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재적방사선검사에서 환자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박형신(Hyung-Sin Park),임청환(Cheong-Hwan Lim),강병삼(Byung-Sam Kang),유인규(In-Gyu You),정홍량(Hong-Ryang Ju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2 방사선기술과학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중재적 시술을 시행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 시술 당 환자의 피폭선량을 측정 및 평가하여, 우리나라 환자들이 중재적 시술을 시행 받을 때에 받게 되는 방사선 피폭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중재적 방사선 시술 시 환자 피폭선량에 대한 기준 선량 권고안을 마련하며,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각국의 중재적 방사선 분야에서의 환자 피폭선량을 조사하였고, 주요 병원에서 대표적인 중재적 시술을 대상으로 각 시술 당 환자가 받게 되는 피폭선량을 주요 신체 부위에 부착한 열형광 선량계(TLD) chip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혈관조영장비에서 얻어지는 면적선량(dose area product ; DAP)값을 이용하여 유효선량(effective dose; ED)을 측정하였다. 중재적 방사선분야에서의 환자 피폭선량과 관련된 연구와 자료는 진단 방사선 영역과는 달리 상당히 적은편이었다. 이번 연구에서 TACE의 평균 ED는 25.19 mSv로 나타났다.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은 아니지만, 몇 달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시행 받아야 하는 시술의 특성상 누적선량(cumulative dose)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TACE의 평균 표면입사선량(ESD)은 511.75 mGy로 비교적 안전한 편이나, 최대 ESD는 4,346 mGy 까지 측정되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부 TACE 시술에서는 결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시술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AVF 시술과 PTBD의 평균 ED는 각각 0.28 mSv와 4.8 mSv로 비교적 낮은 수준의 환자 피폭선량을 보였다. TFCA의 경우 평균 ED는 22.6 mSv로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환자 피폭선량을 보였다. GDC embolization의 경우 대부분의 병원에서 DAP값이 지원되지 않는 구형장비를 사용하는 관계로, 이번 연구에서는 ED값을 구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평균 51.1분의 투시시간과 평균 2,264 mGy의 높은 ESD를 보이고 있어, ED 역시 상당히 높으리라 예상되며,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TFCA와 GDC embolization을 병행하여 시행하는 경우 약 3 Gy의 선량이 피폭되므로 방사선으로 인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사야를 변경하여 시술하는 것을 권고한다. To perform patient dose surveys in major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as a mean of inter-institutional comparison and of establishing reference dose levels with the ultimate goal of optimizing patient doses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graphy. We reviewed international patient dose survey data in the literature and measured patient dose in major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TACE, AVF, PTBD, TFCA, GDC embolization). ESD(Entrance Skin Dose) was measured using TLD chips attached to the patient skin and ED(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angiography unit-derived DAP. A survey of patient dose in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were also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for interventional radiologists and we proposed a guideline for optimizing patient doses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logy. The patient dose survey data in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were very rare in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diagnostic radiography procedures. In TACE, the mean ED was 25.43 mSv and the mean ESD was 511.75 mGy. The mean ED of TACE was not high, but the cumulative dose should be checked, due to longer procedure TACE. In TFCA, the mean ED was 22.6 mSv and it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data of other countries. In GDC embolization, the mean ED was not available, because GDC embolization was performed with old Image-Intensifier-type unit and there has no unit-installed ionization chamber. Also, the mean ESD of GDC embolization was up to 2,264 mGy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alculate the net ED of GDC embolization. Patient dose occurred during interventional radiography procedures are high related with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fluoroscopy time, the number of angiographies and the treatment protocol. Therefore, continuous education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optimize the patient dose in the field of interventional radiology.

