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조사

        강지숙,박성지,양송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This study, we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language rehabilitation in the elderly by examining the perception of the SLP(Speech Language Pathologists) about the language problems related to the geriatric diseases and the language problems in the aging process without any pathological problems. For this purpose, 121 SLP were surveyed about percep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about language rehabilitation in the elder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66% of SLP were aware of geriatric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and most of them said that geriatric language rehabilitation is essential. Second, the elderly who were most likely to suffer neurological language damage (66.9%) were the subjects of the geriatric language rehabilitation recognized by SLP. Third, 73.3%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 academic preparation for the elderly language rehabilitation is low. As a result of this study, SLP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expressiveness and understanding ability for quality of life and communication of the elderly, but it was found that there is not much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treatment of actual geriatric language rehabilitation. 본 연구에서는 노인성 질환과 관련된 언어문제와 병리적인 문제가 없는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언어문제에 대해서 현직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언어재활사 121 명을 대상으로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 경험, 교육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66%는 노인언어재활에 대해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재활사가 인식하는 노인언어재활의 대상으로는 신경학적 언어손상을 보이는 노인(66.9%)뿐만 아니라 노화에 의한 의사소통장애를 보이는 노인(63.6%)이라 답하였다. 셋째,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학문적 준비도는 언어재활사의 73.3%가 낮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언어재활사들은 노인의 삶의 질과 의사소통을 위해 표현력이나 이해력의 향상을 위하여 노인언어재활이 꼭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치료경험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언어치료전공생의 노인언어재활 이해 실태

        강지숙(Kang Ji sook),박성지(Park Sung Ji),이현주(Lee Hyu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는 언어치료학 또는 언어병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이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8년 1월 3일부터 2월 17일까지 전국의 4년제 대학교 학생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 전공생의 53.2%는 노인언어재활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언어재활의 대상자로 노화에 의한 의사소통장애 노인을 51.8%로 꼽았다. 셋째, 노인언어재활의 필요성, 이유, 치료분야에 대해서는 94,6%가 필요하며, 삶의 질과 관련된 이유가 51.3%, 치료분야는 표현향상이 75.5%로 가장 높았다. 넷째, 학문적 준비도에 대해서는 87.5%가 준비되지 않았다고 답하였다. 다섯째, 임상경험에 대해서는 88.4%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여섯째, 관련된 교육에 대한 참여의사는 가끔이 44.6%로 나타났다. 일곱째, 82.6%의 응답자가 노인언어재활의 효과성이 높다고 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ing. After IRB approval exemption, there were 224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aken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January 3rd to February 27th, 2018.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53.2% of the participants did not know about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2) as a subject, the major students named 51.8% of the elderly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due to aging. 3)the necessity, reason and treatment field, 94.6% were needed, 51.3% for the quality of life and 75.5% for improvement of expression language. 4) 87.5% of them were not ready for academic preparation. 5) 88.4% students had no clinical experience. 6) 44.6%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occasionally. 7) 82.6%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is high.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강지숙,박성지,양송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geriatric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care wokers about the language problems of the elderly who are present not only in the process of cerebrovascular diseases or dementia but also in the normal aging proc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17 care workers nationw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89.7% of care workers were aware of geriatric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and 83.8% of care workers were not learned about geriatric language rehabilitation. Second, 96.6% of the patients in charge of nursing care workers had experience in speech-language therapy, but 77.9% answered that they were not effective in improving language ability. Third, 78.6% is needed for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care worker recognized the need for language therapy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subjects, but did not learn language therapy. 본 연구에서는 노인환자에게 다양한 직․간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노인환자들과의 의사소통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노인환자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요양보호사들의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요양보호사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89.7%는 언어치료에 대해 알고는 있으나, 언어치료에 대한 교육경험은 83.8%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요양보호사의 담당 환자 중 96.6%가 언어치료 경험이 있으나 언어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77.9%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하였다. 셋째, 언어치료의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8.6%가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본 연구결과 요양보호사들은 노인언어재활 대상자들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언어재활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다른 재활치료에 비해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 않아, 노인환자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요양보호사의 언어재활 인신확산을 위한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경도인지장애(MCI) 노인의 언어능력에 대한 연구동향

