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바른생활 놀이·활동 중심 수업 지원 자료 개발 연구에 대한 설문을 중심으로

        김아영 ( Ayeong Kim ),박찬석 ( Chanseok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20 초등학교 1-2학년 놀이·활동 중심 수업 지원 자료 개발: 바른 생활』연구의 개발 자료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바른생활 교과 성격과 방향을 탐색하고, 놀이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개발 자료의 개관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개발 자료에 대한 적합성과 유용성, 만족도를 살펴보고 설문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설문 결과를 통해 도출한 바른생활 놀이 교육의 시사점은 첫째,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바른생활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의 계획이 현장 적합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에 대한 교사 대상 연수를 통해 교사의 놀이 교육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놀이 중심의 바른생활 교육은 인지, 정의, 행동의 발달을 도모하는 바른생활 교과의 학습자 중심성을 강화시켜, 보다 효과적인 전인교육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놀이 중심 바른생활 교육을 통해 놀이 중심 인성 교육, 놀이 중심 도덕 교육으로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Education Centered on Play & Activities based on the survey on the development data of the 『2020, Study for Elementary School 1st-2nd Grade, Centered on Play & Activity Education: Disciplined Life』. To this end, the goal and direction of ‘Disciplined Life’ were explor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play & activity education was presented. In addition, an overview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data was presented as a summar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eveloped data were verifi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mplications of ‘Disciplined Life’ play & activity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are that first, learner-centered ‘Disciplined Life’ educ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play and activity-centered ‘Disciplined Life’ education. Second, the play & activity centered ‘Disciplined Life’ education plan should be discussed in the direction of reinforcing the linkage of the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school field suitability. Third, a re-education model for teachers on play & activitycentered education for ‘Disciplined Life’ should be planned and operat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Disciplined Life’ education centered on play & activity will strengthen the learner-centeredness of the ‘Disciplined Life’ subject, which promotes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pproach, affective approach, and behavior approach, so that more effective holistic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sugges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Disciplined Life’ curriculum that enables play & activity centered classes in line with the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보육교사가 느끼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영미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6

        최근 국내외 교육과정은 역량을 중심으로 미래 사회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경험을 강조하며 ‘배움을 즐기는 행복 교육’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따라 교육부는 유아교육 혁신방안으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개편하였고, 3~5세 유아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육과정으로 2020년 3월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보육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어떤 의미로 받아 들이고, 실천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해 봄으로써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원,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각 2회씩 비형식적인 형태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주체적으로 노는 유아 발견’, ‘놀이에 대한 가치 발견’, ‘교사의 역할 변화’로 의미를 부여하였다. 실천에 어려움으로는 ‘놀이 지원의 한계’, ‘개입의 모호함’, ‘내부 방해 요인들’, ‘부모 이해 부족’, ‘업무 과중’을 들었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인식과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현장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s are moving toward meeting the future society with the focus on competence.,Therefore, the 2015 revis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emphasizes the learner's experience and pursues 'happiness education to enjoy learn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is era,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South Korea re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curriculum centered on children and play as an innovation pla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March 2020 as a curriculum commonly applied to children aged 3 to 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pport and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ield by exploring what difficulties daycare teachers have in accepting and practicing play-centered curriculu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informal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eight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G city. As a result, the daycare teachers gave meaning to play-centered curriculum as 'child discovery playing independently', 'discovery of value for play', and 'change in role of teacher'. The difficulties in practice were 'limits of play support', 'ambiguousness of intervention', 'internal obstacles', 'lack of understanding of parents', and 'overwork'.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wareness and difficulties of daycare teachers about play-centered curriculum. The date can be used for stable settlement of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fiel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implications for practical on-site support of play-centered curriculum can be presented.

