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생활세계 2단계 사회이론의 비판적 재구성 : 체계의 민주화와 사회적 투쟁의 생활세계 내 현실화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4

        체계/생활세계 2단계 사회이론은, 한편으로 생활세계 내의 병리적 현상에 대한 진단 및 해명에서는 탁월한 이론적 성과를 내고 있지만 체계 내적 모순은 정확히 포착·해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생활세계 내에 자리하고 있는 비(非) 의사소통적 논리에 기초한 고유한 권력관계를 포착하지 못함으로써 체계 논리에 의한 식민화 현상 이외에 생활세계 자체 내에서 벌어지는 사회적 갈등을 비롯한 고유한 병리적 현상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와 난점을 해결하고자, 2단계 사회관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진 비판적 재구성 작업의 결과로 새롭게 전환된 체계/생활세계 2단계 사회이론의 ‘단초적 윤곽’과 ‘맹아적 형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계는 효율성의 논리와 의사소통의 논리가 최적의 비율로 상호 결합된 새로운 ‘재구성적 체계 논리’에 의해 구조화됨으로써 물질적 재생산 작업은 민주성의 논리에 의해 기능적 논리가 통어·조정되는 방식에 따라 이루어져 나간다. 이로써 체계 내 민주화 및 해방에 관한 조망점이 확보되며 체계의 합리화는 사회적 진보를 향한 ‘해방적 합리화’로서 해석된다. 이와 함께 규범적 비판 및 평가가 가능해 짐으로써 체계 내 병리적 현상에 대한 진단이 가능해 진다. 그럼에도 기존의 식민화 현상에 관한 해명은 여전히 가능한데, 그것은 기능적 논리와 의사소통적 논리간의 적절한 결합 관계에 문제가 생겨 전자가 후자를 압도하여 체계 내 위기를 발생시키고 이어 다시 생활세계 내로 침탈해 들어가 의사소통구조를 왜곡시킴으로써 그러한 식민화 사태가 야기된다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재구성된 체계는 체계 내 병리적 현상과 생활세계의 식민화 현상을 모두 수미일관되게 포착·해명해 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생활세계는 의사소통적 논리와 비의사소통적 논리, 양자를 새로운 고유 논리로서 모두 함유하고 있는 사회질서 개념으로 재규정됨으로써 자유로운 의사소통 구조와 그것을 둘러싼 생활세계의 고유한 권력관계가 상호 연계되어 구조화된 이념(형)적 지평으로 새롭게 조망된다. 그에 따라 체계 논리에 의한 식민화 현상 이외에 비의사소통적 논리에 기초한 권력관계에 의해 촉발되는, 생활세계 내의 고유한 병리적 문제 또한 포착 및 진단이 가능해진다. 그와 함께 비의사소통적 논리는 본질상 비합리적 속성을 체현한 것으로 간주됨으로써 생활세계의 합리화는 여전히 의사소통적 합리화로서 드러나며, 그러한 논리와 그것에 기초한 생활세계의 고유한 권력관계는 그러한 과정을 저해하거나 새로운 갈등적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wo-level Theory of Society of System/Lifeworld’ succeeds in diagnosing and revealing the pathological phenomena in Lifeworld. But it is placed in the unability to grasp and explain properly the inner contradiction of System, and it does not recognize fully the peculiar pathological problems in Lifeworld, such as social conflict, either. In order to escape from these limits and drawbacks,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critically ‘Two-level Theory of Society’ focusing on the conceptions of two-level society. As a result of critical reconstruction, the ‘beginning outline’ and the ‘germinant form’ of the newly transformed and constructed ‘Two-level Theory of Society’ is as follows: Dimension of System: The inner structure of System is restructuralized by the new ‘reconstructive logic of System’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logic of efficiency and the logic of communication at a optimum rate between the two. Consequently, the material reproduction in System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e logic of democracy steers and controls adequately the functional logic. Hereby it comes to be possible to illuminate and measure the level and degree of the democratization and emancipation within System. And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diagnosis of the pathological phenomena in System successfully. Dimension of Lifeworld: Lifeworld is redefined as the new conception of social order that includes both communicative logic and noncommunicative logic which are inherently rooted in Lifeworld. As a result of that, it comes to be possible to grasp Lifeworld as the structuralized ideal-typical sphere in which free communicative structure is connected closely with proper power-relations that is situated inherently in Lifeworld. Consequently, it is practicable to capture and diagnose not only the inner colonization of Lifeworld but also the peculiar pathological problems in Lifeworld that are caused by powerrelations.

