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K-means 군집분석 및 랜덤 포레스트를 적용한 취업선호도 유형화 영향요인 분석

        최진수(Choi, Jinsu),정혜원(Chung, Hyewo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8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Ⅱ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k-means 군집분석,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각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를 탐색하고, 변인의 실질적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eans 군집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 유형을 각각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취업선호도에 대해서는 취업선호도 ‘하위’, ‘상위’, ‘중간’그룹으로 유형화되었고,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서는 ‘미래전망 중시’, ‘근무환경 중시’, ‘사회적 인정 중시’그룹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취업선호도와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화에는 ‘자신에 대한 이해’, ‘여가활동 빈도’, ‘타문화권과의 교류’, ‘여가시간-휴일’, ‘일주일 평균 운동시간’, ‘월평균 생활비’, ‘독서 선호도’, ‘한달 용돈 액수’, ‘여가시간-평일’, ‘삶의 상태’, ‘월평균 본인 소득’, ‘행복도’, ‘수면 시간’, ‘아침 식사 여부’, ‘동거인 수’, ‘아버지의 최종학력’, ‘월평균 저축액’, ‘건강 상태’, ‘자산액수’, ‘어머니의 최종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의 특성변인과 건강상태, 경제적 특성과 부모의 학력 및 금융소득이 취업선호도 유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화에는 개인 특성과 건강상태 외에도 여가활동의 빈도와 독서 선호도가 다른 변인과 비교하여 유형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k-means 군집분석과 랜덤 포레스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함으로써 변수 간의 복잡한 관계를 고려하고 집단 분류와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취업선호도 유형에 따라 적합한 취업 상담과 교육적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gnificant effects of factors and classify university students into groups by job preference using Korean Educational and Employment Panel (KEEP) data. In this study, k-means cluster analysis, random fores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to classify and explore major factors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three groups were formed. Then,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size of the variable. Employment preference was categorized into “lower, “middle, and “upper group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ve job preference, groups were categorized as “preferring future outlook, “preferring work environment, or “preferring social recognition. Second, the influencing factors for group categorization by job preference and relative job preference were “understanding oneself,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interaction with other cultures, “leisure time/holidays, “average weekly exercise time, “average monthly living expenses, “reading preference, “monthly allowance amount, “life status, and “breakfas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variables of health, economic status, an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lass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employment counseling and educational support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 사회적경제 레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유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경제의 규모를 결정하는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이 분야의 연구 성과는 사회적경제의 규모에 관한 유형(레짐)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우리나라 사회적경제 레짐의 형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의 단위는 기초지방 자치단체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원 이론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유형화한 후 각 유형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이 활용되는데 사회적경제의 활성화와 규모를 설명하는 사회과학 이론을 검토하여 독립변수를 선정한 후 모형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노인 주거빈곤 유형화 및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박은주 ( Park Eun Joo ),권현수 ( Gweon Hyun So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주거빈곤 유형화를 통해 다양하고 복합적인 노인 주거빈곤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이해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각 유형별 특성 및 예측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KOWEPS) 14차년도 자료(2019년)이며, 만 65세 이상 노인 가구주 3,14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대표적인 주거빈곤 지표와 영향요인을 선정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주거빈곤은 ‘주거점유불안정형(20.7%)’, ‘설비 및 구조 미충족형(3.5%)’, ‘주거안정형(75.7%)’의 3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주거빈곤 유형별 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주거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공적연금미수급은 주거빈곤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고, 비지상거주는 ‘주거점유불안정형’에, 단독주택거주는 ‘설비 및 구조 미충족형’에 속할 위험을 높이는 주요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어 유형별 주거빈곤을 예측하는 중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주거빈곤 위험에 대한 정책적 우선순위 설정, 비지상거주 노인의 주거안정 및 단독주택거주 노인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법적 장치마련, 노후소득보장정책 개선 등 노인의 주거빈곤 특성을 고려한 주거지원정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e and complex characteristics of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through their classification types. Additionally, the study establishes principal data for the preparation of housing poverty policy for the elderly by analyzing its predictive factors by type. Data from the 2019 Korea Welfare Panel Study Year 14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ubjects were 3,141 household owners aged 65 or older. Representative housing poverty indicators and influencing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overty among the elderly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ousing occupancy anxiety type (20.7%),” “facility and structure unfilled type (3.5%),” and “housing stability type (75.7%).”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housing poverty. The non-receipt of public pensions is a common factor tha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housing poverty. Non-ground-floor residences have a strong effect that increases the risk of falling into the “housing occupancy anxiety type” and detached house dwellings into the “facility and structure unfilled type,” indicating that they can be used as important indicators to predict housing poverty by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a housing welfare policy considering the housing povert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uch as setting appropriate policy priorities, providing institutional and legal mechanisms for stabilizing the housing of the elderly living on the ground, and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improving the old age income security policy, etc.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하이퍼튜브 초고속철도 선호구조 및한계지불의사액 분석

