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 연구 :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방안 탐색을 위한 제언

        송륜진,노선숙,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학연구 Vol.23 No.3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survey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and administered the survey to 309 mathematics teacher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Korean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s rather low (the mean is 2.636 and the standard deviation .290). In particular,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related to mathematics was lower than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general.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the participation into the course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in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On the contrary, the experience of 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teachers’ major l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thin group comparison. More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competence in subject matter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responsive to students’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mathematics teachers’ competence required for their teaching in culturally diverse school. 본 연구는 초·중등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 및 통계적 검증을 거쳐 5점 척도의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등 수학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역량 평균은 2.636(표준편차 .290)로 조사되었고 다문화와 관련한 일반적인 지식 및 신념을 묻는 범주A와 비교하여 수학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범주 B, C, D의 평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 비교를 위한 분산분석 결과 ‘교사의 경력’, ‘다문화교사교육 이수 여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간접 접촉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없는 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직접 접촉 경험 여부’, ‘교사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역량이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천적 맥락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싱가포르 초등교사 양성과정의 다문화 교육과정 연구

        최지연(Choi, Ji-Yeun),장인실(Chang, In-Sil)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3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초등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의 다문화 교사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요소, 싱가포르 사회와 교육 특징, 싱가포르 교사 교육기관의 구성과 다문화교육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싱가포르 다문화 교사교육을 분석하기 위하여 싱가포르의 NIE가 제공하는 인문/자연계 학사 학위 프로그램에서 초등 일반과 모국어 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틀은 Banks(2009)의 다섯 가지 내용 체계(내용통합, 지식 구성 과정, 공평한 교수법, 편견 감소,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는 학교 문화와 조직)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의 예비 교사들은 초등 일반 전공과 모국어 전공에 상관없이 모두 1-3학년 동안 필수 과목인 ‘다문화연구’ (multicultural studies)를 포함하여 매년 다문화 내용 체계가 포함된 수업을 수강하였다. 두 번째, 싱가포르의 다문화 교사양성기관에서 실행하고 있는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들은 Banks의 다섯 가지 내용 체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세 번째, 싱가포르의 다문화교육은 문화 및 인종 간 이해 교육뿐만 아니라, 모국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을 강조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교사양성기관에 주는 시사점으로 초등교사 양성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의 필수 과목 선정과 타 교육학 과목에서도 다문화교육 내용 체계를 포함하는 범 교과성, 이중언어교육의 활성화, 교육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과 주지교과와의 내용 통합 그리고 교사를 위한 실용적인 다문화 교육 연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of the National Institution of Education (NIE) in Singapore.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Singapore and analyzed the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statistically and content-wise using Bank s fiv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 Singapore highlights not only education for ra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but also bilingual education, which focuses on students mother tongue. Singaporean pre-service teachers can enroll in lectures that contain multicultural context, including the only essential course, multicultural studies, in every academic year regardless of their major. Additionally, the NIE provides multicultural content-related lectures which include all five components of Bank s multicultural contents. Thus, th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s teacher education systems are the following: The design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essential course, the invigora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statal level,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ontent with other education subjects in both teacher and student educ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orkshops for in-service teachers.

      •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

        이보라(Lee, Bo-Ra) 한국변형영유아교육학회 2010 변형영유아교육연구 Vol.4 No.1

        세계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고 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200명이며,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 졌고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변량분석(ANOVA)과 t-분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기관유형과 교육경력, 교사의 교육수준, 다문화 교육에 관한 학습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목표의 인식정도를 알아본 결과 국공립 어린이집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식수준이 높게 나왔고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교사의 태도에는 경력이 많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실제는 기관유형과 교사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공립유치원의 교사와 대학원 이상의 교육수준을 지닌 교사가 환경구성과 교육활동을 더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에 관한 활동을 잘 실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and practi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ing the type of settings, educational level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iew of pre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career,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and whether he educat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investigating the goal of educa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ers of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 is high, and significant difference has been shown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of teachers. The teachers of more career and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have more preferable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practic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different by the type of institute, the educational level of teachers. Third, If teachers understood more about education goal and doing right attitud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 can prepare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lso show that they can trend to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모경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한국 사회의 인종적·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교사들은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현장에 제기하는 각종 문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 교사들은 직전 교육이나 현직 연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계발할 기회를 적절히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교사양성 기관의 교과과정과 교원연수 기관의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다문화교사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아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으로 나누어 전국 69개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전국 13개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과과정, 그리고 전국 42개 사범대학의 교과과정을 조사하여 다문화교육 관련 강좌 개설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연수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국 시·도 교육연수원의 다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교육과의 경우 다문화 강좌 개설이 3군데에 그쳐 극히 미흡함을 나타내고 있다.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경우,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전국적으로 강좌를 개설하고 멘토링을 실시하고 있으나 일률적인 교과 구조를 지니고 있다. 중등교사 양성기관의 경우, 총 8개 사범대학에서 강좌를 개설하고 있어 개설율이 저조하며 현장 실습 경험을 제공하는 강좌가 미흡하다. 현직교사 연수의 경우, 전국적으로 9개 기관에서 연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데, 주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비추어볼 때 교사교육과정은 먼저 다문화 강좌가 양적으로 확대되어야 하고, 교양 강좌뿐만 아니라 전공 강좌로서 개설되어야 한다. 또한 강좌의 내용은 다문화가정의 자녀에 대한 지원과 배려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시민으로 살아가는 다수자 자녀들의 다문화적 시민성 교육도 강조해야 한다. 또한 교사교육 기관과 현장의 연계를 강화하여 충분한 현장 실습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 KCI등재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의미 분석

