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교육에서의 역량기반 교육과 핵심역량

        손승남,김인영,송하석,이재성,최예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nature of core competencies 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a hot topic among universities due to the upcoming nationwide evaluation of universities in 2021 calle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Five expert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was designed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and conducted a group discussion. The main agendas of the group discussion were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 desig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and possibilitie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This study makes clear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inherent in the competency discourse that affect university education. The emphasis on competencies in university education reflects the reality that universities are not free from state and market forces within a neoliberal market economy.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appropriat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liberal education. Core competencies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the overall framework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onsist of sub-elements that represent its features. For a successful adop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liberal education, evaluation of th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beral education, mapping of the curriculum and liberal subjects based on basic studies(Grundwissenschaft) are recommendable. There is a need for a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connects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evaluation. We propose that despite how incompatible the concepts of competency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appear to be, the more faithful we are to the spirit of liberal education, which cultivates general competence, the more synergy it will bring to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its members. 이 글의 목적은 2021년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앞두고 대학교육의 화두가 되고 있는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초점을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두고 교양교육 전문가 5인의 집단토론과 주제에 대한 분석, 해석, 비판, 종합을시도하였다. 토론의 중심의제로 삼았던 내용은 역량과 핵심역량 개념의 의미, 역량기반 교육의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배경과 맥락,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 대학 교양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수용가능성, 대학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기반 교양교육 실현 방안 등이었다. 연구결과 우리는 역량담론이 대학교육에 줄 수 있는 한계와 가능성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 강조는 분명 신자유주의적 시장 경제 내에서 대학이 국가와 시장의 힘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현재의 대학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심역량과 교양교육의 올바른 관계 설정을 위해 핵심역량을 교양교육에 한정지을 것이 아니라 대학교육의 전체적 틀과연관지어 설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 때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는 범주별로 제대로 정합성을 갖추어야 한다. 비판적 관점을 넘어 우리는 사안을 실용적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다. 역량기반 교육을 교양교육에수용할 경우에 각 대학은 교양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목표 설정에서부터 기초학문에 근거한 교육과정 매핑과 교양 교과목의 구성, 자유교육의 기반에서 학습성과를 진단하고 환류로 연계하는 체계적인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역량교육과 교양교육이 양립하기 힘들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는역설적으로 일반역량을 기르는 교양교육 본연의 정신에 충실할수록 대학과 대학구성원의 역량 함양에도시너지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쟁점과 과제 - 평가내용과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 각 평가의 평가범위, 정량지표와 정성지표의 평가내용, 평가결과를 비교하여 양 평가의 중복성을 확인하고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모두 대학의 주요 기능 중 교육을 평가하고 있다. 양 평가의 정량지표 6개 중 교육비 환원율의 연계가 가장 적절하고, 향후 연계 지표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으며, 정성지표는 과정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제도의 유무, 관련 조직체계, 운영 실적, 환류 체계 등의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양 평가의 평가결과를 비교해 보면 대학기관평가인증의 인증유예, 불인증 판정을 받은 대학과 대학기본역량진단 등에서 재정지원제한 대학의 비율과 대학의 일치 정도가 상당하다. 이상의 논의 내용을 근거로 대학의 평가부담 완화를 위해 첫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대학별 판정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재정지원 가능 여부를 판별하는 방안과 둘째, 대학기관평가인증의 교육 관련 평가준거의 평가결과를 대학기본역량진단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lap between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to ease the fatigue of evaluation by universities and to derive future policy sugges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ystem, scope of evaluation, content of evalu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to link the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to ease the Fatigue of evaluation of universities. First, it is to determine whether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is possible by utilizing the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Second, the evaluation results of education-related evaluation criteria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re used for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s there is a similarity in education-related evaluation criteria, it is to use education-related results of institutional accreditation, which visits universities in person to check the status.

