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통사적 결합어의 단일어화 고찰

        조가역 ( Cao Jia-y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5

        현대 한국어에서 통사적 구성에서 기원하지만 현재 이미 단일어로 굳어지거나 공시적 분석할 때 문제가 있는 단어들이 있다.‘어른’과‘썰물’은 바로 그러한 예이다. 전자에 대해 현재 아예 분석이 불가능하다. 후자에 대해서는‘물’을 분석해 낼 수 있지만 ‘*썰’을 분석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어들을 설명하기 위해 통사적 결합어의 단일어화라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이들이 단일어화의 정도 상의 차이도 보이므로 언어 직관과 언어 지식을 같이 적용하여 통사적 결합어의 단일어화 정도성 문제도 함께 살펴보았다. 완전한 단일어화와 불완전한 단일어화 두 부류로 나눠 보았다. 완전한 단일어화에 속한 단어들은 ‘어른’처럼 현재 온전한 단일어로 인식되어 분석이 불가능한 것들이고 불완전한 단일어화에 속한 단어들은‘썰물’처럼 공시적 분석이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문제가 있는 것들이다. There are some words in modern Korean that originated from the syntactic construction, but already condensed into simple words which are can’t be analyzed synchronically or have some problems with synchronic analysis, such as ‘어른’ and ‘썰물’. The synchronic analysis of ‘어른’ is completely impossible. And although ‘썰물’ can be analyzed for ‘물’, ‘*썰’ can not be explained synchronically. Therefore to explain these problems we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univerbation of syntatically combined words’. In addition, since the words like ‘어른’, ‘썰물’ show som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univerbation, we examined the degrees of univerbation of syntactically combined words as well. Depending on the degrees of univerbation, target words in this pape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complete univerbation and incomplete univerbation. The words belonging to complete univerbation, such like ‘어른’, are recognized as complete simple words and cannot be analyzed synchronically. The words belonging to incomplete univerbation, such like ‘썰물’, can be analyzed partly but still have some problems with synchronic analysis.

      • KCI등재

        現代 韓國語 單一語의 分布와 意味的 特性에 관한 硏究

        이찬규,유해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4

        In this study, the categories about simple words were established among the Korean vocabularies, the entire simple word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ose categories,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in word class were identified. Even though to identify the number of simple words from one language is a very basic study in vocabulary research, such study hasn’t been undertaken in Korean linguistic until now. This study started with this objective an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 The number of simple words in Korean language is about 2,419. B) Examining the simple words, there were 1,483 nouns (61.44%), 15 pronouns (0.62%), 18 numerals (0.74%), 561 verbs (23.22%), 156 adjectives (6.52%), 22 pre-nouns (0.91%), and 164 adverbs (6.79%). C) Word class distribution of simple words was found almost iden- tically in the distribution and percentage with the word class distribution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which verifies the existing study result that vocabularies are expanded by maintaining consistent balance. D) It was identified that simple word also resulted from arbitrary simple words which were arbitrarily formed and other words, but they could be classified as flexible simple words whose relevant flexibility is ambiguous or the basis of flexibility was lost. E) In the semantic distribution of simple words in each word class, nouns which have ‘concreteness’ reaches to 70% and phenomenon nouns also to 21%, which shows the words appeared early which are related with natural phenomena. In verbs, 58.9% were found to be related with com- prehensive behaviors and actions of human beings, compared with 8.3% of simple actions, which shows that the word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individuals are found to have higher frequency also in simple words. Especially, it can be identified mental and psychological actions of human beings are much working since the formation of vocabulary because there are many words reflecting the modality in adjectives, adverbs, and pre-nouns. F) Simple words have interrelationship with basic vocabulary because it cannot help but become a simple word in its nature. 107 words in 117 words suggested by 김종학(2001) are included in the simple words found in this study, which were just 9.5% of the total 1,125 arbitrary simple words in the entire nouns. Comparing with the composition of modern Korean language word class, reason why the percentages of verbs(43.2%) and adjectives(15.1%) in the basic words suggested by 김종학(2001) are higher than nouns is considered that verbs and adjectives didn’t greatly change while the percentage of nouns continued to increase along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Most languages are composed of simple words and compound words (Mixed words and derivative words). Because expansion of words is achieved from simple words to compound words, to identify the size of simple word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vocabulary system and its changes. In this study, simple words were extracted targeting modern languages and if they are identified in each time, it could provide the important clu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vocabulary system of our language. In addition, if the sizes of simple words in the individual lan- guages are identified, vocabulary systems between languages could be compared. Based on this study, the vocabulary system of Korean language is expected to be more closely analyzed. 본 연구는 韓國語 語彙 중 單一語에 대한 範疇를 設定하고, 그 범주에 따라 單一語 全體를 抽出하고 그 品詞的 意味的 特性을 살펴보았다. 한 언어에서 단일어의 수가 어느 정도일지를 파악하는 일은 어휘 연구에서 매우 기초적인 연구임에도 國語學 분야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언어는 單一語와 複合語(合成語, 派生語)로 구성되어 있다. 어휘의 확장은 단일어로부터 복합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일어의 규모를 밝히는 것은 어휘 체계를 설명하는 데나 어휘 체계의 변화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현대어를 대상으로 단일어를 추출해 보았는데, 이것을 시대별로 파악한다면 우리말의 어휘 체계 변화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시할 것으로 본다. 또한 개별 언어마다 단일어의 규모가 밝혀진다면 언어 간의 어휘 체계 비교도 가능해 질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한자어의 변천 고찰- 이음절 단일어를 중심으로 -