        이수진 ( Suji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깊이 있는 의미 파악으로 유아교사들이 가지는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의 관점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향후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교육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은 1인 각 3회의 개별 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전사, 약호화, 범주화 주제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다문화를 다문화교육 속의 생소한 단어, 혼란스러운 개념, 다름을 강조하는 단어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서 다문화를 세계 여러 나라 생활주제로 인식하였으며 다문화 관련 교육을 통하여 다문화의 의미를 알고 싶어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문화의 개념을 결혼이민자, 결혼이민자의 자녀로만 국한시키지 않도록 유아교사들이 다문화교육에서 지향하는 문화다양성의 가치에 대한 개방적인 사고를 가지게 할 수 있는 직전 및 현직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예비유아교사들로 확대 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viewpoint on multicultur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y recognize. investigate their viewpoint on multicultur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y understanding meanings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education for teacher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us,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with 8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preschool institutions to collect data. Interview with teachers was conducted for three times for each pers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transcription, encoding, categorization and thematization.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multicultur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unfamiliar word, confusing concept and word that put emphasis on difference. Second, they recognized multiculture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life theme in various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nd wanted to know its meaning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In conclusion, as indicated in this research, it’s required to carry out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o allow them to be open-minded on cultural diversity value pursued b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they will not limit the concept of multiculture as married immigrants or their childre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o expand research subject to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in future study.

      • KCI등재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 교사의 다문화 교육 연구

        이지용(Lee, ji-yong),유해준(Yoo, hae-j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8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2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하여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다문화 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등 예비학교 교사 5명으로 심층면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어교사 심층 면담의 결과를 보면 첫째로 대다수의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표준한국어 교재가 다문화적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만 교과와의 연계성 부분에서는 다문화 요소가 연결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로는 다문화 교육에서 수업 기능 측면의 다문화 교육은 전체적으로 낮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특히 다문화 수업 자료 개발 및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수방법 적용에 대해서는 낮은 자신감을 보였다. 이는 교사의 처우 및 한국어교육에서 교사가 가지는 정체성과도 관련이 있었다. 셋째로는 중등 예비학교 한국어교사들의 다문화 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언어 교육과 더불어 다문화주의에 따른 관계 지향적 교사의 목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 활성화를 위해 다문화 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 등이 예비학교를 통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 학습 자료 개발, 창의적 체험활동 자료 보급 등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교육 자료만으로는 현행 중등 교과 수업과의 연계성까지 고려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The modern society is the one where all the cultures in the world coexist and those cultures are open to each other, and a truly multi-cultural society where we should recognize various cultures and ethnicities and race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has led separate peoples in the world to become neighbors in the ‘global village’. Accordingly, this study, by conducting in-depth survey to fiv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preliminary middle school, intended to examine their conscious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earch for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ays to improve it. The finding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respondents think that Standard Korean they use as the textbook to teach students contains many multi-cultural elements. But, they think that it is hard to link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textbook to class teachings in normal middle schools. Second, they show low confid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teaching functions. In particular, they show low confidence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 responding to demands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also related with the treatment Korean language teachers receive and their identity as teacher. Third, many of respondents think that teachers have relationship-oriented goals according to multi-culturalism as well as providing language education to students. Finally, they perceive that, to activate multi-cultu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advance teaching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in preliminary school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perceive that there should be mor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and creative experience materials. They consider that currently available education materials are not sufficient to consider their linkage to class teachings in normal middle schools.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류방란,김경애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acing an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ho have immigrant background (hereafter, IB students) in secondary schools in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decided on the aspects of perception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like the following: agreement of the anti-discrimination/ prejudi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IB students. A total of 167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he IB students were sampled, and 1,733 middle school and 835 highschool teachers responded. To examine the contact hypothesis,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ho have worked or are working as an IB students’ homeroom teacher and those who have not. And to consider the difference of teachers’ subject, we also examined the perception differences of three groups - Korean language or social studies teachers, English teachers, and the other subjects teachers. The result of this data analysis show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between the group of Korean language or social studies teachers and the other grou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IB students’ homeroom teacher and the other group were not so meaningful. These results implied a need to import an implementation policy such as a properly prepared teacher training program. 이 글은 최근 중등학교에 재학하는 다문화가정 학생의 증가 비율이 높은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인식을 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다문화교육 인식은 다문화가정 학생 수용성,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에 대한 동의, 다문화가정 학생의 지원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고, 담임 경험 여부, 담당 교과, 학교급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에 주목하였다. 조사는 전국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이 일정 수 이상인 중학교와 고등학교 167개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중학교 교사 1,733명, 고등학교 교사 835명의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 유무나 담당 교과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담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반차별 반편견 다문화교육 등에 더 동의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담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그러나 담당 교과에 따른 차이는 비교적 분명하게 드러나는 편이었다. 국어와 사회과 담당교사는 영어나 그 외 교과 담당 교사에 비해서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해 더 수용적이며 다문화교육에 더 개방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 등 정책적 대응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실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인식 연구

