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차이: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백근영 ( Keun Young Baek ),최바올 ( Baole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페미니즘의 내용을 추출하고, 페미니즘을 인식할 때 활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살펴보며, 동의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남녀 대학생들의 생각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남자대학생 57명, 여자대학생 56명에게 페미니즘을 떠올리면 드는 생각을 적도록 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으로부터 42개의 진술문, 여자대학생으로부터 39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이를 남자대학생 9명에게 남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고 여자대학생 10명에게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과 “직관-판단”의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남자대학생은 “직관적 인식,” “인지적 긍정적 인식,” “부정적 정서와 인지”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으며, 여자대학생은 “부정적 정서와 인지,” “긍정적 직관적 인식,” “능동적 지향적 인식”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150명씩 총 300명에게 각 진술문에 동의하는지를 조사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진술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feminism and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those perceptions. Based on the process of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s a result, three clusters of “Intuitive Perception,” “Cognitive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were extracted from male students, whereas three clusters of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Positive Intuitive Perception,” and “Active Oriented Perception” from female students. Lastly, each of 150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whether they agreed to each statemen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한중일 불만표명담화에 관한 화용론적 대조연구: 부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정현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2

        This study quantitatively analyzes and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aint expressing discourse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China-Japan shown in the highly and low degree of imposition. First of all, Korea and Japan's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low degree of imposition situations showed a common tendency for men to use complaint expressing more than women, but China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t shows a tendency that China’s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use the statement to solve the problemon the complaint expressing situation frequentlymore than Korea and Japan's male and Female collegiate while Korea and Japan's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use the statement to consider the face of others frequently more than China’s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Next, Korea-China-Japan's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highly degree of imposition situations showed a common tendency for men to use complaint expressing more than women. In particular, it shows a common tendency for women in China and Japan to use the statement that considers others more than men in the highly degree of imposition situation, 본고에서는 부담도가 높은 상황과 낮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한중일 남녀대학생의 불만표명담화의 특징을 정량적(定量的)으로 분석·고찰하였다. 먼저 부담도가 낮은 상황에서의 한국과 일본 남녀대학생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불만표출담화를 많이 사용하는 공통적인 경향이 나타났지만중국은 남녀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불만상황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담화를 한일 남녀대학생에 비해 중국 남녀대학생이 다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에 반해 대인배려 중심담화는 중국 남녀대학생에 비해 한일 남녀대학생이 다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부담도가 높은 상황에서의 한중일 남녀대학생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불만표출담화를 많이 사용하는 공통적인 경향을 보였다. 특히 중일 남녀대학생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대인배려 중심담화를 다용하는 경향이 공통적으로 나타났고, 한국은 남녀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부담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언어권에 의한 차이보다는남녀에 의한 차이가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의 성별 구인 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조지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2

        The Career Indecision Inventory applicable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is composed of five factors(external barrier, indecisiveness, lack of career information, lack of self-identity, lack of necessity of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truct equivalence of five factors of Career Indecision Inventory and to compare the latent mean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ursuit of the purposes, multi-group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s performed to test whether the inventory has configural, metric and scale invariance, indicating that different scores on the inventory can be compared meaningfully across the groups. Latent means analysis(LMA) i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the five factors across the two groups. According to LMA where male students are used as reference group, male students show significantly higher latent mean vales than female students in lack of necessity of recogni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the need for future studies were pointed out. 탁진국, 이기학이 개발한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Korean Career Indecision Inventory, K-CII)는 5개의 하위 요인, 외적 장애, 우유부단한 성격, 직업정보 부족, 자기 명확성 부족, 필요성인식 부족 요인으로 구성되어 대학생들이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를 어렵게 만드는 이유와 원인을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미결정 척도의5가지 요인이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을지를 검토하기 위해 척도의 구인 동등성을 검증하고, 성별에따라서 진로미결정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서울 및 충청지역4년제 6개 대학에서 교양수업 및 전공기초과목을 수강하는 다양한 전공생 644명이 참여하였다. 척도의 하위요인별내적 합치도는 양호한 수준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미결정 5개 요인 구조가 남, 녀 대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형태 동일성이 확보되었으며, 측정 동일성과 절편 동일성도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따라 대학생 진로미결정 척도는 남, 녀 대학생 모두에게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남, 녀 대학생의 진로미결정의 차이에 대한 잠재평균을 분석한 결과 5개의 하위요인 중, 필요성 인식 부족에서 남자대학생이여자대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의의 및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7~2020년)를 중심으로