      • KCI등재

        놀이중심 미술교육의 성찰적 접근 가능성 : 가다머(Gadamer)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정윤희(Yuni CHUNG),안혜리(Hyeri AH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6

        미술교육에 있어서 놀이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교육적 시도가 더 증대되는 가운데, 이 연구는 학생의 자발적인 놀이를 지속적인 예술 경험으로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전통적 교육관과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관 중 어느 쪽도 놀이의 적절한 위치와 교육적 의미를 규정하기 어려운 현실 속에서 가다머의 독특한 놀이 개념은 놀이, 예술 경험, 이해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놀이중심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의미 있는 단서를 제공해준다. 이 연구는 가다머의 놀이 개념에 기초한 놀이 중심 미술교육의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가다머의 ‘전통과 권위’, ‘대화’, 자기 도야‘ 개념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개념에 기초하여 (1) 교사의 역할을 존중하는 놀이중심 미술교육, (2) 개변적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중심 미술교육, (3) 자기 교육에 이르는 놀이중심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그와 관련된 수업 실천 방안 및 예시 활동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이 세 가지 놀이중심 미술교육에서 추구하는 놀이의 성격을 ‘성찰적 놀이’로 규정하면서 놀이중심 미술교육의 성찰적 접근 방향과 시사점에 관해 논하였다. 그것은 놀이중심 미술교육에서 첫째, 학생들의 자발적 놀이를 발전시키는 교사 역할을 재고하기, 둘째, 학생 개인 차원의 놀이를 넘어서 상호작용으로서의 놀이를 격려하기, 셋째, 놀이를 자기 해소의 차원보다는 자기 성장의 차원으로 인식하기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questions of how to connect students' voluntary play with continuous artistic experiences as interest in play and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increases in art education. While neither traditional educational paradigm nor postmodern one can clearly define an appropriate position of play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Gadamer's unique concept of play provides meaningful clues for the direction of play-centered art education by linking play, artistic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The study explores the new possibilities of play-centered art education based on Gadamer’s concept of play by analyzing his concepts of tradition and authority, dialogue, self training. Based on each concept, the study finds the possibilities of three approaches to play-centered art education: (1) play-centered art education that respects the role of the teacher; (2) play-centered art education through transformative interaction; and (3) play-centered art education leading to self-educ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ctivities. Furthermore, it defines the nature of play pursued in the three approaches as “reflective play,” and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a reflective approach to play-centered art education: Reconsidering the role of teachers for students’ voluntary play; encouraging play as interactions; and perceiving play as self-growth.

