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디자인에서 건축가들의 단위공간어휘 사용에 관한 연구

        윤대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2

        본 논문은 국내 및 PA Awards 건축가들이 주택디자인 과정에서 작성한 텍스트를 수집하여 구성한 말뭉치에서 단위공간어휘를 대상으로 건축가들의 어휘사용행태와 기본어휘 그리고 두 집단 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디자인 말뭉치에서 단위공간어휘의 활용비는 국내 및 PA에서 모두 약 4% 정도였으며, 두 집단 모두 어휘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둘째, 단위공간어휘의 종류는 국내의 것이 PA의 것보다 166% 많았지만, 대표어휘로 살펴볼 경우 실제 단위공간어휘의 종류는 약 40~50개였다. 셋째, 단위공간어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어휘는 국내는 ‘거실’, PA에서는 ‘bedroom’으로 조사되었지만, 대표어휘로 살펴보면 국내의 경우 ‘정원’, ‘거실’, ‘계단’, ‘식당’, ‘현관’ 순이고, PA에서는 ‘garden’, ‘bedroom’, ‘livingroom’, ‘room’, ‘kitchen’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말뭉치 모두 유형별 단위공간어휘의 활용비는 내부, 외부, 기타단위공간어휘 순으로 높았다. 다섯째, 어휘활용비가 1% 넘는 대표어휘 가운데 ‘마루’가 국내 말뭉치에서만 사용되는 특징적인 어휘로 나타났다. 두 말뭉치 모두에서 사용된 어휘를 대상으로 두 집단 간 상대적 어휘활용비를 비교한 결과, ‘다락방’, ‘대문’, ‘담장’, ‘복도’, ‘거실’, ‘계단’, ‘정원’, ‘식당’ 순으로 국내의 활용비가 매우 높았고, ‘풀장’, ‘창고’, ‘손님방’, ‘욕실’, ‘작업실’, ‘침실’, ‘갱의실’, ‘서재’, ‘주방’ 순으로 PA의 활용비가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들 어휘는 주택디자인에서 어휘 사용집단의 상대적인 문화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어휘라고 볼 수 있다.

      • 해양공간자료의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MAUP)와 저감 방안

        임종서(Jongseo Yim),최희정(Hee Jung Choi),남정호(Jungho Na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5

        이 연구는 해양공간의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관리에 필요한 공간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저감 방안을 모색하였다. 육상에 비해 물질과 에너지의 흐름이 원활한 해양공간은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동질적이며, 동시에 가변성이 높기 때문에 정보의 공간적 밀집도가 비교적 낮다. 해상풍력발전 등 해양공간 이용행위의 다변화 및 고밀화와 해양공간계획법과 이에 따른 관리제도의 도입 등으로 인해 고해상도 공간정보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현행 해양공간관리제도, 의사결정지원체계 등이 적용한 각분(arc-min) 및 아(sub) 각분 단위 방형 격자는 편의성이 높지만 점용·사용 등 개별 해양공간 이용행위를 반영하기엔 어려움이 있으며, 일부 환경·생태계 조사자료는 도, 분 단위로 구성된 정점 조사체계를 통해 수집하기 때문에 격자자료로 가공한 정보를 활용하기에 앞서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간정보의 생산 및 관리 체계에서 비롯되는 해양공간자료의 특성에 주목하여 자료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를 파악하고, 공간 할당(allocation), 분할(disaggregation), 보간(interpolation)에 따른 격자자료 변환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이후 시나리오별로 격자 위치 변경에 따른 민감도 평가 결과를 토대로 해양공간자료의 공간 단위 임의성 문제 저감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ifiable Area Unit Problem (MAUP), which occurs in collecting and utilizing maritime spatial information, and sought ways to reduce it. The spatial data in marine space, where materials and energy flux are higher than those in terrestrial area, has relatively low spatial density due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Recently, the demand for high-resolution spatial informatio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diversified and congested marine space utilization activities such as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policies such as the Marine Space Planning Act. Although each square lattice of arc-min and sub, applied by the current marine space management system and decision support system, is convenient, there is a limit to reflect individual marine space use activities such as occupancy and use. Moreover, som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urvey data are collected through vertex survey system consisting of arc-degrees or arc-minute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UP before utiliz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as lattice data.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spatial data resulting from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information, identifying the MAUP, and sought the ways to reduce the problem based on the sensitivity assessment result of lattice data with different conversion methods such as spatial allocation, disaggregation, and interpolation.

