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유역거버넌스의 격차분석

        김창수(Kim Chang So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1

        이 글에서는 OECD에서 활용하고 있는 격차분석틀을 적용하여 낙동강유역거버넌스를 진단하고 분석해보았다. 2002년 낙동강수계특별법 제정에 근거한 낙동강유역거버넌스를 통해 수질개선효과를 어느 정도 달성하였지만 유역 내 갈등은 심화되고 있었는데, 이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유역주민들이 충분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소통과 협력의 장치가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부는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환경공단 등을 중심으로 수직적으로 협력구조를 형성하지만, 유역의 지방정부와 지역주민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는 구조와는 괴리되어있었다. 국토교통부 역시 수량관리의 차원에서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홍수통제소 등과 수직적 협력구조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낙동강수계에서 유일한 공론의 장인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는 주민대표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소통과 협력의 거버넌스는 작동하지 않고 있었다. 낙동강유역거버넌스는 책임, 목표, 관리, 역량, 재정, 정보 그리고 정책에 이르기까지 좋은 거버넌스로 보기에는 격차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각도의 격차완화를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7가지 거버넌스 격차를 완화하고 낙동강유역의 공생공영을 위해서는 소통과 협력을 위한 민주적 유역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평가되었다. 먼저 낙동강수계특별법의 개정을 통해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를 낙동강유역관리위원회로 확대 개편하면서 지역주민들이 일정 비율 이상 구성에 참여하도록 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책임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상류지역에서 개발 행위가 있으면 공론과 담론의 장을 열어서 합의형성을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물관리기본법 제정과 정부조직법의 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ater governance of Nakdong River Basin from the viewpoint of multi-level governance framework of OECD. The findings of seven gap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only formal governments were accountable for the water management excluding residents living in Nakdong River Basin. Secondly, related actors on Nakdong River Basin are not sharing common goals without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Thirdly, the integration of water-related agencies has begun since 1995 for supplying water, treating wastewater, and defending flooding unsuccessfully to abridge administrative gap. Fourthly, fair tax system and economic incentive mechanism are unsatisfactorily designed for overcoming the divide among regions to abridge capacity gap. Fifthly, the centralized financial system based on Beneficiary Pays Principle rather than Interest, Pay and Say Principle of the Netherlands, and gives rise to moral hazard and undermines the foundation of water governance on Nakdong River Basin. Sixthly, Korean government has not succeeded in integrating water agencies and public water corporations into optimal size to abridge information gap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governments for 20 years. Lastly, Korean government has not succeeded in legislating National Water Act fostering regional water governance since 1995.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legal-structural integration among water-related central departments, regional level authorities,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proceeded in the long run to abridge the above 7 gaps. I also suggest that in case structural integration is not easy horizontal cooperation and multi-level cooperation among water-related actors based on Water Act legislation and steering basin committee be needed for successful water governance on Nakdong River Basin.

