어 구분과 관련해 필자가 제안한 수정 이론을 프레게 성숙기의 표준 이론, 프레게 초기의 이론과 그것에 기반한 기치의 이론, 프레게 후기의 이론과 그것에 기반한 더밋의 이론, 위긴스의 이론, 재해석된 프레게 이론 등의 다양한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과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그런 과정에서 다른 여러 프레게적 이론들이 각각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는지 그리고 그 중에서 수정 이론이 술어 이론으로서 어떤 비교 우위와 차별성을 가지는지를 보인다. 필자는 수정 이론이 그런 다양한 프레게적 술어 이론들 중에서 술어가 함수적 표현이라는 점에서 주어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프레게의 통찰을 가장 잘 구현하면서, 동시에 말 개념의 역설을 비롯한 철학적 문제들을 가장 잘 해결한다는 것을 주장하며 그 주장을 위한 논변들을 제시한다. Frege has proposed several different theories of predicates, concepts, and functions over his different stages of philosophical development. Other philosophers have added their own Fregean theories which are developed out of them in several different ways. I myself have proposed and developed my own Fregean theory called "the Revised Theory" in previous articles. In this paper, I compare the Revised Theory to other Fregean theories: Frege's Standard Theory in his mature period, Frege's early theory, Frege's later theory, Geach's theory, Dummett's theory, and Wiggins's theory.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work, I argue that my Revised Theory is a better theory than any other existent Fregean theories including Frege's own theories. Among other things, I show that my theory incorporates Frege's insight about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redicates (predicative expressions) and subjects (singular terms) in the most agreeable wa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