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D-PLANS를 활용한 편물자수 디자인

        박문희(Moon Hee Park),정미애(Mi Ae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4

        니트웨어는 기능성을 넘어 조직의 다양화와 소재의복합성으로 그 수요가 점점 많아짐에 따라 창의적인 니트웨어가 나올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패션산업은 정보산업으로서 편직 기계 및 컴퓨터시스템 활용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편물 자수 기법중의 메리야스 자수기법의 활용은 독특한 질감으로캐드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에 접목된다면 니트디자인 개발의 한 방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4D-PLANS(Design CAD)의 니트PLAN을 이용하여 편물 자수 기법중의 메리야스 자수기법으로 니트 디자인을 하고자 한다. 문양은 회화적이미지의 꽃을 모티프로 니트PLAN의 스티치와 니트를 활용해 시뮬레이션하여 실제 수작업으로 하던 작업의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면서 독특한 디자인과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니트 디자인의 표현영역, 변화요소, 편물자수의 종류를 살펴보았고, 편물자수를 활용한 니트 디자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디자인 및 절차에서 4D-PLANS의 P-Plan에서 인덱스이미지(Index Image)의 색정리 과정을 거쳐 메뉴의 옵션으로 이미지 변환을 하여 니트 기호를 선택해 편성한다. 니트 조직은 질감보다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하여 플레인 조직을 선택하였고, 스티치와 니트의 편성된 이미지를 확인하면서 스티치에서 도구 툴로 수정 후 도식화에서는 메쉬 K에서 메쉬 툴로 원하는 부분에 니트 문양을 입력하여 완성하였다. 메리야스 자수 기법은 4D PLANS에서 게이지를 입력하여 게이지그래프로 문양을 수정, 확대와 축소를 정밀하게 할 수 있어 회화적인 꽃의 이미지를 화려하고 입체적이며, 수공예적인 느낌이 나게 표현해 주는 독특한 기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D PLANS의 활용은 게이지그래프와 이미지를 니트로 바로 편성해 볼 수 있어서 편물 자수기법을 응용할 때 수정이 용이하고, 색상을 변환해보고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As the structure of knit wear is diversified andcomplex materials are used in knit wear, more creativemethods of knitting are required in various way beyondfunctionality. Fashion industry, as information industry, utilizes knit machine and computer system at the sametime. Medias Embroidery is a way of knit embroiderytechnique that utilizes diverse material and has adistinctive texture. Application of Medias Stitch onmodern knitwear design may suggest a new way ofknit design. In this study the program KNIT PLAN of thedesign CAD 4D-PLANS is used to apply MediasEmbroidery to knitwear design. The pattern whosemotif is a flower of pictorial image is simulated by thestitch and knit program of KNIT PLAN. The purpose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method for creativedesign and higher productivity by using computersimulation to save time and effort. Document research is done on expression, variationfactor, kinds of knit stitch, and design cases of knitstitch. In design process of 4D-PLANS colorarrangement of index image was processed in P-Planand image was transformed in menu option. ThenK-Plan selected the knit sign and organized. Plainstructure was selected to stress image more thantexture. The organized image of stitch and knit waschecked and simultaneously modified by tools in stitch. In diagram mesh tool of mesh K was used to completethe knit pattern into the wanted area. In conclusion, the Medias Stitch of 4D-PLANS canfeed gauge and the gauge graph can modify, enlarge, and reduce the image in a precise way. Medias Stitchis the unique technique that can express the pictorialimage of a flower in solid 3-dimensional and hand craftway. 4D-PLANS allows us to modify the pattern easilyand change and check colors immediately, saving timeand effort a lot for better productivity.

