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Marketability for Revitalization of Exports of Cut Flowers and Chrysanthemums Produced in Korea

        Bo Min Kim,Sang Yeong Kim,Jin Hee Lim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국가별 화훼 및 절화 국화 소비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업체에 의뢰하여 최근 3년간 꽃을 구입 한 경험이 있는 20대에서 6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국가는 한국, 호주, 일본, 베트남이었고 각 국가별 조사 인원은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조사 국가에서 꽃 소비가 활발한 연령대는 30대인 반면에 일본은 50대와 60대였다. 연간 평균 꽃 구매 횟수는, 베트남은 연 6회 이상 구입이 76%로 나타났고, 나머지 조사 국가는 연 5회 이하로 나타났다. 꽃 구입시 가장 고려하는 것은 신선도, 색, 가격이었다. 국화 꽃의 크기는 4.5~8cm가 모든 국가에서 가장 선호되었다. 국화 형태에 대해서, 베트남은 스탠다드형, 스프레이형, 혼합형의 선택 비율이 거의 유사한 반면에 나머지 국가들은 혼합형을 가장 선호했다. 스프레이형의 경우 Double의 모양이 모든 국가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다. 스탠다드형의 경우, Semi-Double, Pompon, Double의 모양이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색상은 흰색, 노란색, 분홍색의 선호도가 공통적으로 높았으며, 초록색 계통의 경우 대체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가 국가별 맞춤형 품종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domestic distribution and exportation of cut flowers and Chrysanthemum flowers by identifying the state of flower consumption of different countries. The survey was done to people in their 20s–60s who have purchased flowe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countries surveyed were South Korea, Australia, Japan, and Vietnam, with 100 people surveyed in each country. In most countries surveyed, most people purchased flowers in their 30s, while the people in Japan purchased it in their 50s and 60s. In Vietnam, 76 percent of the cases were purchased more than six times annually, while the other surveyed countries had less than five times a year.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consider when purchasing flowers were freshness, color, and price. The most preferred Chrysanthemum flower size was 4.5–8 cm in all countries. As for Chrysanthemum types, Vietnam had almost similar preferences for standard, spray, and mixed types, while the other countries preferred mixed types. For spray type, the flower shape of Double was the most preferred in all countries. For standard type, the shapes of Semi-Double, Pompon, and Double were generally highly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colors were white, yellow, and pink, with generally low preferences for gr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developing customized varietie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ountry.

      • KCI등재후보

        프리뮬라의 질적 형질 유전

        송천영(Cheon Young Song)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프리뮬라의 꽃의 색, 크기, 형태 및 잎의 모양과 색 등의 질적 형질에 대한 유전 분석을 위하여 이들의 형질이 다른 계통을 교잡한 후, 교배조합(F₁), 자가 수정 차세대(F₂) 및 여교잡을 하여 분리비를 조사하였다. 꽃색이 노랑색 × 흰색(J × F) 조합(F₁)은 노랑색이고, F₂는 노랑색과 흰색의 비율이 3 : 1로 분리되었으나, 보라색 × 흰색(C × F) 조합의 화색은 흰 보라색이었고 차세대 F₂의 화색은 모친색 : 중간색 : 부친색의 비율이 1 : 2 : 1의 양상으로 분리되었다. 꽃의 크기에서 꽃이 큰 것 × 작은 것(H × J, B × J)의 조합(F₁)은 크게 나타났고, 차세대(F₂) 비율은 큰 것 3 : 작은 것 1로 분리되었고, 꽃잎이 주름진 것 × 평평한 것(H × J)의 조합 (F₁)은 주름진 것으로 나타났고, 차세대(F₂)의 비율은 주름진 것 3 : 평평한 것 1로 분리되었다. 또한 단화경 × 다화경 (A × F)조합은 다화경으로 나타났고, 차세대 비율은 다화경 3 : 단화경 1로 분리되었다. 잎색이 연녹색 × 진녹색(A ×F)의 조합은 진녹색이었고, 차세대(F₂) 비율이 진녹색 3 : 연녹색 1로 분리되었고, 잎 모양이 장타원형과 타원형의 교배조합(B × J)은 타원형으로 나타났고, 차세대(F₂) 비율은 타원형 3 : 장타원형 1로 분리되었다. 이와 같은 프리뮬라의 질적형질의 유전은 단인자가 작용하며 꽃의 색은 우성 또는 불완전 우성으로 유전되고, 꽃의 크기, 꽃잎의 형태, 잎의 색 및 잎의 모양은 완전 우성으로 유전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heritance of the flower color, flower size, petal shape, leaf color, and leaf shape in Primula polyantha. The cross combination (F₁) by pure line (S₇), its self-pollination (F₂) and backcross were tested by segregation. The petal color was inherited a monogenic complete dominance by progenies (F₂) and backcross with Yellow × White (J × F) and Yellow × Red (J×B). However, the combinations of Yellow × Pink (J × D) and Purple × White (C × F) showed a monogenic partial dominance. Based on Mendelism analysis, it was found that petal color was inherited a complete or partial dominant pattern. The big size of petal, wave of petal shape, dark green of leaf color and oval of leaf shape were inherited a monogenic complete dominance by testing of progenies (F₂) and backcross.