      • KCI등재

        낙동강의 고대 문명과 교류·혁신 콘텐츠 연구

        박승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9 대구경북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낙동강 고대 문명에 대한 고고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낙동강의 고대 문명을 교류와 혁신의 관점에서 고구(考究)한 것이다. 주지하디시피 낙동강 유역은 24개의 고대 소국(小國)이 생성·소멸한 지역으로, 지역 교류를 통해 독창적인 문화혁신을 이룬 고대 문명사의 주요한 현장이다. 논문은 문화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이 지역의 회도(灰陶) 문화와 철기 문화를 비롯한 문화혁신의 고고학적 증거를 살폈다. 또한, 낙동강의 고대 교통로에 대한 추적 등을 통해 낙동강의 혁신성을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고대 낙동강 철기 로드(road)와 고대 낙동강 문명길 등을 제안함으로써 낙동강의 문화적 가치와 지역 문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낙동강 철기 로드는 낙동강과 그 유역의 옛 고갯길을 연결하여 울산, 경주, 대구, 성주 지역의 교류의 흔적을 공간 콘텐츠로 제안한 것이다. 또한, 고대 낙동강 문명길은 낙동강 유역의 주요 박물관을 중심으로, 고대 소국들의 독창적인 고대 문명을 교육 콘텐츠로 제시한 것이다. 낙동강은 고대시대부터 지역의 물류 거점으로 지역을 넘어 한반도는 물론 동아시아를 관통하는 문화 회랑(回廊)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따라서 낙동강의 고대 교류의 역사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혁신의 과정은 우리 시대의 주요한 강문화 콘텐츠가 될 수 있다. 그것은 곧 교류과 혁신의 현장으로서 낙동강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 될 것이다. The ancient civilization of the Nakdong River was the history of exchanges and innovations. As confirmed by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innovation of Wajil pottery and the iron was the outcome of successful competitions and exchanges among the minor countries around the Nakdong River basin, which were made possible thanks to the existence of waterway, or the Nakdong River. In this vein, the ancient civilization of the Nakdong River is historical evidence of indicating the regional growth and potential. This is a new discovery of local culture and a new perception of the birth of culture.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exchanges based on cultural reciprocity is a key mechanism to realize cultural innovation and social revolution is well shown by the ancient civilization of the Nakdong River. In this sense, the ancient civilization content of the Nakdong River can be called the content of exchanges and innovations. The ‘Nakdong River iron road content’ and the ‘ancient civilization road content’ can be through of a process of studying the cultural history of exchanges and innovations and the time of rediscovering the potential and value of local culture.

      • 창녕지역 고대 성곽에 대한 연구 :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을 중심으로

        안성현,배한,윤용술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Since the fortress construction reflects the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idea (Political situations and relations between countries) of the period, all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ame period might possibly have been constructed in a similar shape with a similar construction method, and this aspect might also be shown equally in Changnyeong area.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re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material obtained from the surface investigation on th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mong the fortresses in Changnyeong area,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fortresses located i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had been constructed between 5th century and the early 6th century, and these were constructed by the influential forc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the fortresses constructed at the point where Nakdong River and branches of the river meet in a small size less than 200m. Seongsan mountain fortress and Unggok-Ri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are advantageous to enter the Changnyeong area or Gujin mountain fortress located where can see the midstream of Nakdong River at a glance are in relatively large size between 400m to 600m, but still these fortresses are similar to or smaller than mountain fortresses constructed during the Silla period which are confirmed in Gyeongnam area. Therefore, By considering the size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we can assume that the state couldn't actively control Nakdong River. Second, the construction methods for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divided into the earthen fortification and the masonry fortification, and more fortresses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are earthen fortifications. It is difficult to find an exact construction method of earthen fortresses but these fortresses seem to be constructed by only piling earth. Random walling was used for masonry fortresses but the ramparts were not constructed on the outcrop parts to reduce efforts. These aspects show clear distinction with typical fortresses in the Silla perio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bove, we can see that the fortresses constructed on the shores of Nakdong River except the on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are clearly in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ortresses constructed in the Silla period at the areas with regard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at the period, so no evidence showing that these fortresses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can be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opinion that most of fortresses located on the east side of Nakdong River were constructed by the Silla Dynasty. 성곽의 축조는 당대의 토목기술과 관념(정치상황과 국가간의 관계)을 반영하므로 동일한 시기에 축조된 성곽들은 유사한 축조수법과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양상은 창녕지역에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고에서는 창녕지역 성곽 중 낙동강 연안에 축성된 성곽에 대한 지표조사를 바탕으로 확인한 속성들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성곽들은 5세기에서 6세기 초반경 재지세력에 의해서 축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연안의 성곽들의 특징 및 성격은 첫째, 낙동강과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에 축조된 성곽들은 200m 이하의 소형인데 반해, 창녕지역으로 진출하기 유리한 지점의 성산산성과 웅곡리산성, 그리고 낙동강 중류역이 한눈에 조망되는 지점의 구진산성은 대체로 400~600m로 대형에 속하지만 경남지역에서 확인되는 신라산성 중 규모가 소형인 산성과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소형에 해당된다. 따라서 낙동강 연안에 위치하는 성곽의 규모로 보아 낙동강을 적극적으로 통제하지는 못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낙동강 연안 성곽의 축조수법은 토성과 석성으로 나누어지며, 토성의 비율이 높다. 토성의 정확한 축조수법을 파악하기 힘들지만 이 시기에 축조된 다른 토성들의 축조 수법을 감안할 때 순수판축 토성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석성의 경우 허튼층쌓기에 가깝게 축조하였으며, 자연암괴가 노두된 부분은 성벽을 쌓지 않음으로써 공력을 줄였다. 이러한 양상은 전형적인 신라성곽과는 차이를 보인다. 상기의 내용으로 보아 낙동강 연안에 축조된 성곽들은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 시기 신라의 영토 확장과 관련된 지역에 축성된 신라성곽의 특징과 부합하지 않으며,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근거 역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낙동강 동안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성곽들이 신라에 의해서 축조되었다는 견해는 수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16-17세기 선비들의 낙동강문화(洛東江文化)와 그 의미 - 정구, 장현광, 정경세의 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

