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대유행 기간의 대구 지역 수부외과 전문 병원 진료량의 변화

        오상호,김영우,우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2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7 No.1

        Purpose: We investigated the changes that occurred at single hand surgery center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in Daegu, Korea using patient data from 4 years (2018–2021). Methods: This i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patients visiting our cente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January 22 to May 6, 2020) in comparison to the most recent 4 years from 2018 to 2021. Service volumes (SVs) including the number of in/outpatients, emergency room, elective, and emergency surgeries were analyzed. The demographics, injury mechanism, and place of injury of hand trauma were analyzed in patients seen during the peak period of COVID-19 (February 24 to March 9, 2020) at W Hospital. Results: SV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2020 as compared with other years. The SVs except for the number of emergency surgeries recovered after 2 months from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Daegu, Korea. In the peak period, the effect of COVID-19 was weak on emergency room-related SVs. In addition, the daily number of in/outpatients and elective surger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COVID-19 confirmed cases (p<0.05). During the peak period, superficial lacerations increased and finger and wrist fractures decreased. The number of cases occurring in the workplace in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cases occurring outside during daily life decreased. Conclusion: The COVID-19 pandemic greatly reduced SVs at our center. A thorough protective strategy from COVID-19, such a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essential for the early recovery of hospital functions during the pandemic. In addition, emergency room staffing room must be preserved under pandemic conditions. The results of our study, which reported SVs through the pandemic, will help promote the sustained function of hand surgery centers. 목적: 4년간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COVID-19 대유행 기간 대구 지역 수부외과 전문 단일기관의 진료량 변화를 조사했다. 방법: COVID-19 대유행 기간(1/22–5/6) 사이의 단일기관의 후향적 차트를 분석한 연구로 외래, 입원, 응급실 환자 수, 정규 및 응급수술 건수를 조사했다. 대유행 기간 가장 확진자가 많았던 유행 정점기에는 응급실을 내원한 수부 외상환자의 분포와 특성, 수상 기전과 수상이 발생한 위치를 조사했다. 결과: 2020년도의 대유행 기간에 본 기관의 진료량은 다른 해보다 모두 의미 있게 감소했으며 첫 COVID-19 확진자가 발생하고 약 2개월 이후 응급수술을 제외한 다른 진료량은 모두 회복되었다. 유행 정점기에는 COVID-19 대유행은 응급실 관련 진료량이 다른 진료량에 비해서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OVID-19 확진자 수와 주별 외래 및 입원 환자 수, 정규 수술 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행 정점기에는 손가락과 손목 골절 환자가 줄어드는 반면 열상이나 절단 환자는 증가했다. 또한 작업장에서 수부외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일상생활 중 외부활동에서 일어나는 외상이 감소했다. 결론: COVID-19 대유행은 수부 전문 병원의 진료량을 크게 감소시키지만, 입원 및 외래 환자 수나 정규 수술 건수에 비해 응급실 관련 진료량에는 영향이 적어 대유행 기간에도 응급 진료를 위한 인력은 필수적이다. 또한 COVID-19 대유행 중에서도 사회·경제적 활동이 크게 줄어든 유행 정점기에는 응급 외상환자들의 환자 분포와 특성이 변화한다. 개인 방호구를 포함한 철저한 COVID-19 방역 대책과 대유행 기간의 환자 분포 변화 및 진료량 변화를 보고한 본 연구 결과는 대유행 기간에 수부 전문 병원의 기능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감염병의 대유행에 있어서 의약품 부족 시 의약품 제공기준에 관한 헌법적 정당성

