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군 연구사 검토 및 역사적 의미

        조법종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단군에 대한 인식은 조선시대 민족의 시조로서 또한 요동지역을 장악한 개척자로 인식되면서 중시되었다. 기자에 의한 문명교화론 인식이 부각되며 그 위상이 약화되었으나 반청인식의 중심으로 민족적 자각의 상징으로 단군은 그 위상와 역할이 부각되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한 단군부정은 근거사료의 후대성과 일선동조론적 관점에서 강조되어 단군부정과 실상 왜곡이란 두 측면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이 같은 문제제기에 대해 민족고유 신앙적 측면과 낭가사상의 연원으로서 단군을 부각하였다. 해방이후 산동성 무씨화상석의 연결 가능성으로 연대관 상승과 토테미즘과의 관련성 등 신화 민속적 접근과 특히, 고고학적 접근을 통해 단군의 민족문화연원으로서의 위상이 부각되었다. 한편, 북한학계는 고조선중심지문제와 함께 단군의 실재성을 강조하여 1993년 단군릉을 평양지역에 비정하고 고조선 평양중심설 및 대동강문화론의 중심 근거로 삼아 조선민족제일주의의 근거로 부각하여 단군문제를 정치논리에 예속시키는 상황을 초래하였다.한편,중국은 동북공정이후 단군신화가 중국의 신화체계와 연결된다는 점을 부각하고자 하였으며 중국신화범주에 이를 포섭하여 중국적 역사문화의 일부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학계는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고 단군인식의 게승성이 고구려로 소급되며 고조선-고구려 계승인식의 범주에서 단군인식의 역사적 사실성을 부각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과 단군사상 비교연구 : 서사구조와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차선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Most of the new religions derived from Jeungsan have claimed that Jeungsan’s religious thought reproduced Dangun [檀君] Thought in its original form. However, Daesoon Jinrihoe is the only religious order out of the many new religions within the Jeungsan lineage, which has constantly kept its distance from Dangun Thought since 1909 during the earliest period of proto-Daesoon Jinrihoe. Even a mere trace of Dangun cannot be found in the subject of faith or the doctrinal system of Daesoon Jinriho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amine possible connections between Daesoon Thought and Dangun Thought in order to determine why other Jeungsanist religions frequently exhibit Dangunist features. Specifically, a major part of this study will be devoted to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Daesoon Thought and Dangun Thought as well as their respective motifs. In fact, Jeungsan does not seem to have ever mentioned Dangun in his recorded teachings, therefore, after his passing into the Heaven, most of the religious orders including Daesoon Jinrihoe derived from him did not pay any attention to Dangun Thought for almost for 40 years. These orders did not originally perceive Dangun as an object of belief. After Korea’s liberation, Dangun became widely accepted as a pivotal role among the Korean people. As Dangun-nationalism claimed to unify Koreans as one great Korean ethnic society, the religious orders of Jeungsan lineage also climbed aboard this creed and their faiths or doctrines were acculturated to reflect this change. The reason for this has been attributed to following modern trends to increase success in propagation. In the meantime, Daesoon Jinrihoe was the only order that did not accept Dangun-nationalism because it was not a teaching given by the order’s founder. And the two systems of thought have more dissimilarity than parallelism in terms of philosophical ideology. These seem to be the main reasons why Daesoon Jinrihoe did not adopt Dangun into its doctrine or belief system. 대다수의 증산계 종단들은 증산의 종교사상이 단군사상을 그대로 재현한 것이라는 주장을 펼쳐왔다. 그러나 증산계 종단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대순진리회만큼은 1909년 종단 초기부터 지금까지 줄곧 단군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앙 대상이나 교리체계 그 어디에도 단군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단군에 대한 대순진리회와 타 증산계 종단들의 입장이 다른 이유를 찾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이 글은 대순사상과 단군사상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검토해 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대순사상과 단군사상의 서사구조와 모티프를 비교 분석한 것이 이 글의 핵심 내용이다. 사실 증산께서는 단군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신 적이 없으셨다. 그러므로 증산 화천 후 해방 이전까지는 대순진리회를 포함한 모든 증산계 종단들이 단군사상에 주목하지도 않았고 단군을 신앙의 대상 가운데 하나로 여기지도 않았다. 해방 이후가 되면 한국사회에 민족의 구심점으로 단군이 크게 대두되고, 단군을 중심으로 한국인이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단군민족주의가 사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거의 모든 증산계 종단들은 거기에 편승하여 그들의 신앙과 교리를 변용시켰다. 명백히 그것은 시류를 이용하여 포교에 도움을 얻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오직 대순진리회만큼은 교조의 가르침이 아니므로 단군민족주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또한 사상적인 측면에서도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을 더 많이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해서 대순진리회는 단군을 교리나 신앙 체계에 채택하고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제왕운기』에 인용된 단군본기의 저자와 성격

