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東學會 경전 강연 연구

        신재식(Jae-sik Sh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大東學會는 대한제국기 유림 관료 집단을 주축으로 결성된 보수 학술단체이다. 그들은 당대 집권층의 입장에서 서구문명에 대응하기 위한 부국강병의 개화 정책 시행과 권력 유지를 위한 유교문명의 정치 체제 유지 등이 동시에 필요한 과제로 주어졌다. 이러한 이유로 일제의 유교 정책을 東道西器論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모범사례로 인식하고 일제 정치 집단과 협력하면서 대동학회를 창설하게 되었다. 강연회는 대동학회의 핵심 활동 중 하나이다. 대동학회는 주 1회 유교 지식인을 대상으로 유가 경전과 서구 신서적을 텍스트로 삼아 강연회를 실시한 바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대개 政治ㆍ法律의 正德ㆍ利用에 관한 東西ㆍ新舊 학문의 절충 방안에 관한 것이었다. 특히 강연의 유형과 주제에 주목한 결과 유가 경전을 대상으로 修己治人 실현과 東道西器 절충에 관한 내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修己治人 실현의 경우, 유교적 도덕 정치의 당위성을 해명하고 그 실현의 단서를 제시하며 그 과정을 설명 권장한 것이다. 이는 율곡 聖學의 과정과 實心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 도덕 정치의 출처인 유교 체제의 확립을 위한 활동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東道西器 절충의 경우, 반유교주의에 대응하여 유교 체제를 수호하기 위해 畿湖學派의 理氣論的 세계관을 근거로 서학 수용 상의 유학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이는 반유교주의에 맞서 권력 기반인 유교 체제를 수호하자는 기득권 유림의 정치적 통합의 메시지가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대동학회 강연을 통해 일제강점기 전후 유림 집권층의 친일화 과정을 확인한 점에서 사적 의의가 있다. Daedong Hakhoe is a conservative academic school organized mainly by confucian bureaucrats in the period of Korean Empire. Most officials of Daedong Hakhoe belonged to the ruling group at that time. Back then, it was required to administer an enlightenment policy for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o cope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at the same time, have a political regime based on confucian culture to maintain the power. Under this situation, they recognized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Empire which utilized Confucianism as an exemplary case on the viewpoint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and created Daedong Hakhoe cooperating with the Japanese political group. Lecture gatherings were one of the core activities by Daedong Hakhoe. Gangeuirok, partial summary of the lectures, were published on nearly every one of Daedong Hakhoe Monthly. The frequency was once a week, targeted people were knowledged confucian people, category was confucian canons and western new books, topics were methods to harmonizing both eastern and western, new and old studies on the right ways and utilization of politics and laws. Especially, attention should be given on the category and topics of the lectures. This is because we can take a main lead to find out overal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lectures. After reviewing them, we confirmed that there had been most portions for canons as to category, realization of Cultivation of Oneself and Governing Others and harmonization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as to the topics. As for the realization of Cultivation of Oneself and Governing Others, they elaborated about the imperativeness of confucian moral politics, proposed a lead to realize it and explained and recommended the process. This was borrowed from the process of Seonghak (Holy Study) and the concept of Silsim (Real Mind) by Yulgok and can be regarded as an activity to establish the confucian regime, the source of moral politics. About the harmonization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they verified the efficacy of Confucianism in accommodating the western studies based on the Yi-gi (Lichi) Theory world view of the Giho School to protect the confucian regime against anti-confucianism. Therefore, this can be explained that all of them had a message of political integration by the vested rights of confucian people to protect their basis of power, i.e., confucian regime against anti-confucianism.

