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 접촉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미경(Mi-Kyoung Lee),강영숙(Young-Sook Kang),임유석(You-Seok Lim) 한국테러학회 2024 한국테러학회보 Vol.17 No.1

        국내에서 다문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외국인에 대한 인식은 수용성과 배타성이 이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며, 대중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외국인을 접촉하는 것은 일상적인 다문화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가 있다. 이에 다문화 인식에 부정적인 인식이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대중매체의 기능과 정책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 접촉이 다문화 인식에 어떠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 성별과 연령, 학력, 혼인, 직업 지위에 따라 다문화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 접촉의 하위변인에 해당하는 경험과 인식 요인이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 접촉이 다문화 인식에 대해 지역사회 변화와 배타성 그리고 위험성 등의 부정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중매체를 통한 외국인의 부정적인 이슈와 노출을 최소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In Korea, the perception of foreigners is dualistic with acceptance and exclusivity where a multicultural society has emerged. Indirect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mass media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veryday multicultural awareness. Accordingly, it is time to support the functions of mass media and policies that can cause negative conflicts in multicultural awarenes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results of a survey and analysis on the effect of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mass media on multicultural awareness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wareness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al status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experience and awareness factors corresponding to the sub-variables of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mass media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ulticultural awareness. Therefore, such as community change, exclusivity, and risk, a policy is needed to minimize negative issues and exposure of foreigners through the mass media because contact with foreigners through the mass media affects negative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중국 인식에 관한 고찰 - 한일 양국의 엘리트와 대중(大衆)의 대중(對中)인식을 중심으로 -

        황수영 한일군사문화학회 2017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3 No.-

        변화하는 국제 관계 속에서, 중국이라는 나라의 부상은 전 세계적 이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이웃 국가인 한일 양국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국의 부상을 둘러싸고 한일 양국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한국의 경우, 중국의 부상을 둘러싸고 긍정적인 견해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 중국의 부상을 두고 부정적인 견해들이 많은 편이다. 특히, 미국이 아시아 회귀 전략을 선언한 이후 이러한 양상은 더욱 뚜렷해졌는데 아시아태평양에서의 새로운 패권 질서를 주도하려는 미국과 일본은 이러한 질서를 나눠 가지려는 중국에 연일 경계심을 높이고 있다. 반면 한국의 경우 지정학적으로든, 역사적인 경험을 통해서든 중국이 구축하는 새로운 질서에 대해 어느 정도 수긍하는 편이다. 하지만, 일본 역시 지정학적으로든 역사적으로든 중국과 많은 경험을 쌓아 올려왔다. 따라서 이렇게 가장 가까운 두 나라가 상반된 모습을 보이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라는 의문을 가지고 한·일 양국의 對中인식 비교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상을 `엘리트`와 `대중`으로 설정한 이유는, 국내의 일반 대중과 여론을 선도하는 엘리트 집단은 여전히 외교정책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한일 양국이 중국의 부상을 `위협` 또는 `기회`로 감지하는 상반된 현재의 시점에서 엘리트와 대중의 인식은 앞으로의 외교정책 과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나타낼것이며, 국내의 외교정책을 파악하기 위해서 엘리트와 대중의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한일 엘리트와 대중의 중국인식 차이와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양국 엘리트의 경우 미중 관계를 한중, 중일 관계보다 중시한다는 바탕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양국 엘리트간의 가장 큰 유사성은 `안보`에 관한 것이었다. 양국 엘리트는 안보를 중심으로 국익을 설정하며 중국의 부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반면 한일 양국의 대중의 경우 한국은 한중 수교, 일본은 중일 수교를 통해 `경제`를 중심으로 양국 관계를 설정한 것이 가장 큰 유사성이다. 하지만 한국 대중이 여전히 `경제력`을 중심으로 한중 관계를 설정하는 것에 비해 일본 대중의 `경제력`키워드는 더 이상 중요변수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상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變化する國際關係の中で、中國の浮上は全世界のイシュ一に重大な影響を及ぼし、隣國した日韓兩國の關心は日?高くなっている。しかし、このような中國の浮上を取り圍んだ日韓兩國は異なる意見を見せている。特に韓國の場合、中國の浮上を肯定的て見る見解が多い一方日本の場合、中國の浮上を否定的てみる見解が多い。特に、アメリカがアジア回歸戰略を宣言した以後このような樣相はもっと明らかになっている。アジア太平洋での新しい覇權秩序を主導しようとするアメリカと日本はこのような秩序を分けようとする中國に連日警戒心を高めている。一方、韓國の場合地政學的でも、歷史的な經驗を通じても中國が構築する新しい秩序に對してどのぐらいは納得している。しかし、日本も地政學的でも歷史的でも中國とはたくさんの經驗を積んで來た。したがって、このように隣接した兩國が異なっている反應を見せているのはどうしてだろうかという疑問を持ちながら日韓兩國の對中認識比較硏究をしようとした。また、對象を `エリ一ト`と `大衆`で設定した理由は、國內の一般大衆と世論を主導するエリ一ト集團は相變らず外交政策過程で大きい影響を及ぼしていて、特に日韓兩國が中國の浮上を `脅威` または `機會`に感知する現在の時点でエリ一トと大衆の認識はこれからの外交政策を決める過程で重要な時事点を持つから國內の外交政策を把握するためにエリ一トと大衆の認識の差を把握するのが重要である。 日韓エリ一トと大衆の中國認識差と變化を分析した結果兩國エリ一トの場合、米中の關係を中韓、日中關係より重視する基には差がなかった。また、兩國エリ一トの間の最大の類似点は`安保`であった。兩國エリ一トは安保を中心に國益を設定して中國の浮上に對しては否定的な見解が多かった。一方、日韓兩國の大衆の場合、韓國は中韓正常化、日本は日中正常化を通じて `經濟`を中心に兩國關係を設定したのが最大の類似点である。しかし、韓國大衆が相變らず `經濟力`を中心で中韓關係を設定することに比べて日本大衆の `經濟力`キ一ワ一ドはこれ以上重要な變數で適用されることができないのが最大の相異点であった。