        김남중(Kim, Nam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4 No.-

        이 글은 『제왕운기』에 언급된 단군본기의 성격과 저자 등을 다룬 것으로, 단군본기는 우리 민족이 단군의 후예라는 인식 확대에 기여한 책이다. 단군본기는 어느 정도 학식이 있으며 불교에도 조예가 깊은 인물의 글이다. 더불어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편찬하면서 단군본기와 마찬가지로 구월산 일대의 단군 신앙만 채택하였고 평양과 고조선의 관계는 철저히 배제하였다는 점, 단군의 재위 기간을 일부러 틀리게 적어 단군본기 저자를 예우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군본기 저자는 이승휴와 특별한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단군본기는 류경(1211~1289)이 쓴 글임을 알 수 있다. 단군본기는 평양이 아닌 구월산 일대의 단군 신앙과 연결되어 있으며, 신라, 고구려를 포함한 우리 민족의 여러 세력이 모두 단군의 후예임을 밝힌 글로 12~13세기 고려 사회의 분열 의식 극복에 기여하였다. 또한 원에 넘어간 영토회복의 의지도 들어 있는데, 이는 류경의 대원 자주 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haracter and author of dangunbongi quoted in jewang-ungi, dangunbongi is a book tha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perception that the korean people are descendants of dangun. Dangunbongi is written by a person who is somewhat learned and familiar with buddhism.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mpiling jewang-ungi, lee-seunghyu has adopted only the dangun faith in the guwol mountain area, thoroughly excluded the relationship between pyungyang and old joseon, as in the case of dangunbongi, and was honoring the author of dangunbongi by deliberately writing the period of his reign, we can see that the author of dangunbongi and lee-seunghyu were in a special relationship. In this regard, we can see that dangunbongi was written by ryu-gyeong(1211~1289). Dangunbongi is connected to the dangun faith in guwol mountain area, not pyungyang, and has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sense of division in golyeo society at the 12th and 13th centuries, revealing that all the forces of our people, including silla and gogulyeo, are descendants of dangun. It also includes a willingness to restore territory taken away by the won empire, reflecting ryu"s self-reliance in resisting won.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단군개념으로 본 기원담론의 상징과 심적효과