      • KCI등재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 진단 및 제언

        김혜영,김인영,지현배,전경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6

        Evaluation indicators of general education represent the value and identity of general education. University members can clearly understand general education through evaluation indicators. Evaluation indicators serve as standards for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Universities support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diagnose problems with the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27 universities that joine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51. The summary of the surve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said that it was reasonable to evaluate general education as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But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evaluating the general curriculum as ‘core competency’ as a diagnostic factor. Second, more than 70%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standard of the general education standard model of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which was established theoretically and academically, was not applied to te current evaluation indicators.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clusiveness of general education evaluation indicators. Third, about 50% of the respondents were negative about the relevance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s a driving for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Fourth, 70%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asis for applying core competencies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general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Therefore, they think that evaluation criteria should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education. Finall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 essential componen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should include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operating system for improving general education, and the organization and manpower necessary for supporting gener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general education experts. As a result, it provided clear evidence for developing and design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practical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go through a public deliberation proces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evaluation results. Therefore, we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competency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then the validity of competency-based general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는 교양교육의 가치와 정체성을 나타내며, 대학의 구성원은 평가지표를 통해서 교양교육을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다. 평가지표는 각 대학이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기준이 되며, 대학 교육의 질은 평가지표로 결정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의 교양교육 평가지표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전국대학교양교육협의회에 가입한 127개 대학 중 36개 대학에서 교양교육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와 교양교육 담당 교수자 51명을 대상으로 교양교육 평가준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을 ‘교육과정의 운영과 개선’으로 평가하는 것은 응답자의 70%가 타당하다고 했지만, 진단요소로써 교양 교육과정을 ‘핵심역량’으로 평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둘째, 평가지표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교양교육 모델을 충분히 포괄하는 지 조사하였고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지표가 교양교육 질 제고의 동인이 될 수 있는지 그 적합성을 조사한 결과는 응답자의 약 50%가 부정적이다. 넷째, 응답자의 70%는 교양교육의 평가지표로서 핵심역량의 적용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교양교육 본질에 부합하는 평가기준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의 필수 구성요소로 교양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교양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운영체계, 조직과 인력을 포함한 교양교육 지원체계 등 이 세 가지를 10명 중 8명이 선택하였다. 교양교육 현장에서 평가에 관여했던 담당자들의 의견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실질적인 발전과 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설계해야 한다는 분명한 양적 근거를 제시했다. 특히 평가결과의 수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론화 과정을 통해 역량 개념을 먼저 정립한 후 역량기반교양교육의 타당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부 대학평가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 비교

