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색성장과 포용적 비즈니스 : 개발도상국 시장의 숨겨진 기회

        김주헌,김수아 한밭대학교 적정기술연구소 2016 적정기술 Vol.8 No.2

        포용적 녹색성장 실행을 위해 민간부문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는 시장기반 접근법(market-based approaches)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기존의 비즈니스 방식에서 소외되었던 빈곤층을 비즈니스 가치사슬의 주체, 즉 생산자, 근로자, 판매유통자, 소비자 등으로 인식하고, 기존 시장이 외면했던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방점이 있다. 환경 · 사회적인 부문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가치중심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 가치중심 비즈니스의 탄탄한 재무적 성과 등은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 개발도상국에서의 녹색투자 환경변화, 현지의 필요에 ‘적정하게’ 들어맞는 친환경혁신 기술의 도입 및 활용, 그리고 빈곤층 이슈를 국가녹색성장 정책에 포함하려는 일련의 노력들은, 비즈니스를 통한 포용적 녹색성장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 KCI등재

        녹색물류활동이 국내 물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상진(Shang-Jin Sh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물류기업의 경영자인식, 실무자인식, 물류관련제도 및 정책 등이 녹색물류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녹색물류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한 것이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는 서울에 소재한 물류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물류실무담당자 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것을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경영자의 인식, 기업내부의 지원활동, 정부의 물류관련정책 및 규제에 의하여 녹색물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무자의 인식과 녹색물류활동 간에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정책 및 규제에 따라 경영자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따른 의사결정을 내릴 경우 녹색물류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녹색물류활동과 물류기업의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녹색물류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기업이미지 및 고객서비스 향상을 통해 기업의 수익이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 한다. This research studied top level and working level managements" acknowledgement of domestic logistic companies and national system and policy effect to green distribu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related with it. For reliable research results, necessary research data were gathered from 68 employees of logistics companies in Seoul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statistical analysis purposes. After serious research analysis, it shows that green distribution activities have been performed and controlled by acknowledgement level of top management, internal support activities of company, and the government"s system and policy. On the contrary, there was no direct connection between acknowledgement level of working management and green distribution activities. This result shows that a policy of government support is necessary for top level management to understand the advantage of green distribution activities. Further 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between green distribution activities and logistic companies shows a positive (+) relationship.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logistic companies expect to increase business return with raising their corporate image and customer services based on importance awareness of green logistic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소비자 가치와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이영애,서인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녹색소비행동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소비자 가치와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 래인식에 따른 녹색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 우리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의 녹색소비 행동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녹색소비행동의 수준을 예측하고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 제고의 필요성과 건전한 소 비문화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83부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t-test, ANOVE, 요인분석, 순서형 프로빗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 타났다. 즉, 소비자 가치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기능적·상황적 가치가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은 낮게 나타났 다. 둘째, 청소년들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중 사용행동과 처분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 타나 청소년들의 소비자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따라 녹색소비행동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 소년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녹색소비행동과 관련성 있는 변수는 용돈과 주거형태로 나타났다. 즉 용돈 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행동이 높았으며 주거형태는 다세대 및 연립주택 등의 공동주택에 거주할수록 녹색처분수준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청소년들의 녹색소비행동은 소비자 가치, 비윤리적 상거래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녹색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소비자 가치와 윤리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사회적으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비자 가치, 윤리의식관련 교육프로그램 의 개설 및 녹색소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계몽과 홍보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低炭素 綠色成長과 綠色金融政策方向

        姜哲勝 한국재무학회 2009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11

        세계 경제 불황을 극복하는 신경제성장 동력으로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불론 이명박 정부도 신경제 성장정책의 중심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친환경 녹색성장정책을 강력하 게 추진하고 있다. 정부 내 각 부처 마다 다양한 녹색정책방안을 발표하고 있어 혼선을 야 기하고 있다. 녹색성자정책의 지원방안으로서 녹색금융은 녹색성장을 위한 금융지원, 녹색 금융상품을 통한 환경개선·금융상품 개발, 리스크 관리 개선 등으로 인한 금융 산업 발전 등을 추구하는 새로운 금융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금융권이 녹색기업·기술을 심사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녹색기업 ․ 기술 인 증제 등을 통해 금융회사가 기업을 선별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녹색기업 ․ 기 술에 대한 기준이 없다면 은행의 녹색대출 상품은 기존 대출과 차별화되지 않으며, 선별기 준을 엄격히 적용해 녹색버블 가능성을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리고 녹색금융을 발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전문 인력 영입·육성으로 판단된 다. 전 세계적인 친환경 운동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금융권의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또한 녹색성장 초기에는 정부 지원을 통한 시장조성이 필요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자율적으로 녹색금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한편 녹색자금이 수익성이 검증된 부분에만 몰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유망한 산업에 지원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하며, 유망한 녹색기술을 가진 초기기업은 기술 상용화 시간 때문에 리스크가 높 아 자본시장을 통해 자금이 지원될 수 있는 채널과 인센티브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녹색성장정책의 기원과 녹색금융의 개념 및 선진 각국의 녹색금융 정책추진방향을 분석하고, 한국의 현재 추진현황을 살펴본 후 녹색금융 산업의 문제점과 개 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o overcome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s new economy growth of countries including the U.S., of course, Lee Myung-bak government's policies at the center of the new economy grow an eco-green, low carbon green growth is driving strong growth policy. Government agencies in each and every variety of green policies have introduced measures is causing confusion. Saint policy support measures as green finance green financial support for green growth, improve the environment through green financial products and financial product development, due to improved risk management and financial industry is seeking new financing in the form appears. However, green business, technology, financial difficulties 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green businesses. Technical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a finance company to elect the company's infrastructure needs. Green businesses. If there is no technical basis for a traditional bank loans, loans, and the green is not differentiated, selectively applying strict criteria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 green bubble, it's important. And gree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ing financial professionals to develop signing, will be determined. Export dependence on the global environmental movement has a big impact in the high country, so the financial need of a quick response. In addition, green growth over the initial support for the government market requires creating voluntary green market, but long-term financing must be enabled. The only part of the green funds do not focus on the proven profitable and promising industries in the long term can be supported to excuse the device, and a promising green technology companies wit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ours early because of the high risk funds through capital markets, supported the channel and the incentive structure should prepare. In this study, the origins of eco-friendly green growth policy and the concept of green finance green financial polici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promote the direction of analysis, and a look at South Korea's current status and promotion of green issues and the financial industry is to improve the present.

