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례 : 효령대군이보(孝寧大君李補)(1396~1486)의 불사(佛事) 활동(活動)과 그 의의(意義)

        인용민 ( Yong Min Ih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8 禪文化硏究 Vol.5 No.-

        본 연구는 조선 초기 강력한 억불정책이 전개되는 가운데 종실(宗室)의 수장(首長)이었던 효령대군(孝寧大君)의 불사활동(佛事活動)을 정리한 것으로 그가 불사를 통해서 이루고자했던 본질적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효령대군이 평생 동안 불교를 신봉해왔음은 이미 역사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사찰에서 설행되는 불교법회(佛敎法會)를 비롯하여 사찰의 중수(重修)및 중창(重創)에 관여하였다. 또한 불상(佛像), 불화(佛畵), 탑파(塔婆), 범종(梵鍾)등 다양한 불교미술품을 조성하고, 불경(佛經)의 언해(諺解)및 간행(刊行)등에 실질적인 후원자가 되기도 하였다. 억불 숭유정책이 시행되던 조선 초기의 시대 상황을 감안한다면, 그의 불사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은 주지할 만하다. 그의 불사활동은 단순히 개인적인 신앙심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효령대군의 불교에 대한 관심과 신앙은 이미 오래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왕실의 불교신앙이라는 배경에서 성립된 것이었다. 세종 연간까지 효령대군은 부모와 형제를 천도하고 종실의 안정을 도모하며 부왕의 후궁과 동생의 부인을 위로하는 등 여러 목적으로 조성된 불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불사참여는 초기에 개인적인 불심으로부터 발현한 것이지만, 이후 그의 불교후원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종실의 수장으로서 왕실을 대표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 시기 효령대군을 중심으로 일어난 불사 활동은 태종과 세종 전반기 주춤했던 불교계에 활기를 불어 넣었으며, 세조 연간에 시행되었던 불교정책의 밑거름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세조 연간은 정치적으로 불안한 시기였다. 형제와 조카를 살해한 세조는 왕권의 정통성 문제에 있어 종실과 신하들에게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 때문에 그는 대군시절부터 신봉했던 불교를 자신의 왕권 강화의 도구로 적극 활용하였다. 사리분신(舍利分身)이나 여래현상(如來現相)과 같은 불교적 상서(祥瑞)를 통해 왕권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효령대군은 불교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는 세조의 정책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세조의 즉위 과정에서 여러 종친들과 단종의 죽음을 겪었던 효령대군은 더 이상의 왕권 다툼으로 인한 참화를 방지하기 위해 세조의 적극적인 불사에 동참한 것으로 생각된다. 당시 효령대군이 세조를 지지한다는 사실은 대외적으로 종실이 세조의 정통성을 인정한다는 것을 의미하였으며, 사실상 세조의 왕권강화에 큰 힘을 실어주게 되었다. 효령대군은 기념비적인 흥천사종(興天寺鍾)을 주성하여 세조의 정통성과 선정(善政)을 대외적으로 선전하였고, 세조의 명을 받아 원각사(圓覺寺)건립과 간경도감(刊經都監)에 참여하였다. 세조 연간에 일어났던 불교의 상서로운 이적은 순수한 종교적 현상을 통해 단종의 폐위와 세조의 즉위로 촉발된 왕의 위상 하락과 정통성에 대한 위협을 극복하기 위한 정치적인 행보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조연간 효령대군의 불사활동은 왕권 안정이 곧 종실의 안정이라는 종실 수장으로서의 의무를 발현한 것이라 하겠다. Prince Hyoryeong, as the representative member of the royal family, supported Buddhist mass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a strong anti-Buddhist policy was in effect.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urpose of his patronage and what he intended to achieve through it. It is well known that the prince had lived his life as a sincere Buddhist. He supported Buddhist rituals and the restoration of Buddhist temples. He also supported Buddhist arts such as sculpture, painting, and the construction of pagodasand bells as well the publication and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s. When one considers the strong anti-Buddhist policy with which the Dynasty suppressed Buddhists at the time, it is possible to say his dedicated patronage was remarkable. His patronage doesn`t seem to originate solelyfrom his personal piety. The royal family had its own tradition of Buddhist belief and it was the basis of his piety. Until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prince supported many Buddhist masses which were carried out for the sake of the royal family. At the beginning, his patronage was based on his personal piety. But later, he supported Buddhist masses as the representative member of the royal family. His patronage revived the impoverished Buddhist society in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made the foundation of the pro-Buddhism policy which was employed in the reign of King Sejo. King Sejo killed his brother and cousin to usurp the throne thereby making his claim to power illegitimate. He used Buddhism to make up this political defect. He held Buddhist rituals and fabricated miracles to redeem his political authority. Thus Prince Hyoryeong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situation. Prince Hyoryeong, having experienced the illegal usurpation of the throne, supported King Sejo to avoid any further dispute over the throne. The fact that the prince supported King Sejo meant that the entire royal family admitted the King`s authority and the legitimacy of the throne was strengthened. Prince Hyoryeong supported the production of the Buddhist bell of Heungcheon Temple to propagate the orthodoxy of King Sejo and his good government. The prince also supported the construction of Wongaksa Temple and joined Kangyung-dogam(刊經都監), the office of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s). The Buddhist miracles which occurr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seem to signify political attempts to strengthen the orthodoxy of the thron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e that Prince Hyoryeong, as the representative member of the royal family supported Buddhist masses to stabilize the throne and to redeem the royal family`s peace.