      • KCI등재

        大東學會 漢文敎育 활동과 그 의도

        신재식(Jae-Sik Sh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3 동양한문학연구 Vol.64 No.-

        大東學會 임원진의 대다수는 일제강점기 보수유림을 친일화하는 부역에 종사하게 된다. 그런데 그 조짐이 이미 대한제국 말기에 시작되며, 이를 파악할 단서가 그 한문교육 활동에 있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근대 법학 전문지식인 양성 사립학교인 大東專門學校를 개설 운영한다. 특기할 점은 ‘한문’을 필수 교과로 특설하고 유림 자제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는 데 있다. 대동전문학교 초대 한문강사가 작성한 한문교육 관련 작품의 모음이 바로 「學校試士雜文」이다. 이는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학교시사잡문」의 내용을 검토한 결과, 한문 교과를 통해 유림 자제의 유교 이념을 강화하는 교육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으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연대를 위한 지도층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대동학회 임원진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뉜다. 하나는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이고, 또 하나는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이다. 한문 교육의 명분 확보의 경우 한문 중심의 교육 정책의 기반, 이른바 文以載道의 이념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漢文이라는 언어를 곧 儒道 실현의 단서’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유교 이념의 체화와 실현의 경우 전통 道學의 진리 구현, 이른바 修己治人의 방식을 내면화ㆍ현실화하는 유교적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자의 도덕 수양을 통한 사회 교화를 곧 통치 체제 확립의 관건’으로 간주한 임원진의 견해가 반영된 것이다. 즉 ‘유교 통치의 정당화가 곧 유림 계층의 정당화’로 귀결되는바 결국 유교 체제의 존속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동학회 한문교육 활동의 보수성은 대한제국기 시대적 변화로 인한 보수유림의 위기감에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학교시사잡문」의 사례는 친일 보수유림의 견해가 당대 한치유ㆍ장지연ㆍ박은식ㆍ신채호 등 개신유학자의 견해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 원인이 무엇인지 조명할 수 있는 사례라는 점에서 근대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Great Eastern College is one of the significant activities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Curriculum Guide」, included in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agazine』, was written by Budangnoin, an instructor at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chool curriculum. It is material that can show specific facts. It will examine the details of the Great Eastern College and becom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view of the ruling class and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which had a tremendous political influence at the time on education, talent, world, and politics. A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Guide」, most of it incorporated traditional education (Chinese Classics and Taoism) into the modern school system,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Eastern Ideas Policy of th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This includes formal, writing, and content education, such as ethics. The content is divided into beginner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This is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education. The beginner’s course is about learning the basics, such as improving writing and reading and learning how to study. Its goal is to secure the imperativeness in educating Chinese classics and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advanced course. The advanced course is divided into principles and applications. Principles it is about Confucian proprie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ethics. It is like the stage of ascetic practice in Taoism, which intends to secure the personal ethical view of the ruling class. For applications, it is about historical lessons and social reformation. It is like the stage of practicing Taoist ideas, which intends to establish social leadership for the ruling class. Such Eastern ideas-centered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the crisis awareness of the established class, the Confucian scholars who wished to foster talented people to defend the Confucian system, the base of power.

      • KCI등재

        대한제국기 관료 李重夏의 경전 강연 : 大東學會를 중심으로

        신재식(Shin Jae-sik),강명관(Kang, Myeong-kw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1 No.-

