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 :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의 통합적 모색

        박선현(Sun Hyu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많은 기존연구가 다양성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으나 일관된 결론을 도출 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다양성 연구가 분석단위, 이론적 개념, 메커니즘 등에서 복잡다기 하여 하나의 통일된 이론으로 통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구성원 다양성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리뷰 논문으로서 세 가지 목적을 갖는다. 첫째, 구성원 다양성이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크게 사회정체성 다양성에 기반한 사회적 범주화 과정과 정보 다양성에 기반한 정보 상세화 과정이라는 두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지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다양성이팀 성과에 갖는 영향에 대해 사회정체성 다양성과 인지 다양성을 아우르는 보다 통합적인 시각을 제안한다. 특히 선행연구에 기반한 간이 실험을 통해 인지 다양성의 팀 성과에 대한 효과가 팀 구성원의 동일성과 팀 내부의 사회연결망 조밀성에 의해 제약받을 수있다는 것을 보인다. 셋째, 최근 융합적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는 지식경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전략수립과 경쟁력 제고에 기업 구성원의 인지 다양성 증대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인다. 논문은 기업혁신에 있어 구성원들의 개별 인지패턴의 독립적 반영의 중요성을 성별 다양성, 연령 다양성, 교육적 배경 다양성 등의 측면에서 검토하고, 더불어 구성원들의 사회적 연결망의 효과, 다양성을 대하는 조직 문화와 리더쉽의 역할 등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국내의 다양성 관련 실증 연구 결과를 개관하고 인지 다양성에 기반한 국내 기업 혁신전략의 가능성을 살펴봄으로써, 경영자와 정책담당자에게 다양성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pite the long-standing research tradition of examining the effect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theory has failed to achieve a consensus on the topic. One of the many reasons for the impasse is the inherent complexity of diversity research in terms of theoretical constructs, units of analysis, and underlying mechanism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field along two diversity dimensions—social categorical diversity and categorization process vs. information diversity and elaboration process. The paper extends this review by introducing cognitive diversity, defined as the collective intelligence comprised of the cognitive repertoires of team members based on individual knowledge,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problem the team attempts to solve. The article synthesizes social categorical and cognitive diversity dimensions by considering how the effect of cognitive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s moderated by the influence of the social categorical diversity of the team members and the cohesive network ties within the team. It also discuss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spectives towards diversity and the significance of leadership in diversity management. Diversity thus is proposed as a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by assisting the innovation process. Diversity management as a future research agenda for Korean companies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cognitive diversity as a source of corporate innov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내러티브 역량 지향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

        허영식(Young-Sik, Hu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역량의 함양과 신장에 목표를 둔 다양성 교육에 관한 담론과 함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비추어볼 때 다양성 교육 혹은 다양성에 지향을 둔 간문화 교육은 학습자가 내러티브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안내해줄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화와 개인화, 대중매체의 보편화와 디지털화, 이주와 문화적 다원화는 점점 더 증가하는 다양성의 전제조건이면서 동시에 거꾸로 그 결과이기도 하다. 셋 째, 다양성 교육의 목표와 과제를 고려하는 데 있어서는 다양성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거나 다양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려는 시도 및 이와 관련된 내러티브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차이·다양성의 증가는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내러티브, 다중관점, 다양한 해석이 반영될 것을 보다 더 많이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양성 교육은 내러티브의 다양성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의 과제는 구분된 기억에만 국한시키지 말고 이와 동시에 공유된 기억을 탐색하는 데 놓여 있으며, 공유된 기억의 가능성을 전달하거나 학습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 바람직한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다양성 교육을 통해서 내러티브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취급함으로써 내러티브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면, 이는 결국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on diversity education, which tries to develop and expand narrative competence,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goal, this paper deals with following themes: theoretical basis for diversity education, diversity and narrativ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s of narrative competence, diversity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inquiry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narrative diversity, diversity education should search for courses of action to develop narrative competence of learner. Second, glob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universalization and digitalization of mass media, migration and cultural pluralization are the preconditions for and also the results of increasing diversity. Third, in considering the goals and tasks of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narratives taking a sceptic position toward diversity or not recognizing the values of diversity. Fourth, considering the increas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schooling needs to reflect diverse narratives, multiple perspectives, diverse interpretations in its curriculums and activities. Fifth, task of education lies in searching for shared memories beyond divided memories, and, in so doing, we can expect to develop desirable narrative competence in its authentic sense. Sixth, if we succeed in developing narrative competence by considering and treating appropriately narrative diversity in diversity education, then we can also expect to contribute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공기업 조직 구성원의 다양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양성 감수성(Diversity Sensitivity)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상숙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1

        공공부문이 조직 내 인력 다양성을 정책적으로 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성에 대한 행정학 분야의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기업 조직 내 다양성 요소를 사회범주 다양성(성별, 연령)과 정보 다양성(입직경로, 학력)으로 구분하고 이들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조절변수로 다양성에 대한 정서적 믿음, 태도 및 가치를 의미하는 ‘다양성 감수성’의 효과를 분 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업 구성원들의 경우 조직 내 다양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성 감수성’의 조절효과는 정보 다양성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력 구성의 다양성이 조직에 가져온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한편, ‘다양성 감수성’은 다양한 경험, 지식, 경력, 정보 등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search on diversity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is lack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public sector has taken the lead in increasing workforce divers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diversity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tudied by classifying the diversity factors of Korean state-owned enterprises (SOE) into social category diversity (gender, age) and information diversity (path,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which means emotional attitudes and values toward diversity, was analyzed as a moderator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SOE workforce, the more they perceived higher level of diversity, the more committed to their organizations. The moderator effect of ‘diversity sensitiv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for information diversity. These findings show that diversity in workforce composi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s, as well as ‘diversity sensitivity’ can significantly impact on tasks based on diverse experiences, knowledge, careers and information.

