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교과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의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하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관한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의인과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여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가지의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시점에 걸쳐 수학교과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의 자기회귀 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전 시점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이 각각 이후 시점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이 각각 다음해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을 안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과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의 교차외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3개년에 걸쳐 내재적 동기는 다음해 유능감 신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유능감 신념도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수학교과의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을 상보적 인과 관계(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은 모두 서로 원인과 결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다음해 유능감 신념에 미치는 교차회귀계수가 유능감 신념이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교차외귀계수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수학교과의내재적 동기와 유능감 신념의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ompetence beliefs about mathematic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4(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e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competence beliefs about mathematics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That is, prior intrinsic motivation did predict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and prior competence beliefs did predict subsequent competence beliefs signiflcantly. Second, the prior intrinsic motivation about mathematic. did predict subsequent competence beliefs significantly. Third, the prior competence beliefs about mathematics did predics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were reciproclalcasual relationship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ompetence beliefs about mathematics.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motiv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외식조리 전공 전문대 학생이 지각하는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학생상호 작용의 조절효과

        이성숙,김진강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and coo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 kind of positive belief, on employment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ir relationship.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an additional analysi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low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However, in the latt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high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one of the sub-variabl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all the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cceptability/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we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f reliability is perceived to be high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 the presupposed group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only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mong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mediating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conclusion, employment anxiety could be lowered only when intrinsic motivation was high, and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teraction based on reli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ower employment anxiety. 본 연구는 외식조리를 전공하는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신념의 일종인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취업불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경우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은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하위변인 중 취업불안 유발상황의 관계에 있어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모든 하위변인인 민감성, 수용접근성,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제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경우 교수-학생상호작용은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 있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과 수용접근성만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민감성, 수용접근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상태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재적 동기를 높여야지만 취업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이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 인관관계 검증

