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가 행동계획수립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호선(Ho-sun Lee),이재한(Jae-Han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의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가 그들의 행동계획수립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다면평가제도 운용상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가 행동계획수립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가각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면평가제도 운용상의 특성인 평가 준거, 평가자 신뢰성, 및 평가결과의 피드백 등이 모두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도는 행동계획수립과 조직몰입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주는 의미는 다면평가제도를 도입하여 조직의 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다면평가제도를 수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면평가 제도를 운용하는 측면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평가 항목이 업무를 잘 반영하도록 구성하고, 평가자의 능력과 평가의 공정성을 제고해야 하며, 평가 결과가 적절히 피드백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행동계획수립과 조직몰입만을 조직의 성과변수로 고려하였고, 연구대상 기업이 한정되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에는 기업의 조직성과를 다양하게 반영하고,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an influence of employees" acceptance of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on their ac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ttain the objective, the first hypothesis was tested that employees" acceptance level of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is influenced by characteristics in practicing the system. The second and the third hypotheses were also tested that employees" acceptance level of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influence both on their action planning an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evaluation criteria, rater credibility, and feedback of evaluated outcomes, which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in practicing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a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mployees" acceptance level of the system. It also shows that employees" acceptance level of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ac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formulate organizational climate making employees accept multi-facet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implementing the system. To be more specific,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muti-facet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i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completely reflect the target tasks, ability of rater and fairness of rating should be developed, and feedback of evaluated outcomes should be appropriately informed to employee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considering ac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as organizational performance variables and not including more diverse sample firms. Further research should reflect these problems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 KCI등재

        정부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성과 분석

        조경호 한국인사행정학회 200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7 No.1

        본 연구는 2003년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시점에서의 다면평가에 대한 성과평가연구결과에 대비하여 2007년 기준으로 다면평가 운영성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할 목적으로 이루어졌고, 참여정부 인사개혁의 핵심에 있었던 다면평가제도와 그 운영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인 사례와 자료로서 평가하여 향후 개선점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현재 우리 정부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면평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다면평가가 조직구성원의 능력과 역량을 개발하고 향상시키는데 기여를 할 수도 있겠지만 오용할 경우 조직 내부의 계층 간 집단 간 통합(integration)을 저해하고 공정한 평가 문화의 정착에 역행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불신은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제도에 대한 신뢰는 떨어지고 있으며, 운영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시사하고 있는 점은 다면평가의 목적과 활용 방향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고, 다면평가를 적극 시행함으로써 오히려 기대했던 성과(예: 활발한 의사소통, 평정의 객관성 증진 등)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제도 운영상 제약요인이 너무 많아 제도 운영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기하기 힘들기 때문에 방향 선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다면평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안

        최근열 한국정부학회 2007 한국행정논집 Vol.19 No.3

        이 논문에서는 다면평가 운영과정별(다면평가 설계, 다면평가 실시, 다면평가 활용)로 국내 외 선행연구와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운영현황 자료 검토 및 담당자와 사전면담조사 등을 참고하여 주요 평가요소를 축출하여 구미시를 사례로 운영현황 실태조사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 다면평가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구체적인 다면평가 운영과정별 평가요소로는 다면평가 설계 과정에서 다면평가제도 수용성, 평가 목적, 평가 활용목적별 반영비율, 평가자 선정 범위, 평가자 선정방법, 평가자 수, 평가자별 구성 비율, 평가항목 및 척도, 평가항목의 가중치, 평가 대상자 선정범위 및 방식, 평가시기 등이며, 다면평가 실시과정에서는 평가자에 대한 교육여부, 평가에 따른 제반사항 숙지정도, 평가자료 충분성정도, 자기성과기술서 작성 유무, 평가자의 익명성 보장, 평가 방법 등이고, 다면평가 활용과정에서는 평가점수 조정방법, 최종점수 산정방법, 평가결과 공개 및 피드백 유무, 다면평가 결과 만족도 조사 여부 등이다. 이러한 평가요소에 대한 평가 방법은 먼저 운영현황 실태조사에서 다면평가 담당부서에서 제공한 다면평가 운영현황 관련 자료에 대한 내용 분석 및 담당공무원과의 면담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SPSS Win(Version 12.0)을 활용하여 문항별 빈도분석과 집단간 차이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가 다면평가제도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그 개선방안으로는 다면평가제도의 수용성 제고, 다면평가 결과 활용목적 범위의 확대 및 반영비율 개선, 합리적인 평가단 구성(평가자 선정범위 및 방법, 평가자별 구성 비율, 평가자 수 등), 평가항목의 구성 및 내용의 개선, 평가목적에 따른 평가대상자 범위 선정, 평가의 정기적 실시, 자기성과기술서 도입, 평가자의 익명성 보장과 평가 방법의 개선, 피드백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면평가제 도입에 따른 연공서열식 평정의 변화 연구