        조윤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성별에 따라 일경험이 직업가치에 미치는변화와 영향을 확인하고, 일관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017~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일경험이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4년제 남녀 대학생 35,217명(2017년 8,933명, 2018년 9,116명, 2019년 9,350명, 2020년 7,8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대학생의 일경험에 따른 직업가치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고, 영향을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남학생의 일경험 유무와 전공과 연관된 일경험이 일관되게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내재적 직업가치에 정(+)의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의 전공과 연관된 일경험은 일관되게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내재적 직업가치에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경험 유무는 일관되게 여학생의 외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외재적 직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일경험 횟수의 일관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고, 2020 년을 제외하고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은 직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대학생의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기위해 전공과 관련된 일경험을 해야 하겠다. 둘째 일경험 유무는 남학생에게는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는 반면 여학생에게는 외재적직업가치를 높이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 일경험과 직업가치에 대한 진로교육에 세분화된 차별성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일경험의횟수는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반복적인 일경험보다 의미있는 일경험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하겠다. 이 결과는 대학생의 직업가치 형성을 위한 일경험의 방향점 제시와 학교와 정부의 대학생의 일경험에 대한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박선향 한국보건복지학회 2019 보건과 복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of 229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asuring tools was made to review the test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and using SPSS 25.0,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by grade, birth order and economic level of household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perceptions of marriage was found to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n perceptions of marriage can be considered in designing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uccessful performance of developmental tasks during university students. Through this, we can expect differentiated effectiveness by educational program. 본 연구에서는 남녀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B광역시, K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에 대한 선행연구에 기반한 검사문항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서, 첫째, 남녀 대학생의 학년, 출생순위, 가구의 경제수준에 따라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성평등의식과 결혼관의 관계는 남녀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드러난 남녀 대학생별로 양성평등의식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의 상이한 차이들을, 양성평등의식 교육이나 대학생 시기의 발달과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교육경험 등을 설계할 때 고려함으로써 교육프로그램별 차별화된 효과성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향희,최바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general self-efficacy, and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from 463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s from gender role attitudes to purposefulness and independe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the effect to readiness was not significant among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for male students, the paths of gender role attitudes to deciveness and assurance were insignificant, while female students’ paths were negatively significant. Third, for femal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general self-efficacy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deciveness/assurance were significant. Fourth, general self-efficacy of male student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deciveness/assuranc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traditional or progressive gender role attitud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이 지각한 성역할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강원․충남․전남․세종․대전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하였으며, 총 463명으로부터 얻은 테이터를 통해 본인이 지각한 성역할태도, 진로태도성숙,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측정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한 뒤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남녀 대학생의 성역할태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하위요인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목적성과 독립성은 유의하였으나, 준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진로태도성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목적성을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다. 둘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에서 결정성, 확신성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여학생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학생은 성역할태도와 결정성, 확신성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높이고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남녀학생의 평등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진 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관련 교육 및 상담을 통해 진로태도성숙이 향상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남녀 대학생의 인지체력수준에 따른 스포츠정신력과 신체상의 비교

        이병근,김수빈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3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port mental power and body image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for college students. [METHOD] Total 272 students were participated on division of sports, design, enginening, etc. for variety perception fitness(male, 22.5±2.7yrs, 175.2±4.6cm, 70.1±7.7kg; female, 20.9±1.8yrs, 162.2±9.8cm, 52.7±6.7kg). Sport mental power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 of Kim(2002), and body image were measured by quetionnaire of Cho et al.(2002).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eway repeated ANOVA and independent t-test were applied to compare sport mental power and body image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mong perception fitness on 2 area of sport mental power 4 area, a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erception fitness for female only,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on low and intermediat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mong perception fitness on 3 area of body image 6 area. Both health fitness and height complain were increased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and body decoration were increased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on male. [CONCLUSION] Sport mental power of male on 2 area of 4 area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and increased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and sport mental power of male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on low and intermediate level. Body image of male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on 2~3 area of body image 6 area, and body image were increased according to perception fitness. On future studies, the difference of sport metal power and body image according to variety fitness were analyzed, and the reason and effec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체력수준에 따른 스포츠정신력과 신체상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체육계열, 디자인계열, 어문 계열 및 공학 계열에서 다양한 인지체력수준을 보유한 연구대상 총 272명을 표집하였다(남 22.5±2.7yrs, 175.2±4.6cm, 70.1±7.7kg; 여 20.9±1.8yrs, 162.2±9.8cm, 52.7±6.7kg). 스포츠정신력은 김원배(2002)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신체상은 Rowe(1996)이 제안한 설문지를 정정환과 조금주(2002)가 번안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성별과 인제체력수준에 따른 스포츠정신력과 신체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반복측정 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일원반복측정 변량분석(oneway repeated ANOVA) 및 독립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스포츠정신력 중 분투․노력과 투지력에서 남녀간 및 체력수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에서만 등급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저수준과 중수준에서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든 항목에서 저수준과 중수준 체력집단에서만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상 중 건강체력, 신장불만 및 운동효과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건강체력과 운동효과 항목에서 체력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정신력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 인지체력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저수준과 중수준에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신체상 중 건강체력, 신장불만 및 운동효과 항목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인지체력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지체력 이외에 다양한 체력항목 수준에 따른 스포츠정신력과 신체상 등의 차이를 규명하고, 남녀간에 인지체력수준에 따른 스포츠정신력과 신체상의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과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성장기폭력 경험과 성태도가 대학생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재희(Choi, Jae-hee),배화옥(Bae, Hwa-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폭력 경험과 성태도가 남녀 대학생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성장기폭력 경험 및 성태도와 성폭력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 분노조절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성장기폭력 경험은 아동학대 경험과 부모폭력 목격으로 구분하였으며, 성태도는 성허용성과 보수적 성태도로 측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부산과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4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남녀 대학생의 성장기폭력 경험은 성폭력 가해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허용성이 높을수록, 보수적 성태도가 약할수록 성폭력 가해행동이 빈번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분노수준이 높고 분노조절을 못할수록 개방적이고 허용적인 성태도가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분노조절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성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family violence experience and sexual attitudes effect on sexual viol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test moderating effect of Anger-control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 A two-staged survey recruited 340 university students in Pusan and in Gyeongsangnamdo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amily violence experience did not affect sexual violence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hereas sexual attitud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ger-con trol had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s, particularly traditional attitude, and sexual violence, thus proving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비교