        문병상(Byung Sang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인과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는 상호호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수행접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접근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가 수행접근목표의 원인이며,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수행접근목표도 높아진다. 그리고 수행회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회피목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행회피목표가 내재적 동기의 원인이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도 낮아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effects between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 (2006)-T4 (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goal or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 temporal stability were very high during three years. Second,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prior performance-approach goal did not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predicted posi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rior performance-avoidance goal did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predicted nega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voidanc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motiv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내재적 동기에 따른 군집별 EPL 재사용의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LP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determine how their intrinsic motivation affect their intention of reusing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a test to measure intrinsic motivation and reuse intention to EPL were selected and used and the validity of the test tool were confirmed. This test was applied to first grad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EPL lectures in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145 students’ response was analyzed. Three variables of usefulness, immersion, and intrinsic value were included 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use intention to EPL, and positive attitude was excluded. The result of clusters analysis included high intrinsic motivation (cluster 1), low intrinsic motivation (cluster 2), common intrinsic motivation (cluster 3)and a slightly higher intrinsic motivation than normal (cluster 4). We can confirm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are different for each cluster. In the case of cluster 1, only one factor of useful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and in cluster 2, as in Cluster 1, which has high intrinsic motivation, only a factor of useful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In the case of cluster 3, the three variables of usefulness, immersion, and intrinsic value were includ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reuse intention to EPL. In the case of cluster 4, which has a slightly higher intrinsic motivation, only immersion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ntrinsic motivation of learner in EPL lec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so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iated customized education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learner 's characteristics because intrinsic motivation factor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to EPL by cluster are different.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 대상의 EPL 교육 강좌에서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를 기반으로 학습자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별로 EPL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내재적 동기 요인을 밝혀서 각 군집에게 적절한 맞춤형 교육적 처방 제공을 위한 교수․학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내재적 동기와 EPL 재사용의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선정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고, G교육대학교 EPL 강좌를 수강한 초등예비교사 1학년에게 검사도구를 적용하여 145명의 응답을 얻어서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EPL 재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용성, 몰입, 내재적가치의 세 변인이 포함되었고, 긍정적 태도는 제외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군집, 내재적 동기가 낮은 군집, 내재적 동기가 보통인 군집, 내재적 동기가 보통보다 약간 높은 군집 등 4개 군집으로 분류되었고, 각 군집별로 EPL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집 1의 경우, 유용성 한 요인만 EPL 재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군집 2의 경우 또한, 내재적 동기가 높은 군집 1과 마찬가지로 유용성 한 요인만 EPL 재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3의 경우, EPL재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용성, 몰입, 내재적가치의 세 변인이 포함되었고, 긍정적 태도는 제외되었다. 내재적 동기가 약간 높은 집단인 군집 4의 경우, 몰입 한 요인만 EPL 재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EPL 강좌에서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는 EPL 재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고, 군집별 EPL 재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동기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적 처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문병상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인과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이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의 2차 년도부터 4차 년도까지의 종단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숙달접근목표와 내재적 동기간에는 상호호환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들의 성취목표지향성 중에서 수행접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접근목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동기가 수행접근목표의 원인이며,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수행접근목표도 높아진다. 그리고 수행회피목표는 다음해 내재적 동기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내재적 동기는 수행회피목표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수행회피목표가 내재적 동기의 원인이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내재적 동기도 낮아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과 내재적 동기간의 종단적인 인과관계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iprocal causal effects between adolesc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 the present study, I used the longitudinal data of T2(2006)-T4(2008) being collected by KEDI since 2005.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s temporal stability were very high during three years. Second, there were reciprocal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and intrinsic motivation. Third, prior performance-approach goal did not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predicted posi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rior performance-avoidance goal did predict the change in in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but prior intrinsic motivation did not predicted negatively the change in performance-avoidanc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motivation theor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지원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세화(Sehwa Kim),심덕섭(Duksup Shim),김형진(Hyungjin Kim)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상사의 지원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내재적 동기부여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지원적 리더십과 내재적 동기부여와의 관계, 내재적 동기부여와 직무성과와의 관계, 지원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및 내재적 동기부여와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전기전자, 기계, 자동차 등 제조업 분야의 11개 조직 202명의 종업원들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적 리더십은 내재적 동기부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부여는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내재적 동기부여는 지원적 리더십과 직무 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원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간접적으로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내재적 동기부여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종업원의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내재적동기부여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제시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변수들 간의 직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했던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분석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지원적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확장과 함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Supportive leadership (i.e., showing concern for, and take account of, followers’ needs and preferences when making decisions) has been a key factor in the leader-member process. According to social exchange theory, employee behavior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upportiveness of leaders. When employees observe that they receive support, trust, and other tangible and intangible benefits from their leaders, they develop an obligation to reciprocate with appropriate work attitudes 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upportive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job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we attempt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our study, we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a sample of 256 employees in 11 firms. After screening-out the questionnaires in which answers were not serious or strongly showed central tendency, 202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ive leadership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rinsic motivation. Second,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performance. Third, intrinsic motivation have turned out to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indicating that supportive leadership indirectly effects on job performance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help develop strong supportive leadership patterns within their teams to bolster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Finally, self-efficacy have turned out to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This result indicated that a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becomes more drastically positive with high levels of self-efficacy than with lower levels. Our study makes key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supportive leadership, suggesting positive effect of supportive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es are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study since little research examined these model. Given the small number of samples, this study constitutes an exploratory attempt in nature. Caution must be exercised in attempting to interpret findings and to generalize the recommendations. The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must be validated by further research in diverse research settings. Causality could not be claimed due to the cross-sectional nature of the data.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designs are needed to settl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Several studies have called for more research on potential conditions such as task type that influenced link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Such contextual variables are not fully measured in this study but could be includ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수학 내재적 동기 수준에 따른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정희선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과 수학 내재적동기의 영향력과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내재적동기의 수준에 따라, 수학 내재적동기가 높은 집단에서 교사의 성취압력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수학 내재적동기 중·하집단에서는 교사의 성취압력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은 수학 내재적동기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수학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수학 내재적동기가 중·상인 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수학 학업성취도에 더 큰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부모의 성취압력을 통해 수학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teachers was meaningfu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i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negative manner. Meanwhile the students with middle or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consider the level of mathematical intrinsic motivation, when teachers accomplish an achievement pressure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On the analysis including the interaction of intrinsic motivation of mathematics, the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showed positive effect in gener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The students with high or middle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were highly influenced in a positive manner than the students with low degree of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 implies the necessity of the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accomplishing pressure on students as the high degree of accomplishing pressure of parents leads to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KCI등재

        목표지향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효과: 내재 동기의 매개효과

        이수민,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3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내재 동기가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목표지향성이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내재 동기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목표지향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내재 동기가 매개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쟁모형으로 외재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확인하여 잡 크래프팅에 대한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의 차별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 19세 이상 정규직 333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목표지향성은 내재 동기를,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은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를 모두 정적으로 예측했고,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은 외재 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했다. 또한, 내재 동기는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내재 동기가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잡 크래프팅에 대한 외재 동기의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비교한 결과, 내재 동기만 잡 크래프팅을 매개하는 연구모형이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내재적 학습 동기 연구의 동향과 과제

