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선순환구조 모색

        정원식(Jung, Won-Si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한국의 학생 단편영화는 양적인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상위권이며, 질적으로도 다양한 영화제에서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생 단편영화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그 대부분은 한 두 번의 시사회 이후 그대로 사장되고, 업계 진입을 위한 포트폴리오로서의 실질적인 역할도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학생 단편영화가 고유의 교육적, 공공적,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생각하면, 우리 사회와 영화 산업계의 적지 않은 손실이다. 한편 미디어 3.0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IPTV와 OTT기반의 디지털 온라인 시장이 급속히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모바일에서의 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더불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등장으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영상콘텐츠의 제작, 소비 패러다임에도 일대 전환기가 도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적 현실에 기반한 학생단편영화의 개념과 현황, 다양한 가치들에 기반한 활성화 필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과의 적극적 결합을 통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보고, 극장과 TV와 같은 기존의 레거시형 미디어 플랫폼과는 달리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에서는 학생 단편영화가 나름의 경쟁력과 활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결론적으로 학생 단편영화가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롭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개념의 콘텐츠로서의 선순환 구조확보 가능성도 모색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함으로써, 신진 인력발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기존 학생 단편영화 제작 시스템의 고질적인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적 해결 방향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Short films by students in Korea are, in respect to quantity, ranked among the highest worldwide, and in quality, they have been accumulating successful results in various film festivals. However, if examined more deeply inside, most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are forgotten after one or two film premieres, and the films’ practical roles as portfolios for entrance into the film industry are not very significant in reality. In this aspect, if one considers the value of short films by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publicity and industry, this is a significant loss to the society and film industry. On the other hand, with the upcoming era of media 3.0, IPTV and OTT-based digital online markets have been in rapid development, and demands for platforms for the media content on mobile devices are ever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generation of digital-natives, paradig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new media image platforms are going through a period of rapid transi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paper looks into the needs to promote short films by students, based on the films’ concept, current status, and various values that fit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also considered the industry-wise possibilities (via active convergence with the new media image platforms)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which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comparison to other films up until now, and also studied that, together with the new media images, those short films have competitive edge and usability unlike those traditional legacy media platforms such as film and TV. In conclusion, short films by students could be vitalized afresh with new media image platforms, and it appears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ome up with new ways to secure the positive feedback system for content of a brand new concept. More importantly, by discovering and utilizing short films created by students as valuable content in the industry, this paper could function as a breakthrough to consider the efficient discovery of new labor force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it could bring a paradigm shift and serve as a turning point in solving the existing system’s persistent limitations and issues of exposing short films produced by students.

      • KCI등재

        Les aides à la diffusion du court-métrage en France

        Sang Hoon LEE(이상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5 No.-

        본고는 영화의 근간이면서도 장편영화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논의의 대상에서 소외되어 왔던 단편영화의 배급 지원 구체적으로 프랑스의 단편영화 배급 지원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프랑스는 단편영화 지원에서의 모범적 정책을 통한 활발한 제작과 배급을 통해 단편영화가 고유한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제작 지원과 함께 배급 지원이 함께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 단편영화 배급 지원은 영화 정책 담당 기관인 프랑스 국립영화/동영상센터(CNC), 단편영화를 전문적으로 배급 지원하는 단편영화에이전시(L’Agence du court-métrage)를 통해 이루어진다. 프랑스국립영화/동영상센터는 극장 배급, 극장 프로그램, 비디오 출시, VOD 지원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배급 지원을 하고 있고, 단편영화에이전시는 프랑스 단편영화를 위한 일종의 상위 개념의 영화 배급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두 기관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단편영화 배급 지원의 실질적 방안이 확보되면서 단편영화의 배급이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 국립영화/동영상센터와 단편영화에이전시의 구체적 배급 지원 정책을 통해 단편영화의 영화제에서의 소개, 전통적 상영 공간인 극장에서의 상영과 더불어 최근에는 인터넷 플랫폼에서의 배급도 이루어지고 있다. 제작과 배급이라는 균형 있는 지원을 통해 단편영화의 독자적 생태계를 확보하고 있는 프랑스 단편영화 배급 지원의 구체적 방안들이 최근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국내 단편영화의 발전을 위한 지원 정책 수립에 있어 실질적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적 논리가 우선되는 장편영화와 다르게 신진 감독들이 활동하는 단편영화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예술 작품의 최종적 목표가 수용자와의 만남인 것처럼 배급 지원을 통해 단편영화가 관객과의 만남이라는 제작의 본질적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Les aides à la diffusion du court-métrage en France : CNC et L’Agence du court-métrage

