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건강조사자료에 대한 다수준 모형의 활용성에 대한 연구

        이지혜,이두리,김선우,임도상,허태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3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procedure and methods of multilevel analysis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s the dependent variable are subjective health status, oral health and stress. In order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level of analysis, r_wg (within group agreement), ICC(1), ICC(2), WABA (within and between analysis) etc. widely used in multilevel analysis was used as the evaluation measure. As a result of using evaluation measures to determine the level of analysis, single level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n multilevel model. Also, the result of multilevel analysis is that the influence of group level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evaluation measure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nalysis is appropriate.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매년 조사하고 있는 지역사회 건강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충청북도 지역을 대상으로 국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다수준 분석의 절차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 변수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구강건강, 스트레스를 이용하였으며 지역사회 건강조사자료의 다수준 분석의 활용성을 확인하고 적합한 분석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다수준 분석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집단내 일치도 지수(r_wg), 급내상관계수(ICC(1)과 ICC(2)), WABA(within and between analysis) 등을 평가 측도로 사용하였다. 분석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 측도를 사용한 결과 다수준 모형보다는 단일수준 모형이 적합함을 보였으며 다수준 분석 결과 또한 집단 수준의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분석 수준 결정에 사용된 평가 측도가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 동료 및 상사의 직장 내 일탈행동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열의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수준 분석

        한동희(Han Dong Hee),전병준(Chun Byung June)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직장 내 일탈행동이 다른 구성원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행동반응을 나타나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개인수준과 조직수준차원에서 검증해보는 것이다. 그동안 직장 내 일탈행동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예측변인, 즉 원인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고, 초기 연구들은 개인의 성격이나 기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리고 상황적인 요인으로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조직의 불공정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직장 내 따돌림이나 성희롱과 같은 일탈행동이 심리적인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야기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조직성과를 어떻게 저해하느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메우는 것이 본 연구의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조사에 앞서 본 연구와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 13개(직장내 일탈행동, 직무열의, EVLN 반응, 윤리적 조직분위기, 심리적 계약이행, 소명의식, 조직동일시, 조절초점동기, 주도적 성격, 조직응집력, 발언, 역할외 행동, Job Crafting)를 토대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5년 5월 26일부터 4일간 에너지 기업인 A사의 150명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이 포함된 21부를 제외하고 129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개인수준 변수와 종속변수, 조직수준 변수와 종속 변수의 관계에서는 고려했던 모든 개념들이 적절한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수로 가장 적합한 것은 직무열의와 이탈이었다. 예비조사의 주된 목적은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었으며, 추가적으로 연구모형의 결과를 예상해보기 위한 것이다. 예비조사 자료 수집 후, 확인요인분석과 개념 신뢰도, 평균분산추출지수,크론바흐 알파 등을 도출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최종 71문항과 일반적 특성에 관한 문항을 본 조사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본조사는 대상지역을 확대하고 약 4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700여부를 배포하여 진행할 예정이며, 통계프로그램은 SPSS, AMOS, HLM을 사용해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기법들을 사용해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연구의 기대효과로는 첫째,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한 직장 내 일탈행동에 대하여 새로운 개념 틀을 제시하고, 그 동안 선행변수를 규명하는 데에만 초점을 두던 연구의 공백도 메울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이러한 일탈행동이 조직목표를 달성하는 데 저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국내 기업들에게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 인적자원관리 측면에서도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ill find out how the workplace deviant behavior affects the behavior of the team members, and the different behavioral responses throughout the proces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of dimens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as related to the workplace predictors of deviant behavior, and initial studies were expected to be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personality or temperament. And situational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so far reportedly cited as the main cause of the unfairness of the organization. While psychological terms on the results of bullying or sexual harassment and that such deviant behavior in workplace have been already analyzed, the specific research on how the performance inhibits lacks so, the study on the gap between them may become the intent of the study. Prior to this study, there was a preliminary survey on the study and 13 basis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job column, EVLN reaction, ethical organizational climate, the psychological contract fulfillment, calling awareness,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regulatory focus motivation, leadership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hesion, speaking, acting roles outside, Job Crafting) correlated to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target period from May 26, 2015 for four days on 150 employees of energy company A, analyzing 129 units except 21 dishonest responses. Analysis has secur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individual level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 the relationship of the organization-level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ere observed that all the concepts they consider, appear to have a proper correlation with the dependent variable; best suited to the job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departure of the column. The main purpose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expecting to the results of further research model. After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data collection, factor analysis and concept confidence confirmation, the average variance, Crohn Bach’s alpha have been extra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 71 questions and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re planned to be used. Investigation will be continued in order to expand the target area and deploy 700 units on 40 companies; Statistical program such as SPSS, AMOS, HLM will be used to analyze frequency, variance, correlation, hierarchical linear model,using statistical techniques to verify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domestic relative to the proposed new conceptual framework about the lack of interest in deviant behavior in the workplace is proposed and the study wll be refilled on antecedents. Secondly, throughout the study, it w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once again ensure the local companies that the deviant behavior will inhibit the companies from achieving a target goal and it is also available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s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 KCI등재