        이난수 한국양명학회 2024 陽明學 Vol.- No.72

        세계에서 어느 민족이든 민족의 기원을 표현한 신화가 있다. 이 신화는 언어적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용은 민족의 성립과정과 의의 및 사유체계를 담고 있다. 단군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승되어 온 담론이다. 전승의 과정에서 시대마다 집단의식이 요청되는 방향으로 해석되면서 신화ㆍ역사ㆍ철학ㆍ문학ㆍ종교의 방면까지 아우르는 개념이 되었다. 본고는 근대 조선과 일본의 단군담론을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일본인들의 단군 인식은 일본 신화를 근거로 동원설을 주장하였고, 신화를 부정한 측면에서는 단군을 승려에 의한 망설로 논의하였다. 단군을 일본에 포섭하거나, 단군의 시원을 부정하는 것은 민족의 심상 공간에 위치한 단군의 영향력 때문이다. 이러한 일본인들의 단군 인식은 식민체제의 목적성에 부합하여 그 내용을 이루게 된다. 최남선의 단군 담론은 일본의 단군부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의 단군 부정을 부정하기 위해 신화를 연구하였고, 단군을 신화화 시켰다. 그에게 있어 신화는 근대 민족 국가 형성에 필요한 집단무의식이었다. 일제 강점기 조선의 단군 담론은 민족이라는 실체를 규명해 주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단군은 민족의 정신적 독립과 주체의식을 발현시킬 수 있는 근원적 사유였다. 조선과 일본의 단군 담론은 집단 무의식에 근거한 심리적 효과를 기대한 논의였다. 이처럼 근대 민족이라는 집단 무의식이 단군으로 귀결되어 공동의 의미 체계와 사유 구조를 갖추어 가면서 단군은 현재화되었다. Every nation in the world has a myth that shows its origin. This myth contains a linguistic system, and its content contains the process of ethnic formation, its significance, and its ideological framework. ‘Dangun’ is a discourse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Throughout the process of transmission, it has been interpreted in the direction of expressing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of each era, and encompasses concepts ranging from mythology, history, philosophy, literature to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of ‘Dangun’ in moder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odern period, Japanese claimed that Japan and Korea emerged from the same ancestor based on Japanese mytholog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denying Dangun was that it came from a flawed argument by Buddhist monks. Including Dangun in Japanese mythology or denying it is due to the influence of Dangun entrenched in the unconsciousness of the nation. Therefore, the discourse of Dangun in Japan is formed to colonize Korea according to its purpose. Choi Nam-seon’s discourse on Dangun began as a criticism of Japan’s Dangun theory. He studied mythology and mythologized Dangun. For him, mythology wa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a modern national state. The discourse on Dangu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had a symbolic significance in identifying the entity of the nation. In this way, the discourse on Dangun in Korea and Japan aimed at the psychological effects based on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nation. Therefore, as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 the modern nation is encapsulated in ‘Dangun’ and develops a shared system of meaning and reasoning, ‘Dangun’ is actualized.

      • KCI등재

        갑골 복사(卜辭)・주역 점사(占辭)를 통해 본 단군신화의 천신(天神)사상

        임재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angun Myth’s Thoughts of the Heavenly gods and Oracle bond script’s and the Book of Change’s. In the history of east-asia, the periods of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overlap each other. And the regions of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are also not far away. So we can assume that two cultur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assumption, I review Dangun myth’s thoughts of Heavenly Gods and Oracle bond script. From this review, I find out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cultures. Dangun myth’s Heavenly gods are Hwanin(桓因), Hwanung(桓雄), the god of wind(風伯), the god of rain(雨師), the god of cloud(雲師). And Oracle bond script’s Heavenly gods are Almighty god(上帝), Sun(日), Mother of the East(東母), Mother of the West(西母), Cloud(雲), Wind(風), Rain(雨), Snow(雪). Although Sun(日), Mother of the East(東母), Mother of the West(西母) are not appeared in Dangun myth, but the other heavenly gods match up. Heavenly gods of Dangun myth and the Book of change are also similar in the thought of Almighty God. These similarities between Dangun Myth and Oracle bond script and the Book of Change are recognized in Mircea Eliade’s Relgious patterns. Thu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religious thoughts of Gochosun(古朝鮮) and Ancient china developed coordinately by cultural exchange. 단군신화에 있어서 천신 사상은 단군신화의 핵심적인 사상 중의 하나인데, 이러한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과 갑골 복사 및 『주역』 점사에서 나타나는 천신 사상을 비교하여 살펴보는 것도 단군신화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이다. 갑골문이 발견된 중국 하남성 안양은 단군조선의 중심지로 추정되는 요동 지역과 지리적으로 멀지 않은 위치에 있다. 시기적으로도 서로 중첩되고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안양 지역의 문화와 단군조선의 문화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시각이라 할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시대와 지리적인 근접성에 걸맞게 갑골문의 천신 사상과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은 서로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은 1) 상제인 환인, 2) 환인의 서자인 환웅, 3) 풍백, 4) 우사, 5) 운사 등이다. 상제는 최고신으로 풍백, 우사, 운사 등을 거느리고, 인간사를 주관하게 된다. 단군신화의 천신(天神)과 관련하여 갑골문의 천신(天神)을 살펴보면, 상제(上帝), 일(日), 동모(東母), 서모(西母), 운(雲), 풍(風), 우(雨), 설(雪) 등이다. 이를 통해 보면,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천신(天神)과 갑골문에 등장하는 천신(天神)이 서로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갑골문의 천신(天神) 중 단군신화와 일치하는 上帝, 雲, 風, 雨 등을 제외하고, 日, 東母, 西母, 雪 등의 천신(天神)도 나타나고 있다는 차이점은 있지만, 이것은 갑골문의 천신(天神)이 보다 다양함을 나타내주는 지표일 뿐, 단군신화와 갑골문의 천신(天神)이 일치하고 있다는 사실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나라를 이은 주나라의 종교적 문헌인 『주역(周易)』에서도 단군신화의 천신과 유사한 내용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갑골 복사의 천신, 『주역(周易)』 점사의 천신, 단군신화의 천신 사상은 엘리아데의 종교유형론을 통해 보다 보편적인 종교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조선의 문화는 중국의 문화와 서로 교류하면서 대등하게 발전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 단군의 호적등본