      • KCI등재

        CAD 프로그램을 활용한 니트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김수연(Kim, Soo-y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3

        현대 섬유 산업은 소비자들의 개성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작업을 통한 개발이 많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과거의 섬유 산업이 생산 지향적이었다면 현재는 장식적이며 소비적 성향이 강한 패션 산업으로 시장과 소비자 중심의 고품격 제품을 추구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의류패션 산업의 경우 편성물의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니트는 직물과 달리 다양한 재질감을 가진 원사의 선택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짜는 단계에서부터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색상을 달리함으로써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어 복잡한 형태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패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고 니트산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 니트를 실제로 편성하지 않고도 텍스타일 CAD(Computer Aided Design) 시스템을 활용하여 니트디자인을 진행한다면 작업 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니트시장에 있어서 국제적으로 높아지는 경쟁시장 구도에서 대외적으로 경쟁력을 갖고, 내부적으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니트디자인 제조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텍스타일 CAD 시스템의 특성에 대해 검토하고 향후 시스템의 발전적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니트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절한 자카드 니트 CAD 프로그램을 활용한 니트디자인 프로세스를 본 연구자의 작품을 예시로 제시하여 유용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니트 조직 중 자카드 조직은 조형성을 부각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화려한 색상과 문양을 편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자는 다양한 니트 편성방법 중 자카드 니트 기법을 활용한 니트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였고 니트디자인 CAD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인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 textile industry of today requires much development through various design works in order to meet the individualized trends of consumers. Whereas in the past the textile industry was production-oriented as a strongly decorative and consumption-oriented fashion industry, it now pursues high quality products focused on markets and consumers globally.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knitted products along with a rise in the market share of knitted products in the latest garment fashion industry. Unlike textiles, for knitwear it is possible to vary the selection of yarns with diverse textures. Also, the design may be changed by differing structures or colors from the weaving stage; therefore, it has an infinite potential for new designs. In order to cope promptly with such changes in fash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future-oriented high value added knitwear industr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ead time during working as well as costs if the knitwear design can be carried out utilizing a textile CAD (Computer Aided Design) system. Furthermore, in the competitive market structure which is becoming enhanced internationally in the knitwear market, this will enable preparation for competitiveness externally and enable the demands of customers to be catered for interna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 textile CAD system simulation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the knitwear design manufacturing process, and it attempted to furnish a basic design process for the advanced utilization of the system for the future. Also, for the reinforc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knitting industry, the study aimed to discover its utility by offering a knitwear design process utilizing an appropriate jacquard knitting CAD program. Specifically, not only does the jacquard texture among knitting textures emphasize formativeness, but it also makes it possible to knit various and brilliant colors and patterns. In this regard it may be utilized a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into a knitwear design process utilizing a jacquard knitting technique from among diverse knitting methods. Moreover this study will help in making efficient design in terms of time and economic efficiency as well as enabling more creative designs by utilizing a knitting design CAD program in applying the knitting design process.

      • KCI등재

        개인의 능력과 니트(NEET) 확률 간의 상관성: 대졸 청년층에 대한 분석

        남기곤(Kigon Nam) 한국경제발전학회 2019 經濟發展硏究 Vol.25 No.3

        국제적으로 볼 때 한국은 청년 니트(NEET) 비율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특히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고학력 계층에서 니트 비율이 심각하게 높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왜 이처럼 대학 이상 고학력 청년층에서 니트 비율이 높은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어떤 특성을 가진 청년일수록 니트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지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가정환경이 여유로운지 여부는 니트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의 능력과 니트 확률 간에는 뚜렷한 마이너스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1년 6개월이 지난 1차조사 시점과 이로부터 2년 후인 3년 6개월이 지난 2차조사 시점 간 청년층의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양상을 추적한 결과, 이 기간 동안 니트 비율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차조사에서 니트 상태에 있던 그룹과 2차조사에서 새롭게 니트 상태로 변화한 그룹 간에는 능력과 관련된 대부분의 변수들이 유의한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졸업 후 초기에 취업해 있더라도 능력이 낮은 사람을 중심으로 다시 니트로 변화하는 경향성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단순히 이들을 취업으로 유도한다고 해서 니트 문제가 해결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시사해준다. Internationally, Korea has a higher NEET rate than other OECD countries, especially in the highly educated youth with college or higher education level. In this paper, I analyze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find out why NEET rate is high in Korean college graduate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NEET probability shows that the variable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NEE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lear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NEET probability. Next, I analyze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atus of college graduates between the first survey (one year and six months after college graduation) and the second survey (three years and six months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NEET ratios in both surveys are nearly similar. In addition, mos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abiliti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ET group in the first survey and the new NEET group in the second survey. This shows that there is a tendency to become a NEET again, especially for college graduates with low ability, even if they are employed early after grad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EET problems can not be solved simply by inducing them to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 KCI등재