      • KCI등재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 Roh Jongho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7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4 No.1

        다양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주로 사조직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며, 또한 그러한 연구가 다양성의 어느 한 차원만을 가지고 수행되었기 때문에 다양성의 전반적인 차원을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rrison, Price, &Bell(1998)이 제안했던 다양성 유형을 적용하여 가시적(visible)이고 명백하게 드러나는 생물학적 특성의 다양성을 표면적 다양성(성별, 연령 다양성), 비가시적(invisible)이고 구성원 간 심리적 특성의 다양성을 심층적 다양성(가치관, 문화적 인식, 지식 다양성)으로 유형화하여 다양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구청)에 근무하는 팀장을 대상으로 팀 단위 설문조사를 통해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적 다양성보다는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더 큰 설명력과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적 다양성 변수 중에서는 연령 다양성, 심층적 다양성 변수 중에서는 가치관 다양성과 문화적 인식 다양성이 팀 성과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은 문화적 인식 다양성(β=.470), 가치관 다양성(β=.312), 연령 다양성(β=.091)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양성은 표면적 다양성만을 독립변수로 사용한 회귀분석에서는 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심층적 다양성을 포함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대와는 달리, 지식 다양성은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impacts of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n private organizations,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team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effects of surface-level and deep-level diversity on team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sample of teams within distric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results with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 found three important research results. First, I found that deep-level diversity had stronger impacts on team performance than surface-level diversity. Second, age diversity, value diversity, and cultural awareness divers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 and cultural awareness diversity among three independent variable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it. Finally, unlike my expectation, gender diversity and knowledge-based diversity did not show s statistical significance about team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성별 다양성과 자발적 이직: 다양성의 새로운 추정에 관한 논의

        안선민,이수영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4

        This paper intends to compensate for two limitations of diversity researches. The first limitation we found is that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tried to explain why diversity has negative impacts on organizations in terms of conflicts or distrust between groups, this has not been well proven with empirical analysis. The other limitation is that the researchers have supposed a horizontal organization while estimating the diversity index, so that little interpretation about the vertical relationship in decision-making has been provided. This paper makes two attempts to rectify these weaknesses. First, we separate voluntary turnover between male and female to determine the inconsistent effects of diversity on groups. Second, we also separate diversity as horizontal(the type of diversity discussed so far) and vertical(the disparity in the proportion of females). The latter estimates the variation in the proportion of females in organizations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horizontal diver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voluntary turnover of males; its impact is reinforced when gender diversity (horizontal diversity) interacts with vertical diversity. These results provide the clue that there are conflicts or distrust between majority and minority groups. This supports not only the ideas of social identity theory and social categorization theory, but also role congruity theory, which says the dissonance between the injunctive norm and the reality about women decreases satisfaction. In contrast, neither horizontal nor vertical diversity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voluntary turnover of females. But the relationship becomes significant when the two kinds of diversity interact. This suggests that conflict or tension between females can exist, and it indicates that the phenomenon described in role congruity theory can also exist between females. This paper proposes therefore that institutions for the retention or promotion of minorities apparently need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employees. 본 연구는 다양성 연구가 가진 두 가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가 판단한 선행연구의 첫 번째 한계는 다양성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다수의 연구는 집단 간 갈등과 불신 등을 근거로 설명하지만, 실질적으로 집단 간 상이한 행태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실증분석을 시행한 경우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한계는 다양성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조직을 수평적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 의사결정에 미치는 구성원의 상이한 권한에 관해 논의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성별 다양성에 집중하여 다양성을 ‘수평적 차이(수평적 다양성)’와 ‘수직적 격차(수직적 다양성)’로 구분하여 각 성별의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평적 다양성과 수직적 다양성이 증가할 때 남성의 자발적 이직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또한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때 그 영향은 더욱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정체성이론, 사회범주화이론 등의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여성에 대해 갖는 규범과 실제가 불일치할 때 만족수준이 저하된다는 역할일치이론의 주장에도 부합한다. 이와 달리 여성의 자발적 이직은 수평적 다양성과 수직적 다양성의 주효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두 변수가 상호작용할 때에는 자발적 이직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 사이에서도 역할일치이론이 성립할 수 있거나 여성 관리자가 여성 직원을 지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소수집단의 유입과 승진을 위한 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이해와 협조가 선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 개발(Ⅱ) : 생물다양성 지도를 통한 정책활용 방안