        김종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8

        우리 선현에게 산수(山水)는 삶의 터전이자, 공부와 풍류의 공간이었다. 낙동강은 생명의 근원인 물을 소유하고 있기에, 다양한 문화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 강을 통해 경상좌 · 우도, 서울 · 경기까지 교류와 협력, 갈등을 일으키며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본 논의는 16-17세기에 활동한 한강 정구 · 여헌 장현광 · 우복 정경세를 중심으로, 이들이 어떻게 낙동강을 인식하며 문학으로 창작하고 있는지, 그 동이성(同異性)을 살펴보고 나아가 문화현상을 고찰했다. 정구 · 장현광 · 정경세의 낙동강 인식은 첫째, 놀이와 선유(船遊)의 공간으로 활용하며, 풍류를 즐기고 있었다. 이들은 낙동강(洛東江) 가에서 소요를 하는 소소한 즐거움과 달밤에 뱃놀이를 즐기며 풍류를 만끽하고 있었다. 즉 공자의 기상을 함양하고 풍류를 즐기고 있었다. 동인(同人)과 함께 물가에서 소요하기도 하고, 뱃놀이를 하며 달구경과 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공자와 증점이 기수에서 목욕하고, 무우대에서 바람을 쐬는 기상과 뱃놀이 문화가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전대의 도학자를 추숭하며 은일(隱逸)과 구도(求道)를 지향하고 있었다. 낙동강은 길재, 김굉필, 퇴계학파 등 도학자를 추숭하고 있었다. 이들은 낙동강 가에 은일하여, 구도(求道)를 지향하며 학문과 성정 함양에 힘을 쏟고 있었다. 그의 제자 및 동인(同人)은 낙동강 가에 집을 지어, 왕래와 교유를 하며 학문을 배우고 도학 함양을 함께하고 있었다. 이들은 공자의 기상을 함양하고, 도(道)와 덕(德)을 겸비하고자 노력했다. 낙동강 가는 은일처, 도학처가 되어 제자들과 함께 낙동강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정구 · 장현광 · 정경세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求道와 풍류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두 문화가 혼융되어 반복되어 나타나, 놀이와 구도의 습합이 이뤄졌다. 낙동강은 도맥이 흐른다고 생각하며 강학(講學)과 선유(船遊) 등의 문화를 형성했다. 이들은 좁게는 학단을 형성하고, 넓게는 도맥[학파]을 형성해 전승하고 있었다. 즉 당대 영남 사림파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비록 지역은 달리했지만, 정구는 대구 인근에서 장현광은 구미에서 정경세는 상주의 낙동강 가에서 제자를 양성하고 학맥을 이어가고 있었다. For our Seon-hyeon, mountains and waters were a place of living, a place of study and style. Because the Nakdong River possesses water, the source of life, it has created various cultures. Through this river, exchanges, cooperation, and conflicts are being created from Gyeongsang Left and Right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ming a culture. This discussion focuses on Jeonggu Han River, Hyeonkwang Yeoheon, and Jeonggyeongse Woo Bok, who were activ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how they perceive the Nakdong River and create it as literature, examines the synchrony, and further examines the cultural phenomenon. First, the perception of Nakdong River by Jeong Gu, Jang Hyeon-gwang, and Jeong Kyung-se was used as a space for play and entertainment, and they enjoyed the wind. They were enjoying the small pleasures of jogging along the 洛東江 family and enjoying the winds of the moon by boating on the moonlit night. In other words, he was cultivating the spirit of Confucius and enjoying the wind. They spent time together at the water's edge, played boats, and created moon-watching and poetry. It can be seen that Confucius and Jeung-jeom bathe in the rider, and get air in the radish belt, and the culture of boating and gis are actively appearing. Second, he respected the Taoists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was oriented toward 隱逸 and 求道. Nakdonggang worshiped Taoists such as Giljae, Kim Gongpil, and the Toegye School. They were quietly working on the banks of the Nakdong River, oriented toward the path of morality and concentrating on learning and cultivating character. His disciple and fellow man built a house on the banks of the Nakdong River, traveling and interacting, learning science, and cultivating the Tao together. They tried to cultivate the spirit of Confucius, and to combine the Dao and the virtue. The Nakdonggang River became a place of solace and education, forming a Nakdonggang culture with the disciples. Jeong-gu, Jang Hyeon-gwang, and Jeong Gyeong-se formed a culture of 求道 and Pungryu around the Nakdong River. The two cultures blended and appeared repeatedly, creating a fusion of play and composition. He thought that the Nakdong River flows through the river, and formed a culture such as literature and literature. These were passed down by forming a narrow school, and broadly forming a domaek (school). In other words,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Yeongnam Sarim group at the time. Although the regions were different, Jeong-gu was near Daegu, Jang Hyeon-kwang was Gumi, and Jeong Gyeong-se was training students along the Nakdong River in Sangju, and he continued his studi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임권택의 「낙동강(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문선영 ( Sun Young Mo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다룬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통해 한국전쟁 가운데 치열하기로 이름난 낙동강전투가 영화담론으로서 어떤 의미망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때 중심되는 화두는 ``한국전쟁과 영화담론``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당대 전쟁영화의 의미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1976년에 제작되었다.