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8

        Recently, Historical understanding has been emphasized in historial research and education.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 of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 and suggesting history classroom strategies for developing such an view. Whether the history education should involves value education or not has been under dispute. But it is inevitable that the history education deal with the problem of value because the evaluation of historical facts involve the moral judgement and the important goal of history education is moral education. The pluralistic view is one of value which history education should make pupils have. Historical value is pluralistic. The pluralistic view makes the pupil understand historical facts with multiple viewpoint and have his own eyesight. But the pluralistic view may be misused to validate the social position of a person and support his interest by concealing his purpose. So,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 should be reasonablel and defend the universal value of humanity. It is necessary to connect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nd to intense social history or cultural history in curriculum. History textbook should avoid to write contents with a singular view or value, and to ope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e teacher should decrease the invention with pupils and ask questions for pupils to have the opportunities to think value problems with. Pupils should be come in contact with multiple interpretations of the historical fact, and develop the ability of rational decision making on the basis of contextual knowledge. It is useful to utilize the source of oral history in history lesson. But the rational standard should support moral judgement. 근래 역사학과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가 가지는 성격을 밝히고, 다원적 관점을 기르기 위한 역사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교육이 가치교육의 성격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찬반 논란이 있다. 그렇지만 역사적 사실의 평가에 도덕적 판단이 들어가며, 역사교육의 목적 중 하나가 도덕교육임을 고려하면,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다루는 것은 불가피하다. 다원적 관점은 역사교육으로 길러야 할 가치 중 하나이다. 역사적 가치가 다원적 성격을 띠고 있다. 다원적 관점은 역사적 사실이나 현상을 여러 각도에서 이해하게 하며, 역사를 바라보는 자신의 눈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다원적 관점은 자신의 사회적 처지나 이해관계에 이용될 수도 있다. 역사적 사실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내세워, 본래의 목적을 숨기고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는 합리성을 가져야 하며,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사와 세계사의 연계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사나 문화사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 서술이 특정 관점이나 가치를 피하고,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수업에서는 역사적 사실을 판단하는데 교사의 개입을 줄이고, 학생들이 가치 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진다. 역사적 사실의 다양한 해석을 접하게 하고, 맥락적 지식을 바탕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수업에서 구술사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그렇지만 도덕적 판단에서는 합리적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

      • KCI등재

        역사 텍스트의 다원적 관점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김부경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8 사회과교육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pluralistic perspective in historical texts and form their own historical viewpoints as such the results. I classified the pluralistic perspective in historical facts as historical agent’s perspective and historian’s perspective, and defined the recognition of pluralistic historical view as understanding historical phenomenon through each one’s perspective i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students recognize each perspective through reading texts and surveying questionnaires. Students’recognition of historical agent’s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mainly recognized contextual factor of historical action. but did not pay attention to individual ones. Second, students could easily find compare various people’s perspective related to the historical events, but felt difficult to infer their historical reasoning. Third, students recognized only one factor in causes of historical events, and judged past from present people’s view. Students’ recognition of historian’s perspective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tended to judge historian’s perspective in the positive-negative framework. Second, students focused on contents of the text, but did not consider the author’s internal character for recognizing historian’s perspective. Third, students distinguish between the author’s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facts in the text, and some students reached to realize “history ad interpretation” beyond “history as fact” through this history lesson. In conclusion, students were able to form their own independent perspective through recognizing pluralistic historical perspective of historical phenomena. This results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history teaching in the sens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possible to recognize specific character of historical facts. 본 논문은 초등학생들이 역사 텍스트에서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통해 자신의 관점을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을 인식한다는 것을 ‘역사학습에서 접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관점을 통해 역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다원적 관점의 차원을 역사 행위자 관점과 역사가의 관점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이 각각의 관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텍스트와 질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역사 행위자 관점이해에서 학생들은 인물 행위의 원인을 개인적 요인보다 상황적 요인에서 주로 찾았으며, 텍스트에서 사건과 관련한 다양한 인물들의 관점을 비교적 쉽게 찾고, 비교할 수 있었으나 표면적 이해에 머무르고 있었고, 인물의 행위를 평가할 때 과거를 오늘날의 시각에서 판단하는 현재적 관점(presentism)을 보였다. 역사가의 관점을 이해할 때 학생들은 관점을 긍정-부정의 틀로 이분화하려는 양상을 보였으며, 관점 판단 시 텍스트의 내용에만 집중할 뿐 저자와 관련한 요인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학생들은 텍스트 속에서 저자의 해석과 역사적 사실을 구별할 수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일부 학생은 사실로서의 역사에서 해석으로서의 역사로의 인식 전환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학생들은 초반에는 이분법적인 해석과 빈약한 근거를 가진 관점을 제시했지만 다원적 관점이 담긴 텍스트를 접한 후 점차적으로 다양한 해석과 근거를 가진 관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 학습에서 다원적 관점을 다루는 것은 학생들이 자신만의 관점을 갖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역사의 본질적인 성격을 인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적용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왜란ㆍ호란’ 서술의 문제점과 그 대안 모색

