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티웬즈원,김솔,오연풍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프로농구산업 발전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요인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델파이조사, SWOT분석, AHP기법을 활용하여 중국 프로농구산업 발전요인에 관한 내용을 도출하였다. 중국 프로 농구산업은 강점, 약점, 기회, 위협요인을 전문가 의견을 통해 분석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1차, 2차, 3차를 실시하여 요인 별 문항을 도출하였다. AHP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 프로농구산업 발전 요인 간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프로농구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위계층 요인 간 우선순위는 기회요인, 약점요인, 강점요인, 위협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프로농구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회요인은 체육개혁의 가속화, 디지털 매체노출, 급속한 경제발전, 공익캠페인 개최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프로농구산업의 발전을 위한 약점요인은 심판역량 부족, 중국 프로농구리그 홍보부족, 중국 프로농구리그 문화유산 부족, 리그법규 확립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프로농구산업의 발전을 위한 강점요인은 스포츠산업의 국가지원, 농구 인구의 증가, 브랜드 현지화, 스폰서의 무형자산 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프로농구산업의 발전을 위한 위협요인은 관리체제의 속박, 국가대표팀 소집, 전폭적 축구지원, 해외 빅 리그 경쟁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riving important and priority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In this study, Delphi survey, SWOT analysis, and AHP techniques were used to deriv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factors of the Chinese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The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were analyzed through expert opinion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hree rounds, and questions for each factor were derived. Using the AHP technique, the importance and priorities among the development factors of the Chinese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were determi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orities of the middle-class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were in the following order: opportunity factors, weakness factors, strength factors, and threat factors. Second, the opportunity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included accelerated sports reform, exposure to digital media,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holding public interest campaigns. Third, the weak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included a lack of refereeing capabilities, a lack of publicity for the Chinese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a lack of cultural heritage of the Chinese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and issues with the creation of league rules. Fourth, the strength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included government support for the sports industry, an increase in the basketball population, brand localization, and sponsors' intangible assets. Fifth, the threats to the development of China's professional basketball industry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onstraints in the management system, calling up the national team, full support for soccer, and competition from overseas big leagues.
김도헌(Kim, DoHeon) 한국상고사학회 2009 한국상고사학보 Vol.64 No.-
선사·고대의 농경연구는 일찍부터 다양하게 진행되어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지만, 농구의 소유형태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검토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여기서는 농구의 소유형태를 검토하였다. 먼저 분석방법과 민속자료를 제시한 다음, 설정한 방법에 의거하여 선사시대의 석제농구와 고대 철제농구의 소유형태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사시대에는 가구별로 농구를 소유하였던 반면, 삼한시대가 되면 취락과 가구에 따라 철제농구의 소유형태에 격차가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삼한시대 대촌에서는 철제기경구를 거수층(수장층) 일부만 사유하였도 수확구는 거수층과 하호층(평민층)에서 모두 사유하였다. 그리고 촌락에서는 철제농구를 공동으로 관리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후 삼국시대가 되면 점차 철제농구의 공급이 확대되었는데, 특히 5세기부터 철제농구의 보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철제농구의 소유 계층도 확대되었는데, 촌락에서도 기경구 가운데 일부를 사유한 호민층이 등장하였다. 농구의 소유형태에서 변화가 발생한 시점은 삼한시대인데, 이때부터 철제농구를 소유한 계층과 그렇지 못한 계층 사이에 경제적 격차와 함께 권력 집중도 심화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양상은 삼국시대까지도 지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Sin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farming in the prehistory and ancient times from diverse aspects, resulting in accumulation of many study performances, studies on the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lls are relatively sufficient. Based on such awareness of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ols. First, analysis method and folk data were presented, and possession type of stone farming tools and ancient iron farming tools were examined based on the established methods. Through this, it was identified that farming tools were possessed for each household in prehistoric times while there was a gap in possession type of iron farming tools depending on the community and household in the era of Three Hans. That is, only parts of Geosu level(chief level) possessed the iron plowing tools at Daechon(big village) in the era of Three Hans, and Haho level(common people) as well as Geosu level possessed the cultivating tools. And it was assumed that iron farming tools were jointly managed at the village level. Supply of iron farming tool was gradually expanded after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in particular, supply of iron farming tools increased distinctly. In this trend, the possession class of iron farming tools was expanded too and Homin level appeared, who possessed some of plowing tools at the village. It was the era of Three Hans when possession type of farming tool changed, and when economic gap occurred between people who possessed iron farming tool and those not, as well as concentration of power. And this situation continued for Three States.