        정문식 대한의료법학회 2012 의료법학 Vol.13 No.1

        Nach der sog. Neue Influenza(Schweinegrippe)-Pandemie wird die Verhütung und Bekämpfung von Infektionskrankheiten eine essentielle Aufgabe für das Gemeinwesen und stellt eine komplexe Herausforderung für die Rechtsordnung dar. Die nächste Pandemie ist nicht mehr eine Frage der Ob, sondern lediglich der Zeit. Zwar ist der jetzige Influenza-Pandemie Plan und der koreanische Infektionsschutzgesetz (ISchG) nicht verfassungswidrig, weil mit ihnen die Untergrenzen des Gestaltungspielraums von Gesetzgeber nicht unterschreitet und damit die grundrechtliche Schutzpflicht von Staat nicht verletzt ist. Jedoch ist aber gesetzlicher Ergänzung bedürftig, denn es gibt keine konkrete Regelungen, die in einer Verknappungssituation von medizinischen Gütern bei Pandemien anwendbar sind. Würde die Knappheit von Impfstoff nicht vermeiden, dann dürfte darüber entschieden werden, wem die Ressourcen in der Verwendungskonkurrenzen bevorzugt zugeteilt werden sollen. In Knappheitssituationen ist zuerst die Frage der Verteilung medizinischer Gütern von so wesentlicher Bedeutung, dass sie von Verfassungs wegen durch das Parlament zu regeln ist. Zweitens kann die Verteilung knapper medizinischer Ressourcen auf Maximierung der Überlebendenzahl als Menschenwürdegrundsatz und Lebensschutzpflichten vom Staat gerichtet sein. Drittens dürfen die in Art.11 KVerf genannte Kriteien, wie Geschlecht oder Religion, weil sie als Ungleichbehandlungskriterium im koreanischen Verfassungstext verboten sind, nicht zur Verteilung und Zuteilung herangezogen werden. Nicht zuletzt darf und muss der Gesetzgeber darüber regeln, wer in welchem Verfahren behandelt bzw. geschützt werden soll.

      • Hospitalized Cases of Adolescent and Adult H1N1 Influenza in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September 2009-January 2010

        Yoon, So Yoon,Ryu, Yon Ju,Kang, Hye Won,Baek, Doo Hyun,Kim, Soo Hyun,Choi, Min Young,Park, Hye Sung,Lee, Jin Hwa,Chun, Eun Mi,Chang, Jung Hyun,Cho, Young Joo,Jun, Yoon Hee,Shim, Sung Shine,Lee, Mi Ae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연구배경:2009년 4월 새로운 인플루엔자 A(H1N1)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전세계적으로 대유행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한 대학병원에서 발생한 H1N1 인플루엔자 감염환자 중에서 청소년과 성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과 예후에 대하여 2009년 9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조사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대유행 H1N1 인플루엔자로 확진된 13세 이상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유행 H1N1 인플루엔자는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시행하여 확진하였다. 결 과:43명의 대유행 인플루엔자 입원 환자 중에서 7명(16%)은 중환자실 치료를 받았으며 이중 1명(2%)은 사망하였다. 평균 연령은 45세였고 기저질환으로 천식, 당뇨, 허혈성 심장질환, 기관지 확장증, 암의 순서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임상증상으로 발열이 가장 주된 증상이었으며 그 외에 기침, 호흡곤란, 콧물, 근육통 또는 관절통, 인후통을 호소하였다. 입원 시 42명 중 25명의 환자에서 흉부 방사선 검사 결과 폐렴을 동반하였고 만성호흡기 질환의 악화를 보인 경우가 11명의 환자에서 관찰 되었다. 또한 23명의 Fish환자에서 산소공급이 필요하였으며 이중 2명은 급성 호흡부전으로 인하여 기계 환기가 필요하였다. 중환자실 입원을 요한 7명의 환자들은 모두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중 5명은 천식, 3명은 허혈성 심장 질환이 있었고 임신 상태와 당뇨가 각각 1명으로 나타났다. 확진된 모든 환자들은 증상 발현으로부터 평균 2일 내에 항바이러스제를 처방 받았다. 결 론:천식은 입원치료를 요하는 대유행 인플루엔자 감염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동반된 내과적 질환이었으며 특히 허혈성 심장질환 동반하는 환자의 경우 중환자실 입원을 필요로 함을 알 수 있으며 연구 결과 대부분의 환자에서 항바이러스제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윤리적 프레임워크 기반 대응에 관한 제언