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대적하는 남한군의 고군분투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이른바 반공영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洛東江은 흐르는가」에서는 반공영화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없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든 전경으로든 담은 영화가 피해갈 수 없는 맥락이 바로 ``반공``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는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고, 여기서 ``반공``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반공이 논란의 선상에 놓이는 것은 한국전쟁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한계담론으로 지적되는 ``반공``의 이면에 숨겨진 담론들을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가 어떻게 표명하고 있는지 살폈다. 아울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모호한 한국전쟁의 아이러니성을 극명하게 표출시킨 ``낙동강``의 공간성과 함께 그 속에 놓인 소년병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꽃의 메타포``로서 기억의 저편에 묻힌 과거의 진실들, 잘 표현된 불행의 여정들을 탐색하였다. 본고는 인간의 모순, 감각의 윤리, 생존의 숭고 등 여전히 진행형으로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상흔들을 ``낙동강``을 배경으로 곱씹는 데 바쳐져 있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film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War through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taek.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as the border landmark of fratricidal war,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tragedy which decides between victory and defeat. A few sets of its significances could be drawn out from the cinematographic embodiment of that Nak-Dong River.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ing: First of all,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worth being counted as the masterpiece of war films. Despite its faithfulness to the anti-communist film, it also escapes the scope of ``anti-communism`` and raises a solemn question as to the misery of fratricidal war, making a war movie based on humanity as a whole. With its well-made mise-en-scen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before anything else a movie made with a great enthusiasm for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movie Nak-Dong River posits itself not only a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of tragedy covered with blood and carcases but also as the significance of love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These are extracted from the situation of child combatant Cheon Tae-sik. Secondly, Does the Nak-Dong River Flow? directly deals with the problem of child combatants, an issue of continual controversy. Centering on a little child with no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war at all, the misery of Korean War emerges all the more powerfully, and the pretty ``flower`` in the movie calls attention to those horrors even more impressively, let alone the image of tanks and the scenes of humanity. Likewis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can said to be a distinguished film work of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Before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Kwon-taek Im, who tries to approaches the historical fact with modesty and sincerity placing ``child combatant`` as the central figure, poses Nak-Dong River as the space for the venting of spite, not being content with its spatial importance as the expression of the irony of Korean War which has no clear division between enemy and friend nor with its value as a factual record of the battlefield of the blind struggling for victory under those ironical circumstances of history. It must be deeply involved with those circumstances that Nak-Dong River has been one of the main subjects for film and other branches of art. There was a scene in the movie in which Cheon Tae-sik throws a field shovel to tell his fortune and other soldiers, utterly fearful of death, give facial expressions of agreement when they were making a plan to sweep the enemy through blowing up of a bridge and preparing for the operation. It is a moment of sadness, in which our minds cannot help but lapse into weakness infinitely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 KCI등재