      • KCI등재후보

        대중문화와 세대: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수정 ( Su Jung Kim ),최슬기 ( Seul Ki Chol ),최샛별 ( Set Byol Chol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가고 있는 대중문화가 세대간 단절과 갈등의 장(場)이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중문화 영역에서 나타나는 세대 간 차이를 살펴본 연구가 부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대중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사안들에서 나타나는 세대별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는 2011년 <세대간 문화 경험과 문화 갈등> 연구단이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대별 문화경험과 문화인식에 관한 조사’ 자료 중 대중문화에 대한 생각을 묻는 문항을 분석하였다. 크게 ‘한국 대중문화의 긍정적 영향력’, ‘한국 대중문화의 부정적 영향력’, ‘대중문화의 향유층과 사회적 필요성’, 그리고 ‘외국 대중문화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된 총 15개 항목에 대해 10세 간격으로 구분한 연령대별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대중문화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은 세대에 따라 20대, 3, 40대, 50대, 그리고 6, 70대로 구분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양적 자료를 분석하여 대중문화 영역이 정치, 경제, 사회 영역과 함께 중요한 세대 구분의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대중문화에 대한 세대별 인식 차이가 단순히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대립구도 혹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점차 부정적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기존의 가정들과 대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Popular culture, becoming increasingly influential in South Korean society, can be a place of generational gap and conflict. Yet, there is a dearth of studies that 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area of popular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various popular culture-related matter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about opinions on popular culture in the data from ‘Investigation on Generational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Conflict,`` drawn from 1,500 male and female adults across Korea, executed in 2011 by the Generational Cultural Experience and Cultural Conflict Research Group.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a total of 15 questions, including ‘positive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negative influence of Korean popular culture,`` ‘consumers and necessity of popular culture,`` and ‘awareness on foreign popular culture.`` The result showed that South Korean`` awareness of popular culture is manifested as a generational diversity according to people in their 20s, 30-40s, 50s and 60-70s. Through an analysis of nationwide quantitative data, this study shows that the realm of popular culture can be an important place of generational differentiation along with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lso, it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presents a contradictory result from the previous assumptions that saw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tional awareness of popular culture as merely an opposite composition or that predicted one would have a negative awareness of popular culture as one gets older.