        大東學會는 1907년 중앙 유림 관료 집단이 결성한 보수 학술단체이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조선후기 집권층 유학자 출신으로, 東道西器論에 입각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국내외 정세의 격변으로 인해 그 기득권의 근간인 전통 체제가 위협을 받은 까닭에 그에 대응하는 정책을 구사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결국 일제 정치 유교 집단과 협력하여 대동학회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대동학회 강연회는 매주 유림 회원을 대상으로 유교의 윤리에 서학의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모임이다. 그 내용의 일부는 「講義錄」으로 요약되어 『大東學會月報』에 수록되기도 한다. 이는 일부 유림 세력의 지지를 받았고, 일제의 유림 회유 정책에 기여한다. 그 과정에서 경전강사 李重夏(1846-1917)가 활약한 것이다. 이중하는 대동학회에서 평가위원ㆍ경전강사ㆍ전문학교교장ㆍ교육과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면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학회 활동에 참여한 바 있는데, 특히 경전강사로서의 활동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강연의 주제를 보자면 그는 『論語』 7건(「爲政」 1건, 「公冶長」 1건, 「雍也」 1건, 「述而」 4건), 『中庸』 2건(17장ㆍ20장), 『孟子』 1건(「離婁下」) 등을 다루었다. 강연의 요지를 보자면 그는 유교 체제의 부흥을 국가 부흥의 관건으로 제시하고, 사족의 자격과 역할의 회복을 유교 부흥의 핵심으로 지목한다. 그러고는 전통 주자학의 修己治人 실현을 그 방도로 제시하고 그 실천을 권면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그 학문 사상의 연원인 율곡의 『聖學輯要』의 과정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論語』ㆍ『中庸』ㆍ『孟子』 등 여러 四書의 문구를 근거로 修己의 知行ㆍ立志ㆍ誠實ㆍ矯氣質과 治人의 用賢ㆍ取善 등 여러 聖學의 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회원에게 권면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대한제국기 정세에서 전통 집권층의 생존 전략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제에 부역하게 되는 대한제국기 집권층의 구체적 행동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aedong Hakho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is an academic organization established by a group of central Confucian officials in 1908. The leaders of Daedong Hakhoe belong to the Patriarch’s Faction, the mainstream powe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led the Gwangmu Reform based on the idea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For the traditional system,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was threatened due to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landscape at the time, they needed policies to cope with the changes. Eventually, they established Daedong Hakhoe in cooperation with Japan’s imperial political Confucian organization. The lecture meeting of Daedong Hakhoe gave lectures on how to incorporate Western Learning into Confucian canons every week for members of the association who are Confucian scholars. Some of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were summarized in the 「Gangeuirok (Lecture Notes)」 and inserted in the 『Daedong Hakhoe Wolbo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onthly)』. It was supported by some Confucian authorities and influenced Confucian poli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non lecturer Lee Joong-ha (1846-1917) made a huge contribution in that process. Lee Joong-ha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activities enthusiastically and continuously by serving in various important posts in the association, such as evaluator, canon lecturer, principal of college, and dean. In particular, he mostly served as a canon lecturer. Topics of lectures included seven topics (one on 「爲政 (Practice of Government)」, one on 「公冶長 (Gongye Chang)」, one on 「雍也 (Yong Ye)」, and four on 「述而 (Transmission of Learning)」)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wo topics (Chapter 7 and 20)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one topic (「離婁下」 (Part 2 of Lilou)) from 『Works of Mencius (孟子)』. As for the substance of the lectures, he suggested the revival of the Confucian system as the key to national revival and pointed out that the restoration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aristocrats as the core of the revival of Confucianism. He suggested the realization of the idea of ‘cultivating oneself before governing others’ of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hu Hsi as a way and recommended the practice of the idea.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is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Yulgok Lee Yi s 『Essentials of the Sage’s Learning』, which is the origin of that academic thought. In other words, he derived various learning processes, such as 知行 (Knowledge and Conduct), 立志 (Establishing an Aim in Life), 誠實 (Sincerity), 矯氣質 (Control of Emotion) for ‘cultivating oneself (修己)’ and 用賢 (Recruitment of Benevolent and Gifted People) and 取善 (gathering goodness) for ‘governing others (治人)’ based on the passages of the Four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and 『Works of Mencius (孟子)』, and recommended them to the association’s member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it clearly shows the survival strategy of a group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under the political circumstanc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 KCI등재

        『대동학회월보』에 출현하는 일본한자어 연구

        백남덕(Paek, Nam-Deok) 일본어문학회 2021 일본어문학 Vol.93 No.-

        本論文は20世紀初め韓国における日本漢字語の受容と実態を察するた めに『大同学会月報』(1908-1909)を資料とし調査したものである。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ようである。まず、『大同学会月報』は「大同学会」の機関誌として當時国内に来ていた 日本人の支援を得て刊行されており、日本留学出身者の記事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次に、『大同学会月報』から抽出した漢字語を対象とし、先行研究と比 較·分析した結果、多数の日本漢字語が使用されてい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最後に、筆者の出典用例調査で新たに究明された日本漢字語は江戸末期から明治にかけて生産された漢字語である。このように『大同学会月報』は開化期国内での日本漢字語の受容と実状を 裏付ける重要な基礎資料の一つで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と考える。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ow and acceptance of Sino-Japanese compound words for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enlightenment period based on Daedong Hakhoe Wolbo periodicals from 1908 to 1909. The summary of main results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as follows. First, Daedong Hakhoe Wolbo, which was a periodical of Daedong Hakhoe, was issued with financial support from Japanese people living in Korea at that time, and included the articles of Japa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Second, a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words from Daedong Hakhoe Wolbo and the previou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lots of Sino-Japanese compound words used in Daedong Hakhoe Wolbo. Finally, Sino-Japanese compound words that the author identified from the investigation are the ones formed from the last of Edo period to Meiji period Daedong Hakhoe Wolbo is considered an important reference to verify the use of Sino-Japanese compound words of those days and their actual state.