        조선 전기 낙동강 유역 水站에서 보이는 倭館的 성격

        심민정(Shim, Min-Jung)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6

        조선 전기 대일 관계에서 교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은 낙동강이었다. 특히 낙동강 하류 구간은 바다와 육로를 연결해 주는 위치에 있어 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향하는 왜인에게 교통상의 기착점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런 낙동강 하류 구간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대일관계를 확인하였다. 기존에 조선 전기 왜인들과의 관계는 왜구 문제에 집중하여 군사적인 측면을 다룬 연구들이 다수였다. 또한 왜인들에 대한 회유정책을 확인한 연구들도 대체로 교류의 양상 보다는 통제의 측면에서 접근한 경우가 많았다. 즉 포소왜관, 왜인과의 교역 등 교류의 일면을 살피면서도 왜인들에 대한 감시와 감독이라는 통제의 측면에 더욱 집중한 것이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선 낙동강 수로를 통한 왜인과의 교류양상을 확인하는데 집중하였다. 두 번째로 교통로 중 수로에 집중했다. 기존에 교통로 관련 연구는 대부분 육로 중심이었고, 육로상의 군사적인 측면에서 다뤄진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왜인과의 관계가 점차 회복되어 가는 상황에서는 육로 보다 수로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왜인들이 바다를 건너 조선으로 오는 점, 해안가에 있는 포소왜관에 도착한 후 수로와 육로를 이용해 상경한다는 점, 그리고 왜인들의 접대에 소용되는 물품 및 교역 물품들이 대체로 수로를 통해 운반된다는 점이 그러하다. 이렇게 낙동강 수로가 활발하게 이용되면서 수로 주변에는 각종 시설들이 설치되었다. 그 중 수상 교통로의 요지에 설치되어 왕래인의 규찰 임무까지 담당했던 水站이 대표적인 시설이다. 낙동강 하류 구간에서는 동원수참과 견조암수참이 설치되어 이 역할을 담당했다. 한편으로는 상경 수로 곳곳에 설치되어 왜인들의 숙박과 접대를 담당했던 倭客館도 있었다. 그 중 낙동강 하류에는 김해 지역에 견조암 수참이 왜인 감독 뿐 아니라 접대 업무까지 보았고, 창원 주물연진에도 왜객관이 있었다. 이들 왜객관은 기존 연구에서 왜관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 기능과 성격을 고려할 때 왜관의 범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왜인 규찰과 접대 업무를 동시에 행했던 견조암수참은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고려시대 왜객관으로 인식했었다. 하지만 이 수참은 조선 전기에 분명히 존재했음이 각종 지리지에서 확인된다. 아마도 사량진왜변 이후 왜인 관련 업무가 부산포왜관으로 단일화되고 제포 왜관이 폐쇄되면서 낙동강 수로 최하단 구간에서 왜객관의 역할을 하던 견조암수참은 그 기능을 다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수로 경로상에 포함되었던 다른 수참이나 진(津) 등은 왜사의 왕래가 단절되기 전까지 “왜객관”으로서의 기능과 성격을 유지했을 것이다. Downstream Nakdong River was such an important spot for exchange with Japan in early Chosun. As waegwan was formed in three poso, waein that arrived in Jepo and Busanpo used downstream Nakdong River as the starting point when heading for Seoul. Also, waein’s reception items and trade goods were all started from downstream Nakdong River and headed for the destination. As they used Nakdong River waterways frequently, all sorts of facilities were installed around the waterways. One of the examines was the sucham that was installed at the points of waterborne traffic and was charge of investigating the passengers as well. In downstream Nakdong River, Dongwonsucham and Gyeonjoamsucham were installed and played such roles. Also, there were waegaekgwan that were installed in waterways to Seoul and were charge of providing accommodations and receptions for waein. Concerning downstream Nakdong River, Gyeonjoamsucham in Gimhae took charge of supervising and receiving waein, and there were waegaekgwan in Changwon Jumulyeonjin, too. According to advanced research, Gyeonjoamsucham supervising and receiving waein both at the same time were regarded as gaekgwan in Goryeo. But those sucham were obviously present in early Chosun and seem to have disappeared as Jepowaegwan was closed down.