        서지영(Seo, Jiyoung),서화정(Seo, Hwajou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구조개혁평가와 대학기본역량진단의 평가내용, 평가운영과 관련된 사항과, 정부의 대학평가 체제 정립에 있어 주요 문제로 제기되는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한 대학 특성별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한 주요 논의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내용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진단) 지표 유지 여부에 있어서는 수도권대학과 대규모대학은 학생 충원율(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졸업생의 취업률 등의 성과 측면에, 비수도권대학과 중규모대학은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학생 학습역량지원, 진로 및 심리상담 등 과정 측면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이고 있다. 학생 충원율이나 졸업생 취업률의 경우에는 오롯이 대학만의 노력으로 개선하기가 쉽지 않으며, 3차례에 걸친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대학의 조직운영, 학과구조, 교육과정, 교수임용, 학사관리 등은 상당정도 평가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현재의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고등교육 혁신을 위한 지표 설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운영과 관련된 인식에 있어 진단지표의 타당성 제고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음에도 국·공립대학, 비수도권대학, 중규모대학은 평가의 지속 여부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진단 결과가 대학혁신지원사업과 연계되면서 일부 대학에서 학령인구 감소와 대학등록금 동결이라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진단 결과가 재정지원을 위한 선별 기능과 수요자의 대학 선택 정보로서의 기능 이외에 대학이 진단 결과를 스스로 확인하고 향후 대학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의 관계 설정에 있어 정량지표 산출식 연계와 함께 대학의 평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정량지표, 정성지표의 지표 특성을 반영한 역할 분담, 재정지원 대상 선정을 위한 선정평가와 운영 현황에 대한 성과평가로의 역할 분담 등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perception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and the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considered problematic in establishing the government s university evaluation system. In this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focus on the results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The evaluation contents, evaluation procedures, and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and large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while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ranked relatively high in terms of liberal arts curriculum, student learning skills, and career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n the case of student recruitment rates and the employment rates of graduates, it did not appear easy for universities to improve solely by their own mea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OVID-19 pandemic with governmental assistance and reset indicators for higher education innovation. Second, there was a relatively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enhancing the feasibility of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evaluation process. However, the perception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non-capital-area universities, and medium-sized universities was relatively high. This is because the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freezing of college tuition fees have forced universities to try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way universities comply with the assessment is expected to require improv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ccreditation and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should be actively reviewed, including quantitative indicators, role sharing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indica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경영위기대학 선정의 결정요인: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이효진,정준희 한국국제회계학회 2023 국제회계연구 Vol.- No.109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selection of universities facing management crises (Faltering College and University) in relation to the financial diagnosis evaluation conducted by the Korean Advancing School Found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evaluating universities every three years since 2015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address the declining student population through university structural reforms. Howev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will conclude in 2024. Starting from 2025, universities will undergo the financial diagnosis by the Korean Advancing School Foundation to determine their eligibility for financial support. As the designation of ‘Faltering College and University’ by the foundation directly affects their survival, private universities need to focus on long-term indicator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for private universities to be selected as “universities facing management crises” in the financial diagnosis by the Private School Promotion Foundation,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respond to the financial diagnosis and manage long-term indicators. [Methodology]This study categorizes universities into selected and non-selected universities for general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of Universities’ announced in 2021. We utilize a subset of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indicators to empirically analyze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dicators from 2018 to 2020. [Findings]Among financial indicators, operating difference are identified as a crucial determining factor for university capacity assessment in general universities, while liquidity ratio, debt ratio, and loss are determining factors for capacity assessment in specialized universities. Among non-financial indicators, both general and specialized universities found employment rate, freshman enrollment rate, and tuition dependency ratio to be important indicators for university capacity assessment. Overall, it is determined that non-financial indicators are more important than financial indicators. [Implications]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universities to manage long-term indicators and respond to financial diagnosis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can be used to select universities facing management crises that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연구목적]본 연구는 사학진흥재단의 재정진단평가와 관련하여 경영위기대학 선정의 결정요인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는 2015년부터 3주기 별로 대학을 평가하여 교육의 질 향상과 학령인구 급감에 대응하는 대학 구조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교육부는 2024년에 대학기본역량진단을 종료하기로 선포하였다. 2025년부터는 사학진흥재단의 재정진단(경영위기대학 선정)을 받아 재정지원 여부를 결정하기로 하였는데, 사립대학들이 ‘경영위기대학’ 선정이 생존과 직결되어 있기에 장기적으로는 지표관리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사립대학들이 사학진흥재단의 재정진단에서 경영위기대학으로 선정되는 결정요인을 찾아 재정진단에 대응하고, 장기적인 지표를 관리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2021년에 발표된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를 기준으로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과 미선정 대학으로 구분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 지표의 일부를 이용하여 2018년부터 2020년 재무적 지표와 비재무적 지표를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일반대학에서는 재무지표 중 운영차액이 대학역량평가 선정의 중요한 결정요인이였으며, 전문대학에서는 유동비율, 부채비율, 적자여부가 대학역량평가 선정을 나타내는 결정요인이였다. 비재무지표 중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모두 취업률, 신입생 충원율, 등록금 의존율이 대학역량평가 선정에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재무적 지표보다는 비재무적 지표가 더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아직 도입되지 않은 경영위기대학으로 선정될 수 있는 변수를 찾아 대학들이 장기적인 지표를 관리하며 재정진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혁신(사업)을 위한 역량교육이냐, 역량교육을 위한 혁신이냐?-역량과 혁신 담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조혜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2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the concept of competency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learning competency)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etencies in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which is linked to the 3rd cycle of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are indeed valid.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implemented in the name of autonomous innovation (this is a sentence fragment and doesn’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whether universities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truly innovating when it comes to education. Although competency is a competency that must be cultivated in all curricula, regardless of whether that entails a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r a major curriculum, the basic competency diagnosis evaluation handbook of universities reduces the concept of competency to the concept of generic skills and divides competencies into major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is tendency has further solidified the dichotomy of the curriculum and has caused distortion within the curriculum structure. For these reasons, it is difficult to find innovation in education in universities that uniformly operate a 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according to a given manual for evaluation. However, looking at the case of Minerva University, which is innovating education through competency-based education, we find first that competency is presented as an ability to be cultivated not only in the cornerston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ut also in the major curriculum. This is different from the dichotomy approach of competencies as taught at Korean universities. Second, the core competency of the University of Minerva is a tool for achieving sub-competence and competency, an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C (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 the acces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competency, ease of practice, and measurability are all increased. This enables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the core competency concept an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core competency as practical knowledg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of Korean universities. Third, the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ore competencies are conducted through objective evaluation tools and self-rubrics to enable feedback of evaluation results at the level of learner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This is different from the self-reported core competency diagnosis of learners at Korean universities. Despite the advantages of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Minerva University’s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rstly reduces individuals to skills. Second, it takes a segmented approach to core competencies rather than a holistic approach, and finally, it is limited in regards to education because it fosters customized talents which meet the demand, not talents which create social demand. True innovation in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individual learners’ self-innovation, not top-down government-led innovation. In other words, innovation in education begins when learners communicate with the surrounding world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acquire self-organization skills. 본 연구는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평가와 연계된 대학 혁신 지원사업에서의 역량(핵심역량, 전공능력, 학습능력) 개념과 역량 구분이 과연 타당한지를 논하는 동시에, ‘자율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정부 주도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대학들이 과연 교육의 혁신을 이루고 있는지를 성찰하는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과 전공 교육과정을 불문하고 모든 교육과정에서 함양되어야 하는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편람에서는 역량의 개념을 일반적 기술(generic skill)의 개념으로 환원하고 역량을 이분화함으로써 전공과 교양 교육과정의 이분화를 더욱 공고히하고 교육과정 구성의 왜곡을 야기하였다. 때문에 평가를 위해 주어진 매뉴얼에 따라 역량 기반의교육과정을 일률적으로 운영하는 대학들에게서 교육의 혁신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역량 기반 교육을 통해 교육 혁신을 이루고 있는 미네르바 대학의 사례를 살펴보면 첫째, 역량은 교양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코너스톤 코스는 물론 전공 교육과정에서도 함양되어야 할 능력으로제시된다. 이는 한국 대학의 역량의 이분법적 접근과 차이가 있다. 둘째,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은하위역량 및 역량 성취를 위한 도구로서 HC(Habit of Mind, Foundational Concept)의 설정을 통해역량의 측정 가능성과 적용성, 실천의 용이성, 진단과 환류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이는 교수자와학습자 모두에게 핵심역량 개념의 모호함을 극복하고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이해도를제고하게 만든다.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과 하위역량 설정 구도와 차별되는 점이다. 셋째, 핵심역량의진단과 평가는 학습자 차원에서 평가 결과의 환류가 가능하도록 객관적인 평가 도구와 자체적인 루브릭을 통해 진행함으로써 학업성취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이는 한국 대학에서 이뤄지는 학습자의자기보고식 핵심역량 진단과 차별된다. 이러한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장점에도불구하고 미네르바 대학의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은 첫째, 개개인을 기능으로 환원하고 둘째, 핵심역량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성과 측정을 위해 핵심역량에 대해 분절적으로 접근하게 만들며마지막으로, 사회의 수요를 창출하는 인재가 아니라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진정한 교육의 혁신은 탑다운 식의 정부 주도 혁신이 아닌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혁신을 통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즉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주변 세계와 소통하며자기 구성 능력을 획득할 때에 교육의 혁신은 비로소 시작된다.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 역량 진단의 대안