        반재원 한국정신과학학회 2017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9 No.1

        『홍사한은』은 한웅과 단군 등 상고사에 대한 기록이다. 이 책은 최면길이 서기 1691년 신묘년에 초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지금까지 어느 사서에도 거론된 적이 없는 왕검단군의 고향과 어머니와 부인의 이름이 기록되어있어서 한걸음 더 역사시대로바꾸어주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홍사한은』을 근거로하여 한웅과 단군을 신화에서 역사시대로 확실하게 빼내어 오고자한다. 1. 왕검단군의 본적지는 연길이다. 2. 왕검 단군의 생년월일은 서기전 2370년 5월 2일 인시이다. 3. 왕검단군의 첫 도읍지는 하얼빈 완달산맥 아사달이다. 4. 왕검단군의 아버지는 단웅, 어머니는 교웅, 부인은 태원, 아들은 부루, 부소, 부우, 부여이다. 5. 왕검단군 초상화의 어깨와 허리의 풀잎은 마늘잎과 쑥잎이다. 『Hongsa haneun』was the record of the oldest ancient history about Hanwoong and Dangun. This book was recorded by Choi Myeon-Gil in AC 1691. This book was recorded Wang-geom Dangun’s hometown and the name of his mother and wife. So this book led a chance to turn myth into history. 1. Wang-geom Dangun was born in Yeongil. 2.Wang-geom Dangun was born AM 3~5(tiger time) second May BC 2370. 3.First Capital city of Wang-geom Dangun is Asadal in Harbin, a chain of Wandal mountains. 4.Wang-geom Dangun’s father is Danung, his mother is Gyoung, his wife is Taewon, his sons are Buru, Buso, Buu, Buyeo. 5.The things about the shoulder and the waist of his portrait are garlic leaves and mugwort leaves.

      • 단군신앙의 형성과 전개

        김의숙(Eui-Sook Kim)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07 江原民俗學 Vol.21 No.-

