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분석: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 척도를 중심으로
허성호,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9 No.2
The present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In study 1, the scale comprised of 15 items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meaningfulness of volunteer activit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28 undergraduates (193 males and 235 femal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then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280 undergraduates (124 males and 156 females). In study 2, the impacts of volunteer activities on 947 undergraduates (461 males and 486 fema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Self-development consisted of self-evaluat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ociability-development consisted of pother-acceptances, sense of community, and democratic citizenship. The results showed that not more volunteer activities itself but more meaningfulness of those activities had stronger relations with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Finally, a values of the undergraduates internalized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levels of self-development and sociability-development expect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자기개발과 사회성개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1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의 15문항의 의미성척도를 개발하였고, 428명(남 193, 여 235)의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거쳐, 280명(남 124, 여 156)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학생 947명(남 461, 여 486)을 대상으로 봉사활동 전/후 태도변화와 자원봉사활동 의미성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검증하였으며, 태도변화로는 자기개발요소와 사회성개발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자기개발요소는 자기평가, 자아존중감, 삶의 질로 구성하였고, 사회성개발 요소는 타인수용, 공동체의식, 민주시민의식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자원봉사활동 전/후의 태도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원봉사활동의 의미성이 갖는 설명력은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 봉사활동은 실천한다는 그 자체로는 효과가 없으며, 봉사활동 실천 후의 심리적인 만족도에 해당하는 의미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이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내재화하는 가치와 그들이 기대하는 자기개발 및 사회성개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자원봉사직무특성이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인관계만족의 매개효과
하성규(Ha Seong Kyu),이진향(Lee Jin 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에서 1년 동안 활동한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자원봉사 직무특성과 자원봉사활동 만족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무특성 하위요인 중 과업정체성과 과업유의미성은 자원봉사활동 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대인관계 만족은 자원봉사 직무특성과 자원봉사활동 만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인관계 만족 및 자원봉사 직무특성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ing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169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at the Volunteer Center in Gyeongnam-do for one year. For this purpose, Baron & Kenny s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first, among sub-factors of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task identity and task signific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olunteering satisfaction. Seco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and volunteer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how to increase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and how to activate volunteer job characteristics.
대학생의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허성호,정태연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hases and paradigms related to voluntary services offered by undergraduates and the processes in which voluntary services are implemented. For this, interviews for 23(men: 10, women: 13) undergraduates were conducted from Aug., 2008 to Apr., 2009 were conducted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interview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Main analysis procedure is known as codings(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This analyses produced 119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in open coding. Then, axial coding was conducted to organize the basic framework of generic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motivation, social context, personal perception, practical action, psych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 Core essence is “Volunteer types are categorized simple practice type, self-serving type, and community type.” Finally, undergraduate volunteers were explained in 3 types(simple practice, self-serving,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paradigm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urther research and limitation.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패러다임과 그 양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자료수집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울 및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는 평균 연령 23세(남 24세, 여 22세)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총 23명(남: 1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자료를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으로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결과, 11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과정을 패러다임별로 구분하였다. 축코딩 결과는 심리적 동기, 사회적 맥락, 개인 인식, 실천 활동, 심리적 반응, 심리적 결과의 6가지 패러다임으로 구성하여 상위범주들로 도식화하였고, 범주의 본질은 ‘자발적 봉사활동자의 활동 유형은 단순실천, 자기본위, 공동체추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 된다’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자원봉사자들의 단순실천형, 자기본위형, 공동체추구형 범주에 따라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결과를 자원봉사활동 연구 의의와 그 제한점에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신근화,옥수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9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set of basic data so as to identify measures that allow a more efficient, systematic and scientific way of approach to volunteer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subjective perception. Thirty seven questions were used on 30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volunteers. Using a Q methodology, research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ype 1 was focused on rewarding achievement, type 2 was focused on career development, type 3 was focused on value orientation and type 4 was focused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se were the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the approach to volunteer work among university students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olunteer programs with a focus on self-discovery and self-growth.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volunteer programs linked with careers or employment. Third, in the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apply a systematic organizational management techniques.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자들의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경험한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고 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37개의 진술문을 대학생 자원봉사자 30명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활용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Q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형 1은 성취보람형, 유형 2는 진로개발형, 유형 3은 가치지향형, 유형 4는 조직관리형으로 네 가지 주관적 인식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접근방안을 제시해 보면, 첫째, 자기성찰과 자기성장에 초점을 둔 다양한 자원봉사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 및 취업과 연계된 자원봉사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관리과정과 프로그램개발과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조직관리기법들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송현애(Hyun ae S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1 No.-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로 인해 노인부양문제가 점차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대학의 봉사기능이 강조되면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의 이러한 두 흐름을 연결시켜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을 질적 연구를 이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9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봉사활동 보고서를 분석해 본 결과,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참여 경험은 심리적인 부담, 교육적 성찰의 기회, 덤으로 얻어지는 보상, 대인관계에서의 보람, 노인세대와의 관계 증진, 자기 향상, 이타주의 정신 함양 등 7가지로 범주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 특히 노인과의 좋은 관계 형성, 자기성장과 발전, 유용감, 적재적소 배치, 자원봉사관리자의 인정과 보상 등과 같은 요인들이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봉사참여 지속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노인대상 봉사활동 참여가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하고, 더불어 대학생의 노인대상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support for the aged is gradually increased as the social problem due to the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s the service function of the university is emphasized, th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volunteering activity are more and more increas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lunteering activity participation experience for the ag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obtained from analysis of reports of 96 university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for the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is study, generally the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for the aged had seven kinds of experience: psychological burden, academic achievement, receiving the rewards, pleasur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hancement in relationship with the aged, the personal growth, improvement in altruism.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ged, the personal growth, the feeling of usefulness, the appropriate placement and the manager s recognition were main effect on the will for continuing volunteering activity. I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ing for the ag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possibility was looked into whether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ing for the aged could become the alternative alleviating the social problem generated by the aging or not.
