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관련 문헌분석

        전혜영,이미숙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and features of education and nutu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CALD) families. The study analyzed 13 articles which were related to disabilities and CALD families. The study analyzed the articles by the year of publication, the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study, the themes of research, and the study examined features of education and nur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were only four until 2011. From 2012, however, the number of the articles were rapidly increase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next was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so on. Second, generally, teachers had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about CALD students. However, they had law self-efficacy rather than appropriate 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ystematic practicum model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increas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 foreign mothers suffered from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e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e poor environments, and the financial difficult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장애아동과 관련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13편을 게재년도,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교육과 양육에 관한 특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에 관한 연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면, 총 13편 중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4편밖에 되지 않았으나 2012년부터 2013년까지는 9편으로, 근래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연구방법별로 살펴보면,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 연구, 문헌연구, 단일대상연구 및 사례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별로는 특수교사가 4편, 외국인 어머니와 예비특수교사가 각 3편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이었다. 연구주제별로는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인식과 태도,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에 관한 경험,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특성,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의 실행 효과,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지도를 위한 예비특수교사 양성방안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사의 다문화가정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역량은 인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의 양육에서는 언어적 어려움, 심리적 어려움, 교육 환경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이 있었다. 다문화가정 장애아동을 위한 지원 방안으로 다문화가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사회의 부정적인 태도 변화, 교육기관과의 연계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초등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와 언어

        배소영(Soyeong Pae),김미배(Mib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초등 저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발달을 살피고, 언어읽기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어머니로 둔 초등 1-3학년에 재학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34명과 학년과 지역이 일치하는 비다문화가정 아동 34명의 언어기반 읽기능력을 비교하였다. 읽기의 경우 낱말재인력과 덩이글이해력을 측정하였고, 관련언어요소로서 덩이말이해력과 음운인식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가정아동은 비다문화가정아동처럼 1학년에서부터 3학년으로 갈수록 언어와 읽기능력이 발달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아동의 낱말재인과 덩이글이해력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고, 언어능력인 덩이말이해 면에서도 비다문화가정에 비해 수행력이 낮았다. 한편 음운인식력에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읽기와 언어가 발달하고 있지만, 읽기와 언어에 대한 선별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텍스트를중심으로 한 말과 글에 대한 평가가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Reading is an important area of language use in school activities.study aimed to compare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of Korean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MC) with those of non-multicultural backgrounds (NMC) and to discus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oles for multicultural children. Method: Thirty-four school-aged children (mean age of 8 years old) with MC and 34 NMC peer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Readingabilities were measured on word recognition and text comprehension while reading-related language abilities were tapped on listening comprehension of text and phonological awareness. Results: Both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reading and language as their grade level increased. However, children with MC showed lower abilities in word recognition, text comprehension, and listening comprehension, compared to children with NMC.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C children and NMC children in the area of phonological aware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chool-aged Korean children with MC appeared to develop their reading and related language abilities, although their overall performance of reading and listening comprehension lagged behind their NMC peer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to screen and assess NMC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 아동 관련하여 교육기관 교사의 향후 방향성에 관한 연구

        황현주(Hwang, hyen-joo)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0 동서정신과학 Vol.23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교육기관에서 적응 및 지원현황과 실태를 알아보고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적응 지원방안을 제시하여 아동의 성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또한 다문화 가정 아동의 국내외 지원정책과 교육기관 적응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을 지원하는 시스템 구축이 미비하고 현 정부가 다문화 가정 지원 사업으로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사업이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을 위해서는 부모의 역할과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확인되어 건강한 아동의 성장을 위해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며 부모교육이 우선 시 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함께 아동지원의 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교육의 프로그램의 부재로 역할 수행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교육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언어의 발달 측면에서는 다문화 가정이 아닌 아동들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대책과 지원 등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일반가정 아동들처럼 각각 가정의 개별적인 특성 여부에 따라 적응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의 발달 지원을 위해서 다문화 가정 아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다양한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다문화 가정의 문화를 소통과 누리과정 교사 연수를 비롯해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을 도입하여 영유아 시기부터 다문화 교육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응력을 위해 부모 참여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을 하여 부모교육을 활성화하여 다문화 가정 부모를 위한 통합적 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한국 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고 적극적으로 지원해 줄 필요성을 느낀다. English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status and statu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daptation and support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posed measures to support social adapt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explore way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we looked at support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grams for adaptation to educational institutions. First, we could see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to suppor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insufficient and that the current government focused on projects to support migrant women as projects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role of parents and the importance of parent education has been confirmed for children, so the role of parents is important for healthy child growth and parent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Third, along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eacher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children s support are having difficulty playing their roles due to multicultural awareness and lack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of teach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somewhat lower than children from non-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language development, indicating that related measures and support were need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ke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have different adaptation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such, this study requires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government should introduce a systematic education system,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support system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in Nuri courses, to exp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and the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ies from the early childhood. For the social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feel the need to develop and support parental participation programs to promote parent education, and to provide integrated support services to help multicultural parents adapt to life in Korea.