김재홍(Kim,Jae Hong)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0
발굴현장에서 얻어진 고고학 자료를 중심으로 農書와 회화에 보이는 농경을 분석하여 고려·조선시대의 농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농구는 쟁기(보습과 볏)· ‘U’자형쇠날(따 비·화가래·가래)·괭이 등의 갈이 농구[起耕具], 써레·쇠스랑과 같은 삶는 농구[摩田 具], 살포와 같은 물대는 농구[水田具], 호미와 같은 김매는 농구[除草具], 낫과 같은 거두는 농구[收穫具], 그리고 도리깨·개상과 같은 터는 농구[打作具]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로 보 아 고려·조선에서는 갈이[起耕]-삶기[摩田]-물대기[給水]-김매기[除草]-거두기[收穫]-털 이[打作] 작업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와 관련하여 가장 발 달한 농구는 쟁기, 살포, 호미이며, 특히 호미는 김매는 작업이 가장 긴요한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형에 맞는 농구이다. 정밀한 작업을 요하는 농구가 발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농구 중에서 쟁기-가래, 쟁기-쇠스랑, 화가래-쇠스랑 등과 같이 갈이·삶는 농구를 이용한 농작업이 가장 일반적인 농사체계였다. 고고학 발굴조사 현장에서도 갈이 농구와 삶는 농구의 출토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철제 농구가 출토된 유적은 무덤유적 과 생활유적으로 나눌 수 있으며, 農耕儀禮로서 사용된 예도 있다. In this article, agricultural utensils of Goryeo and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based on the agricultural representation found from agricultural literature and genre paintings combined with data gathered from excavation sites. The agricultural utensils are composed as plowing utensils( 起耕具 ) such as iron plowspares, iron shovel ends (plows and spades) and iron hoe, seeding utensils(摩田具)such as rakes and pitchfolk, watering utensils for the rice field(水田具) such as Salpo, weeding utensils (除草具) such as iron weeding spades, harvesting utensils(收穫具) such as sickles, and threshing utensils (打作具)such as flails, log threshing-stands. Consequently, it is assumed that in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 cultivation process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as plowing harrowing watering weeding harvesting threshing. The utensils reflecting Korean climate are iron plow spares, Salpo and hoes and especially hoe, convey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limate and topography which weeding process was the most significant part. Also iron plow spares- spades, iron plow spares-pitchfolk, spades-pitchfolk which are plowing and seeding utensils. Iron agricultural utensils found in excavation sites often include plowing and seeding utensils. The sites where iron agricultural utensils have been usually excavated are tomb vestiges and residence vestiges.
선사·고대의 농구 조합과 생산력의 변화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김도헌 영남고고학회 2008 嶺南考古學 Vol.- No.47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researches on farming tools in terms that one could be accessible to various agricultural forms through them.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m have been divided into stone farming tools from prehistoric period and those made of iron from ancient period; for this reason, diachronic investigations on them have been more or less insufficient.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a diachronic study on prehistoric farming tools. Farming too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ose made of shells, bones, wood, stone and iron according to material. Among them, the farming tools made of shells and bon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detail due to the lack of references. The stone farming tools included stone hoes and stone knives, the wooden farming tools included wooden hoes and wooden weeder-plows, wooden shovels and rakes, while iron farming tools included iron hoes and iron weeder-plows, iron shovel blades, forked rakes, spades for irritation, iron hoes, weeding hoes, iron knives and iron tongs. This study figured out the usage and transformation of such individual farming tools and established the changes in their combination in 4 stages. The 1st stage of farming tools indicated the period when stone plowing tools were used. In the 2nd stage, wooden plowing tools were mainly used and the formalized harvest tools named stone knives was commonly used. The 3rd stage signified the farming tools made of iron; therefore, iron plowing tools were utilized. And the tools exclusively used for farming appeared and the harvest using iron tongs was done. In the 4th stage, a plow using domestic animals' labor was introduced and a weeding hoe as a short-weapon tool appeared, too.