        보건의료분야 다수준 분석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국내 연구동향과 비뚤림 위험 평가를 중심으로

        신상수 ( Shin Sang Soo ),우경숙 ( Woo Kyung Sook ),신영전 ( Shin Young-je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4

        이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보건의료분야 다수준 분석의 동향을 파악하고 논문의 질적 평가를 목적으로 비뚤림 위험 평가를 시행하여 향후 보건의료 분야 다수준분석기법의 유용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국내외 웹 기반 학술 데이터베이스에 출판된 59편의 논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지역 변인은 전체의 20.9%로 다소 낮았다. 둘째, 가장 많이 사용된 지역 변인은 사회문화적 특성이었으며, 지역에 대한 평판 관련변인 중 40.7%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셋째, 건강행태·지식·신념 관련 요인 연구가 전체의 34.4%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4편의 연구가 개인변인에 의한 연구 결과의 비뚤림 위험 가능성이 나타났다. 지역변인 측면에서는 급내 상관계수 관련정보 미제공(28편, 47.4%), 30개 이하 지역표본 사용(29편, 49.2%), 지역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미실시(36편, 69.2%), 지역변인 기초 정보 제공 미흡(15편, 25.4%)으로 인하여 비뚤림위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신뢰성 높은 자료의 이용, 다양한 지역변수의 활용, 변인간 상관관계를 포함한 비뚤림 위험 방지를 위한 사전 점검, 지역 특성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의 구체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다수준 분석은 질병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개입수단을 발견하는데 보다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studies on multilevel analysis concerning Koreans` health, validate the assessment of risk of bias to assess the quality of journals, and provide a basis for practicing multilevel analysis for future public health. We analyzed a total of 59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1, 2000 to December 31, 2014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databases. Th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only 20.9% of total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regional reput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variabl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health. Third, 34.4% were on health behaviour, knowledge or attitude. Fourth, 4 studies (6.7%) were identified with a potential risk of bias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There were journals with missing in ICC (28, 47.4%), the use of regional sample under 30 (29, 49.2%), missing in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gional variables (36, 69.2%), and missing in basic information on region data (15, 25.4%). These would cause the risk of bias. It will be a useful analytical tool to understand the causes of health when executing reliable data, using diverse regional variables, doing pretest to prevent risk of bia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gional variables and specifying mechanisms of health affected by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자살생각과 도시화율의 연관성에 관한 다수준 분석

        신상수(Shin, Sangsoo),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7 비판사회정책 Vol.- No.55