      • KCI등재

        교직 논술 평가 요소로서 논리적 체계성에 대한 연구

        임천택 ( Im¸ Cheon Tae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이 연구는 교직 논술의 평가 요소로서 논리적 체계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직 논술과 논리적 체계성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논리적 체계성은 교직 논술의 평가 요소 중 하나로 논술을 논술답게 만들어 주고 교직 전문성을 판단할 수 있는 사고력과 표현력 등의 핵심 요소들이 투영된 결정체라는 점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연구나 관심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임용 시험이 시작된 1991년부터 최근까지 교직 논술에서 논리적 체계성의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직 논술 평가에서는 논리적 체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논제 제시, 평가 요소 제시, 배점 면에서 미흡한 점이 나타났다. 논리적 체계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평가에서는 배점이 낮고 변별력을 별로 갖지 못할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를 토대로 향후 교직 논술에서 논리적 체계성을 평가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논리적 체계성에 대한 배점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논리적 체계성은 교직 논술에서 초등 교사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핵심 요소이다. 둘째, 논리적 체계성에 대한 평가 요소를 세분화하고 명료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험생에게 좀더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고 채점자간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셋째, 논리적 체계성에 대한 평가 실효성을 제고할 것을 제안하였다. 필자 주도로 논리적 체계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한 효력을 가져야 한다. 넷째, 논리적 체계성에 대한 평가전문성을 확보하여 평가의 신뢰도를 높일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교직 논술 평가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logical systemicity as an evaluation element of teaching essay writing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aching essay and logical system were examined. Logical systemicity is an important evaluation factor in the evaluation of teaching essay writing in that it is a crystal reflecting key elements such as thinking ability and expressiveness. Nevertheless, research and interest have been lacking over the past years. I critically reviewed the actual state of how the logical systemicity was evaluated in the essay writ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from 1991, when the appointment test began to the latest. As a result,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ogical systemicity in the evaluation of teaching essay writing, it was insufficient in the presentation of the essay task, the presentation of evaluation elements, and the point alloc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four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of the logical systemicity in the future. First,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distribution points for logical systemicity. logical systemicity is a key factor in evaluating the thinking and ex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ing essay writing. Second, it was proposed to subdivide and clarify the evaluation elements for logical systemicit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clearer guidelines to examinees an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corers. Third,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valuation on logical systemicity. The author should be able to construct a logical system, and the evaluation sh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Fourth, it was propo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evaluation by improving the evaluation expertise in teaching essay writing.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experts in evaluating teaching essay writing.

      • KCI등재

        종교의 정의(定義)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일고찰

        정태식(Tai-sik Ju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8 현상과 인식 Vol.32 No.3