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changes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deduc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the combination of said farming tool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farming began to be practiced in the 1st stage of farming tools. Then, as the 2nd stage came, the emphasis on farming has become higher when the aspects of cultivated land changed and the intensive arrangement of agricultural labor was gradually progressed. In the 3rd stage of farming tools, they were transformed into iron ones and arable land was subsequently expanded, resulting in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plant breeding was progressed to some extent and the degree of irrigation and weeding-out work improved, which in turn enhanced the grain production per land. In the 4th stage of farming tool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labor using domestic animals was introduced so that labor productivity was improved and the grain production per land improved further by the introduction of more sophisticated weeding-out work. 농경형태에 접근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농구에 대한 연구는 일찍부터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농구 연구는 선사시대의 석제농구와 고대의 철제농구로 구분되어 진행되었기 때문에 통시적인 검토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선사·고대 농구의 통시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선사·고대의 농구는 재질에 따라 패제와 골제, 목제, 석제, 철제 등으로 구분된다. 패제농구로는 반월형패도, 골제농구로는 굴지구, 석제농구로는 석제굴지구와 석도, 목제농구로는 목제괭이와 목제따비, 목제삽, 고무래, 철제농구로는 철제괭이와 철제따비, 쇠삽날, 쇠스랑, 살포, 철서, 호미, 철도자, 철겸 등이 있다. 이러한 개개 농구의 용도와 변화상을 파악한 다음, 농구 조합의 변화상을 4개의 단계로 설정하였다. 농구Ⅰ기는 석제기경구가 사용되었던 단계이다. 농구Ⅱ기는 목제기경구가 주체였던 단계이며 석도라는 정형화된 수확구가 보편화되었다. 농구Ⅲ기는 농구의 철제화가 진행되어 철제기경구가 사용되었다. 또한 전용철제농구가 출현하며 철겸을 이용한 수확이 이루어졌 던 단계이다. 농구Ⅳ기는 축력을 이용하는 쟁기가 도입되었으며 단병도구인 호미가 출현하였던 단계이다. 이러한 농구조합의 변화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생산력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구Ⅰ기에 농경이 시작된 이후, 농구Ⅱ기가 되면 농경의 비중이 높아졌는데, 이 단계에는 경작지의 양상이 변화하였고 농업노동의 집약화도 점차 진행되었다. 농구Ⅲ기에는 가경지의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농업생산력이 증대되었다. 또한 품종개량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고 관개작업과 제초작업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토지당 생산량이 증대되기 시작하였다. 농구Ⅳ기에는 축력이 도입되면서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었고 정교한 제초작업이 도입되면서 토지당 생산량이 보다 증대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재운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교육대학생의 농구동아리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인지역에 위치한 G교육대학교에 재학하는 농구동아리 회원 30명을 대상으로, 농구에 대한 본인의 생각, 그리고 농구동아리에 참가하게 된 동기, 참가 지속, 그리고 어떨 때 농구동아리를 탈퇴하고 싶었는지 등에 관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생의 농구동아리 참가 동기로는 농구에 대한 열정, 체계적인 농구 기술 습득, 체육관 등 좋은 공간에서 농구를 할 수 있는 기회의 증가, 그리고 농구를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는 이유에서 참가하게 된 것으로 타나났다. 둘째, 교육대학생들의 농구동아리 참가 지속 요인으로는 농구 기량향상을 통한 성취감 체험, 전국교육대학교 우승이라는 구성원의 동일 목표, 대인관계 형성, 구성원의 화합 및 결속, 농구동아리의 전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구동아리 참가 중단 요인으로는 농구 기량 정체, 동아리 모임에서의 과도한 음주문화, 그리고 시간의 제약 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농구의 이데아 -한국 남자 농구의 한미교류 양상과 미국화 비판-
허진석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1
This paper analyzes the evolution of the identity Korean basketball since its introduction to Korea in 1907 by Phillip Gillette, an American missionary who worked as a manager at Hwangseong Gidokgyo Cheongnyeonhoe (Seoul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The processes, by which basketball pursued internal matur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le responding to external stimuli, are shown. In its early phase, Korean basketball was a participatory sport played at its center: YMCA. In the 1930s, schools became is cent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apan was simultaneously perceived as a supplier of equipment and knowledge as well as a competitor. The birth of a strongly nationalistic basketball during the period is reviewed. After the Liberation, Korean basketball began to be directly exposed to US influences. In the 1980s, Korean basketball was strongly influenced by US professional basketball. In the 1990s, the content and form Korean basketball was rapidly changed under the impact of US-centered globalization, full-scale introduction of popular US culture, environmental changes. In particular,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launched in 1997, was transformed into a “lower league” or “offshoot league” of the US league, the superpower of the international basketball market. As a result, Korean basketball relinquished its identity. Pessimistic and nihilistic views question the raison d’être of the domestic basketball league, which is devoid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uch negative aspects of Korean basketball have originated from an absolute acceptance of US basketball as an idea. It is expected that Korean basketball will not be free from the influences of US basketball for a considerable length of time in the futur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which is a commercial entity, evidently has to compete with NBA. Moreover, the survival of Korean basketball depends upon the vitalization of the domestic market. Securing the domestic market by creating a uniquely Korean-style basketball should be the primary goal. To do so, policy-level institutional support and efforts to change perception of basketball are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ent player training system, which is centered on schools,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should be transformed into clubs. The clubs should nurture amateur clubs to strengthen and expand the foundation of basketball in Korea. Introduction of a system that continuously produces outstanding players can be viewed as a future-oriented alternative. 