        자살생각은 자살에 영향을 미친다.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지역수준 변수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도시화율은 지역의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임에도 불구하고 자살생각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건강에 미치는 메커니즘으로서 도시화율에 주목하고,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사회경제적 이질성으로 인한 소외감과 상대적 박탈감의 형성이 유발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도시화와 자살생각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살 예방 정책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수집한 지역사회건강조사 2013년 원시 자료와, 통계청 도시화율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 대상자 219, 189명의 자살 생각률은 10.0%로 나타났다. 다수준 분석 결과 무제약 모형에서 급내상관계수는 5.3%였고, 개인 변인과 지역 변인이 투입된 최종 모형에서는 여성일 때, 학력과 소득이 낮을수록, 이혼 · 별거 · 사별인 경우, 현재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가 증가할 때 자살생각이 증가하였다. 용도구역기준 도시화율이 낮은 지역에 비해(4/4분위) 높은 지역(3/4분위, 2/4 · 1/4분위)은 자살 생각이 증가하였다(Odds ratio: 1.21, 1.20, p<0.05). 용도구역기준 도시화율은 모든 범주에서 유의하였으며, 유사 지표인 행정구역기준 도시화율 4분위 값, 도시 · 농촌 구분 유형, 도시 · 도농복합시 · 농촌 구분 유형에 비해 유의성이 잘 나타났다. 이는 인구집단의 개인적 특성뿐 아니라 지역의 맥락적 특성, 특히 도시화율이 개인의 자살생각과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자살예방사업 추진 시 주민 간 이질성, 박탈감 완화 등 도시화의 부적 효과를 상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다. Suicidal ideation affects suicid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have been studied,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association with regional level variables. This study focused on the urbanization rate as a mechanism of health and found that as the urbanization progressed, the socioeconomic heterogeneity led to the formation of alienation and relatively deprived fe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3) collected by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the urbanization rate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re as follows.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of 219,189 subjects was 10.0%.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analysis showed that Intra-correlation coefficient was 5.3% in the unconstrained model, and the final model in which final model showed that case of women,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lower income level, divorced · separated · bereaved, more chronic diseased condition have increased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The area with higher urbanization rate are significant(3/4th quartile, 2/4 · 1/4 quartile) (Odds ratio: 1.21, 1.20, p <0.05). The urbanization rate based on land use was significant in all categories, and was more significant than the quartile value of the urbanization rate based on the administrative region, the type of urban/rural, and the type of urban/mixed/rural. This confirms that not only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pulation, but also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especially the urbanization rate, can affect individual suicidal ideation. Therefore, programs that can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urbanization, such as alleviation of heterogeneity among residents and relief of deprivation, should be actively introduced in the promotion of suicide prevention projects.

      • KCI등재후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신상수(Shin, Sang-Soo),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비판사회정책 Vol.- No.45

        자살의 예측요인으로 알려진 자살생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살생각의 기전을 설명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 개인을 둘러싼 환경이 개인의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가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연구에서는 200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개인 요인과 지역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개인 수준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이혼·사별·별거 및 미혼이 기혼에 비해, 소득이 감소할수록, 스트레스가 많을 때, 우울할 때, 주관적 건강감이 나쁠 때 자살생각 오즈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수준에서는 지역박탈지수와 기초생활보장수급자비율, 재정자주도를 각각 대입하여 분석하였는데, 지역박탈지수와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이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의 오즈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규모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군 지역에서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생각 가능성을 완화하고 방지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s social interest in suicidal ideation known as a predicting factor of suicide is rising, various attempts are made to explain the mechanism of suicidal ideation. With grounds published for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 surrounding an individual on his or her health, this study set out to take into account both personal and neighborhood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of 2009.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odds ratio of suicidal ide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at the personal level when they were older, ha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divorced, bereaved, or separated and a single rather than being married, had lower family income, suffered more stress, felt depressed and had a bad subjective sense of health. At the neighborhood level,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roducing the regional deprivation index, the rate of National Fundamental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financial autonomy rate. As a result, the odds ratio of suicidal ideation dropped as the regional deprivation index and rate of National Fundamental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rose. When the local scale was taken into account during analysis, it turned out that only rural areas generated significant results. Suggestions addressed the strategies to pacify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community residence.