        이후승,사공희,주용준,지민규,정슬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제4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2019-2023)』 등의 법정계획 시행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생물다양성 협약 및 생물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 공유를 이행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추진됨 ㅇ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기간 동안 8개 부처 및 3개청에서 연간 1조 원 이상 투자 -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대한 투자가 매년 가장 높음(50% 이상) - ‘생물다양성의 주류화’는 ’14년 대비 ’18년 투자규모가 130%로 가장 높은 증가 추세를 보임 ㅇ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은 “생물다양성의 가치를 산림, 해양 등 각 분야의 법정계획에 반영하는 데 기여하여 정부부처 내 주류화” 및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투자 확대와 국가전략 수립 등” 유도 □ 생물다양성의 정량적 평가체계의 부재로 정책·제도의 분산에 따른 유기적인 협력체계 부족이 초래되었고, 근본적인 생물다양성 증진 성과가 미흡함 ㅇ 우리나라 생물다양성 평가의 기반이 되는 전국자연환경조사에 1986년부터 2015년까지 약 625억 원 이상의 사업예산을 지출함 - 자연환경을 등급화한 생태·자연도의 생물다양성 현황 및 지표로서의 정책적 활용 미흡 ※ 생태·자연도란 “전국의 자연환경을 생태적 가치, 자연성, 경관적 가치 등에 따라 1등급(보전 및 복원), 2등급(훼손 최소화), 3등급(개발 및 이용)으로 등급화하여 「자연환경보전법」에 따라 작성된 지도”(환경부 보도자료, 2019.2.26. p.2)로 주로 환경영향평가에 활용됨 ㅇ 제3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의 이행 및 성과 점검을 위해 구성한 압력(Pressure)-현황(State)-대응(Response) 점검지표체계 구성이 불완전한 것”1)으로 지적됨 -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점검지표에서 상태지표는 일부 존재하나 생물종, 서식지, 생태계서비스, 오염도에 대한 지표는 부족한 상황 - “주로 법률·제도 등 정책적 대응(R)을 반영하는 지표에 편중(92%)되어 있어 기후변화·오염 등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는 압력지표(P)와 현재의 생물다양성을 설명하는 현황지표(S)를 개발”2) 등의 정량적 평가 노력 필요 ㅇ 생물다양성전략 및 환경영향평가 등에서는 기초적인 수준의 생물다양성 현황을 평가할 뿐, 정략적 분석 결과에 따른 생물다양성 평가의 이행체계 부재 - 생물자원의 분포 및 지역기반의 개체군 변동 등 국제적인 수준에 부합하는 자연자원에 대한 정책적 활용에 가능한 지표와 이에 대한 시각화 방안 미흡 - 가장 기본적인 국가적 및 지역적 생물다양성 현황의 부재로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환경영향평가에서 생물다양성을 평가요소로 반영하는 데 한계 존재 □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선진화된 기법 등을 활용한 생물다양성 정보의 생산 확대, 접근성 향상 및 보다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체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기초적인 생물다양성 현황 제공마저 미흡함 ㅇ 해외에서는 생물다양성 현황 및 종 풍부도 등의 현황을 생물다양성 지도(biodiversity map)로 제공하고 정책결정에 활용함 ㅇ 우리나라 생물종목록 수는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부의 ‘한반도 생태용량 확충’의 정책과제를 통해 2035년에 8만 5,000종의 고유생물을 목록화 할 계획이나 생물다양성 지도와 같은 현황정보는 부재함 □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 관련 정책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범부처 차원에서 장기간 수행된 전국자연환경조사 등과 같은 자연환경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한 기초적인 국가생물다양성 현황지도 작성 및 계통적 다양도에 기반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활용방안을 모색함 ㅇ 생물다양성 협약 및 IPBES 평가지표 등에 부합하는 계통적 다양도 평가와 계통적 다양도 평가지도 등을 이용한 정책활용 방안 도출 ㅇ 생물다양성 평가와 관련된 환경부, 산림청,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관련부처 정책과 사업 등에 있어, 자연자원을 활용한 모니터링 등의 연구사업에 대한 상호 연계 및 통합적 접근을 제안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장기적 정책활용 방안 모색 ㅇ 환경영향평가의 고도화를 위한 ICT기반 디지털 환경평가에서의 활용방안과 계통적 다양도 평가의 활용을 위한 작성기법 개선(안) 등 도출 Ⅱ. 생물다양성 평가를 위한 기반정책 현황 □ 생물다양성 평가에 기반이 되는 생물자원조사는 다양한 부처와 연구기관 등에서 장기간 많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생물다양성 평가와 분석을 위한 조사방법 등이 설계되었다기보다 생물자원에 대한 현황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기에 자료에 대한 평가·분석에 어려움이 발생함 ㅇ 종과 생태계 다양성 평가의 과학적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식지 현황 등을 우선적으로 분류하고, 서식지 중심의 보전전략을 수립하여 서식지 내 종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전환 추진 ㅇ 기본적인 모니터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시민과학자로서의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 예를 들어 시민대학, 시민과학교실 등 전문가에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체계 수립이 필요 □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있어 지지기반은 생물종과 서식지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생물종은 야생조류 종 수로 계산되지만 서식지는 야생조류에게 적합 또는 부적합한 환경이 복합적으로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마련 필요 ㅇ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측정항목 및 평가방법에 있어 아직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부분과 종 수만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체계 마련 필요 □ 한반도의 다양한 생태계에서 실시되는 생물자원조사는 장기간 다양한 부처와 기관에서 각 사업의 목적에 따라 수행해 왔으나, 대규모 조사인력이 장기간 투입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과 달리 대부분의 사업별 모니터링은 지속성이 낮아 체계적인 조사자료의 수집과 데이터관리에 문제가 발생함 ㅇ 각 조사 프로그램이 지닌 조사방법의 미세한 차이와 조사자의 차이점 그리고 조사당일의 날씨 및 기타 환경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 □ 제한된 조사인력에 대한 다양한 생물자원조사 프로그램이 좀 더 세련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분류군별 조사인력 양성이 가장 시급하고, 나아가 국가표준의 생물자원조사 매뉴얼을 작성하여 운영하는 것을 제안함(그림 1 참조) ㅇ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관련기관에서 운영 중인 조사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같은 지역에서 서로 다른 조사가 중복되지 않도록 시·공간적인 관리를 추진함으로써 중복조사에 따른 예산을 정밀조사와 같은 조사의 질(quality) 향상과 조사 지역 및 기간의 확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안 제안 ㅇ 분류군별 조사인력 풀을 운영함으로서 조사인력에 대한 지원과 개선 및 인력 양성의 필요성 등 다양한 기반정책 마련의 객관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Ⅲ. 정책 활용을 위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지도 작성방안 □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을 활용함에 있어 지도 작성은 생태·자연도처럼 계통적 다양성 평가결과를 그대로 지도화하는 방법이나 지수결과를 등급화하여 나타내는 방법으로 추진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 측면에서 우선 지수결과를 직접 지도화하는 방법 제안 ㅇ 다양성 평가에 있어 하나의 지수만을 이용하기보다는 계통적 다양성과 종 다양도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복합적인 다양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종 수가 동일하게 조사된 지역에서 계통적 다양성과 종 다양성은 다른 것으로 나타난바 다양성 평가지표로서의 복합적인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그림 2, 그림3 참조) Ⅳ.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정책활용 방안 □ 단기적 활용방안으로 환경영향평가 등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 제안 ㅇ 생물다양성 측면에서의 보전방안 수립에 다양성 현황 및 다양성 측면의 목표기준 설정 등의 정량적 근거를 제시하는 등으로 활용가능 ㅇ 시계열적인 종 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원인 파악과 적정 저감대책 수립 여부 등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ㅇ 환경변화에 따른 생물상, 특히 동물상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종 수는 기초적인 현황정보와 넓은 의미에서의 서식 생물상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개발사업으로 인한 질적 변화, 즉 종 구성의 변화나 법정보호종과 같은 환경에 민감한 종은 감소하고 일반종이 증가하는 종 다양성의 단편화 여부에 대한 평가는 제한적 □ 국가상위계획 및 국제협약 등 정책적 활용을 위한 중·장기 방안 마련을 위해 기반구축과 이를 위한 정책 추진으로 구분하여 제안 ㅇ 유전정보 기반의 계통분류학적 정보에 기반한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정책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국가 차원의 분류군별 계통도 완성이 선행되어야 함 ㅇ 종에 대한 기초적인 생활사(life-history) 정보와 관찰 또는 표본의 위치정보 등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 수준으로 운영되고 있어 생물다양성 평가 측면에서는 종 풍부도 수준의 평가만 가능하여 정책적 활용성이 낮은 실정임 ㅇ 유전정보의 이용 한계성을 고려할 때, 국가 생물종목록과 표현형적 특징을 반영한 계통도를 우선적으로 완성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방향 추진 ㅇ 분류군별 특성에 따른 조사기법은 표준화된 방법으로 잘 수립되어 있지만, 조사체계에 있어 각 기관별 및 연구목적에 따라 조금씩 상이한 부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표준화체계 마련 필요 ㅇ 다양한 생태계 유형에 따른 조사체계에 대하여 기본조사 수준의 통일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분류군별 공통 조사체계 및 공동 조사양식 등 기본조사에 대한 ‘국가자연자원 기본 조사방법(안)’ 마련 □ 정책적 활용을 위한 선행조건으로 모니터링, 즉 생물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기법에 대한 표준화 등의 추진 논의 ㅇ 중요 생물자원에 의한 보호지역 설정 시, 조사강도·조사시간·조사인력에 관한 기술 및 체계의 표준화가 부재하므로 다양한 부처가 조사한 결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가 차원의 정책 추진을 위해 활용되지 못함을 공통적으로 지적함 ㅇ 기관별로 추진하고 있는 조사현황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에서 조사하지 못하는 공간적 사각지대는 지자체와 시민단체를 통해 추진할 수 있으나 전문성 결여, 조사결과의 신뢰성 확보 등의 사유로 한계성 노출 및 개선 시급 □ 환경부는 정량적이며 과학적인 평가기법 개발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환경영향평가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패러다임 전환 요구에 부응하고자 2020년부터 ICT기반의 환경영향평가 검토 의사결정 지원 알고리즘 개발 추진 ㅇ ICT기반의 환경영향평가, 즉 디지털 EIA는 검토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전문가 고유의 판단 영역으로 분류되어 왔던 일련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을 알고리즘 형태로 구체화하여 체계화시키는 것을 의미(그림 4 참조) - 환경부의 국가환경성평가 지도는 통합적 DB 구축에 따른 지도화 및 지도결과의 활용을 목적으로 추진되었고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환경영향평가 검토 및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활용성은 생태·자연도에 비해 저조한 편 - 개발사업의 추진 여부 등과 같은 이해관계가 충돌할 수 있는 환경영향평가제도에서의 활용성, 특히 환경영향평가 검토지원 및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의 직접적인 활용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 □ 환경영향평가 등의 작성규정에서 생물다양성 검토항목은 전략환경영향평가에 국한되어 있으나 환경영향평가·소규모 환경영향평가·사후환경영향조사에서는 동·식물상 검토항목에서 ‘군집분석(community analysis)’으로 평가 ㅇ 종 풍부도, 종 다양도 등의 방법을 평가대행자가 직접 조사·평가·작성하는 체계에서 조사 자료 입력 후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를 포함한 다양성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으로의 전환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 IPBES 등에서 새로이 제시한 지표인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기반이 되는 계통적 다양성 평가의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고, 정책적 활용방안에 있어 분석결과의 직접적인 지수 제시 및 분석결과를 통한 기존 도시생태현황 지도나 생태계서비스 지도 등의 주제도에 활용하는 간접 활용방안 제시 □ 현재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기반이 되는 계통적 다양성이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생물다양성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시점으로, 국제협약 등에 대한 정책적 대응과 국내 생물다양성 