본 연구는 1907년 황성기독교청년회 간사로 일하던 미국인 선교사 필립 질레트에 의해 보급된 한국의 농구 경기가 일제강점기와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내적 성숙을 추구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반응하면서 그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 농구는 초기에는 YMCA를 중심으로 한 참여스포츠의 양상을 보이다가 1930년대 이후 학교 중심의 농구로 전환하였으며 일제강점기를 통해 일본을 농구 지식과 장비의 유입 경로인 동시에 경쟁의 파트너로 삼고, 그 과정에서 강한 민족주의적 정체성을 구축하였으며, 해방 이후 미국의 영향에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미국과의 교류가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1980년대 이후 한국 농구는 미국 프로농구의 영향 하에 놓이면서 1990년대 이후 미국 중심의 글로벌화를 지향하며 빠른 속도로 제도적 변화를 겪게 되었다. 특히 1997년 프로농구 출범 후 국제 농구 시장에서 미국의 하부리그 또는 변방화의 길로 내달으면서 정체성의 혼돈을 겪으며 국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프로농구가 미국 농구를 절대적인 이데아로 상정하고 제도와 기술 양면에서 전적으로 미국식 농구만을 모방하기에 급급한 결과 초래한 부정적인 현실이다. 한국 농구가 주체적인 정체성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한국의 프로농구 리그 또한 상업 리그로서 NBA와 서로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해야 한다. 그 대안으로 본고는 내수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선결조건으로 한국 고유의 농구 경기 스타일과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 차원에서 학교 중심의 선수 배출 시스템을 보완하고 프로농구팀을 클럽화하는 한편, 그 하부구조로 아마추어 클럽을 육성하여 저변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우수 선수를 지속적으로 육성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스포츠마케팅이 대학의 홍보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학농구 U리그를 중심으로
한상호,문광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마케팅이 대학의 홍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농구 U리그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대학 홍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위기에 처해있는 대학스포츠의 활성화와 이를 통해 스포츠 마케팅 전략,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연구대상은 농구팀을 운영 중인 대학의 재학생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에 대한 홍보효과를 높일 것이다는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에 대한 홍보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것이다는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에 대한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 경기장에 대한 시설만족도를 높일 것이다는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 경기장에 대한 시설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 홍보상품에 대한 예비구입률을 높일 것이다는 대학농구 U리그가 대학 홍보상품에 대한 예비 구입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마케팅 을 활용한 새로운 마케팅전략과 수익모델 창구를 활용하여 대학의 여러 위기인 학령인구 감소시대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시대의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marketing on the public relations effect of the university, focusing on the U-League of university basketball,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public relations effect of the university. We are going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in establishing a revenue gener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9 students from colleges running a basketball team.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League of University Basketball, which will increase the promotional effect of the University Basketball U-Leagu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blic relations effect of the univers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U-League of University Basketball, which will increase the preference for univers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universi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U-League of University Basketball, which will increase the facility satisfaction for the University Stadiu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cility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Stadium.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U-League of University Basketball, which will increase the preliminary purchase rate for university promotional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reliminary purchase rate of university promotional produc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find a new breakthrough in the era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non-face-to-face era caused by COVID-19, which are various crises in universities, by utilizing a new marketing strategy and profit model window using sports marketing.