        박진수 ( Park Jin-soo ) 단국사학회 2019 史學志 Vol.59 No.-

        전쟁사 학습은 민족 중심의 국난극복사를 넘어서 다양한 관점으로 이해해야만 폭력을 지양하고 평화를 지향해야 하는 교육적 가치를 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왜란과 호란 서술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분석의 틀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다룬 대표적인 개론서를 검토하여 도출한 민족 중심의 일원론적 관점, 비평화적 관점, 평화적 관점, 다원적 관점의 네 가지 범주다. 교과서의 서술내용 검토에 앞서 7차 교육과정의‘국사’와 2009 개정 교육과정의‘한국사’에 대한 교육목표와 내용체계를 살펴보았다. ‘국사’의 경우 민족 중심의 일원론적 관점에서 조선이 양난을 극복할 수 있었던 역량에 대해서 이해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한국사’의 경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 속에서 양난의 전개과정과 영향을 이해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민족 중심의 일원론적 관점에 중점을 두었던 ‘국사’에서 벗어나 다원적 관점에서의 내용체계의 변화가 일부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와 현행 8종『한국사』교과서의 양난 관련 서술내용을 검토하였다. 『국사』교과서의 경우에는 왜란에 비하여 호란은 상세히 다루지 않았고 다원적 관점의 서술이 매우 부족하였다. 『한국사』 교과서들의 양난 관련 서술은 기본적으로 민족 중심의 일원론적 관점과 전투의 승패를 중시하는 비평화적 관점을 보이고 있었다. 평화적 관점과 다원적 관점의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교육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역사교과서 서술이 되기 위해서는 민족중심의 일원론적 관점 보다는 다원적 관점이, 비평화적 관점보다는 평화적 관점이 부각되는 서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대안적 교과서 서술을 제시해 보았으며, 앞으로 전쟁사학습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 개선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earning of war history needs to be comprehended in different perspectives beyond the ethnocentric national crisis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educational value to avoid violence and pursue peace. This study reviewed the descriptions of Imjin War and Manchu War of 1636 in high school textbooks in such perspective to examine their problems and present alternatives. The framework of analysis includes ethnic-centered monistic perspective, non-peaceful perspective, peaceful perspective and pluralistic perspective, which were deduced based on the review of classic introductory textbooks, which dealt with Imjin War and Manchu War of 1636. I have examined the educational goals and the content system for ‘national history’ in the 7th curriculum and ‘Korean histo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prior to reviewing the contents of description in the textbook. ‘National history’ required understanding of Joseon’s capacity to overcome dilemma in ethnic-centered monistic perspective. ‘Korean history’ required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influence of dilemma in the midst of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It pursued pluralistic contents system away from ‘national history’, which focused on ethnic-centered monistic perspective. Next, the descriptions related to dilemma in the high school 『National History』textbook and the current 8 『Korean History』textbooks were reviewed. 『National History』textbook did not handle Manchu War of 1636 as closely as Imjin War and lacked description in pluralistic perspective. 『Korean History』textbooks displayed non-peaceful perspective that emphasized on the victory or defeat of the wars, on top of ethnic-centered monistic perspective. They relatively lacked peaceful perspective and pluralistic perspective in their descriptions. In order for the descriptions to improve educational value, descriptions where pluralistic perspective is emphasized rather than ethnic-centered monistic perspective, and peaceful perspective rather than non-peaceful perspective are needed. In such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ed alternative textbook description, and expects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udy of war history should pursue can be improved.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론