관련 현안에 있어 연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체계화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의 정책적 추진이 필요한 시점 ㅇ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의 정책적 활용을 위한 방안은 크게 평가기술 기반마련을 위한 방안과 평가기술 확대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제안 ㅇ 정책적 추진에 있어 생물다양성 측면에서의 타당성 등의 검토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국가정책의 방향 설정 및 국제협력에서의 성과목표 등에 대한 객관적 정보제공 - 새로운 평가기술을 제안하고 있는 IUCN 등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국제적 지표개발에 선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빠른 정책적 대응의 기반 마련 - 국내에서는 생태정보학적 생물다양성 평가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과 생물 다양성 관련 부처 및 기관별 협력체계 구축 필요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 Continuing efforts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the 4th National Biological Diversity Strategy (’19~’23)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Biological Diversity and the access and sharing of benefits of biological genetic resources are carried out. ㅇ Investment of more than 1 trillion won per year from eight ministries and three offices during the 3rd National Biological Diversity Strategy period - Annual investment in ‘sustainable use of biodiversity’ is the highest (more than 50%). - Investment in ‘mainstreaming of biodiversity’ in 2018 increased by 130% compared to 2014, which is the sharpest increase. ㅇ The 3rd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contributes to reflecting the value of biodiversity in legal plan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forests and oceans, and promotes mainstreaming in government departments and expanding investment in ecological services and establishing national strategies. □ The lack of quantitative assessment of biodiversity led to the lack of organic cooperation systems due to diversified policies and systems and poor performance in enhancing fundamental biodiversity. ㅇ For the National Ecosystem Survey which is the basis for the biodiversity assessment in Korea, more than 6.25 billion won was spent from the business budget from 1986 to 2015. - The current status of biodiversity in the Ecosystem and Nature Maps, which grad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ts use for policy purposes as an indicator are insufficient. ※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is a map developed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which grades the natural environment for their ecological value, naturality, landscape value and so on, into 1st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2nd (minimization of damage), and 3rd (development and use) grade. ㅇ It is pointed out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ressure-State-Response inspection index system configu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3rd National Biological Diversity Strategy and performance monitoring is incomplete. - Some status indicators exist in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inspection indicators, but the indicators for species, habitat, ecosystem services, and pollution levels are insufficient. - Efforts for quant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are needed, including developing pressure indicators (P) that reduce biodiversity, such as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and current indicators (S) that explain current biodiversity, as the current indicators are mainly concentrated (92%) in those reflecting policy responses (R) such as laws and systems. ㅇ Basic levels of biodiversity are assessed in biodiversity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but there is no implementation system for biodiversity assessment based on political analysis results. - Natural resources indicators for policy development correspon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natural resources distribution status and changes in population by region, and measures to visualize the results are insufficient. - The absence of the most basic national and regional biodiversity status limits the reflection of biodiversity as an evaluation factor in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Although Korea is focusing on expanding the production of biodiversity information, improving accessibility, and developing a system that can be shared more effectively using internationally advanced techniques, it still fails to provide the basic biodiversity status. ㅇ Internationally, the current status of biodiversity and species abundance is provided as a biodiversity map and used in making policy decisions. ㅇ The number of species listings in Korea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2, and there is a plan to list 85,000 species of native species in 2035 through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policy task of "expanding ecological capacity on the Korean Peninsula" but current statu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iodiversity map and so on is still unavailable.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policies related to biodiversity and sought ways to map out the basic national biodiversity status using the natural environment monitoring information, such as long-term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s, etc., at the pan-ministerial level, and utilize ecological and information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iques based on systematic diversity. ㅇ We derived policy utilization measures using systematic diversity assessment and systematic diversity assessment maps in line with biodiversity agreements and IPBES evaluation indexes. ㅇ In the policies and projects of the relevant ministrie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biodiversity, a mid- to long-term policy utilization plan can be sought to increase efficiency by proposing interconnection and integrated access to research projects such as monitoring using natural resources. ㅇ We drew up methods for utilizing ICT-based digital environment assessment for upgrad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preparation techniques for utilizing systematic diversity assessment (proposal). Ⅱ.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Policy for the Assessment of Biological Diversity □ Although biomass surveys based on the assessment of biodiversity have been conducted by various ministr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y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current data on biological resources rather than designing methods for assessing and analyzing biodiversity. ㅇ In order to improve scientific objectivity in evaluating species and ecosystem diversity, the government plans to prioritize the status of habitats and establish habitat-oriented conservation strategies to promote policy changes to maintain species diversity in the habitat. ㅇ In order to have expertise as a citizen scientist rather than ending up with basic monitoring, efforts such as establishing colleges and science classes for the general public are needed. □ In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the support base is divided into species and habitat. Although the number of species i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wild birds, habitats could include environments both suitable/unsuitable for birds,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olution. ㅇ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techniques and frameworks that can perform evaluations only with the number of species and parts that need to be manag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biodiversity assessment indicators, measurement items, and evaluation methods. □ Biological resource surveys conducted for various ecosystem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ach project in various ministries and agenc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but unlike the monitoring programs in which large-scale research personnel are employed, most business-specific monitoring is subject to problems in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due to low durability. ㅇ It is judged that these problems result from the minute differences between the survey methods, the surveyors, the weather on the day of the survey, and other environmental effects. □ In order for various biological resource survey programs with the same limited research personnel to be operated in a more sophisticated way, it is most urgent to foster survey personnel for each classification group at the national level, and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prepare and operate a national standard bio-resource-survey manual. ㅇ We propos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for survey programs oper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to promote spatial and time