        본 연구는 비교역사학적인 방법론에 기초하여 종교에 대한 정의를 시도한다. 종교의 역사성을 강조하는 한편 환원주의적 종교 정의가 가져올 수 있는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막스 베버의 이념표상적 구성에 따른 임시적 정의로 종교를 하나의 삶의 의미 체계로 간주하고 이 의미 체계가 벤자민 넬슨이 말하는 사고 논리와 행위 논리로 구성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사고 논리는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의 존재 이유, 과정, 결과, 목적 등에 대하여, 그리고 행위 논리는 사고 논리가 제시하는 목적론을 완성하기 위해 이 세상에서의 방법론적인 생활방식(예컨대 윤리 등)에 대하여 논리적인 설명을 제시한다. 삶의 의미 체계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종교는 이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다른 세계(내세나 과거의 황금기)를 제시한다. 이러한 타지성은 덧없는 인간적인 설명보다 더욱더 강화된 설명과 의미를 현상에 부여하게 된다. 이는 주로 성(聖)에 대한 개념이 타자성에의 의존이 주는 신비감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종교는 바로 이 성스러움에 근거한 삶의 총체적 의미 체계를 제시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편 베버의 세계 종교연구에 따르면 사고 논리의 역사적 발전은 현세와 내세의 보다 명확한 경계 설정에 따른 추상화와 조직화를 통해 종교의 탈주술화와 합리화를 가져왔고 강화된 사고 논리는 윤리와 도덕, 즉 행위 논리의 조직화를 수반하였다. 더 나아가 사고 논리가 지니는 설득력과, 논리, 조직성, 일관성, 그리고 추상성의 정도에 따라 세상에서의 삶의 방식을 합리적으로 결정짓는 행위 논리 또한 강화된다. 즉 주술에서 윤리적 종교로의 발전이 종교적인 차원을 넘어서 사회 정치적 차원에서의 도덕 실천적 합리성은 물론 경제 윤리까지도 합리적으로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지배와 종교의 사유화 현상이 맞물려져서 종교가 재주술화되는 현상이 지배적임을 논문은 보여 주고 있다. This study tries to make a definition of religion in terms of comparative-historical methodology of sociology of religion. Thus it is based on Max Weber's ideal typical construction that is not oriented to a general definition of religion but to the determination of the typological locus of a historical religious phenomenon. In this study as an ideal typical construction we suggest a working or acting definition of religion. That is 'meaning system of life', which consists of 'logic of thought' and 'logic of action.' Originated by Benjamin Nelson, a professor of sociology at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these two ideal types, 'zwei stiicke,' can be taken advantage of for the clarification of the historicity of religion. The former refers to the raiㆍson d'tre, reason for being, justification for existence, process of being, result of being, teleology of being, and law of cosmos, and so forth, while the latter suggests methodical way of life oriented to the fulfillment of the teleology provided by the logic of thought. Mostly the logic of action is a way of controlling human life as morality and ethics are. In regard to the meaning system of life, what to be emphasized is that world religions tend to take otherworld or otherness as the reference to the explanation of this world. Otherness can provide much more intensified explanation about the existence of this world than the ephemeral human production. Different from any secular meaning system such as modern science or socialistic world view, religions not only have total meaning system but also ar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acred. According to Peter Berger, "one of the essential qualities of the sacred is otherness." Another thing to be noted in this study is that if we follow Weber's study of world religions, the logics of thought and action have been developed in the midst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disenchantment and rationalization of world religions. The world religions of salvation, with intensified logic of thought(abstraction and systematization), have drawn sharp demarcation between this world and hinterworld, and suggested the other world to which we human being must oriented ourselves. However, in this process the teleology of life is suggested, and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thodical way of life based on commandment or ethics. This religiously oriented logic of action finally had rationalized our mundane way of life in this world. Thus, the histories of world religions have been the process of the disenchantment, de-magification, and rationalization of the world not only in religious contents but also in religious practices which include our daily socio-political life in the mundane world. However, in modern society, as history always has been, various phenomena of the re-magification of religion are taking place along with the privatization of religion linked to, and dominated by, the market oriented system of modern society.

      • KCI등재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기억에 의해 재현된 이미지는 대상의 표현이다. 그런 표현이 의도적일 때 디자인 표현이 된다. 즉 기억에 의한 표현과 디자인 표현은 동일한 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억에 의해 재현된 표현과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가 동일한 것임을 사례를 통해 확인함을 목적으로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의로 선택한 대상에서 상기된 이미지가 중복될 수 있음을 확인한후 중복된 이미지는 객관적 표현으로 중복되지 않은 이미지는 주관적 표현으로 범주화하여 표현의 논리체계를 분석한다. 그런 논리체계가 디자인 표현의 논리체계와 동일한 것임을 디자인 표현의 대표적 사례인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시각디자인부문 수상작품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방법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 매개는 주관과 객관이다. 주관을 매개로 현상되면 대상은 주관적 이미지가 함축된 객관적 이미지로 상징되어 표현된다. 객관을 매개로 현상되면 대상은 주관적 이미지로 규정된 후 규정에 부합되는 이미지를 통해 알레고리로 표현된다. 상징과 알레고리로 표현되는 디자인은 기억에 의해 재현된 표현의 논리체계에 의한 것으로 디자인 표현과 기억에 의한 표현은 동일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The image revived by a memory is an expression of an object. In case such expression is intentional, it becomes design expression. That is, the expression made by a memory and design expression are of the sam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at the expression revived by a memory shares the same logic system with design expression through relevant cases, and the methods used are as follows. After confirming that the image recalled by a randomly selected object may be overlapped, the study categorized overlapping images as objective expression and non-overlapping images as subjective expression. Then the study analyzed the logic system of expression. The study composed the fact that such a logic system is the same as that of design expression by confirming though the work of prize winner in the visual design field at the Korean Design Exhibi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ase of design expression. The contents deduced from the method are as follows. The medium of expression is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When an object is represented as a shape by a medium of subjectivity, the object is expressed by being symbolized as an objective image in which a subjective image is implied. When an object is represented as a shape by a medium of objectivity, the object is defined as an objective image and then, it is expressed as an allegory through an image matching the definition. Design expressed as a symbol and an allegory is made by the logic system of expression revived by a memory. Accordingly the study confirmed that design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made by a memory are of the same system.