        이병련 ( Byung Lyun Y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4 No.-

        이 논문은 독일의 역사교육에서 이미 하나의 중요한 역사교육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다원적 관점’의 이론에 관하여 소개한 것이다. 다원적 관점의 이론은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라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독일의 학교에서 역사가 확고한 교과과목으로 자리잡았던 19세기 이래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던 ‘전통적인 역사수업’ 에서 학생들은 소위 ‘역사적 개괄지식’을 배워야만 했었는데, 그 역사적 개괄지식이란 실제로는 국가권력을 장악한 지배 엘리트의 이익을 반영하는 단지 하나만의 ‘관점(perspektive)’을 배우는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의 ‘새로운 역사교육’은 학생들 모든 개개인들이 스스로 역사를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학생들의 ‘역사적 능력(historical competence)’이란 학생개인이 현재와 미래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Orientation)을 잡을 수 있기 위해,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역사적 의미형성(Sinnbildung)’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능력은 전통적인 수업에서처럼 ‘단일한 관점’만이 학생들에게 강요되는 수업방식으로는 길러지지 않고,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다원적 관점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으로써만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역사수업에서 서로 다르고 또는 대립되거나 모순이 되는 관점들이 ‘사료’나 전문 역사가들의 역사서술에 들어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됨으로써, 사료나 전문적 역사서술이 과거의 진실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비판적 의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자유로운 토론을 통하여 학생동료들 간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의 관점을 성찰(Reflection)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민주주의의 기초가 되는 비판의식과 자기 자신의 관점을 성찰하고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introduce the theory of ``multiperspectivity``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theory for history education in Germany. This theory is primarily linked to the question of what students should be learning in a history class. From the 19th century-when history consolidated its position as a curriculum subject in German schools - to the 1970s, the ``traditional history class`` compelled students to learn the so-called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But this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was in fact nothing more than learning a single perspective which reflected the interests of the ruling elite that dominated all powers of the state. But after the 1970s the ``new history education`` aimed to allow the individual student to develop skills that allowed him to think about and to pass judgement on history for himself. ``Historical competence``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remember the events of the past or to construct a meaning for the past (Sinnbildung) in order to ``orient`` oneself towards solving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in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This ability cannot be developed by forcing a ``single perspective`` on the student as it was the case in traditional history classes. It can only be develop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 to encounter ``multiperspectives`` and to discuss his views freely in class. By learning in class that different, opposing or contradicting perspectives permeate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s`` or the writings of professional historians, the student will learn that reference materials or historical writings are not hard historical truths. This will allow him to attain critical consciousness. By discussing his views freely in class, the student will realize that his classmates all have divergent points of view. This will give him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s own perspective. Therefore, history classes based on ``multiperspectivity``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critical consciousness - the basis of democracy - as well as to reflect upon and to construct one``s own perspective.