        문영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6 No.-

        This study examines the time when the Sino-Korean simple word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ose words while being used in the Korean language. The simple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troduced into the Korean language were changed according to the Korean lexical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aspect of the Chinese language. In terms of character, some words have another forms, and there are many words that unified the radical of two letters to supplement the semantic element. There are many simple words are written in the form of ‘-hada(하다)’ so that they can be used in Korean. And som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occur in Korean are applied to the Sino-Korean simple words. In terms of the meaning, the meaning of simple words have changed in the Korean lexical system by accepting both uses of simple and compound words, in some cases only the meaning of the compound word remains. In particular, since some semantic analysis of simple word equivalent to compound words in the dictionary, it is possible to distort the characteristic of simple words. 본 연구는 이음절 한자단일어가 한국어에 도입된 시기와 한국어 에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과 변화를 고찰하였다. 한국 어에 도입된 이음절 한자단일어는 중국어 연면어의 면모를 유지 하면서도 국어의 어휘체계에 따라 변화하였다. 서로 다른 한자로 구성된 낱말이 국어사전에 함께 수록되어 있거나 낱말의 의미 요 소를 보충하기 위해 두 글자의 부수부분을 통일한 형태의 단어가 많은 점은 중국어 연면어의 특징을 유지한 면모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한국어 어휘체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단일어 어근에 ‘-(하 다)’ 접미사가 붙는 형태로 쓰는 단일어가 많다. 이러한 단일어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어근의 형태 변화, 형태소의 의 미 변화 등을 살펴볼 수 있다. 국어의 음운변동 현상이 적용되어 한자 어근의 발음이 변화한 경우가 있으며, 단어의 의미에 있어서 단일어와 합성어에 해당하는 쓰임을 모두 사용하거나 합성어의 의미만 남겨 쓰는 특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일부 단일어는 합성어에 준하는 구조로 의미를 분석하고 있어 이음절 한자단일 어의 속성이 왜곡될 수 있다.