      • KCI등재

        1910년대 대중문학 인식 형성 과정 연구-소설의 오락성 인식을 중심으로-

        김지영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Maeil-sinbo(The Daily Maeil) tried to create new common sense of the mass while it printed stories that connected conventional expectation and imagination on a story to the changing forms of the novel in the 1910s. The trailers of the serial novels in Maeil-sinbo showed that there grew the self-consciousness on the characteristics of a modern novel as well as the cognition on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could get an attention of the mass while the newspaper printed stories corresponding the taste of the mass. However, these newly arisen cognitions were intentionally ignored by the leading intellectuals of the literary circle in the 1910s in Korea. The intellectuals of the leading literary circle tried to exclude the traditional notion on the novel so that they could introduce modern concept of literature and establish new literary knowledge system. They denied to call the materials printed in old fashioned way in small and cheap copies a novel and tried to discriminate modern novels from those materials which inherited the traditional reading costume. In this vein, the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started to be excluded in the new concept of literature. The generation of Yi, Kwang-su established the cognitional basis to erase the literary sense of old fashioned novels of the day by criticizing the conventional notion on novel together with literary works which maintained conventional style. And the generation of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inherited their senior’s oblivion and made new hierarchy of the literary works when they discriminated their works from others including old fashioned stories as well as popular works printed in mass media like Maeil-sinbo, which apparently were not included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at that time. The notion of Tong’sok-soseol(popular novel) was started to be used at the point that the literary hegemony was moving to the generation of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 from the generation of Yi, Kwang-su. This process reveals that the concepts of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were not generated according to the historic necessity or gradual modernization but were generated in special conditions, which including the colonial dichotomy such as modern/premodern, the West/East, and the intellectuals/mass in diverse ways. 본고는 근대적 문학과 소설 개념이 성립하고 정착해 가던 시기, 문학의 오락성이 『매일신보』의 대중적 작품 공급자들과 근대 문인들 사이에서 어떻게 사고되고 언술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서 대중문학에 대한 인식이 발생된 과정을 추적해 본 글이다. 1910년대 『매일신보』는 신소설, 번안소설, 번역소설, 서양을 무대로 한 창작 소설 등을 지속적으로 게재하는 가운데 이야기에 대한 관습적 상상과 기대를 변화하는 이야기의 형식과 교호시킴으로써 당대 대중들의 기호에 부응하고 대중들의 공통감각을 적극적으로 탐색했다. 이 시기 『매일신보』의 소설 예고는 근대적 문물에 대한 대중의 호기심과 동경에 부응하는 한편, 명증한 선악의 윤리 구도를 확보함으로써 변화하는 세계에서 경험하는 대중들의 위기의식을 위로하고, 식민지적 현실과 근대적 사회변화에 수동적으로 적응해야 했던 대중들의 불안과 억압된 정서를 ‘동정’이라는 센티멘탈한 집단 감성에의 호소를 통해 자극하려 했다. 오락성과 윤리성을 접합하여 소설의 재미를 선전하는 가운데, 『매일신보』의 소설 예고는 사실성과 허구성, 재현성과 같은 근대 소설의 내적 특질에 대한 자의식을 드러내며, 이야기의 긴박감을 고조시키는 묘사와 서사구조의 특질에 대한 인식의 성장 또한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은 『매일신보』의 발간 주체들이 대중의 기호에 부응하고 대중의 공통감각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가운데, 근대 문학으로의 변화를 수행하는 내적 자의식의 기초를 마련하고 있었으며, 대중적인 소설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 일정한 이해를 형성해가고 있었음을 알려 준다. 그러나 이광수, 김동인 등 유학생 지식인들에 의해 근대적 문학 장이 성립하면서, 문학의 본원적 성격인 오락성은 전통적 관념과 차별화되는 자립적인 근대 문학 개념의 확립을 위해 문학 아닌 문학의 특성으로 부정되고 배제되기 시작했다. 이광수 세대의 오락성 배제의 논리가 딱지본 구소설과 같이 전통을 계승한 소설에 대한 문학사적 망각의 토대를 형성하였다면, 오락성과 예술성을 대립시켰던 동인지 세대의 이분법은 전통적 흥미 독물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에 연재되고 있던 대중적 작품들 또한 저급한 오락물로 함께 일괄하여 배제하고, 문학의 흥미 요소를 ‘통속’이라는 이름의 저급성으로 규제함으로써, 당대 문학 내에 고급과 저급을 구분하는 위계적 규율을 마련하게 된다. 한국에서 대중문학 개념의 전신을 이룬 ‘통속소설’이라는 언표가 부상한 것은 오락성을 배제하고 정치성을 추구함으로써 계몽적 관점에서 대중성을 포섭하려 했던 이광수 세대의 지사적 태도로부터, 오락성, 정치성, 대중성을 모두 배격하고 예술성의 이름 아래 새로운 문화적 권위를 쟁취하고자 했던 동인지 문학인들의 전문성으로 문학 장의 헤게모니가 이동하던 시점이었다. 대중과 호흡하고 문학의 오락성을 적극적으로 포섭했던 『매일신보』의 완만한 근대로의 이행이 배제되고 망각된 과정은, 대중문학에 대한 폄하된 시선을 창출한 위계적 시선 안에 근대/전근대, 서양/동양의 우열관계와 지식인/대중을 구분하는 전통적 권력관계 및 신지식인 세대 간의 권력투쟁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었음을 알려 준다. 1910년대 후반 마련된 ‘예술로서의 문학’과 ‘통속소설’이라는 관념의 배후에는 ‘자본’과 ‘반자본’의 논리로 진행되는 서...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 영유아의 조기 발견을 위한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