        한민족의 원 시조로서의 단군과 고조선은 한민족의 본향이며 좌표이다. 그래서 고난의 고비마다 단군을 구심점으로 하는 대동단결과 통합의 기치 아래 외세에 대항하고 내부의 결속을 다져왔다. 따라서 단군에 대한 숭배와 신앙은 민족의 자주성 확립과 국난극복의 에너지로 작용하고 나아가 민족공동체의식을 진작하는 밑거름이 되어왔다. 단군에 대한 신앙은 대체로 삼분법적(三分法的)인 방향에서 전개된다. 곧 단군은 초월적 신령체, 역사적 원시조체(元始祖體), 축제적 캐릭터 등으로 등장하며, 그에 따른 존경과 신앙심이 한국사상과 민중의식으로 구현되어 자리잡고 있다. 초월적 신령체로서의 단군 숭배는 개개인과 사회에 행복과 무사 안녕을 점지하여 주는 신령으로서의 믿음으로 대종교와 무속(巫俗)단체들의 신앙양상이다. 역사적 원시조체로서의 단군 숭배는 단군을 민족의 원시조로서 숭배하는 사회단체의 믿음과 존경 양상이다. 축제적 캐릭터로서의 단군 숭배는 단군의 위대한 자취와 이념을 제의적 축제로 승화시켜 민족정신을 고취시키고자 한 축제(祝祭)의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여 행사하는 예술적 페스티벌이나 제례가 그것이다. 이상의 세 양상으로 전개하는 단체나 조직은 한국사회 속에 부지기수로 많다. 이렇게 단군의 명호를 표방하고 숭배하며 신앙하는 단체와 축제가 많다는 것이 단군을 향한 관심과 믿음이 한국인의 심성에 깊고 폭넓게 작용하고 있음을 보이는 증거이다. Tangun and Kojoseon-The country built by Tangun-are the founder and the origin of Korean people. When Koreans were confronted by a national crisis they gathered under the flag of unity and integration that center Tangun to overcome the difficulty. So, worships and faith about Tangun were a foundation of establishing nation’s independence, overcoming national crisis and advancing nation’s community spirit. Faith about Tangun generally appears in three directions. It appears as a transcendental existence, historical founder and festival character. Respect and worship of Tangun is settled in Korean’s thought and public consciousness. Worship of Tangun as a transcendence existence is shown by “Taejoeng” religion and shamanism group’s belief which blesses with a happiness and safety to individual and society. Worship of Tangun asa historical founder appears by respect and worship of Tangun as a historical founder by social groups. Worship of Tangun as a festival character is shown by art festivals and rituals which managed by the local governments. They sublimate Tangun’s great trace and ideology to ceremonial festivals to inculcate people with ethos. There are numerou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unfold by Tangun’s three characters in Korean society. It proves that belief and concern about Tangun is deeply effected in Korean’s mentality.

      •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김명옥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3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남·북한에서 단군신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다. 일제식민사학자들은 식민지배이데올로기로서 일선동조론을 창안한다. 한편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일본 국체가 다른 나라의 영향 없이 유구한 존재로 형성되었다는 논리를 보증하기 위해 일선동조론을 비판하고 단군부정론을 만든다. 단군부정론은 두 가지다. 단군은 고려시대 불교의 영향을 받아만들어진 신화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주몽전설의 이본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민족사학자들은 단군부정론을 비판하며 역사적 실체로서 단군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북한은 1960년대 초에 고조선의 중심지와 강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단군신화도 연구되었다. 북한은 고조선의 건국신화로 단군신화를 인식했다. 그러나 9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우리식 사회주의를 창안하면서 북한은 고조선의 중심을 평양으로, 고조선 건국시기를 30세기로 끌어올려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 반면 남한의 강단사학계는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창안한 단군부정론을 그대로계승했다. 단군신화가 주몽설화 이본이라는 설과 묘향산의 산신 연기설화 혹은불교의 영향설을 그대로 추종한다. 한편 ‘단군의 역사성’이란 말로도 단군부정론을 호도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민족의 침략과 일제강점기처럼 나라와 민족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단군을 중심으로 결집하는데, 이것이 단군의 역사성이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국가의 위기 때마다 호명되어 전승되는 것을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단군의 역사성’ 은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즉 ‘단군신화 전승사’를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 KCI등재