        이인영 ( Lee In Yo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홍익법학 Vol.22 No.1

        코로나19 대유행이 가져온 상황은 단순히 의학적 상황 뿐만 아니라 사회적·경제적·심리적 위기상황의 복잡성을 가지고 있다. 대유행의 복잡성은 위기극복을 위한 대응에 대한 자문이나 조언을 하기 위해서는 학제간의 접근 특히 윤리적 고려사항에 대한 다학제성(multidisciplinarity in ethical considerations)이 필요하다. 우리 사회는 최근의 여러차례 감염병의 위기로부터 배워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있다. 대유행 위기가 종식하더라도 코로나19 동안 배운 경험을 정교화하고 강점과 약점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한 것이다. 물론 이는 국가적으로 그리고 국제적인 공동 협력으로 이루어져야 할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코로나 위기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외국의 국가윤리위원회는 이전의 감염병 대응에 의해 축적된 경험과 지식에 기반하여 코로나19 대응 윤리적 고려사항, 윤리적 이슈, 윤리적 프레임워크 등에 대해서 논의하고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 위기상황의 심각성을 경시하거나 공포를 확산시키지 않기 위해서 그리고 시민들이 위기극복에 대해 스스로 연대책임을 가질 수 있도록 그리고 우리 사회가 전례 없이 도전받고 있는 심각한 갈등상황으로부터 위기극복을 위한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위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가치와 조건들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코로나19의 위기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닥칠 수 있는 감염병 대유행의 위기에서 정부 정책의 수립과 시행과정에서 우리 사회에 형성되어야 할 윤리적 프레임워크를 이루는 기본적 윤리적 가치와 원칙으로서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2) 피해의 최소화와 생명구조, 3)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보호, 4) 연대책임, 5) 공정과 형평, 6) 비례성, 7) 신뢰를 들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극복의 구체적인 대응책과 성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이러한 윤리적 프레임워크가 정책결정의 방향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Society’s goal in a pandemic is to minimise mortality and illness in the population and other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individual and society at large. Restrictions and other measures introduced to combat a pandemic can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n public health. The measures may counter the spread of the virus, but they may also lead to the restrictions on fundamental democratic freedoms and rights, such as freedom of movement and personal privacy. Our society has a moral responsibility to learn from the many recent infectious diseases crisis. This will help you better prepare for the next pandemic and help develop an ethical framework that provides guidance in the face of ethical choices to be made in the future. Even with the end of the pandemic, time is still needed to refine the lessons learned during COVID-19 and make an accurate assessment of your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ourse, this is a meaningful work that has to be done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esign based on an ethical framework for overcoming the COVID-19 crisis, confirming the reality of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COVID-19 pandemic, and developing an ethical framework as part of efforts to prepare the government's crisis response measures. In this regard, discussions on ethical principles related to crisis response in Korea and discussions in foreign national bioethics committe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thical considerations urgently discussed according to each foreign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relation to the pandemic crisis response, the basic ethical values and principles to be checked in the response system in Korea are identified, and the ethical framework design and its contents are presented. Finally, while reviewing the COVID-19 crisis response task, it was described which ethical framework should be used to find a solution.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대유행 시대에 채무자회생법제의 한계와 과제