      • 다문화가정 아동 청소년 학교생활적응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성보,이현철,김경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Vol.2011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Korea Youth Panel Survey)의 전국규모 자료(초4, 중1)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이 그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양상은 어떠하며, 어떠한 요인들이 다문화가정 학생의 삶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인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을 향한 학교와 학부모들에게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차이 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교하여 학습활동, 교우관계가 취약하였고,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일반가정 청소년에 비교하여 학습활동, 학교규칙에 취약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활동 개선, 원만한 교우관계 형성 및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습활동 개선, 학교규칙 준수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 구성요인 중에서 학습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지만 일반가정 아동의 경우에는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하위 구성요인 즉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학교교칙 순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경우 학교생활 적응의 하위 구성요인 중에서 교사관계가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지만, 일반가정 청소년의 경우 학교생활 적응의 모든 하위 구성요인 즉 교우관계, 학습활동, 교사관계, 학교교칙 순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과 일반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양상에서 그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경우 학습활동과 교사관계의 영향력을 실감할 수 있었으며, 일반가정 아동․청소년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영향력과는 달리 교우관계의 강력한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습활동 개선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원만한 교사관계를 위한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비교연구

        이윤정,이정임,유희,정재은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이 우리나라 사회와 학교에 적응할 때 도움을 주고 의생활 속에서 아동의 정체감과 가치관의 혼란을 줄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를 확인하고 비교하였으며,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감간 상관관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169명과 일반아동 245명이었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아동은 저학년 여아가 고학년 여아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경우 여아와 남아 모두 학년별 신체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신체부위가 있지만, 일반아동의 경우에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달리 학년별 신체이미지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개인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에서 다문화가정 저학년 여아가 일반가정 여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자아존중감을 나타냈다. 저학년의 경우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신체만족도가 높은 신체 부위들이 다수 확인되었지만, 고학년의 경우에는 남아의 체형에 대한 신체만족도를 제외하고는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간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저학년 여아와 남아, 고학년 남아의 경우는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만족도의 상관이 다문화가정 아동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학년 여아의 경우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차이를 성별, 학년별로 확인하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 상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문화가정 고학년 여아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에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므로 신체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여 지며, 다문화가정 남아는 자아존중감과 신체이미지 간에 낮은 상관이 있으므로 다문화가정 남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sisting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in adapting to Korean society and school life, and providing basic references in reducing children's confusion in their identity and value.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and homogeneous children are identified and compared, and correlation between body-image and self-esteem is identified. The research subjects are 169 multicultural children and 245 homogeneous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In case of multicultural children, boys had higher self-esteem than girls, and in case of homogeneous children, lower-grade girls had higher self-esteem than upper grade girls. Additionally,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boys and girl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level on the appearance of particular body parts. On the contrary, homogeneous children demonstrated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image. Comparing level of self-esteem and body-im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lower grade girl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from Korean family regarding aggregate, personal and school self-esteem. In case of lower grade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greater satisfaction to their physical appearance, however, regarding upper grade childre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appearance showed except for body shape of male children. Higher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shown among lower grade male and female homogeneous children and upper grade boys. However, higher correlation was shown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This study identifies on all grade levels and gender,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children and homogeneous children on self-esteem and body-image, and also the study confirms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n particular, as strong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body-image is demonstrated among upper grade female multicultural children, one could note that self-esteem may be promoted using body-image. However, male multicultural children of all grade levels showed weak correlation, thus further research on the elements, which influence their self-esteem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 특성