management so that different surveys do not overlap in the same area,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surveys such as scrutiny and expanding survey areas and periods. ㅇ By managing a pool of investigators by classification group, it is expected that we can have an objective basis for developing a variety of policies, such as the necessity for supporting survey personnel and workforce training programs. Ⅲ. Development of the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Map and their Application to Policies □ In utilizing the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mapping can be carried out by means of mapping phylogenetic diversity assessment results as they are, such as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or by grading index results, but in terms of utilization, this study suggests direct mapping of index results. ㅇ In assessing diversity, it is judged that a complex diversity assessment can be conducted by using phylogenetic 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together rather than using only one index. - Phylogenetic diversity and species diversity in areas with the same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dicating that they can be highly utilized as an indicator of diversity assessment. Ⅳ. Utilization of the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for Policy Development □ Proposal of a short-term application plan for the evaluation of biodiversity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tc. ㅇ It can be used for providing political grounds, such as the current status of divers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arget criteria for diversity, etc. in establishing conservation measures in terms of biodiversity. ㅇ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 such as finding causes and establishing proper reduc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by conducting time series analysis of species diversity ㅇ Since the number of species provides basic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size of habitats in a broad sense in evaluating changes in species, especially in animals, the limitations of evaluating the fragmentation of species diversity, such as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r fragmentation due to legal protection resulting from development projects exist. □ We divided our suggestions into those for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and those for policy promotion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mediumand long-term measures for policy development such as national master plans and international treaties. ㅇ For the proper use of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iques based on genetic information, the first step is to complete the system chart of each classification group at the national level. ㅇ Since it is operated at the level of monitoring database, such as basic life-history information on specie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observations or samples,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species abundance level only in terms of biodiversity evaluation, so it is not much utilized for policy development. ㅇ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use of genetic information, the government should first complete the schematic diagram reflecting the National Species list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promote continuous improvement. ㅇ Although survey techniques are well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cation grou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ization system a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survey systems by institution and research purpose. ㅇ Since consensus has been formed on the need for unification at the basic survey level in regard to the survey system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ecosystems, a "basic survey method (proposal) for national biological resources" for basic surveys, including common survey systems and joint survey forms by classification group, should be prepared. □ It is discussed that monitoring, i.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standardization of techniques, should be promoted as a prerequisite for policy development. ㅇ It is pointed out in common that when establishing a protected area for important biological resources, since there is a lack of standardized technology and system regarding intensity, time, and workforce of investigation, it is hard to utilize the survey results conducted by the various ministries for promoting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ㅇ Although a variety of surveys are conducted by institute, there are sites that are blind spots in the nationally led surveys and investigation of these sites can be promoted by the local governments and civic groups. However, a lack of expertise and the credibility problem exposed limitations, calling for urgent improvement. - It has been discussed that monitoring should be carried out as a prerequisite for policy development, i.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and standardization of techniques should be carried out. □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mand for a paradigm shift as a basis for operating a system that people can trust by developing evaluation techniques in a quantitative and scientific manner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an algorithm to support decision-making based on ICT from 2020. ㅇ ICT-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r digital EIA, is to systematize a serie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es that have been classified as areas of expertise through a review decisionmaking algorithm. -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national environmental assessment guidance was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mapping and utilizing the results of integrated DB construction and has been steadily improving so far, but its utiliz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and decision-making has been poor compared to developing the ecological and natural map. - There still exist limitations in utilizing the digital EIA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where interests may conflict over issues such as promoting development project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direct use as data for environmenta impact assessment review and decision-making. □ Although regulations on the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te that reviewing of biodiversity is only required for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mall-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ost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t is assessed under ‘community analysis’ within ‘reviewing of fauna and flora.’ ㅇ Transition from a system in which assessors investigate, assess, and write the methods by themselves in regard to species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to a system in which diversity assessment results including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are printed after inputting monitoring data.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A plan to utilize phylogenetic diversity assessment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a newly presented indicator by IPBES and so on, was proposed for policy development. and the indirect utilization plan was presented for the existing urban ecological status map or ecological service map. □ Phylogenetic diversity, which is the basis for the ecological information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is being proposed as a new alternative to biodiversity assessment consider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o respond to international agreements and other issues related to biodiversity in Korea. ㅇ We proposed measures for policy use of the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in two ways; one is related to preparing the basis for evaluation technology and the other is related to promoting the expansion of the evaluation technology. ㅇ Feasibility reviews in terms of biodiversity can be carried out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y and performance goal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can be provided. -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IUCN, which is proposing new evaluation technologies, to pro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indicators, the foundation for rapid policy response can be laid. -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applying the ecoinformatics biodiversity assessment technology and to establish cooperative networks between ministries and agencies related to biodiversity.