      • KCI등재

        독일 역사수업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병련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Multiperspectivity in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dimensions. They are 1. multiperspectivity of the people of the past that can be observed in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2. multipersp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the historian in relations to their observation of historical facts, i.e. arguments 3. multiperspectivity in the sense that each student of history forms his individual opinion on a particular historical fact, i.e. multiple opinions.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demands that history classes be undertaken in the same way as a professional historian would study his discipline, which means that the students must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 procedural manner. It is accepted that students must take into account the principle of multiperspectivity in order to achieve objectivity in historical thinking.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German state governments regard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as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can be developed as students attain ‘historical competence.’ Historical competence can be divided into professional competence (Sachkompetenz), methodological competence and judgement competence. Judgement competence is again divided into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Historical value judgement competence is the highest competence that students of history must attain.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the German state governments which have been published after the early 2000s are labelled ‘competence-oriented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they stipulate the ‘competence’ that need to be attained by students during their history classes in each school year. The learning of multiperspectivity is emphasized in order to develop these competences which are vital in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History classes that apply multiperspectivity have the objective of developing competence of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lated to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production-oriented’ or ‘action-oriented’ history classes are regarded as being appropriate. This article has introduced the module ‘Columbus and Its Results’ of the 8th grade as a sample class. This module’s most important objective is to develop the individual student’s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Only by developing his individual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can the student attain the necessary political acumen to actively promote the ideal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에서 다원적 관점은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차원을 의미한다. 그것은 1. 사료와 유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과거의 인간들의 다원적 관점, 2. 역사적 사실에 대한 후대의 관찰자인 연구자와 역사가의 다원적 관점, 즉 논쟁, 3. 학습자들이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형성하는 의미에서의 다원적 관점, 즉 복수의 의견들의 차원이다.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은 역사수업이 원칙적으로 전문역사가의 작업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하며, 이것은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역사적 인식을 하나의 ‘과정’으로서 경험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은 다원적 관점의 원칙을 고려함으로써만이 역사적 사고에서 객관성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역사교육의 목표가 반성적reflected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다고 본다. 반성적 역사의식은 학생들이 ‘역사적 능력 historical competence’을 습득하면서 계발될 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 능력은 ‘사실능력 Sachkompetenz’, ‘방법능력’, ‘판단능력’으로 구분된다. 판단능력은 다시 ‘상황판단 능력’과 ‘가치판단 능력’으로 구분된다. 역사적 가치판단 능력은 학생들이 습득해야만 할 최고의 능력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에 출간된 독일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능력지향적 교수계획 competence oriented’이라고 명명되고 있는데, 그것은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이 특정한 학년마다 성취하여야 할 ‘능력’을 규정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학습은 반성적 역사의식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이러한 능력의 계발을 위해서 강조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관점의 수용 Perspektivenyebernahme Empathy’ 능력과 상황판단능력, 가치판단 능력의 계발에 그 목표가 놓여진다. ‘생산지향적인’ 또는 ‘행동지향적인’ 역사수업이 관점 수용능력을 개발을 위해서는 적합한 수업방식이라고 본다. 여기에서는 8학년에 해당되는 ‘콜럼버스와 그 결과’라는 수업단위를 하나의 수업사례로 소개하였다. 이 수업단위에서의 최고의 목표는 학생들 개인 각자의 역사적 판단능력의 계발이다. 학생들은 스스로의 역사적 판단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현재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정치적 교양을 갖출 수 있다.