        허선영(Hur, Sun young),김영욱(Kim, Young wook)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을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능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검사에 사용 된 대립어는 척도반의어, 정감반의어, 역동어, 역의어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3세∼4세 다문화가정 아동 18명, 일반가정 아동 18명으로 하였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 만 3세 8명, 만 4세 10명씩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에서 정상발달을 보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검사문항은 척도반의어 6쌍, 정감반의어 3쌍, 역의어 3쌍, 역동어 3쌍씩으로 총 15쌍, 30점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는 그림으로 된 도구를 제작하여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표현 검사 후 이해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어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정감반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척도 반의어, 정감 반의어, 역의어, 역동어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대립어 표현은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 중 정감반의어와 역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립어 이해와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해와 표현 모두에서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나 특히 표현에서 그 차이는 더욱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어휘관련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error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36 children:18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chronological age(CA) 3;0∼4;11 and 18 normal children that live in Gyeonggi-do. For the accurate research, Study children:3;0∼3;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8 people and 3;0∼3;11 normal children 8 people, 4;0∼4;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10 people and 4;0∼4;11 normal children 10 people. This study has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and converses. Summarizing all these resul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ocabulary acquisition is necessary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environment. There should be made variety of maps with different languages through the characteric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important role of comprehension in vocabulary learning.

      • 다문화가정 아동에 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연구-창원시를 중심으로-

        임미정 한국가정보육학회 2008 가정보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다문화 보육에 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보육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으로 다문화보육아동의 보육유무와 함께 부모의 국적과 다문화 가정 형성원인은?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보육 유·무에 따른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다문화가정보육아동이 있는 경우 일반아동과의 보육 상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보육에 대한 어린이집의 보육활동, 보육시설과 지역사회와의 연계활동 보육내용 및 보육환경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창원시 전체 374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9월 15일부터 10월 10일까지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16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보육은 이중 언어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기에 아동의 이중 언어에 교육의 필요성은 ‘필요하다’고 응답한 수가 87.1%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이중 언어 교육의 장소는 ‘보육시설이 되어야한다‘가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보육아동은 또래와 연합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보육과정 중 보육아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 보육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인지발달영역에서 다문화가정 보육아동과 일반아동을 차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보육환경에 있어서 다언어적 안내 표지판이 거의 없었으며, 다문화가정 아동이 보육시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육적 환경이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daycare centers' workers on the multi-cultural daycare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in order to establish an improvement way in the daycare polic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Based 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pecific issue on this study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First, in general issues on the daycare for multi-cultural home, what are the causes of the forming of multi-cultural home including parents with different nationalities and the presence of daycare in their children?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daycare centers'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aycare in children and in the daycare of children between the regular home and the multi-cultural home? Third, how are the daycare program and environment in the daycare center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and for the relation to local social communities? The subjective of this study was determined by 374 daycare centers in Changwon from Sep.15 to Oct. 10 and the study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in this period. Then, the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for final 116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swer for 'Yes' for the necessity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a high rate of 87.1% due to the need of bilingual daycare in which the answer for the place for the bilingual education was 'Daycare Center' as the highest rate of 40.5%. Seco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showed associated plays. Also, in the workers for the daycare program, they contributed to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ositive daycare environments in the daycare of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It means that the daycare centers' workers showed were no discriminative treatments in the daycare of children between the regular and the multi-cultural home in the cognitional development. Third, there were very few signs on the bilingual guidance in daycare environments and lacks in daycare environments for allowing the approach to the daycare facilit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hom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도덕적 실태 분석과 다문화적 덕목의 필요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중심으로-