      • KCI등재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K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차효첨,이유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이 현장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2년 3월 14일부터 2022년 4월 2일까지 약 3주 동안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헌자료 분석 중심으로 중국 저장성(浙江省) 후저우시(湖州市) 안지현(安吉县)에 있는 K유치원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안지놀이 K유치원 교사 놀이중심교육 실천의 의미를 ‘진짜놀이 지원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교사’, ‘유아에 대한 믿음, 놀이중심교육의 핵심’, ‘유아의 탐구활동, 놀이 확장을 위한 나침반’, ‘오래가기 위해 함께 가기’ 4가지 범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하위범주로 나누어 유목화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K유치원 교사는 처음부터 유아의 놀이권리를 인정하고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이 높았던 것은 아니라, 놀이중심교육을 실천하는 지금의 모습으로 바뀌기까지는 오랜 시간과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다. 둘째, K유치원 교사는 교실의 주인공이 유아라는 믿고, 유아가 교사의 생각보다 훨씬 더 잘한다는 믿고, 모험과 도전 속에서도 스스로 안전을 지킨다는 믿고, 모든 유아에게 내재된 나름의 속도가 있다는 믿고 있다. 셋째, K유치원 교사는 유아에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힘과 대그룹 공유를 통해 발표하는 힘이 키우고 있다. 넷째, K유치원 각 반의 청소와 밥 준비 등을 분담하는 보육원(保育员) 한분이 있고, 안지놀이 교육과정의 이념을 학부모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하고 있으며, 안지놀이 창시자 청쉐친(程学琴)이 유치원 리더로서 끊임없이 교육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정부에 요청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현재의 놀이중심교육 체계에도달하였다. 결론 첫째,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높은 놀이중심교육 실천역량은 단기간에 이룬 것이 아니라 수심여 년의 노력을 통해 실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는 충분히 유아를 믿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는 유아놀이를 확대하고 매일 유아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허민정 ( Heo Minjeong ),권희경 ( Kwon Hee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인식의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J도 소재 공립·사립 유치원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소집단 면담을 실시하여 산출된 진술문을 64개로 축약하였다. 이후 유아교사의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 평정을 토대로 집단 다차원 척도 분석과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도의 1차원은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혼란 -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의지’, 2차원은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인 시각 -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긍정적인 시각’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진술문은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긍정적인 영향 및 교사의 역할’,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시 필요한 제도적 지원’, ‘놀이중심교육과정의 부정적인 영향’,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고민과 걱정’으로 명명되었다. 셋째, 유아교사는 ‘진정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이루어지려면 교사 대 유아비율을 줄여야 한다.’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놀이중심 교육과정은 교사가 유아를 방임하는 느낌이 든다.’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through concept mapping, and also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This study conducted small-group interviews regar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by dividing a total of 1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public/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J-do, into fiv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dimension was interpreted as “teachers’ confusion about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 teachers’ willingness for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The second dimension was interpreted as “teachers’ negative perspective on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 teachers’ positive perspective on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Second,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Cluster 1, “positive effects of play-centered curriculum and teachers’ roles”, Cluster 2, “institutional support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Cluster 3, “negative effects of play- centered curriculum”, and Cluster 4,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rns and worries about play-centered curriculum.” Third, in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The teacher-children ratio should be reduced for the true play-centered curriculum (option #3)”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seem to leave children alone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option #42)”, was rated as average (3 points) or lower, so that it was perceived as relatively less importa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dwells in the fact that it realistically examined the curren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emphasiz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at it offered a visually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perception structure. Such results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an insight into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lay-centered curriculum as internally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provide the basic data of field support that is actually deman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play-centered curriculum in the field.

      • KCI등재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김희영,엄정애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nd implement management methods to activate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of Garam kindergarten, an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children and the changes of teacher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5 children and 1 teacher in a 5-year-old class. According to Kemmis and McTaggart (1998) model, this research processed three stages of 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three management methods were sought and implemented. In the first action, play-based education was conducted based on educational play planned by the teacher. In the second action, play-based education was implemented on the basis of the emerging play expressed by the children. In the third action, play-based education integrating the educational play planned by the teacher and the emerging play by the children was implemented. Second, responses of children to the activation of play-based education in Sandeul classroom were enhanced enjoyment toward play, increased participation in play-based education planning and management, the creation of a variety of new plays, and increased interest in exploration of learning concepts in play. The changes of teacher were renew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lay-based education, increased expertise in play-based education management, and enhanced reciprocal cooperation with researcher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for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ctivating play-based education implemented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corresponding to the National Early Childhood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가람유치원의 산들반에서 놀이 중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운영 방안을 모색하여 이를 실행하고, 실행과정에서 유아 반응과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만 5세 학급 유아 25명과 교사 1명이다. Kemmis와 McTaggart(1998)의 실행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3차에 걸친 실행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세 가지 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 2차 실행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기초로 한 놀이 중심 교육, 3차 실행에서는 교사가 계획한 교육적 놀이와 유아에 의해 발현된 놀이를 통합한 놀이 중심 교육을 실시하였다. 둘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에 따른 유아의 반응은 놀이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 향상, 놀이 중심 교육 계획과 운영에 대한 참여 증가, 다양하고 새로운 놀이의 창안, 놀이 속에서 학습개념 탐구에 대한 관심 증대로 나타났다. 교사의 변화는 놀이 중심의 교육에 대한 중요성 재인식, 놀이 중심 교육 운영에 대한 전문성 향상, 연구자와의 상호호혜적인 협력 관계 증진이었다.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토대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놀이 중심 교육의 활성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유수정(Yu, Sujeong),이경화(Lee, Kyeong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요인을 이론적으로 구성하고 통계적으로 타당화 함으로써, 교사 스스로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을 확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먼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지원자료와 관련 연구의 고찰 그리고 학계 및 현장 전문가 8명의 내용 검토를 통해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 시안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 30명 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거쳐 305명의 유아교사가 참여한 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척도 시안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척도의 구성요인을 타당화 하였다.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척도’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천’의 2개 영역, 9개 범주, 39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영역은 ‘유아 이해’, ‘놀이 이해’, ‘국가수준 교육과정 이해’, ‘교육적 신념’의 4개 범주, 18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실천’ 영역은 ‘환경적 지원’, ‘소통적 지원’, ‘관찰 및 평가’, ‘공동협력’, ‘전문성 함양’의 5개 범주, 21개 요소 및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가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한편, 후속적으로는 체계적 표집 과정과 대규모 표본을 통해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alidate the factors that enable teachers to evaluate their own competencie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lay-centered curriculum Methods First, it was to construct the factors of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During the step it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ith profession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onstruct the preliminary scale with the 2 areas and the 10 categories including the 39 items. Second, it was to validate the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 The step was executed to validate the preliminary scale through the 2 times survey of 335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Result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the 2 areas with ‘understanding the play-based curriculum’ and ‘actualizing the play-based curriculum in preschool settings’. The ‘understanding the play-based curriculum’ area included the 18 items of 4 categories such as ‘understanding child(ren)’, ‘understanding play’, ‘understand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ducational beliefs’. The ‘actualizing the play-based curriculum in preschool settings’ area included the 21 items of 5 categories such as ‘environmental support’, ‘communicational support’, ‘observation and evaluation’, ‘communal cooperation’, and ‘professionality’.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scale can be used as a useful self-evaluation too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lement play-based curriculum, and it is need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using a systematically sampled large-scale sample in the next study.