      • KCI등재

        다원적 관점의 역사인식은 내러티브 역량의 진전을 어떻게 촉진할 수 있는가?: 조선시대 세종의 정책에 대한 수업을 중심으로

        이효근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5

        There is a high concern about the reduction of the position of history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If history education is to provide valuable learning experiences for students' growth, it is necessary to find a meaningful way to approach them in connection with their lives.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narrative competence’. “Narrative competence” refers to the ability to combine a given past fact with the learner's existing knowledge to organize it into a story and derive meaningful interpretations or solve problems based on the learner's experience. As a way to promote the progress of narrative competence, we tried to examine how students' perceptions of Sejong's migration policy based on the principle of multiperspectivity and how such changes relate to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and narrate history on their own. Through the 3rd clas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understood an event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formed their own perspective based on an appropriately planned class. This experience is the basis for narrative competence progress. When applied to other historical cases through narrative competence, students were able to observe that their ability to clearly reveal arguments or solve problem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was progressing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erspectives. Students dev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xtbook and looked at and judged Sejong's migration policy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to form and express their own narratives. It showed a pattern of deviating from the formalized narrative template. These learning experiences can be helpful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encountered in current daily life. By analyzing and judging historical cases similar to the present,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and judging conflicts hidden in facts or events from one's own point of view can help to understand the nature of real problems from various angles and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help promote students' interest and interest in history by moving away from history classes immersed in knowledge and moving toward history classes that think in connection with life and history. 국가 교육과정에서 역사교육의 입지 축소에 대한 우려가 높다. 역사교육이 학생들의 성장에 가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면, 학생들의 삶과 연계하여 유의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역량’에 주목하였다. ‘내러티브 역량’은 주어진 과거의 사실을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로 조직하고, 학습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미 있는 해석을 도출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내러티브 역량의 진전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원적 관점의 원리에 기초한 세종의 사민 정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 스스로 역사를 해석하고 내러티브화 하는 능력과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차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적절히 계획된 수업을 기반으로 하나의 사건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자신의 관점을 형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험이 내러티브 역량 진전의 토대이다. 내러티브 역량을 통해 다른 역사적 사례에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은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주장을 명확하게 드러내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진전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서의 관점에서 벗어나 자신의 관점에서 세종의 사민 정책을 바라보고 판단하여 자기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표현했다. 정형화된 내러티브 템플릿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학습 경험은 현재의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현재와 비슷한 역사적 사례를 분석하여 판단함으로써 사실이나 사건에 숨겨진 이면, 갈등을 자신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판단하는 경험은 현실 문제의 본질을 다각도로 이해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지식에 몰입된 역사수업에서 벗어나, 삶과 역사를 연계하여 사유하는 역사수업으로 나아감으로써, 역사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진작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새 교육과정 ‘역사’의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검정 중학교 교과서 서술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2