        최태선,여영현 한국행정연구원 2007 韓國行政硏究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다면평가제도의 도입 전, 후의 개인 평정상태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특히 실증분석사례가 적은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공기업 2개 기관을 중심으로 다면평가제도의 도입 전후에 따른 개인성과급 평가자료에 따른 상태확률(steady state probability)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마코브 분석을 택한 이유는 특정 제도나 시스템의 도입 이전과 이후의 비교, 즉 동일한 상태가 지속할 경우 확률적인 균형점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이 분석기법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사례 지방공기업 A, B의 경우 다면평가 도입 전에는 재직기간 긴 사람이 주로 높은 등급을 받고 재직기간이 짧은 사람은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을 받는 연공서열식 고과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다면평가제 도입 이후, 연공서열식 평정은 완화되어 재직기간과 개인성과등급간의 상관관계가 약화되었다. 즉 다면평가제 도입 이후 장기근속자가 높은 등급(A)을 받을 확률이 66%에서 53%로 감소하고, 장기근속자가 낮은 등급(B)을 받을 확률이 23%에서 47%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단기근속자가 낮은 등급을 받을 확률(D)이 11%에서 0%로 낮아졌다. 따라서 우리나라 지방공기업의 경우 다면평가 도입 이후 재직기간에 따른 인사평가 차이가 많이 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평정결과의 분석은 결국 다면평가제도의 효과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향후 공공부문에 대한 다면평가제도 도입의 확대 여부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줄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다면평가제도 활용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경상북도 공무원을 중심으로

        이수창,이환범 한국인사행정학회 201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앙 및 지방정부 기관에서 점차 기대효과가 약화되고 있는 다면평가제도에 대 한 평가를 토대로 다면평가제도 활용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 광역시와 경상북도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면평가제도의 운영에 따른 성과를 대상별(상급자, 하급자, 피 평가자, 동료, 부서장, 그리고 조직)로 평가하였으며, 인사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인터뷰(FGI)를 병행하였다. 평가결과, 다면평가제도는 상급자, 동료, 그리고 부서장 일부 측면에서 기대했던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 반면에 하급자, 피평가자, 부서장 일부, 그리고 조직 측면에서 기대했던 다면평가제도의 운영성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면평가제도 활용 시에 고려해야 할 점 또는 보완되어야 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면평가제도 수용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

        이을터(Lee, Eul-Teo),최정임(Choi, Jeong-Im)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0 No.3

        이 연구는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요소들을 우선 규명하고, 이 요소들과 수용성의 관계 그리고 수용성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국내 금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면평가제도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운영 요소로 평가기준 타당성은 수용성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다면평가제도 수용성은 조직유효성 가운데 이직 의도에 부(-)의 영향을 나타냈다. 이 결과를 통해 기업이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구성원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평가요소, 항목, 혹은 지표들을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 되도록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구성원들이 다면평가제도를 수용하면 회사를 떠나고자 하는 의지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 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하였다.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the members’ acceptance of a multi-source feedback system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ptance of this system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employees of a domestic financial company and hypotheses were tested by analyzing the results using a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riterion valid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nd the members’ acceptance of a multi-source feedback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quit a job.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valuation elements, items, or indices need to be directly related with the tasks that the members perform in order to increase the members’ acceptance of a multi-source feedback system and when the members accept this appraisal system,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company will be decrease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의 다면평가 도입실제와 개선방안