        백유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4

        아동발견은 특수교육대상 아동 찾기의 첫 단계이며 조기 중재의 가능성을 높이고 조기 중재 시작 연령을 낮춤으로써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대중인식 활동은 아동발견에 필수적이며, 따라서 효율적인 대중인식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중인식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포괄적인 아동발견 체계의 수립, 둘째, 포괄적인 아동발견 체계 하에서 조기발견을 위한 대중인식 프로그램의 계획과 개발,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대중인식 활동, 넷째, 대중매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대중인식 활동의 계획과 자료 개발, 다섯째, 아동발견을 위한 적절한 내용을 포함하는 대중인식 자료의 개발, 여섯째, 대중인식 활동의 대상에 적절한 자료의 개발, 일곱째, 일반대중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자료의 개발 및 실행 방법의 다각화 등이다. Child find increases the possibilities of early intervention and lower the beginning age of early intervention. Public awareness activities are necessary to child find and need to be efficient. The present study point out the problems of public awareness activities in Korea, and provide several suggestions 1) establish a comprehensive child find system; 2) develop appropriate public awareness program; 3) implement child find activity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4) develop and design effective public awareness program and materials including mass media; 5) develop and design public awareness materials with appropriate contents, 6) develop and design public awareness materials that can vary for target population(i.e., general public, medical professionals, educators, social workers etc.), 7) develop and implement public awareness activities that can vary for people in diverse situation(people in rural area, low internet accessibility, readability, and disability etc.).

      • KCI등재

        일본의 대중(對中)인식과 대중(對中)정책

        이기완 평화문제연구소 2010 統一問題硏究 Vol.22 No.1

        There was the amicable stance on China until 1994 with experiencing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two nations in 1972 and the Tianamen Square Protest in 1989. However, Japan``s public awareness and policy have dramatically changed into a significantly different attitude since 1995.This paper carefully considers,from four perspectives,the causes of negatively-changing public awareness and policy towards China.Thefindingsareasfollowings. To begin with,the change ofthe policy towards China was driven by a shift in relations among political forces under the situation that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ian claiming the pro-China policies losttheir politicalcloutas wellas the emergence of ``Chinese Threat`` theory used for political purpose. Secondly, the gap in historical awareness between two nations and Yasukuni Shrine issue triggered anti-China sentiment in the wake of the recently-rising nationalistic mood. Thirdly, the groundless anxiety about the contrasting economic reality between two countries was interlinked with political conflicts, prompting the public in Japan to hold more negative perception towards China. Lastly, it is impossible to build up the status quo-maintaining relation because ofthe race forhegemony caused from reinforcing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polarization between two nations as wellastheChina``s potential threat. 1972년 중일 국교정상화에서부터 1989년 톈안먼 사건을 거쳐 1994년에 이르기까지 우호적으로 표출되던 일본의 대중인식과 대중정책이 1995년이후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전개되고 있다. 이 논문은 1995년 이후 일본의 대중인식과 대중정책이 부정적으로 변화하게 된 원인을 네 측면에서 고찰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3년 정치변동 이후 친중정책을 표방해 온 정당과 정치인들의 정치적 영향력 상실에 의해 초래된 정치세력의 역학관계 변화는 정치적으로 활용된 ``중국위협론``의 대두와 맞물리면서 대중정책을 대결노선으로 변화시켰다. 둘째,중일간의 역사인식 차이와 야스쿠니 문제가 민족주의 현상과 맞물리면서 반중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셋째,중일양국의 대조적인 경제현실에 대한 막연한 불안의식이 정치적 갈등과 중첩되면서 일본 내에서 대중인식을 악화시켰다. 마지막으로,정치·외교적 대립축의 강화로 초래된 중일양국의 패권경쟁이 중국의 잠재적 위협요인과 맞물리면서 기존의 현상유지형 관계구축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 KCI등재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 연구 - 1969년~1999년 일간지 기사를 중심으로