        양미경(Yang, Miky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내재적 학습 동기에 대한 선행 연구의 동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적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선행연구의 주요 동향을 요약하면, 첫째, 학습 동기의 유형 및 특성과 관련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학습 동기의 유형이 세분화되어 제시되었고, 일차원적 양극 분류를 넘어선 이차원적 네 가지 유형의 분류가 제안되었으며, 학습 동기가 안정적인 특성인지 혹은 상황에 따라 변하는 불안정한 특성인지 등에 대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둘째, 외적 보상이 내재적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는데, 내재적 학습 동기를 저하시킨다는 입장과 그렇지 않다는 입장이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간의 방대한 선행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작 내재적 학습 동기의 본질적 특성과 의의가 충분히, 그리고 정당한 방식으로 규명되어 왔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그 주된 원인이 그간의 연구가 주로 학교 상황을 전제로 함으로써 학습을 수동적이고 억압적인 특성으로 간주했다는 점에 있음을 지적하고, ‘학교’의 맥락이 아닌 ‘교육’의 맥락으로 시각을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또한, 내재적 학습 동기는 ‘학습 대상의 내재 가치’에서 비롯되는 동기와 ‘학습 그 자체의 내재 가치’에서 비롯되는 동기로 대별될 수 있으며, 양자가 차별적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집단적 실험상황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는 실증적 연구방법론 위주의 연구가 지닌 한계에 주목하고, 사례연구를 통한 심층적, 맥락적 연구가 요청됨을 제안하였다. In spite of its prevalence and importanc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has been underestimated and misconceptualized. This study critiques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studie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article, the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reviewed around two general issues: 1)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motivation, 2) the effects of extrinsic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The controversies on intrinsic-extrinsic dichotomy vs. continuum, bi-polarity vs. quadri-polarity, and trait vs. nontrait conceptualization are discussed. And the controversial issue that extrinsic rewards can undermine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are examined. In spite of the vast number of studies on intrinsic motivation in learning, there seems no significant progress. This critical review reveal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y have failed to find an endogenou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and they have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paradigm of positivism.. The main problems and recommendation for further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most precedent studies learning process is portrayed as something imposed upon the learner, learners are considered receptive, and objective criteria are applied in evaluating learners' achievement. Such theories have no way to deal with an intrinsic tendency to learn, and thus they have located the reasons for learning in such things as rewards or social controls. In conventional studies the notion of education is identical with that of schooling, and the value of education is reduced into that of learning content. However the nature of schooling is definitely different with that of education which is an ongoing lifelong interactive practice. The value of learning content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as a means to provide the substance to realize the educational interest and enthusiasm, thus the value of learning itself should be discriminated with the value of learning content. Finally, the deficiency of explanatory power and inconsistencies in research results indicate the ineffectiveness of the positivistic paradigm. Several areas of research on intrinsic motivation worthy of investigation and solvable through a nonpositivistic approach can be identified.

      • KCI등재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생의 내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윤선영,임선아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which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influencing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accordance with domain-specify and its change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a sample from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data with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Th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eacher's motivation, student's self-efficacy, and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showed linear model that their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e are negative for each subject. Second, analysis of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s showed that teacher's motivation and student's self-efficacy are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subjects with growth over a period time. Thes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are influenced by his/her self-efficacy and his/her self-efficacy by his/her subject teacher's motivation. To improv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in Korean, English, and Math, teachers should care to motivate students in their classes. 본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내재동기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과목 특수성에 따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이 내재동기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종단적 자료에 근거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내재동기들 간의 구조적 관계가 영역(과목)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기위해 이차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동기부여와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내재동기는 학생들의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둘째, 교사의 동기부여는 학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변인간 관계성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과목특수성에 따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국어, 영어, 수학 과목 모두에서 교사가 동기부여를 할수록 학생의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감소율이 낮아지며 자기효능감의 초기값이 높으면 내재동기의 초기값이 높을 뿐 아니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내재동기의 감소가 낮아지게 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동기부여를 하는 교수적 방법을 통해 학생들의 주요과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또한 과목에 대한 흥미와 몰입을 나타내는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