        백종섭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行政論叢 Vol.41 No.4

        본 연구는 참여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는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조사하여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위해 광역시의 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조사 내용은 다면평가제도에 대한 수용성, 평가결과의 반영비율과 활용도, 결과의 공개정도, 제도운영과정에 대한 내용,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평가와 관련한 부정과 부패가능성을 포함시켰다. 분석결과 수용성이 약간 높은 이유로 종래 제도보다 더 객관적이고 공정하기 때문인 반면, 반대 이유로 인기투표라는 점을 들었다. 반영비율은 30%미만을 선호하였고, 본인에게 공개하자는 인식이 높았다. 평가결과에 대한 만족도가 불만족도보다 약간 높았으며, 사전교육시간의 부족, 교육내용의 부실 및 평가관련 정보의 부족을 지적하였다.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해서는 본인보다 타인의 평가에 대해 긍정적이지 못하였다. 부정부패와 관련하여 평가자에게 청탁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도 17.3%로 나타났고, 실제로 평가와 관련하여 청탁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비율도 4.5%가 나왔다. 수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은 제도의 목적과 활용도에 대한 홍보와 교육강화, 결과의 공개, 운용과정의 합리성 확보, 평가요소의 조정 등을 제시하였고, 다면평가를 승진 등의 용도이외에 개인의 발전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모색과 이를 위한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평가제도의 운영과정에서 사전교육의 강화와 평가 정보의 충분한 제공 및 평가와 관련한 대표적인 안전장치를 정리하였다.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제도운영의 합리성과 투명성 강화, 평가자의 익명성 보장, 결과의 공개와 소청기회 부여, 전자인사관리시스템(PPSS)의 조속한 정착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청탁으로 인한 부정부패를 근절하기 위하여 평가자의 익명성 보장, 평가결과의 공개, 평가자에게 피평가자의 충분한 정보제공, 부정부패에 대한 강력한 제재수단 마련 및 PPSS의 구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survey and analyze on the consciousness of the local government employee about 360 degree feedback.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 on the policy show that many servants accept the system as it is more desirable appraisal than former method. On the contrary some respond that it is only a popularity vote. They prefer to offer the results only to themselves and use below 30%. It shows that the education time is too short and the contents are not enough. They believe that they are fair on the appraisal but the others are not unfair.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e strengthen the education, training and public relations on the 360 degree feedback. It is essential to offer the results, administrate the system rationally, constitute a proper appraisal elements, and retain an appraisal's anonymity.

      • KCI등재후보

        충청남도 다면평가제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고승희 한국인사행정학회 200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6 No.1

        다면평가제도는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제도를 마련하며 공무원의 불만을 최소화하고 조직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성과주의와 능력주의를 구현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되었다. 현재 많은 공공기관에서 이러한 방향으로 제도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지방공무원법 개정으로 2004년부터는 다면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되어 제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남도청의 경우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적부분은 다면평가에서 가급적 배제하고 태도나 역량중심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질문항목의 구성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면평가결과를 토대로 개인별 보고서를 만들어 평가 받은 사람에게 피드백을 줄 필요가 있다. 물론, 현시점에서 당장 추진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도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으로 다면평가의 본래 취지를 살리기 위한 이론적, 방법론적 노력을 병행해 나간다면 현실 행정의 문제를 개선해나가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다면평가제도의 산업보안 분야에 대한 활용방안과 효과성 분석

        황윤희,정호준,유진호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15 한국산업보안연구 Vol.5 No.2

        최근 내부자에 의한 정보유출 사건이 이슈화됨에 따라 정보보안업계에서의 인 사관리가 주목받고 있으나, 현실적인 대안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나 정보 보안업계의 특성 상 비용절감을 이유로 아웃소싱 이용비율이 증가함에도 불구하 고 해당 업계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정보보안업계 인력관리 현황 및 관련제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다면평가제를 도입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ISO 27001과 ISMS의 ‘인적보 안’ 관리항목을 분석하고, 다면평가제 도입 As-Is vs To-Be 모형을 완성하여 외주업체 인력이 인사평가에 참여하는 다면평가제 도입의 당위성을 설명하였다. 다면평가제의 적합성은 대표적 유출사고 6건에 대해 인사관리 변화 후 가상시나 리오를 작성하는 것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기업은 다면평 가제를 채택함에 따라 아웃소싱 인력의 원활한 관리를 통해 보안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has been highlighted in the information security business because of insider’s information spill but, there is no realistic alternatives. Specially, it seems that this problem is not reflected since many companies use the outsourced service to reduce the cost. 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troduces the multi source assessment on the findings of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related system on information security business. Making detailed comparisons between ISO 27001 and ISMS of human resources managemnet, this study makes the model of introducing the multi source assessment on As-Is Vs To-Be and explains needs of the multi source assessment that employees of the outsourced service participate in performance appraisal. After chang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Multi-source assessment’s suitability was verified by setting virtual scenario about representative 6 data leak examples. This research results expect that Introducing the multi source assessment which successfully manages the outsourcing worker improves the information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