        이상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5 No.-

        본고는 영화의 근간이면서도 장편영화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논의의대상에서 소외되어 왔던 단편영화의 배급 지원 구체적으로 프랑스의 단편영화 배급 지원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다. 프랑스는 단편영화 지원에서의 모범적 정책을 통한 활발한 제작과 배급을 통해단편영화가 고유한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제작 지원과 함께 배급 지원이 함께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프랑스 단편영화 배급 지원은 영화 정책 담당 기관인 프랑스 국립영화/동영상센터(CNC), 단편영화를 전문적으로 배급 지원하는 단편영화에이전시(L’Agence du court-métrage)를 통해 이루어진다. 프랑스국립영화/동영상센터는 극장 배급, 극장 프로그램, 비디오 출시, VOD 지원 등다양한 제도를 통해 배급 지원을 하고 있고, 단편영화에이전시는 프랑스단편영화를 위한 일종의 상위 개념의 영화 배급사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두 기관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단편영화 배급 지원의 실질적방안이 확보되면서 단편영화의 배급이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프랑스 국립영화/동영상센터와 단편영화에이전시의 구체적배급 지원 정책을 통해 단편영화의 영화제에서의 소개, 전통적 상영 공간인 극장에서의 상영과 더불어 최근에는 인터넷 플랫폼에서의 배급도이루어지고 있다. 제작과 배급이라는 균형 있는 지원을 통해 단편영화의독자적 생태계를 확보하고 있는 프랑스 단편영화 배급 지원의 구체적 방안들이 최근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국내 단편영화의 발전을 위한 지원 정책 수립에 있어 실질적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산업적 논리가 우선되는 장편영화와 다르게 신진 감독들이 활동하는단편영화는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예술 작품의 최종적 목표가 수용자와의 만남인 것처럼 배급 지원을 통해 단편영화가 관객과의 만남이라는제작의 본질적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과 프랑스 단편영화 제작지원제도 연구

        노철환 ( Roh Chul-hw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아시아영화연구 Vol.13 No.3

        단편의 형태로 발명된 영화는 1940년대 토키, 컬러, 장편영화 체제를 구축했다. 실험, 교육, 수련, 예술 등 주로 비상업적 측면에서 명맥을 이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편영화의 효용성은 영화 탄생 125주년을 맞은 지금까지 유효하다. 독립된 작품으로서 가치와 함께 단편영화는 끊임없는 영화의 자가발전 가능성을 타진하는 가장 유효한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프랑스는 기획, 시나리오, 제작, 마케팅, 배급, 상영, 해외수출에 이르는 전방위 단편영화 지원 정책을 운용하고 있다. 영화산업구조 안에 단편영화의 자리를 마련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엿보인다. 본고는 한국영화의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낼 용광로로서 단편영화의 제작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단편영화의 현재를 살펴보고, 프랑스의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단편영화 제작 지원 정책 대안을 제시한다. Cinema, invented in the form of shorty, established the talky, color, and full-length films system in the 1940s. Short films are continuing their prestige in terms of experimentation, education, and artistic presentation, mainly in non-commercial domain. Nevertheless, the effectiveness of short films is maintained until the 125th anniversary of the cinema's invention. This is because short films, along with value as an independent work, are the most effective methodolog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elf-development of the cinema. France has been operating the full range of short film support system. It is a political effort to establish a place for short film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film industry. This dissertation seeks to find ways to activate short film production that will lead to Korean films’ new era. It looks into the current problems of Korean short film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of France and suggests a new Korean-style short film support policies.