        이영민,김정완,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9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현재 우리 사회는 고령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노인인구가 급격하게 늘고 있고 사회 여러 분야에 서 노인층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중 65세 이상 노인 중 무려 92.9%가 경도인지장애 (MCI)에 속한다고 한다.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CI)노인의 언어능력을 주제로 발표된 학술지 논문을 종합하여 최근의 노년층 경도인지장애(MCI) 언어능력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기준에 맞는 연구 총 17편을 선정 하였다. 먼저 연도별로 연구현황을 살펴본 후, 연구 대상자를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연구 방 법은 실험에 사용된 평가 과제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도별 연구 현황에 있 어, 2012년대 초반에 비하여 경도인지장애(MCI) 노인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둘째, 연구 대상자 대조군 비교에서는 ‘경도인지장애-알츠하이머 치매-정상 노화 (MCI–AD–NA)’를 비교한 연구가 6편(35.2%)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 방법 분석에 서 연구의 평가 과제 중 이름대기 과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 분야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노인언어재활 인식

        강지숙(Kang Ji Sook),박성지(Park Sung Ji),김원정(Kim Wo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노인언어재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기관내윤리위원회 승인을 받은 후 언어재활 전문가에 의해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J도 I시 소재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로 총 462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86.6%는 노인언어재활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98.3%는 노인언어재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필요한 이유로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이유가 가장 많았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51.7%는 모든 노인을 언어재활의 대상으로 해야 하고 치료분야는 표현향상이 79.3%, 이해향상이 71.4%로 타인과 의사소통의 문제를 꼽았다. 노인언어재활치료의 효과성은 90.9%가 높을 것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학문적 준비도에 대해서는 86.3%가 준비되지 않았다고 답하였고, 노인언어재활과 관련된 임상실습의 경험이 없으나 관련된 교육에 대한 참여의사는 간호대학생의 78%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ing convenience sampling. After IRB approval exemption, there were 462 nursing students at I city in J provinc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aken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May 1st to September 30th, 2018.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awar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86.6% of the participants did not know about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2) as the necessity, reason 98.3% were needed, 60.4% for the quality of life and 75.5% for improvement of expression language. 3) as a subject, the nursing students named 51.7% of the elderly in all and as the treatment field, 79.3% for improvement of expression language and 71.4% for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language. 90.9%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elderly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is high. 4) 86.3% of them were not ready for academic preparation. 99.4% students had no clinical experience. 68%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 KCI등재

        치매 위험군 노인 대상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선영(Lee Seon Young),임다연(Lim Da Yeon),배희숙(Bae Hee Sook)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9

        본 연구는 몸동작과 같은 여러 가지 연극적 기법을 활용한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개발하기 위해 예비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K-BNT와 K-MMSE 검사 결과 경도 인지장애 혹은 인지장애에 해당하였던 노인 5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0분의 5회기 소집단 언어치료를 실시한 후 그 과정과 치료 전후의 의사소통 기능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대상 노인은 모두 낮 시간 동안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집단 언어치료는 해당 주간보호센터 내의 분리된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도입활동, 구강‧안면 운동, 기억력 촉진 활동, 마무리 활동과 같은 4단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대상자의 변화를 <구어표현>, <긍정적 태도>, <참여도>, <의미 있는 제스처>와 같은 변인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이 치료 전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 변인은 네 가지 변인 중 <의미 있는 제스처>에서였고, 나머지 변인은 치료 전후의 차이가 유의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어도 꾸준히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장애 노인 대상자의 경우 먼저 몸동작을 기반으로 한 <의미 있는 제스처>를 통해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이 나타났고 나머지 세 가지 변인(참여도, 긍정적 태도, 구어표현 순)은 좀 더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의미 있는 변화로 진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단기간 예비연구를 통해 파악한 특성은 몸동작을 중심으로 한 연극기반 집단 언어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s using drama therapy techniques. For this study, we selected 5 elderlie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cognitive impairment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K-BNT and K-MMSE tests. We analyzed the process of this group therapy and its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This group language therapy was conducted in a separate space within the weekly care center using four step program such as <introduction activities>, <oral and facial exercise>, <memory stimulation activities>, and <finishing activities>. For analyzing the change of communication skill of participants, we designed four factors such as <verbal expression>, <positive attitude>, <participation degree>, and <meaningful gesture>. As a result, <meaningful gesture> of fifth s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irst session. The other factors showed a steady positive chang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se of gesture is important for the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for communication function.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theater-based group language therapy program.