      • 경기도 에너지전환을 위한 녹색금융 활성화 방안 연구

        고재경,강철구,예민지,전소영 경기연구원 2021 정책연구 Vol.- No.-

        The role of finance is important to bridge the gap in green investment necessary to achieve 2050 carbon neutrality. As awareness of the risks of climate change to finance has increased due to COVID-19, ESG and climate risk are emerging as key factors directly affecting financial performance beyo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ly, the size of the global green finance market is growing rapidly. Green finance is important as a means of securing new growth engines by facilitating investment in green industries while procuring financial resources for the Gyeonggi-do Green New Deal projects and energy transition by efficiently linking public and private capital. According to a survey of promisi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Gyeonggi-do, the response was high that ESG and carbon net-zero related trend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ir bussiness management but most companies were not prepared for this. However, awareness of green finance and the related policy support are very insufficient. In this paper, three strategies and 20 tasks are presented as a way to activate green finance for energy transition in Gyeonggi-do. First, ESG and climate risk should be integrated into public sector decision-making by reflecting green finance indicators in public institution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afe depository managers.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green finance center and in the mid to long term Gyeonggi Green Finance Corporation. Second, in order to mobilize private financial resources necessary for low carbon infrastructure investment, a climate fund should be installed. More innovative means such as a green financing model such as green bonds, green factoring, On-Bill financing and PACE also should be introduced. Third, Gyeonggi-do will expand finance for green investment through green guarantees, interest rate support, green financ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arbon net zero funds, and increase the capac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respond to global ESG and carbon net-zero trends. For green finance to be promoted, carbon net-zero goal must be clearly set. In particular, since partnership with private financial institutions is important for green finance, it is desirable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establishing the Gyeonggi Green Finance Corporation as an institution in charge of this role. Lastly, we propose the formation of a Gyeonggi-do Green Finance Working Group to prioritize the proposed tasks and implement in sta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술연구 : 녹색벤처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애로요인에 관한 연구

        이재학 ( Jae Hak Lee ),김인규 ( In Kiw Kim ),이미순 ( Mi Soon Lee ),박철 ( Cheol Park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1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4 No.2

        녹색산업이 세계적으로 부상하면서 녹색벤처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녹색벤처 업체를 초기에 정상화시키기 위해서는 애로요인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제품개발에 성공한 벤처기업들도 막상 시장에서 마케팅의 어려움 때문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벤처의 어떤 애로요인들이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녹색벤처 기업 19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분석해 본 결과, 녹색벤처의 마케팅 경쟁력은 시장창출, 납품 및 유통, 자금문제에 대한 애로요인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케팅 경쟁력은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녹색벤처의 설립연도와 소재지에 따라 각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대적으로 신생기업일수록, 비수도권 소재 기업일수록 납품 및 유통관련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도권 소재기업이나 상대적으로 오래된 기업일수록 자금지원관련 애로요인이 마케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녹색벤처를 육성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orldwide, green growth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a new economic development. Green Growth in 2008 to South Korea for a new growth paradigm of national development is proposed. And in the green industry development and investment has been a lot of support. All green industry to develop global competitiveness, with the green industry to act as seeds in the ecosystem is essential to the growth of green ventures. Without the development of a green venture profitable green industry is difficult to form an ecosystem. Green ventures as well as other ventures to think that marketing is the most difficult. Venture Although they have superior technology, market creation is the absence of marketing skills. But in high-tech sectors such as the green industry continues to maintain technological superiority in the venture unit is not easy. Green Venture eventually to customers with a differentiated marketing is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should be the balance advantage in global markets. As with previous studies exa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green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and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bottleneck of green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as increased and the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has to be lowered. Also, competitiveness of marketing is ultimately related to marketing performance. As a result,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green venture market creation, delivery and distribution, Monetary support for the more active support. In this paper, the results based on green venture to develop and the implications for growth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 KCI등재
      • KCI등재

        태양광발전중소기업의 해외비즈니스모형

        문창권(Chang-Kuen Moon) 한국관세학회 2013 관세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overseas business models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PV(Photovoltaics) Industry which is reemerging as a promising industry due to the increasing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and the initiation of low-carbon green growth policy and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Especially, we analyze the properties and advantages of PV industry as a distributed generation technology and show the possibility that the entrance into the Myanmar market having the excellent location for PV system with the high solar radiation will lessen the capital cost of PV power generation system through heightening the capacity factor of PV system. Concludingly, the desirable business model should be designed to generate the specialized third party type of special purpose company(SPC) established by the SME consortium composed of the manufacturers of BOS(balance of system), programming companies, and operating and maintenance companies in pursuit of the long-run competitiveness and effective adaptation performances of the PV value chain. In addition, the target customers of SPC should be separated into two revenues sourc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Korean investing SMEs to assure the stable profit modeling based on the appropriate power purchase agreements(PP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