      • KCI등재

        1960년대 한국단편애니메이션 연구

        김종옥(Kim, Jong-O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서구 유럽 및 일본애니메이션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닌 한국 애니메이션은 1950년대 후반 광고애니메이션과 문화영화의 일환으로 제작된 비상업용 단편애니메이션으로 출발하였다. 1960년대 영화법과 문화정책이 투영된 문화영화 애니메이션은 한국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지만, 극장용 장편애니메이션 이전에 제작된 귀중한 문화 창작물이다. 특히 15초 내외의 짧은 CF애니메이션에 비해 4분에서 10분 내외의 단편애니메이션으로 그 당시 한국애니메이션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는 작품들이다. 1960년대에 20여편의 단편 애니메이션이 제작 되었으며, 주로 근대화 정책추진과정에서 국민들을 계몽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담고 있다. 국립영화제작소에서 문화영화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은 셀을 활용한 카툰애니메이션 이외에도 페이퍼애니메이션, 퍼핏애니메이션도 제작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1960년대에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된 단편애니메이션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CF 이외에 초기 단편애니메이션의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작품의 발굴과 분석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창작과정에 참여했던 박영일감독, 한성학감독, 정도빈감독, 신동헌감독, 넬슨신감독 등이 이후 극장용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활동하였기에 그 작품에 대한 분석은 한국애니메이션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논문에서는 국립영화제작소 창설의 시대적 상황 및 196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창작된 단편애니메이션 중 감독 등 참여인력을 확인할 수 있는 10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사적 의미와 조형적 특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간 한국애니메이션역사 연구에서 간과된 비상업적 단편애니메이션에 대한 고찰과 향후 한국애니메이션사에 대한 보다 풍부한 연구가 진행되는 단초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The Korean animation that has relatively short history compared to the Western Europe and Japan"s animation started out from the non-commercial short-piece animation produced as part of advertisement animation and culture movie in the later part of 1950s. In 1960s, the culture movie animation reflecting for the Movie Act and cultural policies has hardly been mentioned in the history of Korean animation, but they are the precious cultural work produced prior to the theatrical long-piece animation.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15-second short CF animation, the short-piece animations are ranging for 4 minutes to 10 minutes as the work pieces with the historic value to measure the level of the Korean animation at that time. in 1960s, approximately 20 short-piece animation works were produced and they contained the educational contents to enlighten general public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policy. Those short-piece animations produced in cultural movie at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had been produced not only in cell-facilitating cartoon animation, but also in paper animation and puppet anim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takes a close look to the short-piece animation works produced in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in 1960s. While there was almost no studies of early short-piece animation other than CF works, it is meaningful to discover and analyze the works, and, Director Park Young-il, Director Han Sung-hak, Director Jung Do-bin, Director Shin Dong-hyun, Director Nelson Shin and others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work process have worked as the animation directors for theater that the analysis on the works w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undamental studies to understand the Korean animation. Under this thesis, it is intended to study the historic implica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round some 10 work pieces to affirm participating personnel, including directors, for the short-piece animation created by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as well as the situation of time to launch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 of Korea in 1960s. Through this effort, it is intended to come up with the starting point to process enriched researches on non-commercial short-piece animation as well as contemplation on the Korean animation history that have been neglected in the study of the Korean animation history through such effort.

      • KCI등재

        한국의 프랑스 단편영화 수용 - 부산국제단편영화제 중심으로 -

        이상훈 한국프랑스학회 2023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22 No.-

        과거 세계 영화계의 변방에 불과하던 한국은 현재 세계 영화시장의 주요 국가로성장했다. 하지만 코비드-19와 OTT 플랫폼의 성장이 촉발한 세계 영화계의 변화는한국 영화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 영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화 생태계를 개선하는 내부의 노력과 더불어 한국 영화의 양적, 질적 성장에 기여할 외부와지속적인 영화 문화의 교류가 필요하다. 비상업적, 비대중적으로 인식되는 단편영화는 영화 창작자의 요람이자 한계 없는 주제, 고정되지 않는 영화 창작 방식과 더불어시대의 세밀한 단면을 가장 잘 재현하는 영화다. 프랑스는 단편영화 제작은 물론 배급 지원에서 가장 선도적인 모습을 보이는 국가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해외배급 지원과 한국의 프랑스 단편영화 수용의 관계를 영화제라는 프리즘을 통해 연구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의 유니 프랑스와 단편영화에이전시의 단편영화 해외배급 지원 그리고 한국의 부산국제단편영화제의 프랑스 단편영화 수용의 모습을 살펴본다. 이는 장편영화 일색의 한국 영화의 생태계를 개선하여영화 위기의 시점에서 포스트 시네마 시대를 대비하고 지속 가능한 한국 영화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시도다.