        일본 현대소설에 보이는 니트 표상 -이토야마 아키코(絲山秋子)의 『니트』를 중심으로-

        이정화 ( Lee Jung-hwa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본고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경제침체 때문에 야기된 청년고용문제 속에서 나타난 니트를 이토야마 아키코가 단편소설집 『니트』에서 어떻게 표상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일본 사회의 니트 비판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일본 사회에서는 90년대에 들어서 버블경제가 붕괴되고, 그 후로 장기간 이어진 경제침체 때문에 젊은이들이 취업난에 내몰렸다. 그러자 취업을 포기한 젊은이들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니트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니트가 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들이 있지만 니트가 점차 늘어나는 현상을 규명하려는 사회학 연구들에서는 청년들이 처한 사회적 조건을 문제 삼기보다는 자립하지 않는 청년들 개인의 심리적 특징을 부각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의 영향으로 니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었다. 한편 이토야마 아키코는 『니트』라는 제목의 소설집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니트를 그려내고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바, 사회에서 니트라고 불리는 대상들의 성격적인 특징을 부각하여 캐릭터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 과정에서 사회에서 대두되는 비판과 옹호의 입장을 선택하여 니트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보다는 니트에 대한 비난이 노동이라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에 근거해 노동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밝히고 있다. 그 결과 이토야마는 현대 사회에서 니트가 노동윤리에 의해 비판받고 있지만, 사실 그 노동윤리에는 모순이 존재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니트는 `개인의 선택` 문제이며 이에 대해 비난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그리고 그러한 태도는 수록작품 「니트」와 「2+1」에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니트를 그리면서도 관찰자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화자의 모습에 잘 나타나 있다. 이토야마는 소설집 『니트』를 통해 개인의 의욕문제로 귀결되어 사회에서 비판받는 니트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This paper looked into Itoyama Akiko`s collection of short stories 『NEET』 to see how she is demonstrating NEETs who emerged amid a pending youth employment issue, which was caused by a protracted economic recession and how she views Japan`s social criticism of NEETs. Japanese society saw economic bubble burst in the 1990s. The following long- term economic recession made many young Japanese suffer from unemployment. As a result, many young people gave up getting a job, and the word “NEET” was used to call them. There are many reasons why one becomes a NEET, but social science studies on the increasing number of NEETs emphasized the mindset of the youth who are not standing on their own feet, rather than raising an issue about the social conditions they are facing. Meanwhile, in her collection of short stories 『NEET』, Itoyama Akiko is describing the lives of NEETs in many different ways. More specifically, the author is characterizing NEETs by highlight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are called NEETs by society. However, instead of making any assessment of NEETs by siding with either social criticism or social advocacy, the author expressed her person opinion regarding labor, based on the fact that the criticism of NEETs began as a labor issue. As a result, Itoyama is making it clear that even though NEETs are being criticized in this society based on labor ethics, there is an irony in such labor ethics. In that vein, Itoyama concludes that being a NEET is about an “individual`s choice,” which cannot be subject to criticism. The author`s attitude is well demonstrated in the listed stories 「NEET」 and 「2+1」, where the narrator describes passive and inactive attitudes of NEETs while staying as an observer. Through her collection of short stories 『NEET』, Itoyama is offering a chance to reconsider the social criticism of NEETs, who are blamed for lacking will.