        장원규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21 회생법학 Vol.22 No.-

        벌써 수개월 동안 수많은 경제주체들의 삶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방식과 속도로 변했다. 이러한 전개가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는 사실은 일부 법제 영역에도 반영되고 있다. 입법부와 행정부는 이미 전례 없는 조치로 보건위기 상황에 대응하고 수많은 새로운 규정을 만들었으며, 그 중 일부는 기존의 기본 법적 질서에 깊이 개입하고 있다. 이 글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대한 대응한 채무자회생법제상 한계를 살 펴보고 몇 가지 쟁점별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코로나19 대유행과 관련하여 불가항력 또는 하드쉽(hardship)을 계약법제뿐만 아니라, 채 무자회생법제 측면에서 고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불가항력 또는 하드쉽 의 계약법제상 논의를 바탕으로 면책, 계약 유지, 계약해소 등 채무자회 생법제상 요건 및 효력을 입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긴급 한 지급유예 조치와 이에 따른 부인권의 정비를 검토한다. 코로나19 대 유행으로 인한 지급유예는 도산 전 임시적인 급부거절권으로 여겨지고 있다. 저자는 유동성 위기나 도산위기에 처한 채무자에게 변제의 편익을 부여함으로써 부인의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는 채무자회생법상 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입법적 사항들은 기업이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 을 극복하고 회복 가능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조치이다. Innerhalb von mehreren Monaten hat sich das Leben für wirtschaftlichen Subjekte in nicht für möglich gehaltener Art und Weise und Rasanz verändert. Dass mit dieser Entwicklung in vielen Bereichen Neuland betreten wird, spiegelt sich auch im rechtlichen Bereich wieder. Legislative wie Exekutive haben schon jetzt mit beispiellosen Maßnahmen auf die gesundheitliche Gefahrenlage reagiert und zahlreiche Neuregelungen geschaffen, welche teilweise tief in die bestehende rechtliche Grundordnung eingreifen. Der Beitrag untersucht die Grenzen schuldnerischer Sanierungsrechte gegen COVID-19 Pandemie und stellt Aufgaben zu jedem Thema vor. Zuvor sind force majeure oder hardship in Bezug auf COVID-19 Pandemie nicht nur im Vertragsrecht, sondern auch im schuldnerischen Sanierungsrecht betrachtet. Dementsprechend werden die schuldnerisch sanierungsrechtlichen Voraussetzungen und Wirkungen wie Haftungsausschluss, Vertragserhaltung und Vertragslösung im Hintergrund der Diskussion um das force majeure oder hardship gesetzgeberisch berücksichtigt. Sodann bedenkt sich der Verfasser die dringenden Maßnahmen zu einem moratorium und die anschließende Verbesserung eines Insolvenzanfechungsrechts. Ein Moratorium infolge der COVID-19 Pandemie ist für ein temporäres Leistungsverweigerungsrecht vor der Insolvenz angesehen. Der Verfasser beschäftigt sich mit Aufgabe des schuldnerischen Sanierungsrechts, der einem Anfechtungsrisiko wegen der Gewährung von Zahlungserleichterungen an in Liquiditätskrise bestehende or insolvenzbedrohte Schuldner Rechnung tragen solle. Diese gesetzgeberische Einzelheiten stellen eine wesentliche Maßnahme dar, um Unternehmen in die Lage versetzen, die Folgen der COVID-19 Pandemie zu überwinden und die Chancen auf eine Sanierung zu erhöhen.