        변순용 ( Sun Young Byun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의 실태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정이 밀접한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아동 30명과 지도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정의 사회·정서적 유능성을 조사하고, 교사 및 일반가정 아동의 인식과 비교하였다. 그리고 낮은 사회·정서적 유능성의 원인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아동과 담임교사를 인터뷰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사회 정서적 능력과 주의집중력이 낮았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교사들을 인터뷰 한 결과, 학교적응과 관련된 낮은 언어능력, 가정의 낮은 사회 경제적 여건, 한국문화 적응 스트레스들이 상호작용한 결과로 밝혀졌다. 이외에도 다문화가정 아동간의 또래 관계 형성, 부적절한 갈등해결, 낮은 학습 수행,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간의 긴장과 대립이 발견되었다. 이에 일반가정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지원하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인차에 유의하며, 활동중심으로 구성된 사회·정서적 유능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and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 with the teacher`s perception of it,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ed it`s implication to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sts were 30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150 elementary school student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2 teachers, sampled in the city at Gyeonggi-do which muticultural families were clustered and Seou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concent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lower those of children non-multiculural families. It`s the consequence interacted with lower communication ability, stress to adapt the korean culture, their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Second, They had many troubles: formation peer relationship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one, lack of ability to resolve conflicts, lower learning ability, tension and confrontation with non-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need more national education supports of activity base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y programs consisted of interacts with non-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should be reflected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세연(Oh, Sei Youen),박원배(Park, Won Bae) 한국범죄심리학회 201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6 No.3

        최근 결혼이주여성과 외국노동력 등의 유입으로 다문화가정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가지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의 특정적 요인 중 대표가 되는 세 가지 요인을 분류하여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가 발생되는 원인과 관련지어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의 아동에 대한 개념이나 아동학대의 특성 등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선행연구도 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의 아동 층이 형성되면서 연구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극히 제한적인 영역에서 연구가 수행되어 명확한 분석이 쉽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다문화가정의 문제점과 특징을 분석하여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인을 크게 언어소통의 부재와 가치관에서 오는 문화적인 갈등과 경제적 빈곤과 박탈감에서 오는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유대관계의 약화 등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다문화가정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과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 등으로 형성 된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갈등에서 아동학대를 막기 위해서는 다문화에 대한 문화적인 이해와 함께 언어소통 부재로 인한 갈등을 줄이기 위한 교육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둘째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인 고립으로 인해 방치되거나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받는 피해아동을 막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의 개선과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의지가 필요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유대관계의 약화로 오는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기관간의 지원연계 및 구축과 전문적인 인력의 확보를 통한 유기적인 관계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recent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due to the influx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foreign labor, various problems in those families have been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examine the three distinctive fact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raw up specific measures for the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analysis could be restrictive since this research was done within a very limited areas. The concept 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not clearly established yet. Furthermore, former studies had been done before the formation of children group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Hence, this study analyzed problem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existing multi cultural families. The findings from this case study showed that culture conflict from lack of communication and each one’s sense of value, stress from economic impoverishment and deprivation, and weakening of social ties are the three major causes of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As countermeasures on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suggests that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educational support with better cultural understanding to relieve conflicts caused by lack of communication and stop child abuse in multi-cultural families formed by the influx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foreign labor. Second, active national intervention and improvement of legal system are required to prevent those children from being abused physically and mentally as well as being abandoned by economic impoverishment and social isolation. And lastly, it is desirable to create close relationships with multi-national families through building support systems and securing

      • KCI등재

        지역사회 다문화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아동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 : 이주배경 아동 및 선주민 아동을 중심으로

        김혜미,정은희,한광현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원 2024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A지역 B복지관에서 실시된 다문화 통합프로그램의 종단적 성과를 평 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은 아동이 주도하는 놀이와 문화체험 활동 을 기반으로 하며, 이주배경과 비이주배경 아동이 포함된 총 18명의 아동을 대 상으로 3년간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연 속적인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 탕으로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 과 같다. 첫째, 다문화 통합프로그램을 통해 선주민 아동의 다문화 이해도가 증 가하였다. 둘째 이주배경과 비이주배경 아동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이 긍정적으 로 변화되었다. 셋째, 이주배경과 비이주배경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도성이 향 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통합프로그램의 지속적 운영 필요성을 제기 하며, 다문화 통합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실천적, 정책적 지원방안을 제안하는 데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explores the longitudinal outcomes of a multicultural integration program conducted at the B Welfare Center in Region A. The program is based on child-led play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and was conducted over three years with a total of 18 children, including both migrant-background and non-migrant-background children. The research methodology included conducting annual Focus Group Interviews (FGIs) to gather insights into the children's experiences, supplemented by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o evaluate the outcom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significantly enhanced native children’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second, it positively influenced the peer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for both immigrant and native children; third, it improved the self-esteem and self-leadership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need for the continuing and expanding the multicultural integration program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practical and policy necessary for the administration of such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