      • KCI등재

        조선전기 사대부의 시문(詩文)에 나타난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예술세계

        이기범(Lee, Gi-bum)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4 No.-

        안평대군에 관해서는 그간 학계에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대략적으로 학위논문이 90여 편, 학술지 논문이 100여 편, 단행본이 260여 편 출간되었다. 선행연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평대군 연구 중에서도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시문과 예술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세종(世宗)에게는 맏아들 문종(文宗)을 비롯하여 수양대군(首陽大君,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臨瀛大君), 광평대군(廣平大君), 금성대군(錦城大君), 평원대군(平原大君), 영응대군(永膺大君) 여덟 아들을 두었지만, 왜 안평대군만이 문단의 중심이 되었을까? 그것은 대군이라는 지위 때문만이 아니라, 그에게는 당시 최고 수준의 시작 능력이 있었고, 이를 통하여 사대부들과 이상을 공유하며 공감과 지지를 받은 문예 지향적 리더십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 글에서 중요하 게 생각하는 부분은 바로 이러한 문예 지향적 리더십을 통한 이상향의 공유와 공감, 곧 소통인 것이다. 안평대군에 관하여 쓴 시문들을 시기적으로 살펴보면, 33세가 되기 이전의 시문들에서는 그의 글씨를 호평한 시문이 거의 없음을 알게 된다. 그것은 그가 비록 뛰어난 시적 능력으로 문단의 중심에 있었지만, 글씨에 대해서는 그렇게 인정을 받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그는 33세가 되는 해 정월에 명나라 사신으로 온 예겸(倪謙)과 사마순(司馬恂)의 검증을 거친 후에야 비로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일이 있는 이후로 안평대군의 서예에 관한 많은 시문이 지어졌다. 그는 36세에 일어난 계유정난(癸酉靖難) 전까지 짧은 기간 많은 찬사를 받았고, 그러한 평가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임을 여러 시문이 말해준다. 안평대군은 당시 사대부들과 이상을 공유하며 그 시대의 예술사상을 선도했다. 당시 사대부들이 안평대군의 작품을 보고 비평한 글들의 핵심은 시・서・화가 천도(天道)와 합일되는 경지를 요구하였는데, 이것이 곧 시서화일률이다. 이 의미는 단지 이론적인 것이 아니라, 당시 사대부들과 함께 시회 등의 모임을 통하여 시와 그림과 글씨가 모두 최고의 이상적 경계에 나아감을 추구한 것이었다. 이 논문의 핵심은 시・서・화를 통한 안평대군과 당대 사대부들과의 소통과 이상의 공유이다. 이것이 곧 안평대군의 문예 지향적인 리더십이었으며, 이러한 리더십을 통하여 그는 세종대의 찬란한 문화를 선도했다. 시・서・화가 어우러지며 조 정의 중요 문신들이 참석한 이러한 문화는 조선 전체 역사 속에서도 이 시기가 가장 성대하였다.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body of research on prince Anpyeong: about 90 dissertations, 100 papers in an academic journal, and 260 books. However, this paper focuses on points that have not gained much attention. Even though king Sejong had eight sons: the oldest son, king Munjong, prince Suyang, king Sejo, prince Anpyeong, Imyeong, Gwangpyeong, Geumseong, Pyengwon, Yeongeung, what made prince Anpyeong take center stage in poetry? This was not only because he was a prince, but also he was a master on poetry. His outstanding poetry skills help share ideals with the literati, win support and arouse sympathy from them, by which he could provide literature-oriented leadership. The emphasis of this paper lies in the shared ideals and sympathy, all of which is about communication. Taking a look at poems written on him by period, there were rarely complimentary comments on his handwriting until he turned 33.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his outstanding poetry skills put him at the center of literature, his handwriting failed to be recognized. Only after his calligraphy was recognized by Ye-Kyeom and Samasun, envoys from the Ming Dynasty, on the lunar new year when he turned 33, did it start to draw attention. The event was followed by numerous poems on the calligraphy of prince Anpyeong. He received a number of favorable comments for the short period of time until Kaeyujungnan occurred when he was 36 years old. Many poems confirm such evaluations until now. The shared ideals with the literati let him take the lead in the artistic thoughts of the time. The literati s criticisms about poems by prince Anpyeong pointed to his failure to unite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with the law of heaven. The unity of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with the law of heaven is called SiSeoHwa-ilrul . This is not just about theory, but pursuit of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all reaching highest and ideal levels through gatherings like a poetry club. What this paper mainly deals with is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prince Anpyeong and the literati of Early Joseon Dynasty with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This is what constitutes the literature-oriented leadership of prince Anpyeong, allowing him to lead the splendid culture during the reign of Sejong. A custom in which major officials and scholars participate through poetry, calligraphy, and drawing best blossomed during this time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