      • 서비스 팀에서 다양성 관리에 관한 연구: 팀장의 과업수행 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보영,박오수 리더십학회 2011 리더십연구 Vol.2 No.4

        Managing diversity in work grou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 the same time, difficult challenges in current organiza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examined diversity management that controls the effect of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diversity management by examining team leader’s competence whic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member’s diversity and team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types of diversity (i.e., surface level and deep level diversity) and team charactersitics (flexibility, support climate, and communication). Second, we suggest team leader’s competence as a moderator, which manages a negative or positive impact of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ics. As a main effect of diveirsy, we expect that surface-level diversity (age difference and education level differ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eam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laboration process, and that deep-level divers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ence and team satisfaction difference) has a negative effect on team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ategoration process. As a moderating effect of team leader’s competence, we expect that the positive effect of surface-level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ics will be stronger and the negative effect of deep-level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ics will be weaker when team leadership is high than when team leadership is low. For examining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ervice teams in firm located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hypothesis concering main effects of two forms of diversity were partially supported. Education level divers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ree team characteristics. Team satisfaction diversity had negative effects on three characteristic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am leader’s competence and education level diversity on supportive climate and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In addition,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am leader’s competence and team satisfaction diversity on three team characterstics were significant. However,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m leader’s competence and each form of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resp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team leader is able to manage effects of surface- and deep-level diversity on team characterists. The results of our study contribut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형태의 다양성, 즉 표면적 다양성(surface-level diversity)과 내면적 다양성(deep-level diversity)이 주요한 팀 특징들에 미치는영향을 살펴보고, 팀 특징들에 미치는 다양성의 영향을 조절해주는 변수로서 팀장의 과업수행 역량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팀장의 과업수행역량은 팀장이 팀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팀 목표설정, 업무할당, 과업진행 및 성과달성 등의 팀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리더의 역할을 얼마나 충실히 수행하였는지를 측정하였다. 총 130개의 서비스 팀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적 다양성인 교육수준의 차이는 팀 후원풍토와 의사소통에 긍정적 영향을, 내면적 다양성인 팀 만족도 차이는 세 가지 팀특징들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장 역량이 다양성과 팀 특징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하지만 팀 특징들에영향을 미치는 팀장 역량의 표면적 다양성과 내면적 다양성과의 상호작용 패턴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운영에 있어서 표면적 다양성과 내면적 다양성이 팀 특징들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팀 내 다양성이 팀의 성과를 촉진시킬 수있는 요소가 아니라 분열을 일으키는 문제적 요소로 발견된다면 팀장의 과업수행 역량을 통하여 다양성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본 연구 결과를통해 검증하였다.