      • KCI등재

        세계보건기구(WHO)의 대유행 인플루엔자 대비체계(PIPF)와 나고야의정서의 관계

        유예리,윤승필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환경법과 정책 Vol.25 No.-

        코로나19와 같은 공중보건 위기상황에서는 병원체 표본 및 그 유전자염기서열정보에 대한 제공이 신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국가가 자국의 국경 내에 있는 병원체 자원도 국가의 주권적 자산이라고 주장하면서 생물다양성협약과 그 부속조약인 나고야의정서에 따라 접근 및 이익 공유를 요구한다면 추가적 거래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도 지연될 수 있다. 물론 나고야의정서 제8(b)조는 인간, 동물 또는 식물 건강에 위해를 줄 수 있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관련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 공유 절차의 간소화를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동 조항은 당사국들에게 신종 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필요한 병원체 등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는 보건의료 위기상황에 대비하여 2011년 대유행 인플루엔자 대비체계(PIPF)를 채택하였다. 2006년 12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생물다양성협약을 근거로 자국의 국경 내에 있는 바이러스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세계보건기구와의 바이러스 표본 공유를 거절하자 세계보건기구가 채택한 결의안이다. 즉 PIPF는 세계보건기구 회원국들이 대유행 잠재력을 지닌 인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접근과 진단, 백신, 항바이러스 등 사용과 관련된 이익 공유를 규율하는 다자간 문서이다. 이처럼 병원체의 접근 및 이익 공유라는 동일한 사안을 두고 이를 규율하는 국제협약과 국제문서가 중복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양자의 모호한 관계는 향후 전염병 대유행이 재발할 경우 국제적으로 신속한 협력과 대응을 가로막고, 과학기술의 발전도 저해할 수 있다. 즉 양 문서간의 관계를 명확히 정립하지 않으면, 급박한 보건의료 위기상황에서 나고야의정서의 이행으로 인한 세계보건기구의 대응과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와 세계보건기구가 채택한 문서인 PIPF 간의 관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나고야의정서가 이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보건기구가 병원체 대상 별도의 접근 및 이익 공유 체계를 마련할 수 있는지 양자 간의 관계부터 살펴보고자 한다. 나고야의정서 제3조는 동 의정서의 적용범위에 병원체를 제외한다고 명시하지 않고 있고, PIPF이 나고야의정서 제4.4조상의 특별국제문서에 해당하는지를 두고 해석의 여지가 있다. 다음으로 PIPF의 적용대상 및 범위를 살펴보고, 나고야의정서가 적용될 수 없는 요건, 다시 말해서 PIPF가 적용되는 요건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In public health crises such as COVID-19, pathogen samples and gene sequence data should be publically available t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 timely manner. However, if the federal government claims the intellectual ownership of the pathogen resources, and requests access and benefit shar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the additional transaction costs will delay the development of vaccine and treatments. Article 8(b) of the Nagoya Protocol states that due regard should be pai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at threaten or damage human, animal or plant health, and that expeditious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fair sharing of benefits arising out of the use of such genetic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In other words, in the event of an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H5N1, the parties shall consider expeditious access procedures to genetic resources such as pathogen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vaccines and treatments. Meanwhil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adopted the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PIPF) in 2011 to prepare for health and medical crises. This resolution was adop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December 2006 after the Indonesian government refused to share virus samples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iming sovereignty over viruses within its borders based o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PIPF is a multilateral instrument that regulates access to human influenza viruses with pandemic potential and sharing of benefits related to their use, including diagnosis, vaccines and antiviral agents. In this situation where there are separate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instruments that discipline the issue of access to and sharing benefits of pathogens, the ambiguou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ld hinde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response to future pandemics, and also preven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Namely, i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struments is not established, the implementation of Nagoya Protocol in an urgent health and medical crisis may hinder and delay the WHO’s response to the sharing of pathog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e PIPF, an instrument adop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Nagoya Protocol. Article 3 of the Nagoya Protocol does not specify that pathogens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e protocol, and Article 4.4 of the Protocol does not specify whether the PIPF falls under specialized international instruments, leaving room for subjective interpretation. In response, this paper will first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o see if WHO can establish a separate ABS system for pathogens in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Next, it will examine the application and scope of the PIPF and identify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protocol cannot be applied. In other words, the requirements to which PIPF is applied. Therefore, in this review, we would like to examine and suggest the legislative and policy tasks that Korea should implement internally and externally.