      • KCI등재

        소형단위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가구 디자인 연구

        안혜신(Hye Shin Ah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핵가족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로 1인 가구가 증가됨에 따라 소비 니즈의 세분화로 인해 소형단위공간 이용 효율성이 절실히 필요하며, 3~4인 가구와는 다른사회 경제적 특성을 지님으로 보다 차별화된 공간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1인 가구, 스몰비즈니스 오피스, 홈오피스, 모바일오피스, 모듈러 하우스와 같은 작은면적 내에서 보다 효율적인 생활을 향상시켜주기 위한 공간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형단위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가구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이를 위해 문헌을 통한 소형단위 공간과 스마트 시스템 퍼니쳐의 특징이 연구되어졌으며 국내 및 독일, 미국, 스위스의 스마트 시스템 퍼니쳐의 사례 분석 및 기존 목재 가구의 목질재료와 환경적 문제에 대한 분석, 친환경 합성목재 플라스틱(WPC)의 재료의 적합성 분석, 소형단위공간을 위한 스마트 시스템 가구 디자인 제안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졌다. 연구결과 친환경 합성목재 플라스틱(WPC)는 방부, 화학처리가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 후 수거된 소재는 분쇄 후 100% 재활용되기 때문에 원목자원의재활용률이 타 목질재 소재에 비하여 매우 높아 소형가구공간의 재료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 시스템 퍼니쳐는 가구(생활공간)의 소형화에 따라 발전된 가구 형태로써 여러 개의 규격화된 모듈 구조체를 원하는 형태로 조합시키고 소형단위공간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여주고 각 유닛의 해체, 조립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공간구성을 가능해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s single-person household increases in society and consumer needs are so fragmented, Effectiveness Increase of the Small Unit Space is necessary. Further, it should have differentiated spatial configurations since it has a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e three or four-person households Spatial structure is required to improve the life more efficient like one-person households, small business office, home office, mobile office, a small area such as the modular house. Therefore, this study purports to suggest Smart System Furniture Design for the Effectiveness Increase of the Small Unit Space. For this, the features of the smart systems furniture units and compact space are studied by literature and case of smart systems furniture Germany and Japan, America, Switzerland, environmental issues and woody materials of furniture, the suitability of Eco-friendly Wood Plastic Composite (WPC) are analyzed and the Smart System Furniture Design are suggested. Eco-friendly Wood Plastic Composite(WPC), which has no preservatives and chemical processing,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WPC is milled to be recovered after use and it is 100% recycled. Therefore, the recycling rate of wood resources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woody material other materials and it is suitable as a material for small furniture space. Smart systems furniture is in the form of furniture that developed by the size of the living space and furniture. This makes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unit compact space in combination in various forms the structure of the module plurality of standardized. Moreover, the assembly and dismantling of each Unit is possible, the user must enable the spatial configuration desired.

      • KCI등재

        공간 상호작용 모델에 대한 공간단위 수정가능성 문제(MAUP)의 영향

        김감영(Kamyoung Kim)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2

        공간 상호작용의 복잡성, 공간적 재현과 모델링의 필요성에 의해서 공간 상호작용 데이터의 합역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 상호작용 데이터를 스케일을 달리하여 합역하거나 혹은 동일 스케일에서 합역 방식을 달리하여 합역하였을 때, 공간 상호작용 모델의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공간 상호작용 데이터의 합역은 공간단위 수정가능성의 문제(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를 야기한다. 공간 상호작용 데이터의 합역을 위하여 무작위로 구역 시드를 선정한 후 인접한 공간단위를 할당하는 방법, 구역 시드와 공간단위 사이의 인구 가중 거리를 최소화하는 방법 구역 내 상호작용 비율을 최대화하는 방법, 구역 내 상호작용 비율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MAUP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공간 상호작용 모델로 기원지-목적지 제약 포아송 회귀 모델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모델 잔차의 공간적 특성뿐만 아니라 파라미터 추정값, 적합도 등이 MAUP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모델은 합역 방식 보다는 합역 수준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모델에 대한 스케일 효과는 구획 방식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Due to the complexity of spatial interaction and the necessity of spatial representation and modeling, aggregation of spatial interaction data is indispensible.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Four aggregation schemes are utilized at eight different scales: 1) randomly select seeds of district and then allocate basic spatial units to them, 2) minimize the sum of population weighted distance within a district, 3) maximize the proportion of flow within a district, and 4) minimize the proportion of flow within a district. A simple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origin and destination constraints is utilized.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uals, parameter values, and goodness-of-fit of the model were influenced by aggregation scale and schemes. Overall, the model responded more sensitively to aggregation scale than aggregation schemes and the scale effect on the model was varied according to aggregation schemes.