      • KCI등재

        다양성이 프로젝트 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상현(Sang-Hyeon Sung),이종건(Jong-Keon Lee),박헌준(Hun-Joo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62개의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팀의 다양성이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연령 다양성은 팀성과에 대하여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주기능 다양성과 리더의 개인내 기능적 다양성은 팀성과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다양성 변수들의 상호작용이 팀성과에 대하여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기간 다양성과 팀의 개인내 기능적 다양성의 상호작용은 팀성과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육배경 다양성과 리더의 개인내 기능적 다양성의 상호작용도 팀성과에 대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이론적ㆍ실무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We explored the direct and interactive effects of diversity variables on project team performance. Six variables were used to measure team diversity: age, tenure (service year), dominant function, intrapersonal functions among team members, team leader’s intrapersonal functions, and educational background.<BR>  Our hypotheses are as follows. Age diversity of team members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1). Tenure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2). Dominant function diversity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3). Intrapersonal functional diversity of team member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4). Intrapersonal functional diversity of team leader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5).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team performance (Hypothesis 6). Along with testing these hypotheses, we further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action among diversity variables.<BR>  Data were collected from 62 field project teams that operated for four years consecutively in a think tank affiliated to a large Korean company. Specifically, diversity and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ersonnel records and documents of the company. The team perform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actual results of performance ratings systematically done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es of the company. This study controls several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cluding team type (consulting or research), team size (the number of team members), and the length of operation of the team.<BR>  Results indicate that age divers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 while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enure diversity and team performance. Interaction among some diversity variables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More specifically, interaction between tenure and intrapersonal functional divers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 Interaction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diversity and leader"s intrapersonal functional diversity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BR>  Our result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First, the project team has horizontal organization structure and thus team members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xpertise to achieve the common goals of the team. This means that age diversity could bring about negative effects on team performance.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respecting seniority like in Korea, it is commonly accepted for seniors to expect to be respected only because of their own seniority regardless of their own capability. The social identity and similarity-attraction theory supports the result. Age difference often functions as a crucial social category in Korean culture and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hesiveness,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often resulting in lowering team performance.<BR>  Second, the amount and variety of the task-related ability, information, and skill could depend on the length and variance of the service year of the team members. These variances can help generate new perspectives and enhance performance in doing the task of project team which requires high level of creativity. Even with this assumption,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influence of tenure diversity in the Korean context. The tenure might be recognized like age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 but the negative effect can be diluted due to the task-relatedness of tenure, so the trade-off make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BR>  Third, dominant function diversity of a team and leader’s intrapersonal functional diversity are associated with positive team performance. The dominant function diversity