      • KCI등재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 대비한 구급서비스 관련 법제개선에 관한 소고

        박훈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가천법학 Vol.14 No.3

        작년부터 전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조치들이 취하여졌다. 구급서비스 측면에서도 최근 소방청 소속 119구급대 등에서 감염병 확진자의 이송, 검체의 수송 및 예방접종센터 및 생활 치료시설에서의 구급환자 발생에 대비하여 대기하는 등 다방면의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 이에서보듯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의 구급서비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우리 법제 및 현실에서는 구급서비스는 민간의 의료기관 및 응급환자이송업체 등에서도 같이 제공하도록 되어 있으나, 해당 부분에 대해서 업무가 분산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 동안 일부 민간의 구급서비스가 공적인 임무를 위하여 운영되지 아니하고, 사익추구를 위하여 불법적으로 이용되는 등 파행적으로 운용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인다. 이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될 수 있도록 관리감독 제도를 정비하는 등의 법제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공적 그리고 사적인 구급서비스가 감염병 대유행 상황 등의 재난시에는 협력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도 있다. 나아가 구급대에서의 확진자 이송, 검체 수송 등 그동안 법령상의 근거가 명확하지 아니하였던 부분들 역시도 관련 제도 정비를 통하여 그 근거를 명확히 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법적인 논란이 없도록 할 필요성이 크다 하겠다. As current Pandemic of COVID-19 since early 2019, 119 EMS has served to several tasks- such as transportation of Infectious disease patient and clinical specimen, waiting at vaccination center and intermediate care facility etc-. So it may called EMS services under pandemic situation is more important than normal situation. In Korea, Civil EMS looks like not much involved these tasks. There are agent needs to improvement of system for Public and Civil EMS’s cooperation, supervision to Civil EMS etc. Therefore Better-regulation for EMSs in case of pandemic situation is unavoidable. Legal system improvement to EMSs regulations need to protection for people’s life and health.

      • KCI등재

        COVID-19 바이러스 유행 및 대응책이 중소도시 하수종말처리장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석민,이태우,최두용,박노석 대한환경공학회 202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6 No.6

        목적 : 인구 약 350,000명 정도 국내 중소도시(J_시)와 인구 약 73,000명 농촌 지자체(J_면)를 대상으로 코로나-19대유행으로 인해 야기된 시민들의 행동 및 생활의 변화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인 중소도시 지자체 사업소로부터 2018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2개(J_시 1개, J_면 1개)의 하수처리장 유입유량(m3/day) 데이터, 동기간의 상수(수돗물) 사용량 데이터(m3/day)를 조사하였다. J_시와 J_면의 경우 합류식 관거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하수처리장 유입량은 우수, 생활오수 및 공장폐수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동기간(2018.1.1-2023.12.31.) J_시와 J_면의 강우량 데이터도 입수하였으며, 동 지자체의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시기별 정책변화 시정백서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조사 및 입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 읍 및 면 단위로 35개 행정소구역의 2018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데이터를 시계열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토의 : 본 연구의 대상인 J_시와 J_면 하수종말처리장 유입량(2018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데이터)을 조사한 결과 모두 5차 및 6차 대유행이 발생한 시기(2021년~2022년 7월까지)에 하수 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하수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수 발생량의 감소 원인은 상수 사용량의 변화보다는 강수량이 기준년 대비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연구 대상 지역의 연 강수량과 J_시 및 J_면의 연간 총 하수종말처리장 유입량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각각 0.58과 0.59로써 뚜렷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에 합류식 하수관로를 사용하고 있는 대상 지역에서 하수종말처리장 유입량은 상수 사용량의 변화보다 연 강수량의 변화에 더 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how the COVID-19 pandemic spread and preventionactions are affecting the inflow patterns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WWTP) in the domestic small-mediumsized city. Also, the main contribution is the assessment of water consumption during a pandemic, provinginformation for management of wastewater collection and treatment system in order to be resilient in challengingsituation for the community. Methods : In this study, data on the inflow rates of 6 WWTPs (5 in J_City, 1 in J_Myeon) from January 1, 2018to December 31, 2023 water consumption data during the same period was investigated. Results and Discussion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ow of WWTPs in J_City and J_Myeon, the subjectof this study (data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3), the amounts of flowing into the WWTPs during the 5thand 6th pandemic showed a relative decrease compared to the 2018 data.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flow intoWWTP was analyzed to be the relatively small amount of precipitation compared to the base year, rather than thechange in water consumption. Conclusion :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annual precipitation and the WWTP inflow in J_Cityand J_Mye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58 and 0.59, respectively, showing a clear positive linear correlation. Accordingly, in these area using combined sewer pipe system, the inflow into WWTP was found to be more dependenton changes in annual precipitation than on changes in water consumption pattern.