        박성호(Park Sungho) 국립고궁박물관 2020 古宮文化 Vol.- No.13

        개화기에 접어들어 조선은 종래에 명·청을 상대로 유지해 온 사대事大에서 벗어나서 독자적인 주권국가로서 다른 나라와 대등한 국가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새國璽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2020년 재미교포의 기증을 통해 <대군주보大君主寶>가 국내로 돌아왔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성과를 토대로 개화기에 제작된 ‘대군주보’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1882년(고종 19)에 새로 제작한 ‘대군주보’, ‘대조선대군주보’, ‘대조선국대군주보’에 관한 문헌 기록과 1894년(고종 31) 및 1895년(고종 32)에 반포된 공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개화기에는 국새와 어새를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운용한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개화기 고문서를 조사하여 ‘대군주보’, ‘대조선국대군주보’, ‘대조선국보’가 실제로 사용된 사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군주보’는 관원의 임명문서, 국내에 반포한 칙령, 왕에게 상주된 주본의 여백 등에 찍힌 사례를 확인했고, ‘대조선국대군주보’와 ‘대조선국보’는 각각 1887~1888년, 1894~1897년 사이에 외국으로 보낸 국서에 찍힌 사례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대조선국대군주보’와 ‘대조선국보’는 타국과의 외교 관계에서 주고받는 국서에 ‘국새’로 사용되었고, ‘대군주보’는 고위 관원 임명문서와 국내에 반포된 법령 등의 문서에 ‘어새’로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Joseon Dynasty aimed to form equal state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as an independent sovereign country after rejecting the suzerainty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the past. This transformation could be seen in the changes to the seal of state. In 2020, the Dae-gun-ju-bo was returned after a Korean-American’s donation to Korea.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nature of ‘Dae-gun-ju-bo’ produced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First, this thesis examined the literature records about ‘Dae-gun-ju-bo’, ‘Dae-jo-seon-Dae-gun-ju-bo’, and ‘Dae-jo-seon-guk-dae-gun-ju-bo’ newly produced in 1882(the 1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and also the official document laws proclaimed in 1894(the 31st year of King Gojong’s reign) and 1895(the 32nd year of King Gojong’s reign). Based on this, this thesis verified that the seal of state and the seal of the king were separately applied depending on their use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researching the ancient documents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kept by Kyu 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Jangseogak Archives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is thesis verified the cases in which Dae-gun-ju-bo,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were actually used. Conclusive evidence is provided in this thesis with verified cases of stamping Dae-gun-ju-bo on the appointment documents for government officials, imperial orders proclaimed within Korea, and the margin of letters presented to the king, and also the cases of stamping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on the credentials sent to foreign countries in 1887~1888, and in 1894~1897 respectively. Through this, Dae-jo-seon-guk-Dae-gun-ju-bo and Dae-jo-seon-guk-bo were used as ‘the seal of state’ for credentials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and Dae-gun-ju-bo was used as the seal of the king for documents such as appointment documents for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ordinances proclaimed in Korea.

      • KCI등재후보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와 처의 지위

        한희숙 ( Heesook Ha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2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 사례를 통해 당시 대군부인의 지위를 고찰하는 것이다. 조선 초기에 이혼을 한 대군은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과 영응대군, 그리고 예종의 아들이자 성종의 사촌 동생인 제안대군이다. 그런데 영응대군과 제안대군은 이혼한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재혼한 후처와 다시 이혼함으로써 각기 두 번의 이혼을 하였다. 여기에 태조의 세자 방석의 경우와 세종의 세자 문종의 2번에 걸친 이혼을 포함하면 조선초기 왕의 적자들의 이혼 비율은 꽤 높은 편이었다. 당시 왕실에서의 이혼은 혼인 당사자들보다는 가장인 왕과 왕실 어른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혼을 결정할 권리를 갖고 있는 왕은 신하들에게 그 여부를 묻고 있지만 신하들이 반대해도 결국은 일방적으로 며느리인 대군의 처를 내쫓았다. 이혼 사유는 주로 `병`과 `불순부모(不順父母)`였다. 임영대군의 첫 번째 부인 남씨, 영응대군의 전처 송씨, 후처 정씨, 제안대군의 전처 김씨는 모두병을 이유로 쫓겨났다. 그러나 사실 영응대군의 후처 정씨의 이혼사유는 불명확했으며, 제안대군의 후처 박씨의 이혼 사유는 불순이었다. 마음이 바뀐 대군들은 전처와 재결합하기 위해 이혼 사유를 만들어 냈다. 사실 병의경중은 출처에 큰 문제가 되지 않았고, 불순부모도 명분에 지나지 않았다. 이혼 당시 처에게는 모두 자식이 없었는데, 무자(無子)가 출처의 직접적인 사유는 아니었으나 그것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한편 왕실 이혼은 여성에게 매우 불평등한 것이었지만, 여러 대신들의 논의를 거친 뒤에야 가능했다. 대군들이 첫 번째 부인들과 이혼하는 데에는 대신들의 반대가 별로 없었다. 왕의 뜻을 따랐다. 그러나 재혼한 후처와의 이혼에 대해서는 대신들과 대간들이 적극 반대하였다. 그 이유는 이혼 사유가 불분명하고, 특히 전처와 재혼하기 위해 후처를 출처(黜妻)하는 것은 불가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처와의 이혼을 막지 못했다. 조선 초기 대군들의 이혼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사례에서 당시 대군부인들은 모두 일방적으로 출처를 당했다. 출처사유는 칠거지악이며, 이것은 대군의 처들에게도 자주 남용이 되었다. 대군부인은 모두 결혼한 지 몇 년 되지 않은 10대의 나이에 출처되었다. 둘째, 대군들의 이혼은 국가의 수장이자 왕실의 가장인 왕의 결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형식적으로는 왕이 대신들과 의논을 하였다. 셋째, 대군들은 왕의 아들, 왕의 삼촌, 왕의 사촌이라는 종친으로서의 특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일방적인 출처가 더욱 용이하였다. 이혼 문제에 있어서 대군부인들의 지위는 매우 낮았다. 넷째, 출처될 시점에서 대군과 부인 사이에는 모두 자식이 없었다. 다섯째, 대부분 대군부인들은 당대 권력가의 딸들이었기 때문에 출처된 후에도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살았다. 대부분 재혼하지 않고 평생 친정 조카와 함께 살았으며, 자신의 재산을 조카에게 상속하였다. 대군부인들은 혼인을 통해 정1품의 부부인(府夫人)이라는 높은 외명부품계를 받았지만, 이혼과 동시에 그 지위를 잃었다. 즉 왕실의 강력한 권력 앞에서는 나약한 존재였다. 시부모의 뜻이나 변심한 남편들에 의해 출처 당하기 쉬웠다.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atus of princes`s wives through the divorce case of princes in early Joseon. Divorced princes in early Joseon were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as sons of King Sejong, and Jaean prince, son of King Yeajong as well as cousin of King Sungjong at the same time. However, Imyoung and Youngeung princes were divorced with their second wife for remarried again with their ex-wife, so they divorced twice each other. Therefore, three princes were divorced 5 times. Those divorce rating was very high in other to include Bangsuk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Taejo as well as Mungong who was a crown prince of King Seajong . Royal divorces at that time were led by the party of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than man and wife themselves. King had right to decide even if he was asking about divorce to his servants or if the servants were opposed to divorce, and eventually, the king drove out the wives of the princes, which were the one-sided. Commonalities that appear in the divorce cases of the princes in early Joseon as follows. First,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unilateral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ecause of disease or impure parents as a one of `Chilgegiak(七去之惡)`. The wives of princes were driven out in ten young age, which had not been married a few years. Second, the princes, as a king`s son, a king`s uncle, and a king`s cousin had the privilege of Jongchin. Therefore, it was rationalized unilaterally pushing a clearance, and status of the wives of princes in the divorce was very low. There was no marital child when wives were evicted. Finally, the wives who were daughters of powerd person, most of wives had lived with nephews without remarrying and their property were inherited to nephews. Even though, the wives received `Bubuin Oimyungbu(外命婦) pumgae(品階)` of Jeung1pum(正1品) through marriage, they were weak in front of the King`s family and powerful of husband family. The wives were kicked out by father-in-law or mother-in-low as well as easy to cast out by husband who changed their mind.