      • KCI등재

        단일어와 합성어를 통해 살펴 본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 정보의 영향

        이선경,이윤형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Korean spoken word recognition. To do so,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compound words are sub-divided into morphemes. In this experiment, word types (simple words, compound words) and word frequencies (high, low) were manipulated. Participants performed an auditory lexical decision task. As results, regardless of word frequency, simple words were recognized better than compound words.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ound words were separated into morphemes irrespective of word frequency. Experiment 2 further examined the effect of morphological decomposition by adapting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Korean 2 syllable compound words, the first syllable contains a certain morpheme while it is only a part of a morpheme in simple words. Therefore, unlike in simple word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yllable of the compound words may have some influences on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Experiment 2 showed larger the syllable frequency effect for simple words compared with compound words, which suggested that facilitation effect of morpheme offsets the inhibitory effect of syllable frequency. Overall, the current experiments clearly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decomposition does occur during spoken word recognition of the Korean compound word.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 정보의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어 그 자체가 하나의 형태소인 단일어와,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합성어의 처리양상을 비교하였다. 실험 1에서는 청각 단어재인 시 단어빈도에 따라 형태소의 분리 처리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단어의 유형(단일어, 합성어) 및 단어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빈도와 저빈도 조건 모두 합성어가 단일어에 비해 어휘판단 시간이 느리고 더 부정확했다. 이는 합성어를 처리할 때 단어빈도와는 관련 없이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 2에서는 음절빈도 효과를 바탕으로 형태소 분리 처리 여부를 재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형태소 정보는 단어재인에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음절빈도는 억제적인 영향을 미친다. 합성어의 경우 음절의 단위와 형태소의 단위가 일치하므로, 만일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된다면 음절빈도 효과에 형태소의 효과가 혼입될 수 있다. 단어유형과 음절빈도(고빈도, 저빈도)를 조작한 후 청각 어휘판단 과제를 실시한 실험 2의 결과, 합성어에 비해 단일어에서 더 큰 음절빈도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합성어의 경우 첫 음절 형태소의 촉진적 효과가 음절빈도의 억제적 효과를 감소시켰기 때문이라 짐작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단어재인 시 형태소가 분리되어 처리되며 단어의 형태소 특성에 따라 음절빈도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큰 사전』고유어 단일어의 음장 분석

        차재은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vowel length of simplex of native Korean Language by analysing The Kuen Dictionary(1947-1957). First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the vowel length of simplex has the highest fictional load in the first syllable, among native language simplexes having a vowel length, the case the first syllable is a long sound accounts 90.8% and the remaining 10% usually is a compound word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Second, this paper confirmed that a native language simplex has a small number of minimal pairs by a vowel length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Among native language simplexes, only 53 verbs and 112 pairs of pronoun had a minimal pair by a vowel length, especially among them, the number of high frequency vocabularies was only very small as 16. That the number of high frequency vocabularies was small is involved in the contraction process of a vowel length. Lastly, this paper showed that compensatory lengthening is not always accompanied when an abbreviation is generated. 『큰 사전』은 20세기 초의 대규모 언어자료로서, 언어에 관한 지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다양하게 검토될 가치가 있다. 본고에서는『큰 사전』고유어계 단일어의 음장을 계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우리말 음장이 어두에서 가장 기능 부담량이 높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음장을 가진 고유어 단일어 중에서 첫음절이 장음인 경우가 90.8%에 이르며 나머지도 공시적, 통시적으로 복합어 구성인 것이 다수이므로 이 시기 한국어는 거의 단어의 첫 음절에서 음장에 의한 대립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다. 둘째, 고유어 단일어 간에는 음장에 의한 최소 대립쌍의 수가 적다는 것을 계량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고유어 단일어 중 동사 53, 명사 112쌍만이 음장에 의한 최소 대립쌍을 가지고 있었고 특히 이중 고빈도 어휘의 수는 16개 정도로 매우 적었다. 고빈도 어휘가 적다는 것은 음장의 축소 원인이 된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준말이 생성될 때 늘 보상적 장음화가 동반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한자어에서의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의 기제