        손종현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2 교양기초교육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 관련한 역량 진단의 대안적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었 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토대를 둔 현 대학기본역량진단 방식을 비판하고 그 대안 을 제시하고자 했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은 훈련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제도를 가지고 있 는바, 그것은 정치ㆍ경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교육을 위한 것이며, 따라서 대학교 육제도는 핵심역량과 같은 수단적 가치에 매몰될 수 없고 교육제도의 목적을 구현 해야 한다. 교양교육제도의 목적은 핵심역량 키우기가 아니라 교양능력 키우기이 다. 교양능력 키우기는 교육목적으로서 ‘책임감을 가진 자유시민’을 양성하는 것임 을 선언한다. 둘째, 대학은 핵심역량 키우기에 매몰될 것이 아니라, ‘학교의 교육력’ 키우기에 집중하는 정책적 지원을 기획해야 한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 라, 어떻게 교육력을 키워 그것이 학생의 능력을 키우는 토대가 될 수 있을까를 숙 고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교육력’ 개념을 굳건히 가져야 하고 그 ‘교육력 구조’를 학교내에 체제화해야 한다. 교육력의 구성요소는 교양교육 관련 교수의 코스웍 기 획, 코스웍 기획에 대한 학교의 지원행정력, 공개와 개방의 제도화를 이끄는 평가ㆍ 피드백 기제의 작동에 대한 것이다. 이 교육력 구조가 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학교는 인적ㆍ물적ㆍ문화적 자원의 확보와 운영에 충실해야 한다. 셋째, 종래의 기본역량진단은 그 자체 평가주의의 오만성을 지니고 있으며, 관료 주의적 형식주의적 대응 등의 병리적 현상을 낳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진단 방향 의 대강으로서 진단 거버넌스의 교체, 교양능력 키우기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교육 력 구조의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고, 그 진단방식의 대안으로서 원리적 수준에서 진 단의 전체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native methods to assess competencies in relation to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A summary of discussion thus far is as follows. Firstly, universities have various educational systems on account of educational rather than training institutions. These are for education rather than politics/economy, and therefore university educational systems must realize their purposes without being buried in instrumental values such as core competences. Within that context, the purpose of systems on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rather than core competencies. Improving the competence is to declare fostering “responsible, free citizens” for educational purposes. Secondly, universities must build enterprise in policy to support by focusing on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rather than being absorbed in developing core competencies. University should consider how it can be a basis for developing students’ competence by developing educational ability instead of taking issue with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achieve that, concept of “educational capabilities” is firmed and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is systematized within university. Components of educational ability are professors’ enterprise of coursework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administrative support power for coursework enterprise, and operation of an evaluation/feedback mechanism that leads to institutionalization of release and openness. Universities must be devoted to procuring and working with human/physical/cultural resources so this structure of educational ability can perform its own functions. Thirdly, conventional ‘Basic Competency Assessment for Universities’ has the arrogance of evaluationism itself and causes pathological phenomena such as formalistic bureaucratic responses. This study proposes the replacement of assessment governance, organization/operation of the curriculum on liberal arts to develop liberal arts competence as the general direction of overcoming the arrogance and phenomena, and a comprehensive assessment framework at the fundamental level as an alternative means of assessment for universities.