      • KCI등재

        니트웨어에 표현된 슬래쉬의 시지각적 공간 깊이 효과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과거에 비하여 현대 패션에서 차지하고 있는 니트웨어의 활용 비율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디자인의 표현 영역과 기법들이 여러 각도에서 시도되고 있다. 의복의 조형성을 표현하는 기법의 하나인 슬래쉬도 니트웨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슬래쉬의 표현에 대한 다양한 조형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니트웨어의 슬래쉬의 기법의 활용에 비하여 그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미흡한 실정으로써 니트웨어 슬래쉬에 대한 미학적 고찰과 시각적 표현 효과에 대한 구체적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표현된 슬래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니트웨어 디자인의 표현 기법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더불어 이를 미래의 니트웨어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표현된 슬래쉬의 특성을 고찰하고, 2000년 이후 국내외 니트웨어에 표현된 슬래쉬의 시지각적 공간 깊이 표현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슬래쉬의 표현 기법과 시지각적 공간 깊이의 효과이다. 연구의 방법은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슬래쉬의 정의와 표현 경향, 시지각적 공간 깊이의 정의를 고찰하였으며, 니트웨어에 표현된 시지각적 공간 깊이의 유형, 그리고 니트웨어에 표현된 슬래쉬의 시지각적 공간 깊이의 효과는 2000년 이후 국내·외의 걸렉션에 나타난 디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시지각적 공간 깊이는 물리적 공간 깊이와 심리적 공간 깊이로 구분되며, 그에 나타난 공간 깊이의 표현 효과는 공간의 개방감, 공간의 비영역성, 공간의 투명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의 디자인 기법과 구성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usage of knitwear in the modern fashion is on the increase more and more, when compared to that in the previous fashion. Accordingly, the diversity is realized in many respects for realms and techniques in design expression. Slash technique, a formative expressions in clothing, is now being applied to knitwear products. As a result, the various types of formativeness appear in expression regarding the knitwear and slash. Though there are abundant applications about knitwear slash technique, the study on this skill doesn`t seems to be enough. Therefore, more specific study should be required for aesthetic examination and visual expressive effect. For this reason, this paper would give it a try to have an in-depth work about slash skill expressed on the knitwear. From this, the work would provide the better understanding in its expression method and use the output for knitwear design for the future. This study would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knitwear and analyze the visual perception about space and depth and the trend for knitwear slash since 2000. The main areas to be covered in the study would be definition and expression tendency of slash, definition of visual perception about space and depth, types of spatial and depth visual perception, and effect from visual perception about slash denoted in the knitwear. It turned out that the expressed way in knitwear could be separated into the physical space and depth and the psychological space and depth in terms of visual perception. The expression effects in space and depth were shown in such a feature as spatial openness, non-realm feature in space, and spatial transparency. The final works herein would provide the organized theories, which is necessary to comprehend the designing skil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ntemporary knitwear, and through which, some useful information would be available for the development of new design in knitwear and the interpreting scope in costume culture.

      • KCI등재

        청년 니트(NEET) 변화 유형 비교 -4년제 대학 졸업자 중심으로-

        이민서 ( Lee Minseo ),김사현 ( Kim Sahy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2

        이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대학 졸업 청년의 니트(Not in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NEET)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집단 내 상이한 변화 궤적을 추정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집단중심 궤적 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 GBTM)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네 가지 유형의 변화궤적을 도출하였다. 첫째, 4년제 대학 졸업 청년의 니트 경험은 서로 다른 네 가지 궤적의 양상을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 ‘비니트-니트 변동형’으로 비니트 상태에서 시작하여 니트 상태로 일정 기간 이행했으나 다시 비니트 상태로 변하는 양상이다. ii) ‘비니트 유지형’으로 비니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형이다. iii) 니트 상태에서 가장 빠르게 니트를 탈출하는 양상을 보이는 ‘빠른 니트 탈출형’이 있었다. iv) 마지막으로 ‘느린 니트 탈출형’은 니트 상태에서 비니트 상태로 이동해 가지만 관찰 기간 동안 비니트 상태에 정착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연구는 변화 궤적간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을 찾고자 추가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니트 유지형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니트 탈출형’과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구체적으로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며,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독립을 하지 않았을수록 빠른 니트 탈출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교육 및 훈련 횟수가 적을수록, 취업 사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시험준비를 하는 경우는 빠른 니트 탈출 유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반면, 다른 유형에 비해 수도권에 거주하고 아버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에게서 독립했을수록, 직업교육 및 훈련을 많이 받을수록 기준집단인 비니트 유지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nges in NEET(Not in Employment, Education, and Training) by focusing on graduates of 4-year universities over a period of time in order to estimate the different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highly educated youth group. In conducting the research, the concept of NEET was used to discuss issues outside of the youth labor market. In add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due to their higher education, which is a large feature of the Korean youth NEET group.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nge in youth NEET using the group-based trajectory model(GBTM). The researcher also conduct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d th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hanges. There were two main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The first is the ‘Non-NEET - NEET Variance Type’ in which subjects start in the non-NEET state and transition to the NEET state for a period of time before reverting back to the non-NEET state. The second is the ‘Non-NEET Maintenance Type’. This type refers to the stability of the non-NEET state. The third is the ‘Fast NEET Escape Type’, which shows the fastest escape from NEET. The final is the ‘Slow NEET Escape Type’, which indicates directionality from the NEET state to the non-NEET state. However, the ‘Slow NEET Escape Type’ did not experience a stable non-NEET stat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rough this, different traces of change were identified inside the group of graduates of universities. By categorizing the different types of NEE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istinguish the changing patterns of youth NEET.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NEET types of young graduates of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f the ‘Non-NEET Maintenance Type’ youth were not yet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and had fathers with lower education levels than their own, the youth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Non-NEET - NEET Variance Type’. Subjects belonging to the ‘Fast NEET Escape Type’ were found to live in non-capital areas rather than capital areas, and had a higher household income than the ‘Non-NEET Maintenance Type’. In particular, the lower the amoun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higher the amount of experience with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the subject being a ‘Fast NEET Escape Type’. If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low and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other type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the subject being a ‘Slow NEET Escape type’. In addition, if the subject had a higher household income, job training experience, or was preparing to take a professional exam, they were more likely to be a ‘Slow NEET Escape typ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ET experience and graduates of univers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tegorization of NEET changes and the human capital theory. Policy implications require personalized long-term support in order to intervene in the NEET complications faced by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addi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 for early intervention in youth NEET need to be promoted before students complete their institutional education or training.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엿보기" 현상에 관한 연구