      • KCI등재후보

        저 선량 베타선의 조사에 의한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이병구(Byung-Koo Lee),임인철(In-Chul Im),김종언(Jong-E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2

        본 연구는 저 선량 베타선의 장기간(31일) 조사에 의한 춘향이 열무와 알타리 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은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에 대하여 각각 1개 샘플의 대조군과 11개 샘플의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종자들은 각각의 샘플에서 8개씩 선택되어 같은 조건의 배양토에 파종하였다. 실험군 샘플의 누적선량은 31일 동안 매일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생장과정과 발아율은 매주 2회 같은 시간에 측정하였다. 잎사귀 수, 초장의 길이와 생체중은 파종 후 20일과 25일에 각각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25일 동안 측정된 실험군의 결과에서, 알타리 무의 길이와 무게는 누적선량 0.01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5%와 36%로 증가하였다. 또한 춘향이 열무에서 길이는 누적선량 0.01~0.08 Gy와 0.3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13~17%와 1%, 무게는 누적선량 0.05 Gy와 0.23 Gy에서 대조군보다 각각 36%와 2%로 증가하였다. 잎 수에 대하여, 알타리 무는 누적선량 0.01~0.32 Gy에서 대조군보다 0~50%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춘향이 열무는 0.01~0.0.62 Gy에서 대조군보다 0~67%로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는 대체적으로 낮은 누적선량영역(0.01~0.2 Gy)에서 길이와 무게 그리고 잎 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의 세포의 크기,핵의 위치와 세포의 조밀도는 대조군과 거의 유사하게 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베타선에 조사된 알타리 무와 춘향이 열무는 방사선 호메시스 이론과 부합되어 낮은 누적선량영역에서 더 많은 생장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 연구에서 방사선 호메시스와 식물생장의 관련성을 확증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the growth of Chunhyang Young Radish (CYR) and Altari Radish (AR) according to the exposure for 31 days at low dose β-rays. This test has one contrast sample and eleven test samples each as to AR and CYR. The seeds from contrast and test sample were planted in the culture soil after 8 seeds were chosen from each with identical condition. The accumulated dose of test samples has been measured at consistent time on a daily basis for 31 days. The growing process and germination have been measured twice at consistent time in each week. The number of leaves, length of first leave and weight have been acquired average value by measuring for 20 and 25 days, respectively after being planted. The result of test sample in case of 25 days shows that 5% increase in length and 36% increase in weight for AR each at accumulated dose 0.01 Gy compared to the contrast sample. And the length of CYR has increased by 13~17% and 1% at accumulated dose 0.01~0.08 Gy and 0.3 Gy compared to the contrast sample. For the weight at accumulated dose 0.05 Gy and 0.23 Gy has increased by 36% and 2% compared to contrast sample. As to the number of leaves, AR has increased by 0~50% at accumulated dose 0.01-0.32 Gy compared to contrast sample. It also shows that the CYR has increased to 0~67% at accumulated dose 0.01-0.62 Gy compared to contrast sampl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ndicates that both AR and CYR has generally increased in their length, weight, and the number of leaves at low level accumulated dose part 0.01~0.2 Gy. The size of cell, area of nucleus and density of cell for test sample has been observed quite similar to the ones from contrast sample through microscope. In conclusion, AR and CYR irradiated by β-rays have estimated that they are achieved a rapid growth at low level accumulated dose region corresponding to its radiation hormesis theory. Further studies ne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ation hormesis and the growth of the plants.