        신정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9

        As research on the audiences of Land by Park Kyong-ni,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in 1969 ~ 1999. Since there were few means to directly check the acceptance patterns of the novel among general audiences rather than professional readers, the study traced changes to the descriptions of the novel in daily newspaper articles and inferred inversely changes to the public's perceptions of the novel as audiences based on them. In 1969~1976, Land was treated as the “woman writer” Park Kyong-ni’s “controversial work” that was worth attention rather than the work itself. The ambiguous descriptions of articles posed limitations with tracing the public’s specific perceptions as audiences, but it was apparent that the public audiences showed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ovel in that many people actively enjoyed even its transformations such as movies and radio dramas as well as the original work. In 1977~1984, Land enjoyed its heyday in terms of popularity among the public. People started to add the modifier “the author of Land” to Park, and Land was established as her representative work. As her novel was turned into a TV drama during the spread of TV sets, it had an impact on the commemoration among the public audiences. Publishing companies and magazines competed each other over the publication or serialization of Land, and a TV drama drove the reading of the novel. During this period, Land was perceived as a work that the public audiences wished to read and should read. In 1986~1999, Land was considered a “masterpiece” by anyone in every aspect including the duration of serialization, background period, and literary value. When given an example of Land without separate explanations, the public audiences were able to think of a similar impression. In 1994,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series of Land was followed by the creation of commemorative spaces, the construction of commemorative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commemorative foundations, which further consolidated the status of Land as an unprecedented masterpiece in Korean literature. The high status and long volumes of Land, however, put huge pressure on the public audiences trying to accept the novel actively. The novel was considered a work that was difficult to enjoy in reality.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 수용자 연구의 일환으로, 1969년부터 1999년까지 박경리의 소설 『토지』의 대중 인식 변화를 일간지 기사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이 시기는 전문 독자가 아닌 일반 수용자의 『토지』 수용 양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으므로 일간지 기사의 『토지』 서술 변화를 추적하고, 그를 바탕으로 대중 수용자의『토지』 인식 변화를 역으로 유추하였다. 1969년~1976년 『토지』는 작품 자체보다는 ‘여류작가’ 박경리의 주목할 만한 ‘문제작’으로 다루어졌다. 기사의 모호한 서술로 구체적인 대중 수용자의 인식을 추적하는 데엔 한계가 있지만, 원작 소설뿐 아니라 영화, 라디오드라마 등 변용 작품까지 적극적으로 『토지』를 누리는 대중도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대중 수용자의 『토지』를 향한 관심이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 1977년~1983년 『토지』는 대중적인 인기의 절정을 누렸다. ‘『토지』의 작가’라는 수식어가 등장하기 시작하며 『토지』는 박경리의 대표작품으로 자리매김하였고, 텔레비전의 보급이 확대되는 시기 드라마화되면서 대중 수용자가 역사에 대한 공유 기억을 형성하는 데에도 영향을 끼쳤다. 출판사와 잡지 등이 『토지』를 출간하거나 연재하고자 경쟁하였고, 텔레비전 드라마가 소설 『토지』의 독서 행위를 추동하는 등 이 시기 대중 수용자에게 『토지』는 읽고 싶은, 읽어야 하는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1984년~1999년 『토지』는 연재 기간, 배경 시기, 문학성 등 어느 면에서나, 누구에게나 ‘대작’으로 인식되었다. 별다른 설명 없이 『토지』를 예시로 제시하면 대중 수용자들은 유사한 인상을 떠올릴 수 있었다. 1994년 완간 이후 기념 공간, 건축물, 재단이 설립되면서 전무후무한 한국문학의 대작 『토지』의 위상은 더욱 공고해졌다. 하지만 높은 『토지』의 위상과 긴 분량은 대중 수용자들이 『토지』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데에 큰 부담을 주어 실제 『토지』는 누리기 어려운 작품으로 여겨졌다.