      • KCI등재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 실습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요구

        최은지(Choi eun ji),소진희(So jin hee),김영미(Kim yo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 실습에 대한 인식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방법 이를 위해 놀이중심 교육과정으로 개정 이후 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 실습지도교사, 원장 총 40인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FGI와 개방형 설문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질적연구의 방법으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보육실습은 교사상을 생각하여 교사가 되어가는 의식, 자기 검증과 반성의 시간, 이론과 실제의 실천과 차이를 풀어내는 공간, 하루 일과 속에서 교사의 역할을 찾는 여정, 머리로 알던 지식을 몸으로 익혀가는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놀이중심 교육과정 개정 후 보육실습 양상은 영유아의 흥미를 중심으로 관찰일지를 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자유놀이에 맞춘 놀이 관찰과 지원이 중요해지면서 교사로서의 역량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가 멍하니 놓쳐버릴 수 있는 일과가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실습 지원방안은 예비유아교사의 필수역량 함양, 실습서류 축소 및 구체적 계획 지원, 놀이 구성 방법에 맞춘 사전 교육 실시, 현직 교사와 연계한 현장 중심 교과 확대, 인성 중심 교육과정 개설, 선별된 실습기관과 대학과의 협약,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지원 강화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에 기초한 보육실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보육 실습이 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and support needs for child care practice based on a 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GI, open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a total of 40 research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practice since the revision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Results First, child care practice was recognized as a process of becoming a teacher, a time of self-verification and reflection, a space for solving differenc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 journey to find a teacher s role in daily life, and learning knowledge. In addi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play-oriented curriculum, the practice focused on writing an observation log focusing on infants interests. As the observation and support of play tailored to free play became important, it could be a routine that could be missed by prospective infant teachers who lack the ability as teachers. Second, child care practice support measures based on play-oriented curriculum showed calls for fostering essential skills, reducing practice documents and supporting specific plans, pre-training, expanding field-oriented curriculum with incumbent teachers, establishing personality-oriented curriculum, and strengthening incentive support for selected practice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data to prepare measures to systematically conduct child care practices based on play-oriented curriculum and to develop expertise.