        변용우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of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by analyzing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and constraints. The structure information which is involved i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was described from the viewpoint of a morphological structure analysis of Korean grammar. However, this structure information had the problem which cannot provide consistency as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Sino-Korean words. So we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that speakers recognize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s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and explain the mechanism of the occurrenc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on the basis of it. For ‘n-r’ sequence used in Sino-Korean words, constrains occur because of an articulatory cause, but the method that the constraints are eliminated is subject to the structure information of Sino-Korean words, not the phonetic information. Lateralizatio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n-r’ sequence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by them or speakers. The change from ‘r’ to ‘n’ is chos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is recognized as the components are analyzed by complex words or speakers. And Glottalization of Coronal obstruent are appli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ructure of Sino-Korean words with sequence of liquid and coronal obstruent is recognized as simple words or simple words. There are the cases of constraints in the occurrence because phonological phenomena are causative of Sino-Korean words. Enough discussions on the mechanism of constraints of Sino-Korean words in phonological phenomena have not been done until now.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by Korean grammar, but there are the cases that specific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Phonological phenomena could not be applied to Sino-Korean words not because they avoid applying the applicable phonological phenomena but because they are not closely related to neighboring elements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Glottalization of nouns in Sino-Korean words is not applied behind ‘-eul’, an adnominal clausal ending. It's because glottalization was attracted in order to represent intimacy between adnominal forms and following nouns in the noun phrase composition. If the Sino-Korean words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there cannot b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preceding and adnominal forms. And the purpose of 'n'-insertion is to keep free morpheme of following elements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But 'n'-insertion does not occur in the Sino-Korean words that following words have a vowel ‘i’. 'n'-insertion is not applied not because the Sino-Korean words avoid the 'n'-insertion but because there is no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recedent elements and them when the Sino-Korean words with the vowel ‘i’ participate as following elements. 본 연구는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과 제약에 관여하는 정보를 분석하여 그 기제를 설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한자어 음운현상이라 함은 한자어의 구조 정보가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을 지칭하는데, 순수 음성적 조건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은 한자어라는 범주를 따로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자어에서 음운현상의 발생에 관여하는 구조 정보는 국어 문법의 관점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 정보는 한자어 음운현상의 발생 정보로서 일관성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음운현상의 실현 양상을 바탕으로 화자가 인식하는 한자어 구조 정보를 해석하고 이를 근거로 음운현상의 발생 기제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한자어에 나타나는 ‘ㄴㄹ’ 연쇄는 조음적인 이유 때문에 제약이 발생하지만, 제약이 해소되는 방식은 음성 정보가 아니라 한자어 구조 정보의 지배를 받는다. ‘ㄴㄹ’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화자에 의해 단일어로 인식되면 유음화가 선택되고, 한자어 구조가 복합어나 화자에 의해 구성 요소가 분석되어 인식되면 ‘ㄹ’의 ‘ㄴ’화가 선택된다. 또한 유음과 설정장애음의 연쇄를 가진 한자어 구조가 단일어나 단일어로 인식되는 조건에서는 설정장애음의 경음화가 적용된다. 음운현상에 한자어가 원인이 되어 발생에 제약을 입는 경우가 있다. 지금까지 음운현상에서 한자어 제약의 기제는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한자어는 국어 문법 단위의 지위를 갖지만 특정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한자어가 해당 음운현상의 적용을 기피해서가 아니라 형태ㆍ통사적으로 인근 요소와 긴밀한 관계를 갖지 못해 음운현상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관형사형어미 ‘-ㄹ’ 뒤의 한자어 명사에 경음화가 적용되지 않는 것은 이 명사구 구성은 관형사형과 후행 명사의 긴밀성을 표시하기 위해 경음화를 유인하는데,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관형사형과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ㄴ’ 첨가는 문법 구성에서 후행 요소의 자립성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데 후행어가 모음 ‘i’를 가진 한자어에서는 ‘ㄴ’ 첨가가 일어나지 않는다. 한자어가 ‘ㄴ’ 첨가 현상을 기피한 것이 아니라 모음 ‘i’를 가진 한자어가 후행 요소로 참여하면 선행 요소와의 관계가 긴밀하지 못하기 때문에 ‘ㄴ’ 첨가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Code-switching or borrowing?: A much-discussed topic in the code-switching literature

        박현숙 한국 스칸디나비아학회 201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12 No.-

        언어전환 (code-switching)과 외래어 (borrowing)의 구분이 이중언어 학자들 사이에 오랫동안 논쟁의 쟁점이 되어왔다. 논쟁의 근거는 여러 연구에서 이중언어 사용시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긴 구 (phrases)나 절 (clauses)보다 단일어 (single words)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국어에 동화되는 단어와 비교할 때 구나 절은 형태, 통사적으로 보통 원어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단일어는 외래어, 긴 구나 절은 언어전환이라는 설이 학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다.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단일어들의 정확한 구분이 언어전환 연구에 중요한 논점이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언어전환과 외래어의 구분을 위해 언어전환연구에서 현재까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방안을 분석 고찰하는 것이다. 논문 분석결과에 의하면 현재까지 제안된 구분 방법이 모두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논문은 언어전환과 외래어는 서로 다른 독립 개체가 아니라 동일하거나 혹은 비슷한 과정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며 또한 같은 연속체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용언 발달 : 단어구조에 따른 비교