        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현대 니트웨어는 편성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의복의 표현 영역을 확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니트 패브릭(Knit Fabric)은 루프로 연결되어 있어 우븐 패브릭(Woven Fabric)과는 다른 독특한 부드러움과 유연함을 표현할 수 있다. 특히 니트 패브릭의 처짐과 다공성은 인체를 적극적으로 나타내거나 강조할 수 있기 때문에 신체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노출을 표현하는 의상에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인체를 인식시킬 수 있는 의복은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확대되고 있는 엿보기 현상과 관계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우븐웨어나 니트웨어 모두 엿보기 현상에 영향을 받고 있지만 그 표현 방법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 점에서 니트웨어만이 가지고 있는 엿보기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과 표현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니트웨어에 표현된 엿보기 현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니트웨어 디자인의 표현 기법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를 미래의 니트웨어 디자인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는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엿보기 현상에 대한 고찰과, 해외 컬렉션 작품 가운데 엿보기 현상에 영향을 받은 니트웨어의 표현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된 범위는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엿보기 표현 유형 분류와 그 효과 및 특성이다. 연구 방법은 우선 엿보기 현상에 대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하였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니트웨어의 엿보기 표현 방법 및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 의복들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였다. 작품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는 2010년 이후 국외 컬렉션에 발표된 니트웨어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 결과 엿보기 현상에 영향을 받은 니트웨어 표현은 관찰적 엿보기와 투시적 엿보기로 구분되었으며, 컬렉션 작품에 나타난 엿보기 현상의 표현 특성은 투명성, 관능성 그리고 동시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의 디자인 기법과 구성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하고 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With advent of knitting technology, the modern knitwear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expending the expression realm of costume. Structure of knit fabric is connected in the form of loop, which enable to express softness and flexibility unlike that of woven fabric. Especially, the property of drapability and porosity in knit fabric help to show the human physical shape positively or stress its feature. For this reason, this is applied to a wide range of costume design directly or indirectly. Clothing as a sensuous tool that recognizes the human body could be in the context of peeping phenomenon as part of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society. It was also found in this research that though both woven wear and knit wear are influenced by the peeing phenomenon, they are different in the way of expression. In this thread,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a pry feature unique to knitwear only and examine its expression effect. Therefore, this paper would perform the peeping phenomenon given in the knitwear and then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expression technique in knitwear design. Further, based on this, this work would provide the application method with a view to future design for knitwear products. For the specific research to carry out the work, this paper would look in to conditions shown the modern knitwear and analyze types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fluenced by such a pry among the works introduced in foreign collection. For the main analytic range to be covered, this work deal with the classification of types in the peeping expression, its effect, and characteristics featured in the modern knitwear. As to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theoretical approach was performed about the peeping phenomenon, first. Based on the result from this, peeping expression methods and types expressed in the modern knitwear were induced. Lastly, those expression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the detailed materials for this analysis, this writing put focus on the pieces introduced in the overseas collection since 2010.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expression types related to peeping could be divided into observation peeping and projection peeping.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works appeared in the group of transparency, eroticism, and simultaneity. From the findings in this work, it made it possi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design techniqu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knitwear by organizing the theories. By doing so, necessary knowledge could be provided in order to widen the interpreting range in developing a new style of knitwear design and costume culture.