      • KCI등재

        유아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기반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 개발

        이종길(Lee, Jong-g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유아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디자인 놀이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현장교사가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2019 개정누리과정, 연령별 누리과정, 디자인 교육 및 디자인 씽킹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유아교육과 교수 1인 디자인과 교수 1인, 유아교육 전문가 및 현장교사 각각 1인과 대면 및 비대면 총 6회 협의 후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 시안 개발 및 유아교육현장에서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원장1명, 교사1명 심층면접으로 적합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표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공감능력 기르기, 둘째, 유아의 협업능력 기르기, 셋째, 유아의 문제해결능력 기르기, 넷째, 유아의 유용성 능력 기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은 연령별 누리과정이 만 5세 생활주제와 연계하여 ‘날마다 신나는 놀이터 디자인’,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는 로드 환경 디자인’, ‘올림픽에 나간 교통기관’ 등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은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프로세서를 6단계로 재구성하고 교수전략으로 발문을 통해 생각하기, 직⋅간접적 경험하기 등이었으며, 프로그램 평가방법은 과정중심 평가로써 문제해결능력, 표현능력, 태도를 평가하는 형식적 평가와 유아의 언어표현력 관찰, 디자인 놀이 결과물, 유용성에 대한 가능성, 명담 및 디자인 놀이 과정을 분석하는 비형식적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시안의 현장적합도 검증에서는 참여교사의 자발적 의지로 디자인 놀이 과정을 현장 경험을 통해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유아는 놀이속의 현실감 있는 놀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을 확장할 수 있는 긍정적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자인 놀이 프로그램은 교사가 디자인 놀이 과정에 따른 교사 개입과 유아의 주도적 놀이 비율을 균형 있게 안배할 수 있는 교사 역할 확대만 전제된다면 유아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2019 개정 누리과정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 속에서도 확장된 접근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ogram to facilitate the use of on-site teachers by presenting a plan to use design play to enhance the creativity of childhood. Methods For this,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Nuri course by age, design education, an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and one design professor, one design professor, one field teacher, and six face-to-face & non-face-to-face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on design play program development, one director and one teacher. Results Looking at the goals of the developed program, first, children s empathy ability, second, children s collaboration ability, third, children s problem-solving ability, fourth, children s usefulness ability was set. As fo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e Nuri course for each age group selected ‘everyday exciting playground design’, ‘road environment design that reduces children s traffic accidents’, and ‘transportation that went to the Olympics’ in connection with the theme of life for children aged 5 years.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program consisted of reorganiz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or into six steps, thinking through questioning as a teaching strategy, and experiencing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It consisted of formal evaluation to evaluate attitude and informal evaluation to analyze children s verbal expression ability, design play result, possibility of usefulness, famous saying, and design play process. In the field suitability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design, it is most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esign play process through field experiences with the voluntary will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It was possible to get a positive response to expand the play-centered curriculum. Conclusions The design pla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2019 revised Nuri course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creativity, provided that the teacher s role is expanded to balance the teacher s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design play process and the infant s leading play ratio. It suggests that an expanded approach can be applied even within the centr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 개발 및 교육방향 안내 연구

        이귀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질문지 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놀이실행자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발하 였다. 또한 세 명의 유아교육 교사에게 개발된 질문지별 필요 교육의 방향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놀이중심 교육과 정 이해 영역에서는 아동이해, 놀이이해, 놀이중심으로 구분하였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영역에서는 수업운영, 놀이수업, 교사로 구분하였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 해 질문지를 기준으로 필요한 교육을 살펴본 결과 질문지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필요 교육으로 체크되었다. 연구결론: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통해 현재 교사의 교육 이해도를 파악하고, 교육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teach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lay-centered education. Methods: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play practice data.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direction of necessary education for each developed list. Results: First,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lis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children, understanding play, and play-centered. In the area of practice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class operation, play class, and teacher. Seco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was checked as necessary educatio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th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can identify the current teacher's educational understanding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