      • KCI등재

        단편영화제작에 있어 비전문 실버배우의 연기술에 관한 연구 - 영화 <정희>를 중심으로 -

        이혜원,한정수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단편영화 제작에 있어 비전문 실버배우의 연기에 대한 접근 양상을 이혜원 감독의 영화 <정희>(2019)를 중심으로 연구해보고자 한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한 복지 실현과 평생교육의 강화, 노 인 인구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 들을 개발하고, 하나의 트렌드로서 ‘실버 문화’(박조원, 2010)가 하나의 문 화적 양상으로 자리매김 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영화 에서는 유투브를 비롯한 1인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이나 실버 모델 등이 다양한 실버콘텐츠들이 부각되 기 이전부터 비전문실버배우 또는 비전문배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버 문화’ 의 중심이 되고 있는 실버 배우, 비전문배우의 활용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영화 <정희>는 감독의 실제 이야기를 각색한 것으로 친정엄마의 모습을 보며 느꼈던 감정을 정리한 영화로, 실제 영화감독의 어머니 인 오정희(71세, 전업주부)가 출연하여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와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 에피소드를 중심 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소규모 저자본의 단편영화에 있어 사건이나 에피소드의 현실적인 측면을 강조하 기 위함과 사실적이고 현실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인물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감독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비전문배우의 활용 양상과 비전문실버배우가 참여한 영화들에 대한 간략한 선 행연구를 중심으로 영화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 또는 미학적인 측면, 관객과의 정서 교감 등에 대한 연구 를 진행하고자 하고, 이를 영화 <정희>에서의 비전문실버배우의 연기적 접근 양상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The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non-professional silver actors’ approach to performances with regard to production of short films centering on the film JungHee (2019) made by Director Hye-won Lee. With an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elderly, welfare programs took roots, life-long education was enhanced and diverse contents for the elderly were developed, which led to creation of a cultural phenomenon known as ‘Silver Culture Trends,’ and it induced production of diversified contents. In particular, even before the use of one-person media contents introduced through YouTube and diverse silver contents featuring silver models were emphasized, non-professional silver actors or non-professional actors were hired a lot. Regarding this, the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use of silver actors and non-professional silver actors who play a central role in the silver culture. The film “JungHee” is the director’s dramatized real life story about how she felt about her mother. In reality, Oh JungHee (71, homemaker), the director’s mother, starred in the movie composed of episodes featuring the director’s autobiographical story and life experiences. This small-scale, low-budget movie is concentrated on stressing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pects of incidents or episodes based on a short film, and it is also considered to be a director’s attempt to form a consensus through characters. Against this backdrop, the study deals with a method of dramatic approach and patterns through non-professional silver actors in terms of production of short films.

      • KCI등재

        단편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스토리텔링(storytelling)과 리텔링(retelling)을 중심으로-

        신정아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1 No.-

        본고는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단편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15분 내외 분량의 영상을 시청한 후 지도안에 따라 적절한 수업을 진행한 결과 적지 않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영화 수업은 중・고급 학습자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뿐만 아니라, 반드시 한국영화여야만 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문화가 아닌, 어휘나 문법을 습득하는데 있어서 한국 영화만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단편영화 <The lunch date>와 <The other pair>을 감상한 후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두 편의 영화 중 대사가 없는 <The other pair>는 초급 어휘를 활용한 줄거리 위주의 스토리텔링 수업이 가능하다. 줄거리에 따라 장면의 순서를 맞추고 장면만 보면서 간단한 문장을 만드는 연습을 하였다. 또한, 주요 어휘를 중심으로 상의어와 하의어, 유의어와 반의어를 찾아보면서 어휘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The lunch date>는 리텔링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화 장면과 자막을 위주로 기본적인 내용을 습득하고 실제 연극 활동을 하면서 초급 수준의 어휘나 문장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두 작품 모두 쓰기 활동을 하였다. 작품 속 인물이 되어 일기쓰기 또는 작품 속 인물에게 편지쓰기를 시도하였다. 수업 만족도 조사 결과, 외국영화가 한국어 습득에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말하기・읽기・쓰기 등 언어의 총체적 영역에 두루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대부분 초급학습자들은 단편영화 수업에 흥미가 있었고, 일반 교재에 비해 어휘의 확장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초급학습자라도 수준에 따른 이해도는 다르지만, 앞으로도 단편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을 듣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결과적으로 단편영화 수업은 다양한 상황을 이해하고 표현하면서 의사소통능력을 확장하는 등 초급학습자에게 긍정적인 학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suggesting the ‘method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short film’ for basic learners. After watching about 15-minute film, appropriate lectures were proceed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there were considerable good results. However, until now, the classes using films have been offered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addition, there have been consciousness that Korean films only should be offered. And yet, in order to acquire vocabularies or grammar skills not culture, it is not necessary to insist Korean films only. Therefore, in this study, class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watching short-films The lunch date and The other pair and conducting lectures. Of two films, the vocabularies in The lunch date were mostly basic-level ones and The other pair without lines is available for classes focusing on narratives using basic vocabularies. As The other pair does not contain any lines, after watching the film, the class provided organizing the order of scenes according to its plot and making simple phrases with watching scenes only. Also, focusing on main vocabularies, exercising to search for hypernym and hyponym and synonym and antonym made learners expand their vocabularies. With The lunch date, the class focused on retelling. Concentrating on film scenes and transcripts, the education was made by acquiring basic plot, playing the actual performances to use the vocabularies or phrases. In the concluding stage, writing activities were offered with both the films. Playing a character in the films and writing a diary or writing a letter to one of characters in the film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classes, it was proved that foreign films were helpful for acquir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at there were comprehensive effects on every area of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n particular. Most of basic learners were interested in classes using short films, and answered the method was better for expanding vocabularies than ordinary textbooks. Also, even though they were basic learners, their understanding on the languag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levels. they answered that they would like to take Korean classes using short films.