        ‘History’had a new vision of itself, as a subject for understanding and insight by pluralistic view of‘ humans and their life in the past’. Around the 2005, when ‘history’curriculum development was sta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by pluralistic view had been emphasized in historial research and education. At the same time, over emphasis on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Korean history’, and the‘ euro-china centrism’in the world history sections had been targeted as ‘chronic diseases’in history education. I think, efforts then to improve school history education resulted in new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main idea of the reform was to promote understanding and insight by pluralistic view in history class. For it, the new curriculum proposed to reanimated various‘ doer’in the past;states, nations, women, merchants, peasants, and other disadvantaged people. It suggested to relativize ‘korean history’in the vast expanse of world history,dynamic dramas of all mankind, that made up with interactions, contacts for very long time. The curriculum said these approaches would develop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history by pluralistic view. The pluralistic view is one of values which history education should make pupils have. The pluralistic view makes the pupil understand historical facts with multiple viewpoint and have his own eyesight.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 should be reasonable and defend the universal value of humanity. This survey found that all the text books did their best to realize the ideal of ‘History’. A few had made a enormous accomplishment both in terms of recreating various characters in history and leading students into the vivid learning experience. But, many was still in the undesirable practices of yesteryear. In particular,‘ old’Korean history text books exerted great influence upon newly-developed textbooks in many ways. ‘역사’는“과거 다양한 인간의 삶을 이해하고 과거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과 시각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하는 과목”으로 자기를 규정하고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왕의 국사나 세계사와 다르다. ‘역사’가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강조하면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관시킨 내용구성을 취하게 된 데는 교육과정이 개발되던 당시 역사교육을 둘러싸고 전개된 복잡하고 역동적인 학문적·정치사회적 배경이 작용하였다. 국사교육의 과도한 민족주의, 유럽과 중국 중심 세계사 교육에 대한 반성과 함께 대안을 찾기 위한 논쟁과 실천 노력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교육과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역사’는 한국사와 세계사 속에서 다양한 주체들을 살려내는 방식으로 다원적인 역사이해의 토대를 마련하려고 하였다. 그러면서 세계사 속의 낯선 주체들을 인정하고, 그 중의 하나로 우리를 인식함으로써, 우리의 역사 경험을 상대화하여 성찰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검정 심사를 통과한 새 교과서들은 이와 같은 교육과정의 요구를 다양한 정도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체화하였다. 역사 속의 주체를 살려내려면, 과잉 민족주의나 중심-주변 방식의 세계사 내용 구성 방식을 넘어서거나 경계하려는 노력이 필요했다. 검토 결과, 교과서들이 이룬 성과와 한계들은 매우 다양한 범위에 걸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교과서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교과서가 적지 않았으나 몇몇 교과서에서는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체로 한국사 내용이 세계사보다 과거 교과서의 서술관행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지식사회학적 문제의식을 차용하여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며, 분석 기준은 전적으로 필자의 관점에 따른 것이다. 다양한 시각과 관점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검토하는 일이 관련 연구의 진전에 꼭 필요한 일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예비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어떻게 읽을까?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6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nalyze narratives of history textbooks is very important in the curriculum expertise of history teacher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 ‘Korean War’ narrative perform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ctiv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ypical narrative’ and ‘controversial narrative’ and expressed their own views on each of them from the activities that analyz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the Korean War narratives of the five kinds of history textbooks. At this time, it was conducted wit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o critically review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formation of hi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The point of reflection and growth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task of [class diary] is very suggestive in teacher education. First, many of the preliminary teachers did not fully utilize the narrative viewpoint as a standard when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When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relatively unfamiliar narrative was additionally given, the educational meaning implied by the differences in narrative viewpoints was more actively explored. Second,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find emotional history and objective history narratives to be opposed to each other.,There was a strong belief that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should be objective and neutral, and emotional descriptions were also seen as hindering it.,Third,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which is based on typical narratives acquired through history education, has limited the flexi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ought., He also said that teachers' broad understanding of history is a prerequisite for history classes that guarantee diversity in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Through the activities and resul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nd the urgency of the task of how to deal with the pluralistic perspective were confirmed again.,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perspective of textbooks and narratives exert more power than to understand the past through cohesive fact delivery, and as curriculum designers, they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textbooks from various angles. 역사교과서의 서술 관점과 서사를 식별하고 분석해내는 능력은 역사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분석하고,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및 인식 형성 과정을 성찰하는 활동 사례를 다뤘다. 예비교사들은 다섯 종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술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활동으로부터, 전형적 서사와 대항 서사를 인식하고, 각각에 대한 자기 견해를 표명하는 활동 과정을 거쳤다. 이 때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형성에 작용한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기반성을 함께 진행했다. [수업일기] 과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자기반성과 성장의 지점은 교사교육에 매우 시사적이다. 첫째, 예비교사 다수는 역사교과서 서술의 차이점을 분석할 때 서술 관점 등을 그 기준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낯선 대항 서사에 대한 역사지식이 추가적으로 주어졌을 때 비로소 서술 관점의 차이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좀 더 적극적으로 탐색했다. 둘째, 감성적인 역사서술과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사교과서의 서술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강했으며, 감성적인 서술이 이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 셋째, 자신들이 과거 역사교육을 통해 습득한 전형적 서사 위주의 한국전쟁 인식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유연한 이해와 사유의 확장을 제약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폭넓은 역사 이해가 관점과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역사수업의 필수 요건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예비교사들의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중요성,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과제의 시급성이 다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관점과 서사가 응집력 있는 사실 전달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과정 설계자로서 교과서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

        구경남(Ku Kyeong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글은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와 세계시민교육 교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세계시민교육의 역사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와 학습 주제 및 내용을 담고 있는『유네스코가 권장하는 세계시민교육 교 수학습 길라잡이』와 경기도교육청 인정교과서인『세계시민』을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에 비추어 역사 교육의 목적을 재개념화하는 것이다. 자국사 중심의 역사과 교과편제와 교육내용이 미래지향의 세계시민교육의 목적을 담아 낼 수 있도록 개선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역사 교수학습 방법이 재고되어야 한다. 역사수업에서 논쟁을 통해 다원적 관점을 학습하는 것은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다원적 가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에 대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 세계화로 인해 나타난 여러 문제의 현상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문제의 원인을 역사적 맥락을 통해 탐구함으로써 행동으로 참여하는 세계시민을 기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ritical review on previous studies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extbook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 analy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and Global Citizenship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which contains the goals and subj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re-conceptualize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to meet the purpos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complement the history curriculum and contents of education, centered on the history of the nation, so that it is able to serve the purpose of future - ori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method of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reconsidered. Learning from pluralistic perspectives through controversy in history class will contribute to cultivating attitude of respecting the pluralistic value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oriented.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ont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It is not just to list the phenomena of various problems caused by globalization, but to explore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historical context and to raise the global citizenship who participate actively.