      • KCI등재

        OECD국가의 ‘청년 니트(NEET)’ 유입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최용환(Choi, Yonghw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4

        최근 OECD 국가에서 청년 니트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OECD국가를 대상으로 20세부터 29세의 ‘청년 니트’ 유입에 대한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증모형은 기존연구의 문헌분석을 통해 경제활동인구, 경제성장률, 장기실업률, 고졸과 대졸의 임금격차,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재정지원, 법적지원)을 고려하여 동적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경제발전 수준은 청년 니트 유입과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경제발전의 양적 지표인 ‘1인당 GDP’뿐만 아니라 질적 지표인 ‘총요소생산성(TFP)’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에 따른 임금격차는 청년 니트 유입을 높이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둘째, 장기실업률이 높아지면 청년 니트의 유입도 높아졌고,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청년 니트의 유입은 낮아졌다. 셋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은 재정지원, 법적지원 모두 청년 니트의 유입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고,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났다. 나아가 총요소생산성의 구성요인을 R&D역량, 교육역량, 제도특성으로 세분화하여 청년 니트의 유입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교육역량 중에서 PISA성취도는 청년 니트의 유입과 관련이 없었으며, 평균 교육년수가 높아지면 오히려 청년 니트의 유입이 높아졌다. 반면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제도(educational system)와 대학교육(university education)은 연령대가 높은 청년 니트의 유입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평균 교육년수와 PISA 성취도가 높으면서, OECD 국가 중에서 청년 니트의 규모도 큰 우리나라에게 시사점을 준다.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flux of the 20-29 year old NEET population, employing the Dynamic Panel Model based on OECD data from the year 2005 to 2013. As for the economic growth rate, GDP per capita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were also included, and these were closely linked to the influx of NEETs. Firstly, wage disparity based on academic achievement was a significant factor of influence in raising the NEET population. If the long-term unemployment rate rose, the influx of NEETs increased, when it decreased, the economic growth rate dropped. NEETs can be affected by economic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n active labor market policy(ALMP) had an lowering effect on the influx of NEETs, as did TFP. Considering this, the present study sub-divided TFP components into three factors; R&D,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o estimate their specific influences on the influx of NEETs. As for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PISA had no correlation with NEETs whereas the increase in average schooling accompanied an increase in the NEET population. Meanwhile, university education and an educational system that produces competitive human resources had an lowering effect on the inflow of the older NEET popul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니트 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니트 디자인 교육에 관한 고찰

        김성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for better knit design education and knit industry in Korea, through investigating knit design education of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Knit fabric and product hav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textile exports of Korea and are getting more important to step forward to higher value-added business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the lack of knit-related education in Korea is clarified comparing with its industrial scale. According to the survey of 100 knit designers in Korea, majority of them have no experience to take knit class through their school days, and they consider knit design education is an essential element. Developed countries, UK, USA, Italy and Japan, there are exclusive knit design major and student can specialize in knit design in fashion and textile design course. In Korea, 2 colleges have exclusive knit design major, but none of universities have knit design major and only one or two knit-related classes in fashion and textile design course. In this circumstance, three major points to be suggested. Firstly, It would be premature to set up knit design department separately in lacks of current infrastructure, proposal of required subjects about knit could be alternative attempt. Secondly, the balance of design sensibility and technical aspect is important for the effective knit design education. Thirdl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hould be connected to regional specialization for student's practical knowledge and techniques. 본 연구는 국내외 니트 디자인 관련 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 니트 디자인 교육의 개선책을 고찰, 개선 강구책 구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섬유수출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온 니트 산업의 규모에 비해 니트 교육의 현실은 상대적으로 열악한 실정이다. 국내 니트 디자이너 1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과반수가 니트 관련 교육 무경험자들로서 니트의 고부가가치화와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니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해외 패션·텍스타일 산업 선진국 사례 조사 대상국인 영국, 미국, 이태리, 일본은 니트 디자인 단독의 학과 혹은 패션·텍스타일 디자인학과에서 니트를 세부 전공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산학과의 연계도 활발하며 디자인과 기술 교육의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국내 대학은 2년제 대학 두 곳에서 니트 단독의 학과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외에 4년제 대학에서는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에서 니트 관련 한두 교과목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첫째, 니트 관련 교과목수를 증강하고 개설 교과목수에 따른 단계적 필수 교과과정을 제안한다. 둘째, 니트 디자인 특성상 디자인 감성 교육과 기술적 측면 교육의 조화가 필요하기에 수업조교의 재교육을 통해 테크니션화하여 교강사의 디자인 감성 교육과의 효율적인 역할분담을 모색한다. 셋째, 선진 사례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지역특화 연계 산학 교육과 교육기관 단계별 역할 수행을 위한 롤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현대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에 관한 연구