        조윤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1

        이 연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과교육관점에서 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하고, 자료분석을 통하여 실과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의 효율적인 기초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요약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분석 결과에 따르면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영역은 긍정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 차이분석에서는 교직경력(p < .01)과 학교소재지(p < .001)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으며 교사의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육의 다양성 가치 차이분석에서는 학교소재지(p < .01)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이처럼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는 긍정적이나 교사개인의 능력, 노력에 관한 항목에 비해 교육환경, 교육지원 항목에는 어려움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국가수준에서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해 볼 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다문화관련 연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실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영역에 대해서도 모두 평균점을 상회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육과정 차이분석에서는 성별(p < .05), 교직경력(p <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교사의 특성에 따른 다문화교수효능감 차이분석에서는 성별(p < .001), 교직경력(p < .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의 특성에 따른 실과다문화적 교육목표 차이분석에서는 성별(p < .05), 학교소재지(p <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였다. 실과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실습중심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통해 우리 가정생활문화 등을 새로운 경험과 지식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실과다문화교육의 수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perception of elemantary school's tearchers so as t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 establish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15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yungnam Province; 126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 were computed as necessary. In order to observ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excuted and in case of significant differences, Duncan's post-hoc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towards multicultural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a positive tendency. The service training system on multi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practical program should be continued.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mains at high level. It demanded to support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for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effectively settle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is study, it respects to help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 in a way of more effective and systemized one. Also, it is more important thing to rais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method for this, teachers training, facilities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aking a program for multicultural studies are needed systematicall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성영화(Young Hwa Sung),이신동(S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는 일반영재로, 잠재된 능력과 성취가 불일치한 영재로 보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지닌 영재특성은 특정 분야에서의 탁월한 재능을 뽑았고, 부정적 특성으로는 사회적 불안 및 소외감과 언어발달 지연이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경험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를 판별할 때 창의성 및 사고력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만 3세 이후가 되면 판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해본 교사가 그렇지않은 교사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의 목적은 잠재력 계발 및 소외영재로 발굴 가능성 증진에 있고,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대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 았다. 이 중에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은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개인수준에 따라 횟수를 정해서실시하고, 1~5명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영재교육담당 공교육기관에서 영재교사에 의해실시되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을 위한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of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70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generally gifted, and mismatched between achievement and potential ability. In particular, teachers perceived outstanding talent in a particular field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gative characteristic, teacher responded social unrest and alienation,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ests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ifted young children can be classified after three years old.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sponded on the need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purpose of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o increase potential development and excavation possibility of disadvantaged and gifted young children. Moreover, the contents of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social and emotion developme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as play-based, and the measurements should be a multidimensional. Among them,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teachers responded tha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weekdays of the education ye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group of 1-5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public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by gifted teacher. And it's percep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sugges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direc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요인 분석

        구하라,차윤경,모경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8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D-ME).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and school-level factors on teachers’ participation in PD-ME (three types: institution-, teacher community-, and individual-centered). Based on a sample of 974 teachers across 43 schools from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Demands Survey dataset,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 (HGLM) analyse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teachers’ attending undergraduate/graduate lectur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and school location (eup/myeon: a rural area)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s’ participation in PD-M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makes practical suggestions for encourag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PD-ME.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의 유형별(① 기관 중심, ② 교사 공동체 중심, ③ 개인 중심) 참여 여부와 참여 유형 다양성에 대한 교사 및 학교 수준 특성 변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다양성 교육현황 실태조사’를 활용하였고, 다문화 중점학교 43곳의 교사 974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교사 및 학교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일반화 위계적 선형 모형(HGLM) 및 위계적 선형 모형(HLM)의 분석 결과, 학교장의 다문화 친화적 수업지도성, 교사의 학부․대학원 다문화교육 수업 수강경험, 교직경력, 근무지역(읍․면)이 대부분의 경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남자), 다문화학생 교수경험, 다문화 연구학교 지정경험, 학생-교사 비율의 효과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다문화교육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를 격려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