      • KCI등재

        헤레로 전쟁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다원적 관점의 독일 식민주의 역사교육

        고유경 한국독일사학회 2019 독일연구 Vol.- No.40

        Das Ziel dieser Studie ist zu zeigen, wie das didaktische Potenzial der Kontroverse um Hererokrieg in der Frage “wie unterrichtet man die konfliktreiche Geschichte?” gebraucht werden kann. In den letzten Jahren haben mehreren Historiker auf mögliche Kontinuitäten vom kolonialen Genozid in Deutsch-Südwestafrika zum Holocaust verwiesen. Als Hauptargumente führten sie zum Beispiel personelle Kontinuitäten(Kolonialherren als spätere NS-Anhänger) und ideologische Parallelen(rassistische Diskriminierung) an. Dieser Deutung widersprachen andere Historikerinnen und Historiker, die den Massenmord an den Herero und Nama als ein Phänomen des transnationalen Kolonialismus interpretierten. Mit dem Erinnerungsjahr 2004 rückte der Hererokrieg in den Blickpunkt einer breiteren Öffentlichkeit. Unter den Einfluß des Beutelsbacher Konsens und der Postkolonialismus-Studie zeigt die deutsche Geschichtsdidaktik eine Erneuerung des Kolonialismus-Unterrichts. Die didaktischen Prinzipien der Multiperspektivität und der Kontroversität wurden in den Bildungsplänen und den Geschichtsunterrichten eingeführt. Obwohl das Stichwort Herero―mit Ausnahme von Brandenburg und Sachsen-Anhalt―in keinem Bildungsplan eines Bundeslandes auftaucht, letztere Geschichtsschulbücher thematisieren allmählich die Frage nach einer offiziellen staatlichen Entschuldigung, einer Entschädigung für den Völkermord, die geteilte Erinnerungskultur zwischen Deutschland und Namibia und schließlich die langfristige Folge der koloniale Herrschaft in den beiden Ländern. So ist das Thema Hererokrieg für die Förderung der Multiperspektivität, Kontroversität und des Fremdverstehens, das Ziel der Geschichtsdidaktik, umzusetzen. 이 논문의 목적은 헤레로 전쟁을 둘러싼 논쟁이 갖는 교육적 잠재력이 “갈등의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문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최근 독일 역사가들은 독일령 남서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일어난 인종학살과 홀로코스트 간의 연속성을 지적해 왔으며, 그 주된 근거로는 인적 연속성(나치 추종자가 된 식민지 통치자)과 이념적 평행성(인종주의적 차별)이 거론되었다. 이러한 해석은 헤레로 족과 나마 족 대량학살을 식민주의라는 트랜스내셔널 현상의 일부로 간주하는 역사가들에 의해 반박되었다. 헤레로 전쟁 백주년 기념의 해인 2004년을 계기로 이 주제는 여론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독일 역사교육 또한 보이텔스바흐 합의와 포스트식민주의 연구의 영향 하에 식민주의 수업의 혁신을 도모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다원적 관점과 논쟁성이라는 교육학적 원칙이 역사교육과정과 역사수업에 도입되었다. 헤레로라는 핵심어가 교육과정에 등장한 주는 브란덴부르크와 작센-안할트 뿐이지만, 최근 독일 역사교과서는 인종학살에 대한 공식 사죄와 배상, 독일과 나미비아의 분리된 기억문화 및 전쟁의 장기적 결과 같은 주제들에 점차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 있다. 이처럼 헤레로 전쟁은 역사교육의 목표인 다원적 관점과 논쟁성의 함양 및 타자이해의 증진에 활용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