        강숙녀(Sook Nyeo Kang),권진(Jin Kw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사람들은 오래된 옛 물건을 통하여 과거를 동경하고 향수를 느끼게 된다. 특히 앤틱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를 경험하게 하는 실용품으로 대량생산 체계의 획일성과 단순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오래된 물품에서 오는 친숙한 느낌의 심리적 안정과 수공예 작품에서 얻는 예술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생활예술품이다. 앤틱에 대한 동경은 단순히 앤틱 물품을 수집하고 소장하는 것에서 벗어나 앤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디자인한 것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패션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니트웨어에서도 그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점에 착안하여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에 대한 구체적인 표현 특성의 고찰과 미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것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니트웨어에 나타나는 앤틱 이미지를 고찰하여 니트웨어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더불어 이를 니트웨어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앤틱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을 고찰하고, 현대 해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의 앤틱 이미지와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범위에는 니트웨어에 표현되는 앤틱 이미지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효과이다. 연구 방법은 우선 2005년 이후 국외 컬렉션에 소개된 니트웨어 가운데 앤틱 이미지가 표현된 작품을 선별하고, 그 작품들을 중심으로 앤틱 이미지의 조형성 및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니트웨어에 표현된 앤틱 이미지의 조형표현은 형태, 소재, 색채, 표현기법으로 구분되었으며, 앤틱이미지의 유형은 레트로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 클래식 이미지, 컨트리 이미지로 대표되었다. 현대 니트웨어에 나타난 앤틱 이미지의 미적 특성은 역사성, 복합성, 향수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현대 니트웨어 표면의 텍스타일 장식 특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이론들을 정리·제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니트 디자인의 개발 및 복식 문화의 해석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People have a thirst for the past and feel the nostalgia through old objects. Especially, an antique, which is a useful reminder of the past at present, satiates the psychologically friendly stability imbedded in old articles and the artful desire from handicraft works by avoiding uniformity and simplicity in mass production. This trend is found in the fashion industry via re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antique in the modern sense out of simple collection and housing of antiques. In the same context, multifaced image expressions are also found in the knitwear. With this idea, the necessity for research is required to examine the specific expression type and analyze the esthetic characteristic regarding the antique image given in the knitwear. Therefore, this study would aim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features of knitwear designs through review over antique image found in them and giving assistance to development of them. The study herein looks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antique and then analyzes the knitwear antique images introduced in overseas collections since 2005. The mainly covered range for study is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esthetic effect of antique image expressed in the knitwear. For the research method, works revealing the antique image were selected among the knitwears in the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 occasions since 2005. Based on this, the antique image`s formativeness and esthetic feature in them were analyzed. In regard to research material, such vehicles were used as information data base inside and outside the country and network browsing on the internet, related books, and printed publications as well as dissertations and single volumes. As a result, the antique image`s formativ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knitwear could be classified as form, material, color, and expression technique. And the antique image could be classified as retro image, romantic image, classic image, and country image, The antique design could be characterized in the form of historic feature, complexity, and nostalgia. Results and contents from this study would help to have the organized theories in understanding the textile decoration characteristic about the surface of modern knitwear and provide the information available for extension of interpretation scope of the development of new knitwear design and costum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