      • KCI등재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언어수행력

        장성원(Sung Won Jang),김정완(Jung Wa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4

        Purpose: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syndrome defined as cognitive decline greater than expected for an individual's age and level of education, but that does not interfere notably with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optimal cut-off scores by comparing performance according to language tasks for the discrimination between normal elderly and patients with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Methods: The performance of 23 normal elderly and 33 patients with aMCI in tasks such as confrontation naming, generation naming (semantic fluency, phonemic fluency), sentence comprehension, picture description (number of syllables per second, CIU ratio (%), pronoun production ratio), and targeting was measur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language tasks except for the number of syllables per second (speech rate) and pronoun production ratio. In ROC analysis, the language task showing the greatest discriminat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aMCI group was 'sentence comprehension', 'K-BNT-15', 'CIU ratio (%)', 'letter fluency task (/ㄱ/)', and 'semantic fluency task (animal)'.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eficits in sentence comprehension, naming, and connected speech are identifiable in patients with aMCI. Therefore, these language tasks are suitable for detecting subtle language deficits in subjects with aMCI. Specific language screening tasks, i.e., sentence comprehension, naming, CIU ratio (%), were found to be useful to clinicians for assessing the degree of cognitive impairment.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for whom treatment options are being evaluated that may alter the rate of progression to dementia.

      • KCI등재

        노인들의 언어 문제와 언어 재활 인식에 관한 기초 조사

        박현(Hyun Park),신혜정(Hye Jung Shin),손명동(Myeong Dong S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language disorders in the elderly and the perceptions of language rehabilita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recognition of hearing difficulties was high, the penetration rate of hearing aids was low. Also, the rate of participation with the intention of hearing rehabilitation was 37%. Secondly, th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have difficulty in aspects of recognition and language. The rate of participation with the intention of the neurogenic rehabilitation was 29%. Third, while almost subjects have factors that may have an effect on voice problems, their perception of difficulty regarding their own voice was low. Among the subjects, 19%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voice rehabilitation. Finally, as the cause of swallowing difficulties, swallowing delay was ranked first, while aspiration was ranked second. 41% of subjec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dysphagia rehabilitation including oral motor aerobics.

      • KCI등재

        노인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조사

        신명선(Myung Sun Shin),김정완(Jung Wa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speech therapists regarding psychological traits and the overall rehabilitation of adult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A survey was conducted of 100 speech therapists working in hospitals, social welfare centers, and private language treatment center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Busan in Korea. The results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for 10 questions regarding the perspectives of the speech therapists on the psychological traits and overall intervention of elderly patients was in the range of 2.14 to 3.60 (1:positive – 5:negative). This finding showed that the attitude was mostly positive. The career and types of licenses of the speech therapist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to the degree of the positive perspective on the elderly. Regarding the overall level of intervention for neurogenic language disorder, 57%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felt pressure. To improve this, an expansion of clinical exchange opportunities and the necessity of persistent education were mentioned. Also, was found that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aregiver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reatment expenses and establish all of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infrastructure of a 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This study should be utilized as the elementary material with which to achieve the most appropriate treatment for adult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