      • KCI등재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와 현실 권력 추수주의의 결합 : 김형효의 자생적 철학체계 수립 기획

        선우현(Sunwoo, Hyun)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7

        김형효는 본래 서구철학의 본산지라고 할 유럽의 한복판에서 서양의 철학과 사상, 문화를 공부했으며 그에 심취했던 전형적인 유학파(留學派) 철학자였다. 그럼에도 70년대 초반, 패기만만한 소장 사회철학자 김형효는 ‘한국적 특수성의 체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보편적 이론을 창조할 수 있을 것인가?’하는 지적 모험과 고민에 빠져 있었다. 아울러 그 방향으로 ‘창조적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를 정립해 나가고자 시도하였다. 그렇게 해서 (잠정) 도달한 곳이 ‘양가성(兩價性) 논리에 기초한 (사회)철학체계’이다. 김형효는 그 같은 자신의 고유한 실천적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한국사회의 현실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자 했으며 실제 정치일선에 뛰어들어 사회현실의 변화를 꾀하고자 기도하였다. 곧 그의 현실 참여적인 철학적 움직임은, 박정희 유신정권을 거쳐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이르기까지, 정치 현장에 적극 개입하여 정책 수립에 관여하는 등 예의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수행을 통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문제는 김형효가 구상하여 제시한 나름의 ‘독창적인’ 철학적 사상체계가 ‘과연 고유한 자생적 철학체계로서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는가?’하는 점이다. 더불어 ‘그러한 문제성 있는 철학체계에 의거하여 감행된 현실 정치에로의 개입이 제대로 된 철학적 방향성과 규범적 정당성을 지닌 현실 연관적 철학함의 방식이었는가?’하는 점도 깊이 있게 검토해 봐야 할 또 다른 중요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물음들을 염두에 두면서, 이 글은 1970년대 유신정권과 뒤 이은 80년대 신군부 군사독재 정권 하에서 선도적인 현실 참여적 사회철학자로서 맹활약했던 김형효의 독창적 철학체계의 본질과 실체를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다. 무엇보다도 외래 (서구)철학에 대한 각주달기 철학에서 벗어나 고유한 사상체계를 수립하고자 했던 그의 ‘자생철학 수립 기획’이 애초의 목표와 달리, ‘독재 정권의 이념적 정당화 기획’으로 변질되게 만든 ‘근본 원인’을 비판적으로 폭로해 보여주는 데 주안점이 두어져 있다. 곧 그러한 원인은 ‘변용(變容)된’ 서구 철학 추수주의에 자리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그것이 현실 권력에 대한 무반성적 추수주의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결정적으로 초래된 것이라는 점을 비판적으로 규명해 보여 주고자 한다. In the early 1970s, Kim Hyung-Hyo as an ebullient young philosopher was caught in the serious intellectual agony on the philosophical theme, that is to say “How can a universalist philosophical thoughts system be created based on Korean unique specificity of situation?” Thus in that direction displaying the creative imagination, Kim tried to establish his own original practical philosophy type. In so doing, the destination at which he had arrived temporally was the social philosophy type based on ‘the logic of ambivalence’. Also in reliance on such his own proper practical philosophy type, Kim Hyung-Hyo made an attempt to engage himself directly in the various politicalsoci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For example, he really plunged into the full-time politics and endeavored to solve and change the difficult political-ideological situations and obstacles, from Park"s Yooshin Regime to Chun"s Neo-Military Dictatorial Regime. The question is “Did Kim"s original philosophy type ‘in his own way’ fulfill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as the proper spontaneous philosophical system?” Besides, “Was his philosophical intervention into the real politics on the basis of such a problematic philosophy type an appropriate way of actual doing-philosophy which has the philosophical directivity and the normative justification?” is another important question which is to examine critically. Taking these controversial points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critically and closely the essence and substance of the original philosophy type of Kim Hyung-Hyo who played very actively as both a representative reality-participant social philosopher and a leading system-advocation ideologue under the dictatorial regimes over two decades from 70s to 80s. Above all, this essay tries to do its best in order to disclose critically the fundamental cause that allows Kim"s project of establishment of spontaneous philosophy type to change into the project of ideological justification for the dictatorial regime, contrary to its initial intention and purpose. Name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explicitly the fact that the critical cause of such deteriorated change lies i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t the same time it comes to appear definitely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formed conformism to western philosophical thought and the blind conformism toward real dominant power.