      • KCI등재

        정책 수급자의 수급기간과 탈출에 대한 연구 - 기초연금 정책 대상 가구의 생애경로를 중심으로 -

        박정수 ( Jung-su Park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4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9-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노령층을 대상으로 지급된 기초연금의 수급 결정요인과 수급 탈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초연금 정책의 선별적, 보편적 성격을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가구의 생애주기 이론과 관련 가설에 바탕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이 과정에서 수급 자격 산정을 위한 소득인정액, 자산인정액을 각 연도별 정책기준에 따라 계산한 값을 변수로 고려, 별도로 개인의 복지 의존을 설명해주는 요인, 가구원 및 가구원 변동 변수 등을 정책 수급기간을 설명해주는 변수로 사용했다. 그리고 패널 데이터에서 연도와 수급기간을 집단변수로 고려한 다수준 로짓 분석을 분석 방법론으로 사용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체로 소득인정액과 자산 인정액이 많고 혼인을 한 대도시 거주 가구의 수급 가능성이 낮았다. 둘째, 이미 수급을 하고 있는 가구 중 3인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한 분석의 경우는 다른 하위 표본과 다르게 기초생활수급 여부가 유의미하게 수급 확률과 관계가 있었다. 수급 탈출의 경우, 가구 내 65세 이상 노인의 수, 아동 수 등 가구원 관련 변수들이 통계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본 연구의 가설과 연관시킨다면, 단순 수급 자체는 수급 가구원 개인 즉 노령자의 특성과 관련이 있지만, 탈출 관련해서는 가구원 영향 요인이 크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즉 가구 생애경로 이론과 기초연금 수급 즉 노령 빈곤 사이의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개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가구에 이론적 바탕을 두고 분석하는 것으로 보완적 설명이 가능하며, 수급기준 영역이 상당부분 겹치지만 수급 기준자가 다른 기초생활보장 보장제도, 그리고 노령층이 잠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타 가족 정책과의 연계 등이 향후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spell of Basic Pension Recipients and the causes, using Korean Welfare Panel Data. Both causes of recipients, the poverty of elderly are reviewed theoretically in life course perspective. This policy’s characteristics, bitg universality and selectivity, are also considered. The unit of analysis is households, which include more than 1 elderly person over age 65, and main variables are their entry and exit of policy benefit, and the duration. Analytic method i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Research finding is: the variables which represents of the elderly person in the households provide a limited explanation for households’ welfare durations. But the variables which represents for other members of households can provide the explanation for the entry and exit of the welfare duration. Especially, the number of childhood in the househol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e co-reside person who has childhood and therefore have the will to work can explain the elderly poverty. And also, the co-reside person’s basic livelihood benefit can provide the explanation of elderly poverty’s welfare spell.

      • KCI등재

        연봉제와 동기부여

        석진홍(Jin-Hong Seok),박우성(Woo-Sung Park) 한국경영사학회 2012 經營史學 Vol.62 No.-

        본 연구는 연봉제가 종업원의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를 도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봉제가 조직특성의 변수들과 적합성이 있을 경우 강한 동기부여가 발생할 것이라는 이론적 관점으로 가설을 제시하고, 교육훈련제도와 평가제도를 조직특성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독립변수, 조절변수, 종속변수의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HLM(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이용한 다수준 분석으로 조절변수의 영향을 실증적 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사업체 패널 조사와 근로자 보상체계에 관한 인식조사 두 개를 결합한 것이다. 분석결과 교육훈련제도는 연봉제의 동기부여 효과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은 종업원의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일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평가제도는 가설과는 다르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조절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평가제도의 도입 여부 가 아니라 제도나 기준이 합리적인지, 혹은 합리적 기준이 있더라도 실제로 그러한 제 도가 원칙대로 실행되고 있는가 하는 점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연봉제 도입의 효과에 미칠 수 있는 조직 수준의 조절변수를 확인하고, HLM을 통한 다수준 분석을 통해 엄격한 통계적 방식을 사용하여 실증 검증하였다는 의 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ing the moderating variables on the motivational effect of merit pay. We hypothesize that motivation effect of the merit pay will be stronger if merit pay fits with thes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it is expected that education/training system and evaluation system will positively increase the motivation level of merit pay. We analysed multilevel analysis with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because of level issue. Data set is combined Workplace Panel Survey and Compensation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training system exert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merit pay make on the employees motivation. It means more investment and effort in education/training required. In contrast, an evaluation system doesn t exerts a moderating effect. It means merely introduction of an evaluation system may not be effective. It is more important that an appropriate system implementation or rational criteria of evaluation system will affect to merit pay syst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of identification moderating influencing motivation effect of merit pay and multilevel analysis using HLM that overcoming ecological fallacy and atomistic fallacy.