      • KCI등재

        유길준의 인맥에 대한 연구(1907~1914)

        마스타니 유이치(Masutani Yuichi)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8

        유길준은 일본에서 동아청년회에 관여하였다. 동아청년회 및 일한동지회에 소속하는 일본인들은 일진회 및 대한협회에 반대하고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하려고 하였다. 유길준의 인맥 또한 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유길준이 유일하게 참여한 기존 자강운동 단체인 대동학회는 그가 귀국 전부터 교류하던 일한동지회가 관여한 단체였다. 유길준은 귀국 후 독자적으로 자강운동을 전개하였다. 흥사단 활동은 이미 활동하고 있던 교육 지도자들과 거리를 두고 전개한 활동이었다. 한성부민회 역시 유길준이 독자적으로 전개한 활동이었다. 1909년 1월 한성부민회에 대한협회 인사들이 참여하였는데, 결국 유길준과 뜻을 같이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유길준의 인맥은 1910년 및 1912년의 일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당시 자강운동 세력을 이끄는 윤효정, 장지연, 신채호, 박은식과 같은 인물은 유길준의 주소록인 『지우록』과 『조문록』, 『유길준 일기』에 나타나지 않았다. 유길준은 망명에서 귀국한 후 새롭게 등장한 젊은 운동가들에게 합류하지 않고 독자적인 자강운동을 전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산업계 인사들을 포섭해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Yu KilChun was involved in Tonga Ch’ŏngnyŏnhoe in Japan, Tonga Ch’ŏngnyŏnhoe and the Japanese affiliated with Ilhan Tongjihoe tried to start their independent movement and Yu KilChun’s personal connections show the same tendency as well. Daedonghakhoe, the only strenuous efforts movement organization which Yu KilChun participated was an organization involved with Ilhan Tongjihoe which he interacted before returning from abroad. After his return, he developed his own Enlightenment Movement. Heungsadan activities kept their distance from the existing leaders. Hansŏngbuminhoe also was Yu KilChun’s independent activity. January 1909, Personnel from Taehanhyŏp"oe participated in Hansŏngbuminhoe and they couldn’t get together. Those personal connections have been verified his 1910 and 1912 journal. The leaders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uch as Yun Hyochŏng, Chang Chiyŏn, Sin Ch"aeho, Pak Ŭnsik didn’t show in Chiurok(Records of close acquaintances), Condolence book, and Yu Kilchun’s Journal. After his return from asylum, Yu KilChun tried to develop his independent Enlightenment Movement not joining new activists thus tried to construct network with industrial personnel.

      • KCI등재

        19세기 후반 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었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와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로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었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8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 성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 하였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특집 : 근대 전환기 유교 담론과 도학 개념의 역사적 의미론