        이광섭,강성민,엄진기,김현명,이관섭 한국철도학회 2020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3 No.10

        중장거리 초고속철도시스템인 하이퍼튜브(HTX; Hyper Tube eXpress)에 대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신교 통수단이 도입되면 교통수요예측 및 경제성분석을 위해 수단선택모형 구축이 필요하다. 기존 분석모형에서는 통행시간과 비용이 주요변수로 활용되었으나, HTX는 초고속 및 다빈도 운행 등 기존 교통수단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어 새로운 분석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HTX의 속성수준에 따른 이용선호도를 모형화하기 위해, 다양한 속성에 대해 이용자가 부여하는 가치추정이 가능하며 다속성 결합분석의 장점이 있는 컨조인트 분석법을 바탕으로 SP조사를 수행하였다. HTX의 차별성은 5개의 주요속성과 각 속성별 2~3개의 하위수준으로 구분하였다. SP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항로지스틱회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각 속성과 하위수준별 변수들이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했으며, 성별 및 연령별 HTX 선호도모형을 분석하여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또한, 한계지불의사액을 분석하여 HTX의 서비스 수준에 따른 추가 지불의사액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HTX 도입을 위한 교통수요예측 및 철도운영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독일어학습자 작문능력의 분석적 평가방법 연구 - ‘Frog, Where Are You?’ 작문의 이야기구성과 문법완성도 평가모델의 독일어 유창성 예측 성능