      • KCI등재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윤희(Youn-Hee Kim),조영태(Young-tae Cho) 한국인구학회 2008 한국인구학 Vol.31 No.1

        본 연구는 주거지역 특성이 그 지역 구성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 집단보다는 취약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2005년 서울시 보건지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행정구역상의 ‘구’를 지역효과를 나타내는 기본단위로 설정하였다. 개인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인식(Self Rated Health)과 정신건강으로 측정하였으며 지역특성을 설명하는 변수로 서울시 25개 ‘구’ 각각의 사회 경제적 수준, 사회적 자본 및 문화 자본, 물리적 환경, 인구학적 특성 등을 활용하였다. 구성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성,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 소득 등의 개인특성변수를 포함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집단으로 저소득층, 노인, 40세 이상으로 배우자가 없으면서 무직인 중ㆍ노년층 세 개의 집단을 선정하여 각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 경험을 이용하여 측정한 정신 건강의 경우 지역 간 차이가 세 취약집단 모두에서 일반 인구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지역변수들과 개인변수들을 모두 고려한 다수준 모형에서 지역주민의 행복지수, 물질결핍지수, 빈곤선 이하 가구 비율, 행복 지수, 거리 안전에 대한 인식 수준 등의 지역변수들이 개인특성변수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취약집단의 정신건강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런 지역특성의 맥락효과는 주관적 건강에서보다 정신건강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취약집단 중 노인집단의 경우 지역 간 분산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을 뿐 아니라 분석에 포함된 다양한 지역특성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 다른 취약집단에 비해 지역의 상황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area leve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health,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We consider adult individuals whose family income is under 1.5 million won, who are aged 65 and over, or who have neither spouse nor job but aged 40 and over as vulnerable populations. Using the 2005 Seoul Citizens' Health Interview Survey, we conducted multilevel analyses to simultaneously investigate the effect of area and individual level characteristics on health. Between-area variance of self-rated health status was greater for the elderly population than for all populations. Area material deprivation index and happiness index were associated with the self-rated health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populations. Vulnerable populations showed greater between-area variances in emotional health than the same for all populations. Area happiness index, material deprivation index,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below poverty line and street saf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motional health. The effect of area characteristics were particularly salient for the emotional health of elderly population and its between area variance was also notable.

      • KCI등재

        서울시 행정 구역과 이웃 효과 관계 탐색: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및 행정 자료 연계