        성서적 관점에서 본 단군사화 이해

        방석종(Pang, Suk-Chong)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필자는 성서적 관점에서 단군 사화를 이해하는 데 목표를 두고 단군사화가 ‘신’(神)의 특수개념을 반영하며 성서의 신학적 관점과 비슷한 신정통치 사상을 나타내고 있음을 밝히려 한다. 저자는 두 개의 문학이 역사적으로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기보다는 각기 다른 문학이 다른 민족들의 공통된 역사적 경험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한다. 이런 논증을 위해서 필자는 단군사화의 문학적 분석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그런 문학 속에 함축된 특수 사상과 이념 및 신학적인 개념을 찾는다. 무엇보다 우리는 단군 사화 안에서 ‘하느님’과 ‘인간’ 사이“에서 아버지-아들” 관계로서 특수한 표현법을 알 수 있다. 이런 묘사는 성서에서도 나타난다. 그것은 유일신 하느님과 하느님의 신성한 의지를 완성하도록 소명 받은 ‘지도자’와 밀접한 관계를 강조한다. 이런 묘사법에서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신적인 의지를 실현하는 권위를 갖게 한다. 이와 같이 우리는 양편 문학에서 신정통치(神政統治) 사상을 알 수 있다. 더군다나 그중에서도 특히 단군사화의 신정 통치는 고대 제정통치(祭政統治)와 같은 뿌리에서 나오긴 했지만, 첫 머리의 ‘석유환인’(昔有桓因) 구절의 번역 문제가 새로운 검토를 요구한다. 말하자면, ‘태초에 하느님(환인)이 계셨다’로 번역하는 경우, ‘석’(昔)은 ‘옛날’과 ‘태초에’ 두 가지로 번역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구절의 주어는 인간보다 ‘신’(神)이요, 구약 창세기 1장 1절의 “태초에 하나님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와 요한 복음 1 장 1절의 “태초(부터)에 말씀이 계셨다”는 구절이 ‘석유환인’과 일치하는 구절로 비교된다. 여기서 단군사화의 ‘환인’은 ‘태초’라는 시점(時點)과 연결되어 창조자로서 절대적인 신성(神性)을 나타내며, 앞으로 그의 말은 ‘계시’(啓示)가 된다. 이와 같이 창조자 하느님과 신성의 의지를 수행하도록 소명(召命)받은 인간 사이의 신학적인 관계는 성서의 신정통치 사상과 일치하는 계시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겠다. The current author aims to understand the Dangun Narrative in light of biblical perspective and to present that the Dangun Narrative reflects the particular concept of god and the theocratic ideology similar to those of the Bible. The current author assumes that those similarities were derived from “common experiences” of the different people who had formed each literature, rather than from “direct literary relationship” of two distinct kinds of literature. For this argument, I will focus on the literary analysis of Dangun Narrative and find the specific ideologies and theological concepts implied in that narrative. First of all, we can find the particular portraya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as “father-son” in Dangun Narrative. This portrayal can also be found in the Bible, and it stress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god and the certain person commissioned to fulfill the divine will. In this portrayal, the people come to have the authority to realize the divine will in this world. Thus we can find the theocratic ideology in both kinds of literature. Moreover, notably, the theocratic ideology of Dangun Narrative is further emphasized by the first phrase of the narrative, 昔有桓因. This phrase can be translated as follows: “In the beginning, there was Hwanin (god).” The similar phrase appears in the first chapter of Genesis and the Gospel of John which depicts the motif of creation respectably. In this regard, the temporal phrase, “in the beginning” of Dangun Narrative particularly accentuates the absolute divine authority of Hwanin as a creator. Thus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god, a creator, and human commissioned to fulfill the divine will apparently reveal the theocratic ideology similarly with the biblical ideology of theocracy. Finally, Dangun Narrative focuses on the moral and ethical ideology, Humanitarianism(弘益人間), rather than merely a secular blessing. In this respect, Hwanin is not pictured as shaman god. Rather the Dangun Narrative shows very promoted ethical and moral value through the revelations of Hwanin as the Bible does. Thus we can find the ideological similarities between the Dangun Narrative and the Bible. The current writer believes that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Dangun Narrative in light of the bibl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