        김수진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용언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3세 이후의 정상발달아동과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용언의 발달을 보기 위하여 용언의 단어구조 - 단일어, 파생어, 합성어 - 별 사용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세와 4세 각각에서 정상발달아동 10명과 정신지체아동 10명씩 총 40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자발화를 수집하였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용언의 각 단어구조별로 유형(목록)이 증가하였으며, 정신지체아동보다 정상발달아동들이 더 많은 유형을 사용하였다. 한국어의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가 있다. 특히 정신지체아동들이 정상발달아동과 차이를 보인 단어구조를 살펴보면, 우선 동사에서 3세와 4세 집단 모두에서 파생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형용사에서는 3세 집단에서 단일어와 합성어, 4세 집단에서 파생어와 합성어에서 차이를 보였다. 동사와 형용사 전반적으로 단일어는 장애유무와 연령발달을 모두 잘 분류해주는 준거였으며, 파생어는 장애유무에 따른 차이를, 합성어는 연령발달에 따른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신지체 아동의 용언 어휘발달수준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어휘지도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and compare the development of the predicat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of language ages(LA) 3 and 4. This is when children's development of the predicate is very active. Out if the predicates, simple words, derivative words, and compound words were separately analyzed. Spontaneous speech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of ages 3 and 4 was sampled, 10 children in each group, 40 in total. It was found that as the children grew up, the number of vocabulary list of each predicate types increased. Also, more vocabulary was used by normal children than by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 are verbs and adjectives in the Korean predicate. There was a difference with derivative words when using verbs among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hen using adjectives, the difference was found with the number of simple words and compound words with 3-year-olds, and 4-year-olds with derivative words and compound words. Simple words were proved to be the list that divided both the normal-retardation difference and the age difference, derivative words for the comparison of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compound words for the age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study could be applied to be used as an evaluation criteria of the development of predicates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urthermore, it could be implemented for pedagogical purposes.

      • KCI등재

        국어(國語) 음소(音素) 분포(分布)의 통시적(通時的) 변화(變化)

        한성우 ( Han Sung-wo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4 No.3

        本稿는 現代國語의 固有 單一語와 近代國語 以前의 고유 단일어의 음소 분포를 비교 분석하여 국어 음소 분포의 歷史的 變化過程과 國語의 類型的 特徵을 살핀 것이다. 統計的 技法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국어 전체에서는 一般的인 音節構造로서 CV 구조가 선호되고, 현대어에서 子音群과 重子音이 감소한다. 消失된 音素의 分布 비율은 매우 낮아 消失를 예측할 수 있으며, '□'의 소실분이 '아, 으'에 그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의 변화 경향은 절대적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語末 '이'의 비율과 起源的인 Vy 계열의 모음 비율이 모두 높은 것으로 보아 Vy 계열의 모음은 Vi가 變化하여 形成된 것으로 보인다. 終聲 子音으로는 共鳴子音이, 語幹 末母音으로는 '이'가 選好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특정 母音(어, 오, 우)의 開音節 用言과 특정 子音(ㅇ, ㄴ)을 末音으로 가지는 用言이 全無하거나 극히 낮은 것은 國語의 活用 樣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diachronic change of phonemic distribution in Korean. It is supposed that the change of phonemic distribution could reflect the historical change an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n. Based on this assumption, each of the 6,364 native simple words selected from a comtemporary dictionary and 5,309 words selected from old dictionaries are analyzed by computer and the distributions of phonemes were compared in various environments with each other. Overall phonemic distribution and tendencies of change agreed with the linguistic universal. The CV structure is the most general syllable structure in Korean and the syllable which has this structure has increased in modern Korean. Either in syllable-initial or in syllable-final, consonant clusters decreased in modern Korean. And most of the triphthongs and many diphthongs vanished from the vowel system or were changed into monophthongs. Regardless of the location in a word, stops and monophthongs are overwhelmingly prominent among each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The tendencies of historical change are confirmed and inducted by Analyzing the phonemic distribution of vanished phonemes or phonemes changed into different phonemes. Since the distributional ratio of these phonemes are extremely low, the vanishment or change of these phonemes is expected. It is generally said that the vanished vowel '□(□)' was changed into 'a(아)' in word-initial and into '□(으)' in non word-initial. However, because the distributional ratio of '□(□)' was not exactly added to the distributional ratio of 'a(아)' and '□(으)', the tendency of '□(□)' change is not absolute. The high distributional ratio of 'i(이)' and Vy, which was originally dipthong, tells us that Vy structure vowels have its origin in Vi structure. Some phonemic distribution tells us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onorant consonants are preferred in syllable-final and 'i(이)' is preferred in word-final. Although these characteristic distributions are caused by the productivity of some suffixes, it is probable that the productivity of some suffixes is related to the phonological structure of general phonemic distribution. The increase of affricates and the complex change of phonemic Distribution in syllable-final relect the diachronic phonological process in Korean. It is connected with the characteristic inflectional aspect in Korean that the absence of open syllables, which has some vowels(□(어), o(오), u(우)), and closed syllables which have some consonants(□(ㅇ), n (ㄴ))