        김이현,김지범,강정한 한국조사연구학회 2020 조사연구 Vol.21 No.2

        Studies on neighborhood-level effects in South Korea have been focusing on the level of gu, which may fail to represent regions as living environments because goon/gu have large within-region variation. This study zooms into the level of dong, which is much finer than gu and may revive research on neighborhood-level effects in South Korea. We selected Seoul residents from a dataset of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2003-2016) and matched them to dong-level information from three administrative data sources: Seoul Open Data Plaza (2003-2017),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2006-2017), and Seoul Real Estate Information Plaza (2006-2017) (=2,656). Variance analysis of selected variables from KGSS and administrative data confirmed that between-dong variations are larger than between-gu variations and thus suggests that dong-level estimations are more promising than gu-level estimations of neighborhood effects on residents. We estimated how much Seoul citizens’ various attitudes were affected by the average price of apartment transactions and the percentage of the older population at the dong level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at the gu level. Estimates at the dong level tended to be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those at the gu level. Controlling for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respondents from dongs with higher percentage of older people reported lower household income and lower self-appraised class, which were not observed in the same analysis with gu-level variables. By conducting multi-level, multisource analysis, we showed the analytic potential of combining dong-level information with social surveys from large cities in South Korea. 지금까지 사회조사 자료와 지역 단위 행정 자료를 결합하는 이웃 효과 연구는 주로 시 ‧ 군‧ 구 단위에서 진행해 왔으나, 시‧ 군 ‧ 구 단위가 생활환경 단위로서의 지역을 대변하지 못하며, 시‧ 군 ‧ 구 내의 더 작은 지역 단위 간의 이질성이 서로 상쇄되어 지역 효과를 포착하기 힘들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서울시 주민에게 미치는 동 수준의 지역 효과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회조사 자료는 2003~2016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누적 응답자 중 서울 거주자를 선택했으며, 서울시 동 수준의 행정 정보는 2003~2017 서울열린데이터광장, 2006~201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및 2006~2017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서 수집, 결합하였다( =2,656). (1) 우선 지역 수준에서는 출생률, 고령자 인구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투표율,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 등을 구 단위와 동 단위에서 수집한 후 분산을 분석한 결과, 동 간의이질성이 구 간의 이질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다수준 분석에서 동 수준 지역 효과의 잠재력이있었다. (2) 다음으로 개인 수준에서는 한국종합사회조사 응답 중 가구소득 수준, 주관적 계층, 주관적 정치 성향, 타인에 대한 신뢰 등의 분산을 분석한 결과, 역시 모든 변수에 대해 동 간의 분산이 구 간의 분산보다 더 컸다. 이는 응답자의 태도 차이가 구 간의 지역 차이보다 동 간의 지역차이로 설명될 가능성이 높음을 암시한다. (3) 실제로 다수준 분석을 통해 이러한 태도 변수들에대해 응답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통제하고 지역 수준에서 평균 아파트 거래가격과 고령자인구 비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구 수준보다는 동 수준에서 이러한 변수들의 효과가 더분명한 경향이 있었다. 예를 들어 고령자 인구 비율이 높은 동에 사는 응답자일수록 소득이 낮고자신의 주관적 계층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구 수준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예시 분석을 바탕으로 다수준다출처 분석이 갖는 잠재력을 토의하였다.

      • KCI등재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의 타당화 연구

        주영경,김명소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개발된 공유 리더십(Shared Leadership) 척도(네 개 요인의 28문항)에 대해 국 내 현직자를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 공유 리더십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2) 유사개념들과의 변별성을 통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검증한 후, (3) 법칙론적 관계망 (Nomological Network) 구축을 기반으로 개인 및 팀 수준의 예측변인과 준거변인과의 관련성을 확인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조직 및 직군에 종사하는 417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특히, 다수준 구성개념 타당화를 위해 이들 중 현재 팀(4명~15명 규모)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50개 팀(278명)에 대해서 팀 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 부하량 이 다소 낮은 네 개 문항(요인별 한 개)을 제외하고, 24개 문항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구조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공유 리더십과 유사개념(팀 임파워먼트, 팀 적응수행)과의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법칙론적 관계망에서 공유 리더십의 예측변인 및 준거변인 과의 관계를 개인 및 팀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 조직의 권한위임, 과업 상호의존성 이 공유 리더십의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유 리더십은 팀 효능감, 팀 혁신행동, 팀 수행, 팀 만족 등 다양한 팀 효과성 준거변인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팀 기반 공유 리더십 척도 타당화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Shared Leadership Scale((28 questions of four factors) recently developed for Korean employees. Specifically, we examined (1)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2)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ith similar concepts, and (3) the relationship with both predictors and criterion variables based on nomological network at the individual as well as team level. 417 people employed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We conducted team-level analysis on 278 people of 50 teams currently working as teams(4~15 team size) for multilevel valid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ur-factor structure of shared leadership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24 items excluding the 4 items with a slightly low factor loading(one for each factor), the four-factor structural model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compared to other models.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similar concepts(team empowerment, team adaptation performance). Finally, we developed the nomological network including the predictors and criteria of shared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delegation, and task interdependenc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hared leadership at both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Shared leadership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riteria of various team effectiveness such as team efficacy, team innovation behavior,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and team level.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team-based shared leadership scale validation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fi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