      • KCI등재

        Rasch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이연주(Lee, Yeon-joo),임경수(Lim, Kyoung-su)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본 말하기역량 향상을 위해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검증방법은 첫째, Winstep프로그램을 사용하여 Rasch모형 분석으로 문항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진단도구의 요인구성을 위해 SPSS2.5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AMOS 25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의 구성요소는 ‘논리구성력’과 ‘유창성’, ‘청중상호작용’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논리구성력 은 언어적 요소로, 유창성 과 청중상호작용 은 비언어적 요소에 해당하였다. 청중상호작용은 기존 연구에서 시각적 요소로 분류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청중상호작용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말하기 능력에서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는 청중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심리·사회적 긴장과 반응, 자기 피드백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청중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자기보고식 진단이 내면적이고 비인지적 부분에 강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diagnostic tools to improve the basic speak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the basic speaking cap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tracted, and the diagnostic tool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First, the verification method was to use the Winstep program to analyze the Rasch model to verify the question compatibility. Seco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5 to construct factors in the diagnostic tool. Third, the model suitability was analyzed using AMOS 25 to analyze the confirmative factor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mponents of the basic speak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re logical composition , fluency and audience interaction . Among them, logical composition was a linguistic component, while fluency and audience interaction were nonverbal components. Audience interactions have been classified as visual elements in existing studies, but in this study, audience interactions consist of one fa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veloping basic speaking skills diagnostic tools for university students,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audience interaction, and confirming that self-reporting diagnosis is internal and non-cognitive.