      • 낙동강 하굿둑 방류량 및 유사량에 관한 연구

        복대건(Dae-Guen Bok),김강민(Kang-Min Kim),이중우(Joong-Woo Lee),강석진(Seok-Jin Kan)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8 No.추계

        낙동강 하구의 지형변화를 포함한 제 해양환경은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1987년 7월 이후로 분기된다. 즉,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되기 전에는 낙동강의 작은 하상구배로 담수와 해수가 혼합되는 구역이 현재의 하굿둑 보다 상류에 위치하였으나 하굿둑 건설 이후에는 하굿둑 수문 조작에 따라 방류되는 유출수에 의해 유동 양상이 변화되기에, 낙동강 하굿둑의 방류량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굿둑 제원, 방류패턴, 하굿둑 주변 강수량, 하굿둑 방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낙동강 하굿둑 방류량에 의한 유사량 분석을 수행하여, 낙동강 하류역의 지형변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하굿둑 방류량은 최근 13년 동안의 연평균방류량은 19,274.56×106㎥이고 일평균 방류량은 52.81×106㎥이고 초당평균 방류량은 611.19㎥으로 산정되었다. 낙동강 하굿둑 건설 이후 퇴사량과 준설량을 근거하여 계산된 연간 평균 총유사량은 3,184,405㎥/yr이고, 낙동강 하굿둑의 경우 연평균 부유사량이 3,153,995㎥/yr, 소류사량 이 30,410㎥/yr이며 소유사량이 부유사량의 약 1.0%로 나타났다.

      • KCI등재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의 동적 평형 위치 예측 모델: 감천-낙동강 합류점 중심 분석 연구