      • KCI등재

        육군 유튜브 콘텐츠 특성이 대군(對軍)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콘텐츠 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박재원,김종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1

        Since establishing blog in 2009, the Army has delivered its diverse policies including its practical training and stabilized unit management to nation by using various social media such as YouTube, Facebook, Instagram, etc. The Army tries to present the image of strong & proud Army as well as enhance reliability of armed force, its ultimate goal through such activity.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provided by Army YouTube content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role of contents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that the characteristics has on contents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of armed force as well as in the relation between reliability of armed force and influ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question paper was produced to investigate the Army YouTube contents characteristics, contents satisfaction,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and Likert 5 points scale was used for all questions except tester’s general characteristics for study method & scope. Question was implemented online from September 28 to October 7, 2022. The final 232 question papers except insincere response were analyzed by using technical statistics &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question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Army YouTube contents property emerged as ‘information, amusement, expertise and perceptual openness.’ Second, although the army YouTube contents characteristics, amusement, expertise & perceptual openness has positive influence on contents satisfaction, informa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Third, although the Army YouTube contents characteristics, amusement, expertise & perceptual openness has positive influence on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informatio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as the result of mediating role of contents satisfaction in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he Army YouTube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content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amusement &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and expertise, perceptual openness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Given this result, we can interpret that amusement has no direct influence on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and it has positive influence on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only if contents satisfaction is fulfilled. In the case of expertise & perceptual openness, we can interpret that reliability of the armed force is more influenced if contents satisfaction is fulfille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studying viewer’s attitude about YouTube contents of institution related to armed force, government department, public institution which is utilized for purpose similar to that of the Army YouTube. 육군은 2009년 블로그를 개설한 이래,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사용하여육군의 실전적 교육훈련과 안정된 부대관리를 비롯한육군의 다양한 정책들을 국민에게 전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강한⋅자랑스러운 육군 상(像)’을 제시함과동시에 육군의 궁극적인 목표인 대군신뢰도 제고를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상황에서 육군 유튜브에서제공하고 있는 콘텐츠 특성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육군유튜브의 콘텐츠 특성이 콘텐츠 만족도와 대군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과 콘텐츠 특성과 대군신뢰도 영향 관계에서 콘텐츠 만족도가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범위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육군 유튜브 콘텐츠 특성, 콘텐츠 만족도, 대군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고, 실험자의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설문은 리커드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온라인으로 2022년 9월 28일부터 10월 7일까지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232건의 설문지를 기술 통계와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첫째, 육군 유튜브의 콘텐츠특성은 ‘정보성, 오락성, 전문성, 공감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군 유튜브의 콘텐츠 특성인 오락성, 전문성, 공감성은 콘텐츠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보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군 유튜브의 콘텐츠 특성인 오락성, 전문성, 공감성은 대군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정보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육군 유튜브의 콘텐츠 특성과 대군신뢰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콘텐츠 만족도의 매개 역할에대한 결과 오락성과 대군신뢰도 사이에서 콘텐츠 만족도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으며, 전문성, 공감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오락성은 대군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충족되어야만 대군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문성과 공감성의 경우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충족이 될 경우, 대군신뢰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육군 유튜브와 유사한 목적으로 활용되는 군 관련 기관, 정부부처, 공공기관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시청자의 태도를 연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15세기 중엽 조선과 명의 정국과 수양대군의 대명외교