        이행훈 ( Haeng Hoon Lee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10

        조선의 학술ㆍ문화와 사회·정치의 근간이었던 유교는 근대로의 급격한 전환과정에서 본래의 지위를 탈각한 채 기독교뿐만 아니라 새롭게 생겨나는 신종교의 틈바구니에서 경쟁해야 했다. 이 시기 유교적 지식인들은 문명의 개화와 진보를 역사적 책임으로 자임하면서 동도서기와 신구학논쟁을 진행하였으나, 한편에서는 국망의 원인으로 유교를 지목하여 폐기와 전면적 개혁의 요청에 휩싸였다. 1905년을 기점으로 일제의 식민지 책략이 본격화되자, 논의의 초점은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한 유교의 역할로 확대되었다. 동아시아 문명의 계승자로 자부하던 소중화 의식은 고유성과 독창성을 발명하려는 ‘민족’의 정념 속에서 퇴색할 수밖에 없었고, 당대 지식인들은 ‘유교’의 민족성과 친일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가속화하였다. 『대동학회월보』와 『대한매일신보』를 위시한 매체들은 일종의 근대적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면서 이 시기 유교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의 논쟁을 실어 날랐다. 유교는 서구에서 유입된 새로운 개념은 아니었지만, 미래가치를 담아내기 위해서 고투했다. 이처럼 전통 개념의 역사의미론은 오히려 기성의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의미의 균열과 변용을 겪게 되고 마침내 우리의 일상 언어감각에서 사라지게 되는가를 문제 삼는다. ‘기본 개념’이 전근대 사회를 근대로 추동했다면 ‘전통 개념’은 근대적 변환의 속도와 방향을 문제 삼으면서 사회변동의 하나의 요소로 기능했다는 것이다. 이는 동아시아 근대화 과정에서 발생한 기존 개념들의 운동 종식과 소멸의 작동방식에 시선을 돌려 역사의 빈공간과 시간으로 사라져 버린 개념들을 재성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Confucianism had functioned as the scientific,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foundation of Joseon for a long time, but during the drastic transition period leading to modern times, its dominance was threatened by competition from new religions, including Christianity. Confucian intellectuals of the time, considering themselves responsible for the enlightenment of society and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were immersed in a dispute between dongdoseogi(the principle of preserving Eastern philosophy while accepting Western technology) and singuhak(old and new learning). However, once Confucianism came to be considered the underlying cause of national ruination, they were compelled to face up to demands for its abolition or comprehensive reformation. With the Japanese pursuing colonialism in earnest, the principal focus of debate became the role of Confucianism in the movement for national independence. Support for ‘little’ Sinocentrism(小中華主義) was eclipsed by rising nationalistic sentiments, and the national role of Confucianism was challenged by pro-Japanese activities. Newspapers like Daedonghakhoewolbo(大東學會月報) and Korea Daily News(大韓每日申報) functioned as the public sphere in a modern way, carrying articles about various arguments concerning ‘Confucianism’, which, though not a new concept from the West, was striving to capture values for the future. The historical semantics of traditional concepts essentially calls into question the way in which existing concepts undergo semantic rupture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disappear from everyday language. While ``basic concepts`` promote the premodern into the modern, ``traditional concepts`` function as an element for social transformation, taking issue with the pace and direction of the transition to modernity. In this way, historical semantics can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the movement of existing concepts stops and they cease to exist, and can thus contribute to a reappraisal of concepts which have disappeared into the empty space and time of history.