        김혜진,김희정,서민숙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의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남자 172명과 여자 185명을 대상으로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성 역할 태도, 성태도를 조사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가치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순서는 남자는 자녀가치관(F=29.530, p <.001), 성 역할 태도(F=9.850, p <.001), 성태도(F=7.038, p =.009)이었고 여자는 자녀가치관(F=48.767, p <.001), 성 태도(F=32.204, p <.001), 성 역할 태도(F=18.904, p <.001)이었다. 결혼가치관의 설명력은 남자 33.4%, 여자 43.8%이 었다. 따라서 남녀 대학생의 결혼율과 출산율 향상을 위해서는 남녀 모두 긍정적 자녀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ews on marriag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he students recruited, 172 were male, and 185 were femal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bout views on marriage, children, gender roles, and gender attitudes and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19 to June 15, 2019.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views on marriage were views on children(F=29.530, p <.001), gender roles(F=9.850, p <.001) and gender attitudes(F=7.038 p =.009), explaining 33.4% of the variance in male, were views on children(F=48.767, p <.001), gender attitudes(F=32.204, p <.001) and gender roles(F=18.904, p <.001), explaining 43.8% of the variance in fema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views on students.

      • KCI등재

        여학생들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난 남녀공학대학교의 남성중심성

        나윤경(Nah YoonKyeong)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여성 CEO와 여성 정치인의 출현, 삼군사관학교로의 여성 진입 등 여권신장을 알리는 소수 여성들의 선전(善戰)은 우리사회의 성차별 체감지수를 낮춰주기는 하지만 실제로 전문직 여성의 비율을 측정하는 세계 여성권한척도(GEM)에서 우리사회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우리나라의 대학교는 전문직 여성들을 배출하는 거의 유일한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행하여지는 교육적 실천의 내용들이 젠더 시각으로 조명되어진 적이 없다. 필자는 우리사회의 낮은 GEM 지수가 대학 내 여성들의 경험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남녀공학대교와 여자대학교를 모두 경험한 다섯 명의 연구 데이터 제공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남녀공학대학교 내 여성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결과가 갖는 상하위 범주들은 남녀가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남녀공학대학교가 성평등적이지 않음을 드러내준다. 따라서 남녀공학대학교의 ‘정상성’을 회의할 것이 주장된다.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female CEOs, female politicians, and female cadets of Military Academy has made Korean society insensitive to the gender discriminative reality against women. However, the Gender Empowerment Measure by the United Nations, as of the year 2003, indicates that Korea still ranks 63rd among 70 surveyed countries. Nonetheless, colleges that are to produce future professionals and experts have been exempted from being evaluated in terms of how and what students are learning. As the necessity of gender perspectives to be applied to many aspects of the society increases, policies and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modified or transformed accordingly. However, Korean ‘Ivory Tower' does not open its door to any kind of evaluation process but some organizations of so-called ‘advanced' countries. In this context, one hardly knows what takes place in the Korean Ivory Tower. Particularly, seldom do we know how students experience the educational practices performed on co-ed campus. The present paper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low position of Korean society on the GEM scale is associated with how female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educational practices in colleges. It is because students' experienc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n campus are likely to direct their careers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have been in both women's college and co-ed college are interviewed to compare their experiences on both sides. Interviews with them reveal the male-centeredness of co-ed colleges. Two themes have emerged out of the interviews: the image of patriarchal women college as a ‘deficit’ space; male-centeredness of co-ed colle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