      • KCI등재

        최치원의 ‘風流’ 해석 - <鸞郎碑序> 논리구성을 중심으로

        장성재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8

        최치원이 <鸞郎碑序>에서 주장한 ‘풍류’사상은 한국 고유사상의 원형을 찾는 실마리로 평가받아서 지금까지 대중과 학계의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고, 그만큼 이와 관련된 많은 문제와 논란이 있는 주제이다. 이에 최치원의 주장을 검토하기 위해, <난랑비서> 본문의 논리구성을 분석하여 ‘풍류’개념의 ‘內包’된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연구들의 크고 작은 논쟁문제들이 무색할 정도로 최치원의 생각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치원은 ‘풍류’라는 용어는 자신이 지어낸 것이 아니라, 『선사』의 기록을 인용 제시한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 아울러 그의 주장은 ‘풍류’에 담긴 고유한 사상을 윤리적 측면에 한정시켜, ‘正名論’의 관점에서 유불도 삼교사상과 비교해서 해석한 것이다. 따라서 고유의 ‘풍류’사상과 최치원의 ‘풍류’사상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그는 ‘정명론’의 관점에서 중국 삼교사상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풍류’사상에 담긴 고유한 윤리체계를 세 영역으로 나누어 상호관계를 설명하였다. 그가 ‘정명론’의 관점에서 삼교 윤리를 세 영역으로 나눈 것에 대한 증거는 삼교의 창시자 이름 대신, 세 사람의 당시 사회적 지위에 따라 윤리적 특징을 구분한 것에서 알 수 있다. 즉 그는 신라 유의 ‘풍류’사상의 윤리체계를 - ㉠윤리 대상과 관련해서는 ‘魯 司寇(공자)의 취지와 같은 국가와 가정에서의 ‘충효’, ㉡윤리 행위방식에 있어서는 ‘周 柱史(노자)의 진리를 지킬 때와 같은 ‘무위’와 ‘불언’의 실천, ㉢윤리 판단하는 마음씨는 竺乾 太子(석존)의 욕심 없는 마음(‘自淨其 意’)으로 모든 ‘선악’의 판단하는 것으로 – 윤리의 ‘대상’과 ‘마음의 주체’, 그리고 양쪽을 매개하는 ‘행위’의 세 영역의 관계(Ⓒ實乃包含三敎) 로 해석하였다. 셋째, ‘풍류’를 신라의 ‘현묘지도’(國有玄妙之道 曰風流)라고 한 그의 주장은 ‘풍류’사상에 담긴 삼교의 윤리(‘實乃包含三敎’)가 세 영역에서 하나의 체계를 이루고, 이를 배우고 익힌 화랑도와 신라인들이 올바른 사회를 이룩하려는 실제 효과(‘接化羣生’)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근거들을 통해 제시된 것이다. 넷째, 최치원이 주장한 ‘풍류’사상의 윤리체계가 실제로 화랑도에서구현된 사례가 있었는지 검증해 보고자, 그 모범사례가 되는 낭도 金 欽運의 삶을 『삼국사기』에서 찾아 비교하여 확인해 보았다. 이상의 검토 결과, 신라고유의 ‘풍류’사상이 지닌 윤리체계에 대한 최치원의 ‘주장’은 그가 참고한 문헌과 논증의 ‘근거’들과 함께, 76자에불과한 <난랑비서>의 글 속에 논리정연하게 함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그가 주장한 ‘풍류’사상의 윤리체계를 화랑도의 모범사례를 통해 검증한 결과, 그 윤리체계가 화랑도의 실제사례에도 드러나 있었고 나아가 신라인들에게도 큰 영향을 준 것 또한 확인할 수있었다.