        김민식,신혜인,남욱현,김원석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4

        A delta is a depositional landform that is formed when sediment transported by a river is deposited in a relatively low-energy environment, such as a lake, sea, or a main channel. Among these, a delta formed at the confluence of rivers has a great importance in river management and research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ydraulic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Recently, the equilibrium state of the confluence area has been disrupted by large-scale dredging and construction of levees in the Nakdong River. However, due to the natural recovery of the river, the confluence area is returning to its pre-dredging natural state through ongoing sedimentation. The time-series data show that the confluence delta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the dredging, but once it reaches a certain size, it repeats growth and retreat, and the overall siz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to explain the sedimentation-erosion processes in the confluence ar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onfluence delta reaches a dynamic equilibrium. The model is based on two fundamental principles: sedimentation due to supply from the tributary and erosion due to the main channel. The erosion coefficient that represents the Nakdong River confluence areas, was obtained using data from th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Sensitiv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to understand how the confluence delta responds to changes in the sediment and water discharges of the tributary and the main channel, respectively. We then used annual average discharge of the Nakdong River's tributaries to predict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Finally, we conducted a simulation experiment on the development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using recorded daily discharge. The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it is a simple model, it accurately predicted the dynamic equilibrium positions of the confluence deltas in the Nakdong River, including the areas where the delta had not formed, and those where the delta had already formed and predicted the trend of the response of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However, the actual retreat in the Gamcheon-Nakdong River delta was not captured fully due to errors and limitations in the simplification process. The insights through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sediment supply of the Nakdong River through the confluence areas, which can be implemented as a basic model for river maintenance and management. 삼각주는 하천이 운반하던 퇴적물이 호수나 바다, 하천의 본류와 같은 상대적으로 저 에너지의 환경을 만나 쌓인 퇴적 지형이다. 그 중 하천의 합류 지역에 생긴 삼각주는 하천 기하와 수리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하천 관리 및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최근 낙동강 내 대규모 준설과 보 건설로 하천 합류 지역의 평형상태가 깨지고 있다. 하지만 하천의 자연 회복성으로 인한 지속적인 퇴적으로, 인위적인 준설 이전의 자연상태로 되돌아가고 있다. 시계열 관측 결과 합류 지역의삼각주는 준설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일정 크기에 도달하면 전반적인 크기의 변화없이 소규모의 성장과 후퇴를 반복하는 동적 평형상태에 이른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 지역 삼각주가 지류의 유사량과 본류의 유량에 따라 체결된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합류 지역의 퇴적-침식 작용을 설명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지류 공급 퇴적물의 퇴적과 본류로 인한 침식 작용, 두 가지 기작을 토대로 한다. 모델에 사용된 낙동강을 대표하는 침식 계수는 낙동강 내 주된 합류 지역을 이용하여 추정했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류 유사량과 본류 유량에 따른 합류 지역 삼각주 평형 위치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했고, 이후 주된 합류 지역의 연평균 유량,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낙동강 합류부 삼각주들의 동적 평형 위치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천-낙동강에 기록된 일별 유량과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발달에 대한 모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델을 통해 각 합류부 삼각주의 형성 여부를 예측하였고, 감천-낙동강 삼각주의 거동의 경향 또한 잘 예측하였지만, 단순화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와 한계로 인해 감천-낙동강 삼각주에서 실제 발생하는 후퇴를 정확히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합류 지역을 통한 낙동강 본류의 유사 공급량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여 하천 정비 및 유지에 기초 모델로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문선영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film historical significance of Korean War through Does the Nak-Dong River Flow by Im Kwon-taek.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as the border landmark of fratricidal war, ha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eld of tragedy which decides between victory and defeat. A few sets of its significances could be drawn out from the cinematographic embodiment of that Nak-Dong River.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ing:First of all,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worth being counted as the masterpiece of war films. Despite its faithfulness to the anti-communist film, it also escapes the scope of ‘anti-communism’ and raises a solemn question as to the misery of fratricidal war, making a war movie based on humanity as a whole. With its well-made mise-en-scen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is before anything else a movie made with a great enthusiasm for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movie Nak-Dong River posits itself not only as the significance of the site of tragedy covered with blood and carcases but also as the significance of love and parting at the same time. These are extracted from the situation of child combatant Cheon Tae-sik. Secondly, Does the Nak-Dong River Flow? directly deals with the problem of child combatants, an issue of continual controversy. Centering on a little child with no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war at all, the misery of Korean War emerges all the more powerfully, and the pretty 'flower' in the movie calls attention to those horrors even more impressively, let alone the image of tanks and the scenes of humanity. Likewise, Does the Nak-Dong River Flow can said to be a distinguished film work of the embodiment of Nak-Dong River in the time of Korean War. Before anything else, it is noteworthy that Kwon-taek Im, who tries to approaches the historical fact with modesty and sincerity placing 'child combatant' as the central figure, poses Nak-Dong River as the space for the venting of spite, not being content with its spatial importance as the expression of the irony of Korean War which has no clear division between enemy and friend nor with its value as a factual record of the battlefield of the blind struggling for victory under those ironical circumstances of history. It must be deeply involved with those circumstances that Nak-Dong River has been one of the main subjects for film and other branches of art. There was a scene in the movie in which Cheon Tae-sik throws a field shovel to tell his fortune and other soldiers, utterly fearful of death, give facial expressions of agreement when they were making a plan to sweep the enemy through blowing up of a bridge and preparing for the operation. It is a moment of sadness, in which our minds cannot help but lapse into weakness infinitely under the tragic circumstances. 이 논문은 한국전쟁을 다룬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통해 한국전쟁 가운데 치열하기로 이름난 낙동강전투가 영화담론으로서 어떤 의미망을 지니는지 살펴보려는 의도 아래 기획 집필된 것이다. 이때 중심되는 화두는 ‘한국전쟁과 영화담론’이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대상으로, 당대 전쟁영화의 의미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1976년에 제작되었다. 「洛東江은 흐르는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과 대적하는 남한군의 고군분투를 그린, 임권택 감독의 이른바 반공영화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洛東江은 흐르는가」에서는 반공영화가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없다. 한국전쟁을 배경으로든 전경으로든 담은 영화가 피해갈 수 없는 맥락이 바로 ‘반공’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한국전쟁을 담은 영화는 끊임없이 제작되고 있고, 여기서 ‘반공’에 대한 논란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만큼 반공이 논란의 선상에 놓이는 것은 한국전쟁이 지닌 특수성 때문이다. 이 논문은 이렇듯 한계담론으로 지적되는 ‘반공’의 이면에 숨겨진 담론들을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가 어떻게 표명하고 있는지 살폈다. 아울러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모호한 한국전쟁의 아이러니성을 극명하게 표출시킨 ‘낙동강’의 공간성과 함께 그 속에 놓인 소년병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면모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꽃의 메타포’로서 기억의 저편에 묻힌 과거의 진실들, 잘 표현된 불행의 여정들을 탐색하였다. 본고는 인간의 모순, 감각의 윤리, 생존의 숭고 등 여전히 진행형으로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쟁의 상흔들을 ‘낙동강’을 배경으로 곱씹는 데 바쳐져 있다.