      • KCI등재

        ‘1918년 인플루엔자’와 1차 세계대전 - 독일군의 대응과 영향을 중심으로 -

        김건우 한국독일사학회 2022 독일연구 Vol.- No.50

        The most fundamental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cases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past in the process of entering a new era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mankind is experiencing, to find historical lessons, and to find ways to prevent and overcome the pandemic that may come again. The place where the ‘influenza’ began is still uncertain in detail, and the first appearance in the German military was on the Western Front against France. And it suffered the most during the first pandemic. When the first pandemic spread to the military, specific, systematic, and medical responses to the epidemic were not implemented within the German military, and countermeasures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Due to the first pandemic, the German general offensive on the Western Front in 1918 had to disrupt the mobilization of soldiers. Along with various other events, it appears as the cause of failu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1918 influenza’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end of the war. ‘1918년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가리켜 일부 역사가들은 14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보다 더 많은 희생자를 낸, 역사상 가장 큰 ‘의학적 홀로코스트’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전염병의 대유행은 그 당시 전쟁 중이었던 독일을 포함한 연합군에까지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전쟁 말기에 독일군에 퍼진 ‘인플루엔자’가 처음 등장한 것은 프랑스와 맞서 있는 서부전선이었다. 그리고, 서부전선에서 시작된 ‘1918년 인플루엔자’가 1918년 여름 첫 번째 대유행으로 군 내부로 확산하였을 때, 독일군 내부에서는 이 전염병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의학적인 대응 방법이 마련되지 않았다. 더욱이 ‘독감’에 대한 적절한 대응조치도 제대로 실천되지 않았다. 단지, 독감에 걸린 병사들의 증상에 따라 군 의사와 의료진들은 판단을 내렸고, 그에 대한 대응조치 역시 감염 보고 및 격리 조치만 취했을 뿐이었다. 이러한 1차 대유행으로 인하여 1918년 독일군의 서부전선 여름 총공세는 병사들은 동원하는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결국, 독감의 감염과 사망으로 인하여 적재적소의 인력 충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이는 그 당시 독일군 내부 및 외부의 다양한 다른 사건들과 함께 실패의 원인으로 등장하게 된다. 끝으로, 지금까지 제한적인 독일군 사료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로 본다면, 전쟁의 종결에 ‘1918년 인플루엔자’가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론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광역시도별 야간 인공조명 강도의 시공간 변화

        김민호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2

        The COVID-19 has recently entered into global pandemic era, which impacted on the shrinkage of world econom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 movement limit and local-level lockdown. The province-level distinction of nighttime light (NTL) change, associated with COVID-19 pandemic, was reported by previous research for China and Ind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NTL change for provinces of South Korea. To do so, it utilized Day/Night Band (DNB) March images of 2019, 2020 and 2021, which were collected by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sensor onboard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NPP) satellite. The considerable dimming of NTL was observ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whose cumulative COVID-19 confirmed cas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Province-level NTL changes between pre-pandemic and pandemic periods of this communicable disease were also confirm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It would be required to perform time-series statistical analysis, incorporating other the other variables potentially related to NTL change, in future study.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전 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국가 간 이동제한 및 지역봉쇄에 따라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는 야간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인공조명 세기 변화의 지역별 차이가 발생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2020년, 2021년 3월 SNPP VIIRS DNB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과 맞물린 야간 인공조명의 광역시도별 시공간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큰 폭의 야간 조도 감소가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시기 간 광역시도별 빛합계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야간 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포함한 시계열 모형 기반 분석의 수행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