      • KCI등재

        20세기 초 일제협력유림의 경학원 활동

        정욱재(Jung Uk-jae)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경학원 直員으로부터 시작하여 부제학까지 올랐던 이대영(1874~1950)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그는 19세기 후반에 태어나 20세기 중반까지 살았던, 우리 역사의 격변기를 겪은 인물이었다. 일본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후, 이대영은 일제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설립한 경학원에 처음부터 참여하였다. 경학원은 조선총독부가 성균관을 폐지하고 총독부 정책과 지배이념을 홍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여 설립한 조선총독부 직속기관이었다. 이대영은 1911년 9월 8일부터 1921년 7월 30일까지 경학원의 직제 중에서 가장 말단인 直員으로 근무하였다. 그 후 공로를 조선총독부에게 인정받아 그는 1921년 7월31일에 경학원 사성으로 승진하였으며 1936년 1월 17일까지 직무를 수행하였다. 경학원 사성은 경학원의 실질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중추적인 직책으로 이대영은 『경학원잡지』 편찬주임을 맡았다. 아울러 그는 조선 유림의 동향을 관찰ㆍ보고하고 유교의 보편적 논리를 이용하여 일제의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 강연도 하였다. 이대영은 그의 나이 63세인 1936년 1월 18일 경학원 부제학으로 승진하였고 동시에 명륜학원 강사까지 겸임하였다. 경학원 관계자 중에서 경학원 직원부터 시작하여 경학원 부제학까지 올라간 사람은 이대영이 유일하였다. 요컨대 이대영은 경학원 설립 때부터 일제강점기 말엽까지 경학원 말단인 직원에서 시작하여 경학원 이인자인 부제학까지 올랐던, 일제강점기 경학원의 역사와 함께 한 인물이었다. 그는 비록 당대의 일급 일제협력유림처럼 두드러진 활동을 남기지 못 하였지만 경학원의 직원으로서 일제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충실히 협력을 다하였다. Yi Dae-young has witnessed the turmoil of Korean history until his death in mid-20<SUP>th</SUP> century. Born in late 19th century, he participated as ascribe to a pro-Japanese society of the Daedong Hakhoe(大東學會). Since then Yi showed his pro-Japanese tendency that was most evident when he joined the Japan Tourist Party hosted by a newspaper company, The Kyungsung Ilbo(京城日報) in 1909. After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occupied the Daehan Empire, Yi Dae-young joined the Kyunghakwon(經學院), a scholary organizat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established after abolishing the Seonggyungwan. Kyunghakwon was a direct institution for promoting policies and ruling ideology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Korea. In such organization, Yi worked as a lowest ranking officer of Jikwon(直員) from September 8, 1911 to July 30<SUP>th</SUP> 1921. Then he was promoted to the Saseong(司成) of the organization on July 31<SUP>th</SUP> 1921, after his contributions were recogn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performed his duty until January 17<SUP>th</SUP> 1936. Yi’s job, the Saseong, The Saseong is a critical job that performed actual works in the organization. As the Saseong, Yi took the role of chief editor of the 『Kyunghakwon Japji(經學院雜誌)』, and at the same time, not only monitored status of traditional scholars, the Yulim, and gave several lectures that rationalized Japanese colonization using general logic of the Confucism. On January 18th 1936, Yi Dae-young was not only promoted to Bujehak(副提學) of the Kyunghakwon, but also began to give lectures in the Myungryoon Hakwon(明倫學院), and became the only officer who became the lecturer. Until his retirement in April 26th 1943, he cooperated to invasion and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for 32 years.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후반 신기선(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 Dae Hwan Noh )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 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엇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에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를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엇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0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 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셩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하엿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theory of Dongdoseogi (東道西器, Eastern Ways and Western Machines, shortened as Dongdoseogiron hereafter) was a new current of thought introduced in the early 1880s when a severe argument of the open-door theory and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in defense of orthodoxy was is at its peak. Sin Gi-seon was the very person who suggested Dongdoseoginom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races of his life 1890s and review his entire care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periodical shifts of his thoughts would be revealed during saidprocess He used to study under the guidance of rustic literati(山林, sallim), however, in the early 1880s, he was fascinated to the idea of Dongdoseoginm. Ar that time, he suggested the new theory to convinc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open-door movement, but, snce he got involved in Coup d`Etat of 1884, he had to experience a huge transition of life.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revolutionaries, he was sent into exile and, ever since this point, he gradually became conservative. His new thoughts in the late 1880s can be found from Yubakgyeongui (儒學經緯, Warp and Woof [circumstances] of Confucianism) and it aimed, unlike his old ideas from the early 1880s, to re-secure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 teachings. Witnessing the Reforms of Gdoo (1894) and Eulmi(1895), made him even more conservative. He was critical abot the reform movements since he regarded the reform as dependent and radical. At this point his only interest was to protect Confucian ways from the radical reformists. Therefore, he had to face a severe criticism from the enlightenment parties represented by the Independence Club. In the late 1900s he suggested the compromising theory of the old and new studies. This suggestion was rnainly for the protection of old studies from newer academic trends. But his argument failed to evoke a significant response and, instead, he received a severe denumciation from groups of new academia. Sin Gi-seon once belonged to a progressive groip and , thus, was criticized b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But after the middle of 1890s he was marked as a conservative by the reformist groups. Shifts of his though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also show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Dongdoseogir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