        장대근 ( Jang Dae-Geu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21 韓國史論 Vol.67 No.-

        본 논문은 수양대군이 유동적인 국내외 정세를 기민하게 활용하면서 즉위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1449년 토목의 변으로 정통제는 포로가 되고 정통제의 이복동생 경태제가 즉위했다. 정통제는 이듬해 귀국했으나 남궁에 유폐되었다. 이후 태상황제의 존재와 후계자 선정 문제는 경태제의 지위를 흔드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한편 조선에서는 세종대 후반 왕세자가 섭정하면서 종친이 다시 정치의 전면에 등장했다. 특히 수양대군과 안평대군은 관직에 임명되지 않고도 왕명을 출납하거나 국정 논의에 참여했다. 단종이 즉위했을 때 두 대군은 이미 상당한 정치적 입지를 확보하였다. 수양대군은 단종 즉위 직후 고명사은사로 북경에 갔다. 종친을 고명사은사로 보낸 전례가 없음에도 수양대군은 강력하게 사행을 자청했다. 그는 북경에서 조명관계의 중요한 행위자인 조선 출신 환관과 접촉했다. 수양대군은 이 사행에서 대내적으로 국왕의 숙부로서 두터운 대우를 받는 동시에 명에 자신의 존재를 인식시키고 上國의 권위를 최대한 활용하고자 했다. 계유정난 이후 수양대군은 이미 조선의 실질적인 권력자였으나, 결코 섭정의 지위에 만족하지 않았다. 선양의 장은 명 사신이 서울에 체류하는 중에 펼쳐졌다. 두 사신 중 한 명은 수양대군의 사돈이자 皇親인 한확과 관계가 있었다. 조선에서 수양대군의 지위를 알고 있었던 명 사신은 왕위 교체를 지지 혹은 최소한 묵인하였다. 세조 책봉은 중종과 인조의 사례와 비교할 때 상당히 원만하게 이루어졌다. 여기에는 세종대 후반 종친의 대두라는 대내적 배경과 동시에 토목의 변과 명황실의 계승 문제라는 대외적 배경이 작용했다. 수양대군은 이러한 배경에서 조명관계를 자신의 집권에 유리하게 이끌어나갈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how Prince Suyang of Joseon used the everchangi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 to be crowned king of Joseon. After the Tumu Crisis(土木之變), Emperor Zhengtong’s half-brother acceded to the throne and became Emperor Jingtai. He put the returning Emperor Zhengtong into confinement and made his son the crown prince instead of his nephew. Meanwhile, in Joseon, the crown prince acted as regent at the end of King Sejong’s reign, which led the royal relatives to return to the fore of politics. Prince Suyang and Prince Anpyeong, in particular, had already established their positions in politics when King Danjong succeeded the throne. Prince Suyang volunteered to visit Beijing as Gomyeongsaeunsa(誥命謝恩使). In Beijing, He intended to garner respect as the uncle of the king domestically and make a strong impression in the Ming court to use the authority from the Ming dynasty in the future. Prince Suyang’s usurpation took place during a visit from the Ming envoy. He formed good relations with the Ming dynasty by reaching out to the Ming eunuch from Joseon and becoming family with the relatives of the Gongnyeo(貢女) by marriage. In comparison to King Jungjong and Injo, the approval process from the Ming dynasty was more straightforward for Prince Suyang. The external factors, the Tumu Crisis and the problems in the succession of the Ming throne, played pivotal roles in the approval. Thanks to such circumstances, Prince Suyang was able to lead the Joseon-Ming relations to better support his power.