      • KCI등재

        형식체계로서의 상대역이론(Counterpart Theory)의 결함에 대하여

        이창후(Chang Hoo Lee)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7

        상대역 이론(CT)은 양상 논리 체계에 대한 경쟁이론 중의 하나이며 1차 술어 논리에 원초적 술어와 공준들을 더하여 술어논리의 하부이론으로서 양상적 담론을 형식화하려는 시도이다. 하지만 이런 CT의 시도는 처음에 의도된 바와는 달리 “□P”와 같은 명제양상논리의 바른식을 CT로 번역하지 못한다는 결함을 안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는 CT의 단순한 변형에 의해서는 수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CT가 양상 논리의 담론을 1차 술어 논리로 완전히 형식화하는 데에는 부분적으로 실패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양상 형이상학의 맥락에서 CT에 대한 비판은 많지만, 형식체계의 결함에 대한 메타논리적 비판은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 논문은 이 측면에서의 CT에 대한 재고를 주장한다. The counterpart theory(CT) is an alternative theory that competes with modal logic, and it is an extended theory of the predicate logic(PL) that includes more primitive predicates and postulates, trying to formalize modal discourse in PL. But I argue that CT, unlike what was intended at first, has a defect that wff of propositional modal logic like "□P" cannot be translated into CT. And it doesn't seem this defect can be compensated by simple modification of CT. This defect makes CT fail at least partly in complete formalization of modal discourse into first order language, which is the point of this paper. There have been many critics on CT in the context of modal metaphysics, but there seems to have been almost no critic on its defect as a formal system from metalogical point of view. Thus this paper, which is one of that rare study, can be somewhat meaningful.

      • KCI등재

        내적 논리를 바탕으로 본 주 시경 선생의 음학

        이문규 한글학회 2014 한글 Vol.- No.305

        This study aims to re-evaluate Ju Si-gyeong’s theory of phonology, Eumhak, based on its internal logic. In the previous studies, Ju Si-gyeong’s Eumhak has been regrarded as the first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approach to the sounds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has established modern Korean phonology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e for the modern Korean orthography. However, some of the studies seem to have examined Ju Si-gyeong’s Eumhak on the basis of the modern phonological framework only, so that they are not likely to show its full characteristic features and value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is issue and to suggest some possible solutions. Through all his works published on Korean linguistics, Ju Si-gyeong’s research has been proved to be oriented toward a thorough systemicity of his theory and approached with analytic methodologies. Furthermore, he sought to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Korean characters and notational systems. This study clearly ensures that the internal logic, which was derived from the methodological principles and pragmatic purposes, was applied appropriately for organizing the contents and explaining the linguistic details of his Eumhak.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vidently shows that Ju Si-gyeong’s theory gives a thorough systemicity and consistency in describing phonological units and system and explaining the phonological alternations in Korean. 주 시경 선생의 음학은 국어의 말소리에 대한 최초의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로서 현대적인 국어 음운 연구의 기초가 되었고 합리적인 표기법의 바탕을 마련해 주었다는 점에서 국어학사적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이 논문에서는 주 시경 음학의 내용을 그 내적 논리, 즉 그의 말소리 연구의 목표와 방법론 등에 담긴 학문적 논리를 바탕으로 다시 살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향은, 지금까지 주 시경 음학을 평가하면서 현대 음운론의 개념과 체계를 일차적인 잣대로 삼음으로써 그 특징과 가치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는 반성 위에서 세워졌다. 주 시경 선생은 국어 연구 전반에서 철저한 체계 지향성과 언어 단위에 대한 분석적 접근법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그의 음학은 문자 체계 및 표기법의 확립이라는 실용적 목적을 추구하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방법과 목적이 하나의 단단한 내적 논리가 되어 음학 전반의 내용 체계 구성과 세부 사항의 기술에 일관되게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말소리의 단위와 체계, 음운 변동의 분류와 설명에 나타나는 주 시경 음학의 내용들은 현대 음운론의 관점에 대한 근접도와는 별개로, 그 자체로 매우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논리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무문관』의 공안에 나타난 유무상즉의 논리체계