      • KCI등재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김성희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산업의 공간적 입지에 대한 분포 패턴 분석은 관련된 공간정책 및 계획의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분석에 있어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어떠한 분석지표와 공간단위를 활용하는가에 있는데, 이는 지표와 공간단위에 따라 그 해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양한 산업집적 지표들을 고찰하고 관련 지표에 따른 산업집적의 지역유형을 구분하며, 다음으로 개별입지, 그리드, 행정구역 등의 다양한 공간단위별 산업집적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여 뿌리산업에 대해 실증분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보면 공간단위에 있어서 그리드 단위가 행정구역 단위보다 세밀한 미시적 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해석상의 차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유형 구분에 있어서는 울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창원시를 축으로 하는 동남권과 인천광역시, 화성시, 안산시를 축으로 하는 수도권 서부축이 뿌리산업의 산업집적 클러스터 지역유형으로 분석되었다.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dustrial location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spatial policies and pla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this analysis is what analysis indicators and spatial units are us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nalysis indicators and the spatial uni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various industrial integration indicator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uggests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of industrial aggreg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lated indicators. And then,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oot industry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analyzing industrial integration by various spatial units such as individual locations, grid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grid in the spatial unit can be analyzed in more detail than the administrative uni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tting of spatial units. I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the south-eastern region of Ulsan, Busan, and Changwon,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SMA of ​​Incheon, Hwaseong, and Ansan were analyzed as the industrial cluster type.

      • KCI등재

        리모델링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 공간 구성의 변화 연구 - 2010년 이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차유빈,김용성,이남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 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 리모델링은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 효과적인 주거환경 조성, 지역 재생 및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사업이다. 최근 주택 공급량 증가와 거주자 인식 변화로 인해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공동주택 공급이 요구되며, 단위세대 내부 공간도 변화하는 생활양식에 맞게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지역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전후 단위세대 평면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리모델링에 따른 공간의 다양화 현상을 파악하고, 리모델링에 따른 주거환경 변화의 특징을 객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서울시에서 리모델링이 완료된 공동주택 중 10개 단지를 대상으로 한다. 각 단지에서 세대수가 가장 많은 주력 평면을 선정하여 총 10개의 단위세대 전후 평면을 분석한다.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 구성 변화를 파악하고,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변화를 분석한다. 공간구문론 기반의 Depth-m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위세대 평면의 연결도, 통합도, 명료도 등의 지표를 통해 공간 구조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공간 성격에 따른 분석값을 토대로 리모델링 측면에서의 공간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 모든 사례에서 리모델링을 통해 평면 구성이 변화하였지만, 일관되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연결성은 모든 사례에서 리모델링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합도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감소하였으나 일부 사례에서는 상승하기도 하였다. 명료도는 대부분의 사례에서 리모델링 후 낮아졌다. 공적 공간인 거실과 현관은 리모델링 이후 연결성과 접근성이 다소 감소하였다. 반면, 사적 공간인 안방은 리모델링 이후 전체 공간에서의 접근성이 낮아졌으며, 최근 사례일수록 사적 공간의 독립성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서울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례를 대상으로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구성 변화를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리모델링을 통해 주거공간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실현되는 과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예상했던 공간 성격별 변화 추이와는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실의 배치 변경과 전이 공간의 도입으로 인해 각 공간의 기능이 분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거주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반영한 평면 설계와 동선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간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사례를 대상으로 공간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거주자 만족도 조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 결과의 실효성과 완성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modeling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project that improves the living environment an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aging apartment complexes. Historically, apartment complexes were supplied uniformly, but recently, they have been designed to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residents. This change results from the increased housing supply and shifts in residents' perceptions. Since resi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in the interior space of a unit, research and improvements are necessary to adapt to changing lifestyl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nit floor plans of remodeled apartment complexes completed in Seoul since 2010 and objectivel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following remodeling.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en apartment complexes that have been remodeled in Seoul since 2010. The main floor plan with the largest number of units in each complex is selected, resulting in a total of ten pre- and post-remodeling unit floor plans for analysis.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re identified, and the patterns of change in public and private spaces are examined separately. Using the Depth-map program based on space syntax theory,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a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indicators such as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of unit floor plans. (Results) In all cases, the floor plan composition changed through remodeling, but connectivit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did not consistently increase across all cases. Connectivity generally decreased after remodeling across all cases, while integration decreased in most cases but increased in a few. Intelligibility decreased in most cases after remodeling. Public spaces such as the living room and entrance showed a slight decrease in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after remodeling. In contrast, private spaces like the main bedroom exhibited reduced accessibility within the entire space after remodeling, with a tendency for enhanced independence of private spaces in more recent cases. (Conclusions)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d changes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unit floor plans in apartment complex remodeling cases in Seoul since 2010 using space syntax theory. The study objectively identified the process of diversifying residential spac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through remodeling. The results differed from the expected trends of change by spatial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ispersion of functions in each space due to changes in room layout and the introduction of transitional spaces. As interest in apartment complex remodeling gr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exploring spatial composition strategies that reflect changes in residents' lifestyle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circulation systems.