      • KCI등재

        조선 전기 왕자 교육의 실태와 그 특징

        한희숙(Han, Hee-Sook)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4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 왕자인 대군・왕자군들의 교육 실태와 그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에는 왕위 계승자인 세자와 원자의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대군과 왕자군의 교육은 제도적 장치를 갖지 못하고 부왕의 관심에 따른 사부교육 중심의 개인교습으로 이루어졌다. 그것은 각 왕대의 대군•왕자군의 수가 소수이고 일정하지 않았던 점과, ‘宗親에게는 임무를 맡기지 않는다’는 명분에 따라 왕자들이 관직에 나가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 전기에는 왕자들이 왕위를 계승할 수 있는 잠재적 존재였고, 또 외교활동 및 종친부를 비롯한 왕실관련 기관의 임무를 수행해야 했으며, 왕실 자제로서의 품위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왕자들의 지식 함양과 자질향상을 위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였다. 왕자들의 교육에는 부왕의 재위기간과 관심, 훈육 등이 많이 좌우하였다. 태종은 마음가짐이 단정하고 經書에 박학한 師傅를 뽑아서 대군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세종은 종친의 교육을 위해 종학을 설립하고, 8세가 되면 종학에 입학토록 하고, 모범을 보이기 위해 대군들을 입학시키기도 했지만 사부교육을 더 중요시 하였다. 성종도 대간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자들을 사부들로 교육시켰다. 성종은 말년에는 궁궐 내에 讀書廳을 두고 문신을 가려 贊讀이라 이름 하여 왕자들을 가르치게 하였다. 종학은 연산군 11년에 폐지되었다가 중종대 다시 설치되었지만 중종도 왕자들을 사부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였다.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주로 왕자사부에 의한 개인교습교육이 중심이 되고 여기에 종학교육이 보조적으로 이루어졌다. 종학은 종친들을 위한 교육기관이었지 왕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기관은 아니었다. 왕자 교육은 방법이나 내용면에서 양반들의 교육과 큰 차이점이 없었다. 왕자들은 기본적으로 『小學』과 『孝經』 『四書』와 『大學衍義』 『三經』과 『通鑑』 등을 배웠다. 그러나 왕자들에게는 제왕교육을 받은 세자와는 달리 治國과 平天下 등 정치적인 역량을 키우는 교육은 하지 않았다. 왕자들의 교육에 가장 큰 관심을 둔 왕은 세종이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 세자를 제외한 왕자 교육은 그 실태와 체제면에서 대체로 부실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왕자들은 “宗親不任以事”의 명분에 의해 공부를 해야 할 동기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경제적인 문제와 공간 부족 문제, 그리고 道敎的인 인식, 避病, 避厄 등의 이유로 어린 왕자들을 궁 밖에 위탁 입양시키는 일이 많았던 왕실 자녀들의 양육 문화 때문이었다. 그리고 세자를 제외한 모든 왕자들은 11~14세에 결혼을 하여 궁 밖으로 나가서 살아야 했던 왕자들의 이른 혼인 나이도 영향이 있었다. 혼인 후 부왕의 관심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조선 전기 90여명의 왕자들 가운데 양녕대군이나 수양대군, 안평대군, 월산대군, 제안대군 등 소수의 재능 있는 대군들만이 詩・書・風流 등에 두각을 나타냈을 뿐이었다. The early Joseon Dynasty education of the Seja and Wonja had been made by the national level institutionally. But the education of the Daegun and Wangjagun had been formed by private education as a attention of the king and it did not have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enough. Because it was the small number of Daegun and Wangjagun of each King and also the princes were prohibited from working at government office as a according to the Jongchin who did not have been entrusted with the job. However, there was the potential that the prince could be the king in the early Joseon and they had to perform the duties of royal institutions, including Jongchinbu, and diplomatic activity, and they had been trained to maintain the dignity as the royal family son. The princes had received a lot of according to the attention of the king Taejong allowed the private teacher taught the princes. Sejong established the Jonghak for the education of the princes and the Jongchin. The princes had to enroll in the Jonghak from 8years old. Sejong let the princes attended the Jonghak by good example but he thought that private teacher education was more important. Seungjong allowed private teachers taught the princes inspite of the opposition of the Daegan. In later Sungjong Doksircheung was established in the palace and the princes were taught by the Chandok. The Jonghak was abolished when Yonsangun 11years, but it was reinstalled when Jungjong who wanted to teach the princes by a private teacher. The princes were educated to the moral character, except political education which was for threat to the throne. The princes education excluding Seja was generally poor in its status as a system in early Jose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ystems in accordances with the growth process of the princes did not prepare well. That’s why instead of the princes who could not go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they had received a nice treat as a social and economic goal and their education goal motivation was not clear, and the princes were being raised at outside the palace due to economic, space, and avoid illness from the youth, and education could be interrupted by early marriage, and many students attended at Jonghak. Therefore, only small numbers of Daegun were distinction in literature and calligraphy.

      • KCI등재

        <운영전(雲英傳)>에 형상화된 삶의 권력과 죽음의 권리

        정규식 ( Ku Sik Ch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1 No.-

        본고는 <운영전>을 안평대군과 궁녀들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궁녀들의 후원자이면서 훈육자인 안평대군은 대군이라는 절대권력의 소유자로서 수성궁을 지배하는 존재이다. 반면 수성궁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엄격한 규율을 지키면서 생활하는 궁녀들은 안평대군의 지배를 받는 존재들이다. 안평대군이 궁녀들로 하여금 자신의 이념적 가치를 추구하고자 할수록 궁녀들은 수성궁 밖을 동경하면서 동시에 남녀의 애정을 지향하게 된다. 그 결과, 안평대군의 절대권력은 궁녀들의 주위를 맴돌면서 표류하게 되고 궁녀들은 집단지성으로 그에 맞서게 된다. 이러한 대립의 과정에서 안평대군의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해 궁녀들의 죽을 수 있는 권리로 맞서게 되면서 궁녀들은 스스로의 육체의 주인이 되는 존재로 변화한다. 작품에서 안평대군은 궁녀들의 감시자이면서 동시에 보호자로 등장한다. 그로인해 절대권력을 소유하고서도 그것을 행사하는 권리를 누리지는 못하면서 표류하고 만다. 반면 궁녀들은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오는 의견의 다양화, 개별적 지식에 의거한 독립성과 그것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분권화, 공동선을 향해 의견을 전환하는 통합의 과정을 보이는 집단지성적 면모를 발산한다. 이러한 두 존재의 대립에서 삶의 권력에 맞서는 죽음의 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살아 있는 권력인 안평대군에 맞서는 집단지성의 궁녀들은 죽음이라는 권리를 통하여 저항하게 되는데, 이는 당시의 지배질서 체재 내에서 그녀들이 행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하면서도 유일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수성궁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일종의 ``통제된 자유``만을 누리던 궁녀들이 비로소 스스로의 육체의 주인이 되고 나아가 애정의 자유를 추구하면서 진정한 자유를 성취하고자 하는 장면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on the basis of Anpyeong-daegun and maid of honor in <Unyeong-jeon> is interpreted. Maid of honor and their supporters are disciplined army of Anpyeong-daegun absolute power as the owner of the Suseonggung is the dominating presence. However, the limited space, the Suseonggung, in keeping with the strict discipline of living beings Maid of honor are also the subject of Anpyeong-daegun. Anpyeong-daegun through Maid of honor who wish to pursue their own ideological values more Maid of honor while they miss out the Suseonggung affection between men and women are oriented. As a result, Anpyeong-daegun the absolute power of the Maid of honor and Maid of honor around the spiral to drift away while he is facing as a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course of these conflicts Anpyeong-daegun of Maid of honor for the power of the living dead as the right to confront the Maid of honor themselves as being the owner of the physical changes. In the works, Anpyeong-daegun the monitor as well as a guardian of Maid of honor appeared. In spite losing is owned by the absolute power to exercise the right to enjoy it while not losing them did not drift. However, their different opinions out Maid of honor diversity of opinion, based on individual knowledge, independence, and to judge it based on decentralization, and the common good transition towards the opinion that the intellectual aspect of the integration process, showing a group of radiation. In the presence of these two opposing powers of life right in the face of death can be found. Anpyeong-daegun and against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he death of the Maid of honor and are resisted by the right, which stayed within the prevailing order of the time she`s capable of the most powerful and was the only way you can do. As a result, the Suseonggung in a limited space a kind of ``controlled freedom`` enjoyed only Maid of honor until they are masters of their own bodies to further achieve the freedom of love and true freedom can be achieved will determine the scene.