      • KCI등재

        러시아어 동사 활용

        권경준(Kwon, Kyong Jo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4

        러시아어 동사활용 기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추상화 정도에 따른 기본형의 설정이다. 본고에서는 어근을 동사활용 기술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삼고 어간을 무효화하는 분산형태론적 입장에서 러시아 동사활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야콥슨(1948)은 다른 활용형을 예측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따라서 가장 긴 형태의 동사활용형을 기본형으로 설정하고 삭제규칙을 고안하여 어간의 이형태를 도출한다. 그의 기술은 이후 생성(문법)적 기획을 가진 많은 연구, 특히 단일어간론에서 적극적으로 비판 및 수용되어 왔다. 할레(1963)를 비롯한 여러 그의 저작들은 단어형성이 통사적이라는 테제라는 그 자신이 고안한 분산형태론에 집약되어 있지만 음운변화를 위하여 인위적으로 환경을 만드는 등 추상성이나 자연스러움 등에 있어서 문제를 보였다. 이들과 달리 Andersen (1960)과 최성호(2000)는 삭제규칙이 아니라 부정형을 기본형으로 삼고 첨가규칙을 통한 기술을 시도한다. 언어외적증거의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어떤 분절음이 첨가될지 모른다는 것은 이들 주장의 가장 큰 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단일어간론의 이론적 성과를 분산형태론적 관점에서 삭제규칙, 적응규칙, 연음화 규칙, 활음전환규칙 등의 재조정규칙으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재해석을 통하여 어근중심의 형태론은 이중어간, 즉 소위 어간의 이형태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제임을 밝힌다. The most crucial issue in the description of the Russian conjugation is to determine a basic form in accordance with the abstraction level assumed. This paper addresses the Russian verbal inflection in the framework of Distributed Morphology that does not accord any theoretical significance to the traditional notion of stems. Jakobson(1948) first sets up a basic full stem that contains as much information as to predict other inflections, and consequently is the longest form in most cases. A truncation rule is devised to derive stem allomorphs from the basic stem. His generative idea has been succeeded in various incarnation for its derivational property. Halle (1963) and subsequent works assumes that even the word formation is syntactic, as crystalized in his Distributed Morphology. Despite its elegance and efficiency in account, this morphological model strives only to rig up ad-hoc environments for phonological changes to be triggered. Instead, Andersen(1980) and Choi(2000) turn to infinitives for basic forms, necessitating addition rules rather than truncation rules at the expense of economy. Notwithstanding all the language external evidences, infinitive based accounts have a significant weakness in being ignorant of what segment is added. This paper reinterprets the theoretical advances in the single-stem theory such as truncation, accommodation, softening, glide shift rules as Readjustment Rules in Distributed Morphology. With the suggested reinterpretation, the root-based morphology turns out to be an effective theoretical construct to address stem allomorp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