      • KCI등재

        국민주택규모 아파트 단위주거 공간에 대한 자녀들의 공간만족도에 대한 연구 : 건축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승희,유우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아파트 단위 주거내의 각 공간의 배치와 각 실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국민주택규모인 전용면적 85㎡(25.7평) 규모의 아파트는 조망권과 자연채광을 좋게 하기 위한 아파트 전면 베란다에 접한 방과 거실의 개수를 뜻하는 베이(bay)를 둘로 나누어 설계한 2베이 단위주거평면이 초기에는 대부분이었으나 3베이, 3.5베이, 4베이형까지 지속적인 단위주거 평면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베이수가 많은 평면형이 더 선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새로운 단위주거 평면의 개발은 각 건설사의 전문가들과 주부들의 참여로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고 최근의 경향인 3베이 국민주택규모 아파트 단위주거 평면이 기존의 2베이 평면과 비교하여 현재의 주 소비계층인 부모세대에게 더 만족스러운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모세대뿐만 아니라 풍요로운 시대에 태어나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며 아파트를 주거 공간으로 생활하고 있는 자녀 세대에서도 그들이 공간을 사용하기에 각 실과 전체공간의 크기 면에서, 각 실들의 공간 배치 면에서 만족스러운지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 센서스 지리의 고도화를 위한 제언: 메조-스케일 공간단위의 다양화

        이상일 ( Sang-il Lee ),이소영 ( Soyoung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9 地理敎育論集 Vol.6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센서스 지리를 고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우선 센서스 지리에 대한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센서스 지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공간단위의 다양성, 공간단위들 간의 위계 및 포섭 관계의 정합성, 디지털 경계 파일의 관리 및 배포의 체계성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공간단위의 다양성을 고양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메조-스케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 개의 공간단위(시군구-1 단위, 시군구-2 단위, 시군-1 단위, 시군-2 단위)를 명료화하였다. 제안된 공간단위의 활용성을 실제 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결과, 연구 주제에 따라 보다 의미 있는 공간 패턴의 표출이라는 측면에서 공간단위의 상대적 적합성은 충분히 인정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다른 수준의 공간단위 확충 연구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seek to more firmly establish the census geography of South Korea. Based on an international comparison in terms of census geography, a critical assessment was undertaken for the Korea census geography. As a result, it suffers from various defects as for the variety of spatial units provided, the integrity of the hierarchical/nested structure of spatial units, and the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boundary files. Four different systems of spatial units at the meso-scale (Sigungu-1, Sigungu-2, Sigun-1, and Sigun-2) are proposed in the hope of extending the current census geography of South Korea. A mapping experiment shows that a certain system of spatial units can be said to be more adequate than others in terms of how well it reveals meaningful spatial patterns. This study may facilitate further studies on spatial unit manipulation at different spatial scales.

      • KCI등재

        미시적 공간단위에서의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 인천광역시를 사례로

        이수연,김혜민,이민혁,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2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propose a model for predicting household waste generation. In related studies, waste generation patterns are analyzed in macroscopic spatial units. In this study, household waste generation is estimated by building units and applied to the analysis. As independent variables,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floating Population, credit card sales, and number of delivery orders are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spatial analysis unit, correlation analysis is performed at 250m, 500m, and 750m grid spaces considering MAUP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Finally, an occurrence prediction model is deriv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in the microscopic spatial unit with the highest statistically high correlation. Modeling was perfomed at a more detailed level than the spatial unit where the data were originally aggregated, and this methodology can be used as evidence for selecting priority management areas and intensive control areas for unauthorized dumping.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남동구를 대상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관련 연구에서는 시군구 등의 거시적 공간단위에서 폐기물 발생 패턴을 분석하나,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건물단위로 추정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주민등록인구, 유동인구, 신용카드 매출액, 택배 주문 건수를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분석 단위를 결정하기 위해,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를 고려하여250m, 500m, 750m 격자단위에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통계적으로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미시적 공간단위에서 다중선형회귀 및 지리가중회귀분석을 통해 발생량 예측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래 데이터가 집계되던 공간단위보다 세밀한 수준에서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방법론은 우선관리지역 및 무단투기집중단속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