        김석암(Kim Seok-am)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8 No.-

        조사선의 공안에서는 자신이 본래 갖고 있는 불성의 자각을 중시한다. 특히 조사들은 붓다가 깨닫고 달마 이래 모든 선각들이 깨달은 중도의 이치를 수단과 방법을 총 동원하여 그의 제자들로 하여금 직접 수행하여 스스로 깨닫게 하려고 한다. 따라서 공안을 읽는 사람들로 하여금 공안이 제시하는 바가 초논리적이며, 파격적인 성격을 강하게 느끼게 만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깨달음을 여는 중요한 기제(機制)로 인식되는 공안 속에서 일정한 논리형식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논리를 초월하는 깨달음의 세계를 알리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일정한 틀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1700개의 수많은 조사들의 공안들이 있지만, 모든 공안의 요체는 중도의 그 자리를 보게 하는 데에 맞추어져 있으며, ‘中正’의 상즉관계에 계합하는 논리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무문관』에 나타난 공안을 중심으로 조사들의 有無에 相卽한 ‘中’과 ‘正’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論理體系를 밝힌다. Zen-master used whatever methods if they are helpful to enlight his disciples, so in the methods, there are very odd ones in common view as like shouting, hiting, etc. For that reason, We think that kuan(公案) which is a riddle that zen masters give to enlight zen-practicer is also non-logical. But I think kuan has special logic system. For kuan is for the enlightment of middle way(中道), kuan has the logic form to enlight middle way. In this paper, we shall see the logic system of koan in the Gateless Gate (無門關; Wu-wen kuan) to test above hypotheses. For this aim, we examine the logic of the kuans in the Gateless Gate as like 1) Case 1: J?sh?"s ""Mu"", 2) Case 3: Gutei Raises a Finger, 3) Case 5: Ky?gen"s ""Man up in a Tree"", 4) Case 7: J?sh?"s ""Wash Your Bowl"", 5) Case 10: Seizei Is Utterly Destitude, 6) Case 11: J?sh? Sees the Hermits 7) Case 14: Nansen Cuts the Cat in Two 8, 8) Case 18: T?zan"s ""Masagin"". All zen master" enlightment is to enlight the truth of midle way which being is not different to non-being, or being is same to non-being. Zen-masters say about 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non-being, and non-being to the man who attaches to being, the absolute to the man who attaches to a phenomenon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kuan of J?sh?"s ""Mu"" say that there is not the buddha nature of a dog, though there is the buddha natu re of a dog. We can enlight the truth of middle way through the logic of kuan.

      • KCI등재후보

        방송통신재난에 대한 대응체계와 개선방향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35조를 중심으로 하여-

        양천수 법제처 2020 법제 Vol.690 No.-

        오늘날 방송통신이 사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면서 방송통신재난 역시 치명적인 재난으로 각인된다. 이에 방송통신재난에 신속하면서도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우리 법체계는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을 제정 및 시행한다.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을 중심으로 하여 방송통신재난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그러나 방송통신재난에 대한 현행 대응체계에는 문제가 없지 않다. 이를 적절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방송통신재난에 대해 현행 법제가 어떤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는지, 여기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대응체계를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살펴본다. 그중에서도 특히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에 초점을 맞춘다. 이 글은 먼저 방송통신재난에 대해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이 어떤 대응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살펴본다(II). 이때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35조가 규정하는 주요방송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특히 주요방송통신사업자가 어떤 규범적 의무를 부담하는지 분석한다. 이어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의 대응체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본다(III). 여기에서는 법해석을 통해 주요방송통신사업자의 범위를 사실상 확장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검토한다. 이를테면 법해석으로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사업자나 데이터센터사업자를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 포섭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그러나 이 글은 법치주의에 따라 이는 허용될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이는 법해석이 아닌 입법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현행 「방송통신발전 기본법」을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논의한다(IV). 이 글은 주요방송통신사업자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위원회 방식을 활용하여 외연을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제안이 법치주의의 요청과 방송통신 현실의 요청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