      • KCI등재

        태조~성종대 왕실여성의 封號와 가문 현황 분석 - 大君夫人·君夫人을 중심으로

        이미선(Lee Mi-Seon)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 No.153

        본고는 조선 초기 왕실여성 가문의 성격과 외척의 정치적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태조∼성종대까지 간택후궁과 대군부인·군부인들의 가문 현황을 정리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無品인 王女를 제외한 간택후궁 25명과 왕자 부인 102명, 모두 127명이다. 이 여성들이 命婦의 爵號로 불렸던 만큼 그 정비 과정과 함께 公的칭호를 살펴보았다. 왕실여성의 칭호는 명부제도의 정비와 관련된다. 그들에 대한 칭호는 명부의 名號이자 封號였다. 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여성을 총칭하는 용어로, 명부의 수장인 왕비 아래에 內命婦와 外命婦로 나뉜다. 후궁은 내명부의 봉호를 받았고 왕자 부인은 외명부의 봉호를 받았다. 외명부제도는 1396년(태조 5) 吏曹에서 문무관 부인에게 내린 봉작을 정비하면서 처음 시작되었다. 이후 1417년(태종 17)과 1432년(세종 14)에 한두 차례 개정되었고 성종대 완성된 경국대전에 최종 수록되면서 대군부인·군부인의 호칭은 각각 정1품 府夫人과 郡夫人이 되었다. 왕자와의 혼인을 통해 정1품에 오른 부인들은 간혹 정치적 문제나 자신의 윤리적 이유 등으로 그 지위를 잃게 되면서 그에 따른 호칭도 변경되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24명은 왕위를 계승한 남편을 둔 대군부인이나 궁궐에서 쫓겨난 폐빈·폐비 또는 이혼당한 대군부인, 그리고 왕비로 승격된 간택후궁 등이다. 태조에서 성종대까지 왕실여성들의 가문 127명의 성관을 분석한 결과, 국왕 10명의 간택후궁 25명은 15개의 성씨와 19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고 왕자 78명의 부인 102명은 32개의 성씨와 58개의 관향으로 파악되었다. 이때 대군부인의 집안은 28개 가문에서 40명이 배출되었던 비해 왕자군의 부인 집안은 47개 가문에서 62명이 배출되었다. 그런 만큼 이 시기에는 왕실의 통혼 범위가 매우 넓었다. 게다가 대군과 왕자군의 신분적 차별이 사대부 집안과의 혼인 관계에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contains a preliminary study that would hopefully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f the nature of certain houses to which the female members of the Joseon Royal family belonged in the early days of the dynasty, as well as studies of the role of the Royal family’s in-law hous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catalogue all the houses of the Daegun-Bu’in(大君夫人) and Gun-Bu’in(君夫人) figur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and the history of Selected Royal concubines(Gantaek Hugung, 揀擇後宮) from the days of the Dynasty founder(Taejo, 太祖) through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Examined here are total of 127 females, including 25 Gantaek Hugung figures (with the exception of Royal princesses who bore royal blood and thus had no Pum[品] ranks), as well as 102 females who were wives of the Royal princes. These females were addressed with their bestowed Myeongbu(命婦) titles[爵號], so their official titles are also examined here. Titles of the Joseon Royal family females were develop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Myeongbu system, which was compiled of official titles[名號] that were to be bestowed(or assigned, 封號) by the government to females married to the Royal family males or other governmental officials. The term Myeongbu itself was a generic term that referred to females who were officially designated by the state, while the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Queen, featured two tracks of females: the Inner Myeongbu figures(Nae-Myeongbu, 內命婦) and the Outer Myeongbu figures(We-Myeongbu, 外命婦). Royal concubin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former track, while wives of princes received titles associated with the latter. The latter track was initiated for the very first time in 1396(5th year of Founder Taejo’s reign) when the Ijo(吏曹, Office of Personnel Assignment) office decided to modify titles that had been bestowed to wives of governmental(civil and military) officials. Later the system was revised in 1417(17th year of the reign of Taejong/太宗) and 1432(14th year of the reign of Sejong/世宗), and was also documented in the Joseon Law Code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compiled during the Seongjong era. The titles for Daegun-Bu’in and Gun-Bu’in became Bu-Bu’in(府夫人) and Gun-Bu’in(郡夫人) respectively, with both figures harboring the Jeong-1-pum[正一品] rank. Females who obtained this rank through marriages with the Royal princes sometimes lost their status due to political controversies or breach of moral conduct, and in those cases their titles were also adjusted or modified. Among the 127 figures examined here, 24 cases can be spotted, ranging from Daegun-Bu’in figures married to males who later became Kings, to Queens and Royal concubines who were stripped of their ranks and summarily dismissed from the palace, to Daegun-Bu’in figures who were forcibly divorced, and to Gantaek Hugung figures who were promoted to the status of Queen. Analysis of the household names of all 127 Joseon Royal family females from the era of Taejo to Seongjong reveals: 25 Gantaek Hugung figures—married to total of 10 kings—who collectively feature 15 last names[姓氏] and 19 hometowns[貫鄕], as well as 102 females married to 78 Royal princes featuring 32 last names and 58 hometowns. There were 40 Daegun-Bu’in figures from 28 houses, while 62 prince-wives from 47 houses. The Royal family of this time displayed quite a range in its marital network, and the unequal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un figures and other princes does not seem to have affected their marriages with Sa-Daebu(士大夫, Scholar/Official) households.