      • KCI등재

        미우 미우(Miu Miu) 단편 영화 프로젝트에 반영된 패션커뮤니케이션

        김선영(Kim, Sun Yo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본 연구 목적은 패션브랜드 미우 미우의 단편 영화프로젝트 ‘우먼스테일’의 작품 고찰과 이에 반영된 패션커뮤니케이션의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과 방법은 현대 패션과 영상 예술, 패션브랜드 미우미우와 단편 영화 프로젝트 우먼스테일에 대해 문헌고찰하였다. 사례 연구는 단편 영화 프로젝트를 처음 선보이기 시작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한 총 14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먼스테일’은 여성 감독들로만 진행된 단편 영화 프로젝트로 현 시대의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며, 패션과 영화, 여성이라는 키워드가 조합된 다차원적인 융합 예술의 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 다른 작품 세계를 지닌 감독의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시각에 의해 재해석됨으로써 각 작품별로 패션과 여성에 대한 차별화된 미학을 표현하였다. 특히 이 프로젝트는 현대 패션에서 다양한 유형과 표현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영상 패션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지만, 여성의 시선에서 조명된 여성성의 영상 미학이자 영화의 미장센이라는 언어로 재해석된 패션이미지라는 차별성을 나타냈다. 이에 미우 미우의 단편 영화 프로젝트에 반영된 패션커뮤니케이션은 영상 예술로 승화된 브랜드 정체성, 동시대적 여성성에 대한 성찰, 패션 표현 방식 창조 및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가치를 나타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패션과 영화의 언어로 융합된 새로운 표현방식의 패션커뮤니케이션 가치를 재인식 할 수 있었고, 패션과 여성의 긴밀한 상호관계에 대한 창의적 표현의 장에 대해 제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fashion brand Miu Miu’s short film project `Women`s Tales` and seeking for the fashion communication value reflected in it. Study deals with the modern fashion and film arts and the literature review on brand Miu Miu and its film Women`s Tales as contents and method. Fourteen pieces of film work are selected for case work from 2011 when the short film project initiated to 2017.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Women`s Tales as part of project filmed by only woman directors is newly viewed about feminity in this modern time. It is seen to be an arena for multi-dimensional converged art with keyword combination like fashion, movie, or woman. Each piece is also reinterpreted by independent and creative standpoint of directors with different art world, thus making it possible to express the differentiated aesthetics on fashion and female for individual work. In particular, this project is similar to visual fashion developed into diverse ways in type and expression in the modern fashion but it shows differentiation in that it is film aesthetics about feminity from the female`s view point and it is fashion image paraphrased by the screen language mise-en-scéne. Therefore, the reflected fashion communication into Miu Miu`s short film project has its own value in terms of brand identity sublimated into film art, introspection about contemporary feminity, and creation and extension of presentation method in fashion. This examination helps to refresh the fashion communication value presented in a brand-new method through convergence of fashion and film language. This also provides a chance to have an in-depth on expression range about close correlation of fashion and woman.

      • 교육적 텍스트로서 예술영화

        이아람찬(LEE Aramchan)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0 씨네포럼 Vol.0 No.11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단편영화 등의 예술영화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일선 초ㆍ중등 영화교육 현장에서 상업영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렇게 저평가된 예술영화의 교육적 가치를 담론화하고, 초ㆍ중등 학교교육에서 예술영화의 수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거대범주 속에 영화교육의 자리늘 찾아보고, 예술영화의 개념에 대한 고찰이 선행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예술영화를 일선 학교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예술영화를 읽는데 있어서 지나치게 이론 중심으로 흘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지나치게 이론과 학문을 중심으로 한다면, 지나친 문화적 엘리트주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영화교육은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차별화를 지양하고, 기존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던 예술영화에 대한 탈신비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art cinema like experimental films, documentaries, short films has a pedagogical value, film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have been not interested in it for a while. This study argues the discourse of art cinema in secondary school and explores art cinema as pedagogical text. The paper looks at the defini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art cinema. The study argues film education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are encouraging art educ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In order to provide art cinema to secondary students, first of all, teachers should not focus on theoretical approach to the films. If we mainly teach what theory of art cinema is, we can lead students to elite culture as those high cultural forms and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