      • KCI등재

        대학평가 주요 양적지표 권역별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김순남(Kim, Soon-Na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9 敎育行政學硏究 Vol.37 No.3

        이 연구는 교육부의 기본역량진단평가가 권역별 상대평가 형식으로 전환됨에 따라 대학평가의 권역별 상대평가 논리를 탐색해 보고, 양적지표를 중심으로 권역별 지표 분석을 통해 권역별 상대평가가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기관평가인증과 대학기본역량진단이라는 두 가지 평가에 활용되는 양적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한국대학평가원 대학통계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지표들만 2015, 2016, 2017 3년 평균을 권역별로 살펴보았다. 권역별 평가는 지역발전의 균형성 논리로 시작된 것으로 그 반대 논리인 공정성과 경쟁력 저하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다. 분석 결과 세 권역은 비슷한 수준이고 한 권역이 낮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표나 낮은 권역에 대해 정부의 대학 여건지원과 대학의 자율적 발전 노력을 유도하기보다 권역별 평가논리가 더 타당한 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또한 대학기본역량진단과 대학기관평가인증 지표가 중첩되어 분리독립된 평가체제의 효율성 점검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메타평가의 도입으로 대학평가의 질 제고 및 효율적 운영체제 정립을 제안하였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valuated universities in Korea from 2015 to 2017, dividing the universities by 4 regional area such as Seoul-Gyunggi, Daejeon-Chungnam, Gwangwon-Gyeongsang and Jaeju-Junlla. By examining the evaluation result and rank of university quantitative indicator,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university indicator scored by relativ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Seoul-Gyunggi region recorded the best and Jaeju-Junlla showed the lowest score. The regions of Daejeon-Chungnam and Gwangwon-Gyeongsang had a similar level. In particular, the region of Jaeju-Junlla universities showed the least score on key performance indicator which is one of the university quantitative indicators. On the contrary to this, the other evaluating indicators such as university conditions and finances that Jaeju-Junlla region has scored were ranked highest among other regions. This results prove that university evaluation by region has to carefully consider a balanced development of region and thus suggest a new alternative university indicator which is necessary for developing each region. Meanwhile, the concern that University Accreditation System and University Competence Assessment by Ministry of Education are tend to be overlapped is rising. It is also partially criticized that the relative evaluation by region would violate the fair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Thus, it is expected that those evaluation systems have to review present problem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핵심역량 적용에 관한 비판적 분석

        서정일(Seo, Jungil)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직무역량과 관련, OECD와 <세계은행>, <세계무역기구>, <세계경제포럼> 등 글로벌 경제기구들은 교육 부문, 특히 대학교육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역량’ 개념은 대학에서 경제교육 강화를 적극 독려해 온 글로벌경제기구들의 구상에서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였다. 경제 부문을 넘어 세계화 정책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이 글로벌 기구의 경제전문가들은 기존 교육 개념을 ‘역량’으로 일컫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들 역시 4차 산업혁명 사회를 맞이하여 전경련과 교육부가 설정한 핵심역량을 참조로 역량을 개념화하여 교육과정에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역량은 사회에서 필요한 실무적 직무수행 능력만을 의미해서는 안 된다. 대학마다 다양하게 설정된 핵심역량들은분절된 역량이 아니다. 역량중심 교육은 명시적 지식과의 연관성 속에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 핵심역량이 발휘되는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특히 학생의 고유한 개성, 개별성, 독창성을 가진 자율적 주체임을 인식하게 하는 교육이다. 인문정신을 고양하고 내재적 가치를 지향하는 교양교육이 학생 개개인의 내적 역량을 도모하지 않은 적은 없었다. 교양교육의 본질은 항시 유의미한 삶을 형성하도록 이끄는 활동의 토대였다. 교양은 지식의 모음이나 집합이 아니라, 성숙한 인격으로 이끄는 정신적 기초체력이다. 주입식 지식에서 벗어나 역량을 키우라는 역량중심 교육에서 의미하는 역량은 도덕적 지성적 인격적 성찰을 통한 내면의 역량, 스스로 함양하는 역량이다. The attempt to apply core competencies directly to the curriculum was crucial for the government-l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However, the concept of competence is abstract and ambiguous, which undermines the efficiency of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It is questionable that the core competence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can be harmonized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liberal arts education. Core competence should not be recognized as indicative performance. True educational competence is inner competence through moral, intellectual, and personal reflection. The discussion of core competenc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of univers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