        유수린,국지연 한국독어학회 2023 독어학 Vol.48 No.-

        Die Schreibfähigkeit von Deutschlernenden gilt als einer der Hauptaspekte bei der Bewertung der Deutschkenntnisse. Er umfasst nicht nur Wortschatz und grammatische Genauigkeit, sondern auch die Fähigkeit zur Bedeutungskonstruktion als integralen Bestandteil eines komplexen kognitiven Prozesses. Daher ist es notwendig, klare Muster hinsichtlich des Niveaus der Schreibfähigkeiten zu beschreiben, Bewertungskriterien festzulegen und zu überprüfen, ob diese Kriterien mit den Bewertungsstufen für Deutschkenntnisse übereinstimmen. Diese Studie schlägt eine analytische Bewertungsmethode für die Schreibfähigkeiten koreanischer Deutschlernender vor, untersucht die Validität dieser Methode anhand von Fallanalysen und überlegt Möglichkeiten zur Verbesserung. Zu diesem Zweck wurden deutsche Aufsätze zu ‘Frog, Where Are You?’ (Mayer 1969) von 32 koreanischen Deutschlernenden (KGL2) gesammelt. Qualitative Bewertungen wurden für grammatische Genauigkeit (EV_G) und narrative Struktur (EV_N) durchgeführt, während quantitative Bewertungen die Vielfalt des Wortschatzes (EV_Q.TTR) und die Satzlänge (EV_Q.MSL) umfassten. Eine Analyse der Korrelation zwischen diesen Bewertungskriterien bestätigte die Notwendigkeit einer umfassenden Analyse durch diese analytische Bewertungsmethode. Zusätzlich wurde eine multinominale logistische Regressionsanalyse durchgeführt, um zu untersuchen, ob die konstituierenden Variablen der analytischen Bewertung das Deutschniveau vorhersagen können. Die Analyseergebnisse zeigten, dass die von dieser Studie vorgeschlagene analytische Bewertungsmethode als Modell zur Vorhersage der mittleren und fortgeschrittenen Deutschkenntnisse eine hohe Erklärungskraft besitzt. Zugleich bestätigte die geringe Korrelation mit LexTALE-Ger die Notwendigkeit einer Verbesserung von LexTALE-Ger. 독일어학습자의 작문능력은 독일어 수준 평가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어휘 구사능력과 문법적 완성도뿐아니라 의미 구성능력을 포함하는 복합적 인지과정의 종합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작문능력의 수준에 대한명확한 양상을 기술하고, 평가기준을 정립하고 그 설명력이 독일어능력 공인등급과 호응하는지 검증하는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독일어학습자들의 작문능력을 평가하는 분석적 채점방법을 제안하고, 실행사례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평가방법의 타당성과 개선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2명의 한국어화자인 독일어학습자(KGL2)로부터 24개 그림으로 구성된 ‘Frog, Where Are You?’(Mayer 1969)에 대한독일어 작문을 수집하여, 문법완성도(EV_G)와 이야기구성 평가(EV_N)라는 질적 평가와 어휘다양도(EV_Q.TTR)와 평균 문장길이(EV_Q.MSL)라는 양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들 평가방법 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적 평가방법을 통한 다면적 분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적 평가의 구성 변인들이 독일어 공인등급을 예측할 수 있는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가제안한 분석적 평가방법이 독일어 중급과 상급 수준을 예측하는 모델로서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반면독일어 어휘지식평가 LexTALE-Ger에 대해서는 낮은 상관성을 보임으로써 LexTALE-Ger의 개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과 생태학적 영향 연구

        성유경(Seong, Yu Kyeong),염동문(Yeum, Dong Moo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1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초⋅중학생의 행복 변화유형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예측변인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1차(2010년)부터 6차(2015년)까지의 데이터에서 초⋅중학생 2,057명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잠재프로파일성장분석(LPGA)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복의 변화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나‘상층_행복감소집단’, ‘행복유지집단’, ‘하층_행복증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상층_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행복유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개인요인에서는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학교요인에서는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상층_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미한 변수가 없었다. 상층_행복감소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고 하층_행복증가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학교요인에서는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상층_행복감소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지만, 개인요인과 지역사회요인에서는 유의한 변인이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t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happiness chang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erify the relation with predicting variables by type. To this end, 2,05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the first(2010) to sixth(2015)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analysis method is applied with Latent Profile Growth Analysis (LPG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happiness change were named Happiness Reduction Group , Happiness Maintenance Group and Happiness Increase Group . Second, when comparing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a reference group, with Happiness Maintenance Group, the worse the health condition in the individual factor, and the worse the friendship relationship in the school facto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Happiness Reduction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ble in the community factor. When comparing Happiness Reduction Group, as a reference group, with Happiness Increase Group, the worse the learning activity and friendship in the school factor,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ing included in Happiness Reduction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derived in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it sugges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 KCI등재후보