      • KCI등재

        河寧君 李穰의 家系와 政治活動

        지두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논총 Vol.44 No.-

        Through a study of changes in political forces, politics, economy, society, ideology, and cultu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15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at reformation efforts, which had been sustained during the reigns of King Sejong and King Seongjong, became distorted for a time. King Munjong died in the 2nd year of his reign at the age of 39, only 2.3 years after ascending to the throne, and Danjong was crowned the 6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at the age of 12. This l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royal court being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seeking to protect the young king and the other seeking to drive him out and usurp the throne. The royal family was once again divided into two forces: one led by Grand Prince Anpyong, the 3rd son of King Sejong, who wanted to protect King Danjong, and the other led by Grand Prince Suyang, his 2nd son, who wanted to kill Danjong and seize the throne. The royal court was likewise divided into two forces: one centering around Yeongeuijeong (Chief State Councilor) Hwang Bo In and Uuijeong (Right State Councilor) Kim Jong Seo, who wanted to protect Danjong, as instructed by the last words of Munjong, and the other centering around Han Myung Hoi and Kwon Ram who wished to usurp the throne. The royal relatives wishing to protect Danjong included the families of Grand Prince Geumseong, the Yeongbin Gang' son prince Hwaui and the Hyebin Yang's two son Prince Hannam and Prince Yungcheon. Futhermore Prince Haryung Lee Yang, Grand Prince Uian's grandson, take part in Grand Prince Geumseong's group. Grand Prince Uian, the half brother of King Taejo, was best founding contributor and his grandson Prince Haryung assist with King Sejong-Munjong-Danjong build a stabl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So King Sejo certainly murder the whole family of Prince Haryung's Family, in order to his usurp. Eventually, King Sejo wipe out 16 people, Prince Hayrung LeeYang's brother, sons and nephews. It is self-evident that King Sejo usurped the throne by wiping out the relatives and clans of the royal family who wished to protect and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It is also obvious that the royal authority, rather than being strengthened, was controlled by the forces that contributed to Sejo’s usurpation, such as Han Myong Hoi and Kwon Ram as well as Sejo's maternal relatives once he ascended to the throne. For such a reason, I think we must review the group enshrine Jangneung Royal Tomb, belong Prince Haryung. Because that group protect Danjogn and royal authority in the process of King Sejo's usurp and realize an ideal society sought at Sejong-Munjong's reign. 앞에서 하령군 이양의 가계와 정치활동을 살펴보았다. 세조집권 과정에서 왕실 종친으로 대군으로 단종을 보호하려는 세종의 셋째 아들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과 단종 복위를 주도한 여섯째 아들 금성대군(錦城大君, 1426∼1457) 세력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대군을 따르는 왕자군으로 영빈 강씨 아들 화의군 이영과 혜빈 양씨 아들 한남군 이어, 영천군 이전이 있었다. 게다가 태조의 이복동생으로 태종을 도와 조선개국과 태종 집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던 의안대군 이화의 손자인 하령군 이양이 있었다. 하령군 이양의 정치활동은 세종 문종 단종을 도와 조선 왕조가 오백년을 유지하는 기반을 닦는데 커다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세조는 찬탈 과정에서 태종을 도와 공신이 된 의안대군 이화의 손자인 하령군 이양 집안을 몰살하지 않고는 찬탈을 할 수 없었다. 결국 하령군 이양을 비롯하여 이양의 동생 아들 조카 16인이 죽는 비극이 일어났다. 이처럼 세조는 왕권을 지키고 왕권을 강화하는 왕실 종친 세력을 몰살하면서 찬탈을 하였다는 것이 자명하게 드러났다. 그래서 오히려 세조대 이후는 왕권 강화보다는 한명회 권람 등 세조찬탈 공신 세력과 외척 세력이 훈척으로 왕권을 좌우하는 시기가 되었던 것이 자명해졌다. 이렇게 볼 때 세조찬탈과정에서 단종을 보호하여 왕권을 지키며 세종 문종대 추구했던 이상사회를 완성하기 위해 개혁을 주도하려 했던 하령군 이양 등 장릉배식단에 모셔진 순절세력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