      • KCI등재

        C 대학병원의 개인선량계 판독과 영향

        이주아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3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afety inspection awareness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help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radiation exposure doses by occupational type of radiation related-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Radiation-related workers and radiation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occupations (radiological technologist, doctors, and nurses). A nominal risk coefficient based on ICRP 103 was used to calculate the probability of causing side effects of the lungs due to exposure do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osure dose of all workers for one year, the exposure dos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among radiation-related workers was 1.63 ± 2.84 mSv, doctors 0.12 ± 0.22 mSv, and nurses 0.59 ± 1.08 mSv. The one-year deep dose for radiation workers was 2.44 ± 3.30 mSv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0.19 ± 0.26 mSv for doctors, and 0.12 ± 0.00 mSv for nurses. Due to this dose, the probability of causing side effects in the lungs was 1.2 per 100,000 radiological technologist, 0.096 doctors, and 0.06 nurses. In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probability of side effects on lungs by occupation of radiation exposure dose will be studied and used as useful data for radiation safety management in relation to probabilistic effects in the future. 본 연구 목적은 방사선관계종사자와 방사선작업종사자들의 직종별 방사선 피폭선량을 분석하여 폐 부작용 유발확률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즉, 피폭관리 실태를 점검함으로써 방사선종사자들의 직업상 피폭에 대한 안전 점검 의식을 향상시키고 방사선안전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사선관계종사자와 방사선작업종사자 각각 3개의 직종별 (방사선사, 의사, 간호사)로 분류하였다. 피폭선량으로 인한 폐의 부작용 유발 확률을 산출하기 위하여 ICRP103에 근거한 명목위험계수(Nominal risk factor)를 활용하였다. 방사선관계종사자의 1년간 심부선량은 방사선사 1.63 ± 2.84 mSv, 의사는 0.12 ± 0.22 mSv, 간호사는 0.59 ± 1.08 mSv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폐의 부작용 유발 확률은 방사선사는 100,000당 1.1명, 의사는 10.082명, 간호사는 0.4명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작업종사자의 1년간 심부선량은 방사선사 2.44 ± 3.30 mSv, 의사의 경우 0.19 ± 0.26 mSv, 간호사의 경우 0.12 ± 0.00 mSv이었다. 이 선량으로 인하여, 폐의 부작용 유발 확률은 방사선사는 100,000당 1.2명, 의사는 0.096명, 간호사는 0.06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피폭선량의 직종별 폐에 부작용이 발생할 확률을 연구하여 향후 확률적 영향과 관련하여 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하여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의료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기간 및 피폭선량과 혈액성분 변화에 대한 조사

        조지환(Ji hwan Cho),진성진(Seong jin Jin),박철우(Cheol woo Park)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7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 내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선량과 그에 따른 혈액검사를 일반인의 혈액검사결과와 비교하여 방사선피폭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과 방사선 종사자군의 혈액검사 결과 모든 항목 평균값은 정상범위에 포함되어 있었다. 호산구의 경우 방사선 종사자가(2.52 ± 1.79%) 대조군(2.92 ± 1.39%)에 비하여 낮으며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방사선 작업 종사기간에 따른 종사자군과 대조군의 혈액학적 검사결과 평균값은 백혈구, 혈소판, 임파구, 단핵구, 호염기구가 전체 평균에서 종사자군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20년 이상 종사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백혈구, 단핵구는 낮고, 혈소판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10년 이하 종사자에서 호염기구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전체 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방사선 종사자의 4년간(2012년~2015년) 누적선량에 따른 검사항목별 평균차이에서 5.0 m㏜ 초과 종사자가 백혈구 평균값에서 대조군 및 5.0 m㏜ 이하 피폭군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혈구(4.61 ± 0.53), 적혈구용적률(41.51 ± 4.07) 및 호산구(1.74 ± 1.14)는 대조군의 적혈구(4.91 ± 0.38), 적혈구용적률(43.97 ± 3. 40), 호산구(2.92 ± 1.39)와 저선량 피폭자의 검사결과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0.5~1.0 m ㏜ 피폭 종사자의 혈색소(13.93 ± 1.75)가 대조군(14.90 ± 1.29) 및 타 피폭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radiation exposure, as compared to the hematological parameters change of medical radiation workers and the public. The mean value of all hematological parameters were in the normal range. Eosin mean value of the radiation workers(2.52 ± 1.79%) showed that a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2.92 ± 1.39%). In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occupation period, it showed high value that the mean of the radiation workers group WBC, platelet, Lymph, Mono, Baso. Over 20 years of radiation workers WBC, Mono showed low values and less than 10 years of radiation workers mean value of Baso showed low value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4 years cumulative radiation dose, Over 5.0 m㏜ of Radiation works RBC(4.61 ± 0.53 vs 4.91 ± 0.38), Hct(41.51 ± 4.07 vs 43.97 ± 3.40), Eosin(1.74 ± 1.14 vs 2.92 ± 1.39) showed low value, it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0.5∼1.0 m㏜ radiation exposure workers Hb (13.93 ± 1.7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14.90 ± 1.2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