      • KCI등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I -이론적 논의와 내용 체계

        송선영,김항인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2001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ur principles of cultural diversity, namely identity·diversity·pluralism, human rights, creativity,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have been described on the basi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nd training. Also,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dentity and diversity', 'conflict resolution and pluralism‘, and ’Creativ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presented. This study divide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ith four components: cultural diversity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and capacity.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is composed of categories, themes, sub-themes, and educational cont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earches: specification of contents based on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organic linkage between the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education,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ctional methodology, and test of efficiency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본 연구의 목적은 200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화다양성의 네 가지 원칙, 즉 정체성·다양성·다원주의, 인권, 창의성, 국제연대를 토대로 문화다양성 역량과 교육을 설명하였으며, 문화다양성 교육과 다문화 교육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명료화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의 방향으로 ‘정체성과 다양성’, ‘갈등해결과 다원주의’, ‘창의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제시하였고, 문화다양성 역량을 문화다양성 감수성, 문화다양성 판단력, 문화다양성 동기화, 문화다양성 실행력으로 구분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범부, 주제, 소주제, 교육내용, 역량을 순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시를 위해 학습자의 발달 수준별 문화 다양성 교육 내용 세분화, 범교과와의 유기적인 연계지도, 역량별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 특성 연구

        최서진(Choi, Seo J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에서 많은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영화는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관객 기록을 갱신하며 그 규모를 늘려가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전체 관객 수가 1억 9000만을 넘어 섰고, 당해 투자 수익률은 13%로 2002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과는 반대로 다양성영화 즉, 예술영화나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등 소위 말하는 작은 규모의 영화는 수익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외면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다양성이 무시되면 영화의 획일화를 가져올 수 있고, 이는 곧 문화 다양성까지 위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양성영화에 대해서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가 되기 시작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는 상업영화를 제외한 나머지 영화들을 지칭할 때 예술영화,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각기 하나로 부르기 보다는 문화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주기 위해 2007년부터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다양성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공간은 서울, 인천 등 전국 몇 곳에 있지만 장소의 특성상 관심 있는 사람들만 직접 찾아가서 보는 곳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지 않을뿐더러 일반 대중들에게는 인지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객 점유율 1, 2위를 다투고 있는 멀티플렉스 극장인 CJ CGV와 롯데시네마에서는 다양성영화 전문 브랜드인 무비꼴라쥬, 아르떼를 만들어 이러한 영화의 상영을 보장하고 있다. 이렇게 멀티플렉스에서 다양성영화의 상영은 이에 대한 관심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영화에 다가갈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멀티플렉스 극장에서의 다양성영화 상영은 앞으로도 한국 영화에서 매우 유의미 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플렉스 극장의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문헌 사료 조사를 실시하고 직접 극장을 방문함으로써, 기존 상영 공간을 포함하여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Film industry,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has been crucial with annually increasing number of the audiences. The number of audiences was over 190 million in 2012 and the year-end profit hit the highest since 2002 up to 13%. In contrast with the growth of film industry, ‘Diversity Film’ such as art films, independent films, documentary films is overlooked as a consequence of comparably small amount of profit. Ignorance of diversity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may uniform the film industry itself and trigger to threat to cultural diversity. ‘Diversity Film’ has been issued since 2002. Korean Film Council began to name various genres of films such as art films, independent film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the commercial films in one word as ‘Diversity Film’ to show cultural diversity and uniformity since 2007. There are few theaters to perform the diversity films in Seoul, Incheon and some other areas, but some people who are specially interested in are the audiences. In other words, accessibility and the awareness is not as good as other commercial films. In this situation, two big multiplex theaters guarantee the diversity film screening by running a specialized theater. For example, CJ CGV runs ‘Movie Collage’ and Lotte Cinema owns ‘Arte.’ Screening the diversity films in those big multiplex theaters has huge advantages to increases audiences’ interest into the diversity films, and the audiences approach it comfortably. Thus, screening the diversity films in the multiplex theaters above has significant meaning for the Korean movies.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diversity films appear in multiplex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are by questionnaire-survey and researching on multiplex theaters’ diversity film screening case-analysis, and to anticipate development in the Korean Film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