        다문화 지향성의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적용

        설진배,이은미 한국이민정책학회 2021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확산으로 외국인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와 혐오 정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 서, 다문화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 구에서는 2021년과 2014년에 시행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지향성의 차이와 영향요인을 분 석하였다. 분석결과, 2014년에 비해 2021년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국민의 전반적인 인식의 유의미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영향요인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2014년에는 학력, 소득수준, 거주지역, 직업유형이 단일민족지향 및 다문화지향 인식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2021년에는 이념 및 연령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진보적 성향일수록 다문 화지향 인식이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다문화지향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코호트 분석결과, 산업화 세대에 비해 IMF세대와 X세대가 다문화지향 인식이 낮게 나타나, 코호트 간 인식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연구의 주요 발견에 근거하여 논의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multicultural perception has changed and what factors influence it in a situation where social exclusion and hatred towards foreigners and immigrants are deepening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this study, changes of multicultural attitudes and factors affecting them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public perception survey conducted in 2021 and 2014.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percep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s. However, it presents the changes in the influencing factors on multicultural attitudes. In 2014,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level, residential area, and occupational type were major factors on the perception of mono-ethnic or multicultural orientation. In 2021, ideology and age were analyzed as major factors. Specifically, the more progressive the tendenc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orientation. A significant finding is the age effect, and as the age increased,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was higher. In cohort analysis, the IMF and X generation showed a lower perception of multicultural orientation than the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의 인적자본 유형별 특성 분석

        감정기 ( Jeong-ki Kam ),염동문 ( Dong-moon Yeu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論叢 Vol.47 No.-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논의되어 왔던 장애인 근로자의 인적자본 요인들을 추출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인적자본 유형을 구분하고, 이러한 유형과 특성변인 사이에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유형의 차이에 대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밝혀보려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근로자의 인적자본 유형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그 유형과 변인간의 집단 간 차이를 분산분석 및 X<sup>2</sup>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인적자본유형에 대한 예측요인(인구사회학적변인, 장애관련변인, 경제적변인, 심리사회적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 근로자의 인적자본유형은 저자본 정서강세 집단, 중위자본 사회성강세 집단, 고자 본 균형강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세 집단과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양한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집단별로 유의미한 요인을 검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저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type of human resources of disabled workers by extracting the factors of human resources of disabled workers that have been discussed by relevant preceding researches, and also to reveal the correlations between type, attributes of the disabled, and socioeconomic condition, and factors that could predict differences in the type. With the use of the 7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is study verified the type of human resources of disabled worker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examined differences between type and variables through ANOVA and X<sup>2</sup>, and also conduct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redicting factors(sociodemographic variable, disability-related variable, economic variable, psychosocial variable) of the type of human resources. The type of human resources of disabled workers was divided into low-capital strong emotion group, middle-capital strong sociality group, and high-capital strong balance group. A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and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verse variables. An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verified the significant factors for each group.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국민의 디지털 전환 대응 유형 분석

        최흥석 ( Heung Suk Choi ),한승주 ( Seung Joo Han ),이철주 ( Cheoul Joo Lee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1 정부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국민의 디지털 전환 대응 양태를 군집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디지털 역량 변수군을 활용한 군집분석을 통해서 디지털 전환 선도 집단, 추상적 기대 집단, 소극적 기회 모색 집단, 능동적 대응 집단1, 능동적 대응 집단2, 그리고 소외 집단의 6개 디지털 전환 대응 국민 군집을 추출하고, 각 군집에 속한 국민의 개인 수준 속성을 심층 분석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삶의 질 개선 기회 인식, 디지털 기술에 대한 규제 강화 필요성 인식, 기술 신뢰, 디지털 기술에 대한 비용지불의사, 연령, 성별, 가구 소득, 학력 등의 변수가 개별 국민의 군집 소속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itizens’ response patterns to digital transformation.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a national citizen survey. The cluster analysis using four digital competency composite variables revealed six different citizen clusters, which were the digital transformation leading group, abstract expectation group, passive opportunity seeking group, active response group 1, active response group 2, and marginalized group. The individual level attributes of the citizens in each cluster were analyzed in depth.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luster memberships of citizens. It revealed that the cluster memberships of citize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perceptions of th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perceptions of the need for strengthening the regulations of digital technology, trust on technology, willingness to pay for digital technology adoption, age, gender,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