      • KCI등재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지역학습 전략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조철기 ( Chul Ki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낙동강 유역을 사례로 하여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지역학습의 방안을 탐색한 것이다. 낙동강 유역의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대안적 지역학습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서 지리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검토하였는데, 낙동강 유역은 영남지방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낙동강 중상류와 낙동강 하류로 대별되기도 한다. 그리고 낙동강 유역은 하천 지형을 통해 나타나는 자연 경관뿐만 아니라 그 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다양한 삶의 인문 경관, 인간에 의해 파괴되고 그로 인해 우리 인간에게 환경 문제를 경고하는 생태적 상징 경관으로서 동원되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굿둑은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경관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와 관련한 내러티브는 그것을 생산한 저자의 관점 또는 자료의 출처에 따라 매우 상이한 이데올로기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낙동강 유역이 가지는 의미에 토대한다면, 낙동강 유역의 내러티브를 활용한 지역학습 전략은 두 가지 차원에서 전개될 수 있다. 하나는 낙동강 유역을 중상류와 하류로 이항적 대비를 통해 전개되고 있는 내러티브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은 물론 지리적 사고력과 공감적 이해, 지리적 상상력의 발달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낙동강 하굿둑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가진 주체들에 의해 생산된 불일치 내러티브 자료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인지 및 가치 갈등 경험하도록 하여 하굿둑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해소하도록 하여 균형잡힌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ategy of regional learning utilizing narrative text as a case of Nak-Dong river basin. As a prior step to examine the strategy of alternative regional learning utilizing narrative text of Nak-Dong river basin, this paper examined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 to findings, Nak-Dong river basin put together Young-Nam province but is divided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stream and the downstream. And Nak-Dong river basin is described as a physical landscape of river landform, human landscape of human life, and ecological landscape of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Nak-Dong estuary dyke is built-environment that show simultaneously these three dimension of landscape. The narratives related with Nak-Dong estuary dyke show very different ideology by author`s viewpoint or the source of data. Like this, according to meanings of Nak-Dong river basin, strategy of regional teaching and learning utilizing narratives of Nak-Dong river basin can be developed in two dimension. One is to use narratives that devide Nak-Dong river basin between the upper and middle stream and the downstream through binary opposite. The strategy attract learners` interest and stimulate geographical thinking, empathetic understanding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Another is to use discrepant narratives producted by subjects who have different viewpoint about Nak-Dong estuary dyke. The strategy make learners reduce bias and stereotyping about estuary dyke by experiencing cognition and value confl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