단기 해외자원봉사 활동이 대학생의 글로벌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전인숙,김경미,황혜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본 연구는 세계화와 글로벌 시대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글로벌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단일군 사전·사후 비교조사 연구이다. 11박12일 간의 필리핀 단기 해외자원봉사에 참여한 대학생 46명을 대상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교류 참여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이 인성영역에서 '명목적 참여’(평균 4.40±.40점)가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42). 단기 해외자원봉사 활동 전․후를 글로벌 리더십의 차이는 단기 해외자원 봉사활동 후 ‘호기심’,‘이원성’,‘인성’,‘통찰력’영역에서 증가를 보였고, 글로벌 리더십 전체 점수도 평균 3.32±.50점에서 평균 3.74±.38점으로 유의한 증가(p<.01)를 보임으로써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이 글로벌 리더십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해외자원 봉사활동이 학생들의 인성과 통찰력의 능력을 증진시킴으로 향후 다양한 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한 해외자원봉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lobal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due to short term foreign volunteer activity. It is 46 participant with experience in foreign volunteer activity in the 12 day short term foreign volunteer activity in the Philippines. The research i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isign. The results out of the character field of experienced participants, nominal participation showed highest (4.40±.40) an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p=.042). The experienced showed a increase in fields of character, duality and insight compared the inexperienced(p<.01). Also the total average of global leadership had a increase from Mean 3.32±.50 to Mean 3.74±.38 showing improvement of global(p<.01) leadership through short term foreign volunteer activity. Through this research, Foreign volunteer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is showing improvement of global leadership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grams that allow dominant participation of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류나미,최은희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에서 자원봉사과목을 수강한 후 자원봉사활동을 경험한 대학생 15명이며, 연구 자료인 면접과 보고서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17가지 주제와 6가지의 범주가 추출되었다. 6가지 범주는 「두려움」,「인식의 변화」,「자기수련」,「인생의 양식을 얻음」,「삶이 풍성해짐」,「이타심」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은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성장, 성숙해 가며 이웃과 세상에 대한 이타심을 배우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며 활성화시키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meaning of volunteer activity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The participants were 15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volunteer activity after learning to a subject associated to volunteer activity. The data -interview and report- were analysed by a Colazzi's content analysis in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experience was divided into 17 themes and 6 categories; apprehension, change of cognition, self-discipline, acquirement of sound thinking in life, rich life and altruism. That i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elf-growth and altruism and went higher the understanding about neighbor and the world through volunteer activity. This result can be the basic data to improve and to activate the understanding about volunteer ac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물질적 지원이 대학생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정해,김현주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n between received material support experience and volunteer activity durability. Therefore volunteer activity durability verification attempted recognition about mater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 acceptance degree and received support experience. This work used that the survey based on revolve around the 5 university social work student of the Changwon and question response rate is 52% about among the 640 questionnaire collect 348 questionnaire. The analysis used the survey and do tha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 This work analyzed about awareness of material support necessary based on the need for material support and requirement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 this work show that the causal connection between the volunteer activity durability and received material support experience. Also stepwi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in this work show that the received material support experience is more influential to volunteer activity durability tha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In this work result can be use it support the argument that recompense controversy about volunteer activity. Also it result bring out the utilizing human resources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through methodical material support. 본 연구는 인정·보상, 인센티브를 지원으로 재개념화하여 대학생의 물질적 지원에 대한 수용정도를 확인하고, 물질적 지원을 제공 받은 경험이 봉사활동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원시내 소재 대학의 사회복지전공 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물질적 지원에 대한 수용정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원봉사활동의 물질적 지원을 제공받은 경험은 활동 지속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지원 유형간 영향력 비교에서는 자원봉사활동 시 제공 받은 물질적 지원 경험이 심리·정서적 지원 경험보다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물질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자원봉사활동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금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013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7 No.4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이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1명의 YMCA 자원봉사클럽 회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된 결과는 첫째, 자원봉사활동은 태도를 넘어서 행위로서의 시민행동과 의미있는 관계를 지닌다는 점, 둘째 자원봉사활동이 시민행동과 갖는 관계는 의사표출행위와 조직화행위라는 점, 셋째, 시민행동은 자원봉사와 직접관련된 변수들 보다는 개인의 인구학적 특성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등이다. 이에 더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점은 자원봉사자들 사이에 실제적인 시민행동의 회수가 적더라도 이의 향후 발생잠재성이라는 측면에서 관계성 및 영향요인을 추론해 낼 수 있다는 점이다.
김이영,진복수 東國專門大學 2002 金龜論叢 Vol.9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이들의 주관적인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 이들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 자신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학교에 재학중인 349명이었다. 조사결과 대학생활에서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이 자원봉사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자신의 삶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생활의 만족도도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