스포츠 팀을 활용한 마케팅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프로 농구팀을 중심으로
한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을 활용한 마케팅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프로 농구팀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하며, 프로 농구팀 운영이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프로 농구팀의 관심도가 기업이 프로 농구팀 운영에 미치는 영향, 프로 농구팀의 관심정도가 기업이미지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침체된 스포츠의 활성화 및 기업 경제 활동에 활력을 불어 넣고, 새로운 펜데믹 시대를 대비하여 앞서 나갈 수 있는 마케팅 을 준비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위해 연구대상은 2020년 10월~2021년 4월까지 프로 농구 경기 관람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4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나 잘못 기입된 자료,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 로 400명의 설문조사를 채택하였다. R Version 3.6.1을 활용하여 기술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프로 농구팀 운영이 기업이 미치는 영향, 프로 농구팀의 관심정도, 프로 농구팀 관심정도가 기업이미지 구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 농구팀 운영이 스포츠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기업 이미지, 프로 농구팀의 관심도가 기업이 프로 농구팀 운영, 프로 농구팀의 관심정도가 기업이미지 구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marketing using sports teams on the corporate image with a focus on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mpanies on the operation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nd the impact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on corporate image building to revitalize sports and corporate economic activiti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COVID-19, and create a new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data to prepare for marketing that can go ahead in preparation for this. A total of 425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but a survey of 400 people was finally adopted, excluding data that was incorrectly filled in and unreliable data. R Version 3.6.1 is used to analyze the general matters of study subjects using technical analysis, and the effect of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operation on the company,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interest level, and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interest level on corporate image construction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of a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is marketing using sports, and the corporate image and the level of interest of the professional basketball tea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orporate image.
대학농구팀 창단이 대학브랜드 인지도 및 이미지, 브랜드 충성에 미치는 영향
한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대학농구팀 창단이 대학 브랜드의 인지도, 이미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와 인지도, 이미지가 대학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9년 대학농구팀을 운영하고 있지 않는 대학교의 재학생을 모집단 으로 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유효 표본을 선정하여 R studio(R Version 3.6.1) 통계 처리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특성을 기술분석 하였으며,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재학생들은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의 애교심 등에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학브랜드 이미지의 제고는 대학 충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학 중인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는 일반인들의 인지도보다 다니고 있는 재학생들의 충성도를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긍정적 발견이라 할 수 있겠다. 첫째, 대학 농구팀이라는 특정종목과 스포츠팀이 없는 대학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추후에는 다양한 대학,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활용한 연구로 확대 진행하길 바라며, 둘째로는 스포츠팀의 창단과 함께 운영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책변화에 맞게 갖춰져 있는 중장기 변화에 따른 다양한 변수들을 추가한다면 많은 논문과 언론에서 언급하였듯 이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대학의 중요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ounding of the basketball team on the brand, image, and loyalty of the university brand.Samples were taken with the population as. Using the questionnaire, the valid sample was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R studio (R Version 3.6.1) statistical processing,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the students showed high interest in the aesthetics of the university they are currently attending. Based on this,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brand imag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university loyalty.In addition, it is a positive discovery that the brand image of the university in which it is made makes students' loyalty higher than the public's recognition.First, it is limited to a specific sport called a college basketball team and a university without a sports team.Should be.Lastly, if we add various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mid- and long-term, which is equipped for the policy change of university, it is expected to establish important marketing strategy of the university to prepare for the future as mentioned in many papers and media.
농구 하는 별난 여자들: 농구를 즐기는 여성의 체험적 의미와 경험적 본질 구조
배재윤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스포츠 영역에서 여가 활동의 일환으로 농구 하는 성인 여성의 운동 경험을 깊이 있게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소 6개월 이상 농구를 한 성인 여성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한 후, 이들의 운동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 여성이 운동으로서 체험한 농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여성에게 농구는 남성적 이미지의 투영과 고정관념의 영향으로 불편한 시선을 감수해야 하는 운동이었다. 둘째, 여성에게 농구는 함께 운동할 사람이 없는 운동이었다. 셋째, 여성에게 농구는 배타적 문화로 인하여 환영 받지 못한 사람들이 하는 운동이었다. 넷째, 여성에게 농구는 열악한 환경을 가감 없이 수용해야 하는 운동이었다. 다섯째, 여성에게 농구는 운동 그 자체의 특성에 기인할 때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도 즐길 수 있는 재미있는 운동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 농구에 관한 운동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도식화하는 한편 맥락적 차원의 해석을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