      • KCI등재

        동남아시아 대중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서경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popular understanding of democracy in seven Southeast Asian countries(Thailand, Philippines, Indonesia, Malaysia, Singapore, Vietnam, Cambodia).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Third Survey(2010-2012) results provided by the Asian Barometer Projects. Some meaningful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pular understanding of basic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democracy in Southeast Asia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liberal democracy. Second, popular understanding of democracy in the Philippines is quite negative comparing to another six countries in this study. Third, regarding differences among political regimes, popular understanding in both one-party authoritarianism(Vietnam, Cambodia) and electoral authoritarianism(Malaysia, Singapore) is more positive than that in electoral democracy(Thailand, the Philippines, Indonesia) in terms of 'citizen empowerment and political support', 'trust in institution', and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and democracy'. Fourth, considering all those findings of popular understanding of democracy in seven countries, the future of western liberal democracy in the region is not promising at all. 본 연구의 목적은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7개국 대중의 민주주의에 관한 인식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용된 자료는 아시아 바로미터 프로젝트에 의해 실시된 3차(2010-2012년) 조사의 자료들이다. 동남아시아 7개국 대중들의 민주주의 인식에 관한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남아시아 대중들의 민주주의의 기본원리나 특징에 대한 인식은 서구 자유민주주의에서의 대중적 인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필리핀 대중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은 본 연구의 다른 6개국과 비교하여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체제별로는 ‘정부 및 국가에 대한 지지’,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 ‘정부와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 등에서 일당권위주의와 선거권위주의체제로 분류된 4개국(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이 선거민주주의체제 국가들(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보다 높았다. 넷째, 동남아시아 7개국 대중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와 같은 인식들을 고려할 때 이들 국가들에서 서구식 자유민주주의체제가 조만간 뿌리를 내리기는 어려워 보인다.

      • KCI등재

        한국사회 빈곤원인 인식의 실태와 결정요인

        이상록(Lee, Sang-Rok),김형관(Kim, Hyeongkwa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구성원의 빈곤원인 인식 유형 및 분포, 주요 빈곤원인 인식의 결정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가 지닌 빈곤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빈곤원인 인식 항목이 새롭게 추가된 8차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에서 는 한국사회의 빈곤원인 인식이 개인책임 인식(individualism), 사회구조책임 인식(structuralism), 운 명책임 인식(fatalism)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는 빈곤원인을 개인책임 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빈곤원인 인식의 양상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수준, 가치태도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책임, 사회구조책임, 운명책임의 빈곤원인 인식에의 결정양상은 일부 차이를 보였지만, 대체로 가치태도 변수들이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사회 빈곤원인 인식의 실태와 특성을 보여주는 바로, 특히 빈곤을 개인책임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높다는 분석결과는 한국 사회복지의 낙후성이 이와 같은 사회의식에 기반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아울러, 빈곤원인 인식의 결정에서 가치태도의 주요한 영향은 복지국가 발전의 토대 조성에 사회문화적 맥락에도 정치적, 정책적 관심이 제고되어야 함을 시사하여 준다. The public perceptions about the cause of the poverty are generally considered as the important subject because they are assumed to have profound influences on the anti-poverty strategies, the features of the welfare system, and the welfare politics. Ye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public perceptions about attributions for poverty in Korea.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popular perceptions about the causes of the poverty and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various beliefs about the causes of the poverty in Korea. The data derive from the Welfare Attitudes data of the 8th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results indicates that Koreans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individualistic explanations on the causes of the poverty than the structural and the fatalistic explanations. The results of regression model analysi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of the three types of poverty explanations, but subjective variables have the strong effects on all of the poverty explanations in Korea. In this study we find that Koreans are more likely than the western european welfare states to endorse individualistic explan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nderdevelopment of the welfare system in Korea is assumed to have the connection with the popular individualistic explanations. And, they suggest that there are needed to have notices to changing the public perceptions of the poverty and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ocial welfare in order to advance the welfare state in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