      • KCI등재

        우리나라 최초의 브라이언영가이트 산출에 대한 보고

        조현구,구효진 대한지질학회 2022 지질학회지 Vol.58 No.2

        함수아연탄산염광물인 브라이언영가이트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국전광산에서 발견하여, 이 광물의 산출상태, 광물학적-지화학적 특성과 생성 환경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국전광산의 브라이언영가이트는 석고와 베체레라이트를 밀접하게 수반하며, 미립의 판상-도변상 입자들이 구과상-장미꽃 모양의 집합체를 형성한다. X선회절분석 결과에 의하면, 이 광물은 β 값이 거의 90도인 단사정계에 속한다. 열분석에 의하면, 흡착수의 탈수작용, 탈수산화반응, 탄산염의 분해 반응, 황산염의 분해 반응 등에 의한 6단계의 중량 감소가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광물 내에 존재하는 Zn, CO3, SO4, (OH)- 에 의한 라만 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광물의 화학식은 Zn3.5(CO3, SO4)2.7(OH)4로 표현할 수 있다. 국전광산의 브라이언영가이트는 섬아연석이 지표에 노출된후 탄산기를 포함하는 물과 반응하여 이차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추론된다. 국내의 휴·폐광 중인 아연 광산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하여 이 광물의 추가적인 산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mineral brianyoungite, a hydroxyl Zn carbonate,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Gukjeon mine, and its occurrence, mineralogical-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environment were studied. The brianyoungite forms spherulitic-rosette aggregate composed of platy-to-bladed particles and is closely accompanied by gypsum and bechererite. The X-ray diffrac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brianyoungite in Gukjeon mine is monoclinic with beta very close to 90°. Thermal analysis showed the 6 stage of weight loss due to the dehydration, dehydroxylation, carbonate decomposition and sulfate decomposition. The mineral shows characteristic Raman bands due to Zn, CO3 2-, SO4 2- and (OH)-. The empirical formula is Zn3.5(CO3, SO4)2.7(OH)4. The brianyoungite in the Gukjeon mine might be secondary mineral formed by the reaction of sphalerite with CO3-containing water on the surface. Additional report of brianyoungite are expected after further research on closed or abandoned domestic Zn mines.

      • KCI등재

        Comparison of Cut Flower Chrysanthemum Preference among Domestic and Foreign Flower Distributors and Sellers

        Bo Min Kim,Jin Hee Lim 한국화훼학회 2021 화훼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국가별 화훼 및 절화 국화 소비 및 판매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유통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 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업체에 의뢰하여 화훼 유통업자 및 판매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국가 는 대한민국, 일본, 호주, 베트남이었고 대한민국, 호주, 베트남의 조사 인원은 각각 50명, 일본은 49명, 총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부분의 조사 국가에서 오프라인으로 유통 또는 판매를 하였고, 최근 들어 온라인을 통한 유통 및 판매도 높게 나타났다. 꽃 유통 및 판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품종과 품질이었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큰 행사가 있는 달에 국화가 많이 팔리며 호주와 베트남은 연중 고르게 판매되 는 양상을 보였다. 주로 선물용과 기념일용으로 판매되었다. 대한민국, 일본, 호주는 스탠다드 타입과 스프레이 타입이 섞인 믹스 타입의 절화 국화가 주로 판매되며 베트남의 경우 스 프레이 타입의 절화 국화가 가장 많이 판매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프레이 타입의 경우, Anemone를 선호하며 Spider 는 선호하지 않는다고 조사되었다. 스탠다드 타입의 경우, Double 모양의 판매가 가장 많았으며 대한민국을 제외한 세 나라에서는 Pompon의 판매량도 높은 수준이었다. 색상은 흰색, 아이보리, 노랑 등 밝은 색상의 판매량이 많았으며, 초록색 계통의 경우 전체적으로 판매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별 맞춤형 품종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stablished marketing strategies for promoting domestic distribution and exportation of cut Chrysanthemum flowers by identifying the state of flower consumption in different coun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flower distributors or sellers. This survey included South Korea, Japan, Australia, and Vietnam, with 50 people each surveyed in Korea, Australia, and Vietnam and 49 in Japan, totaling 199. Most research countries distributed or sold them offline; online distribution and sales were also high.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flower distribution and sales were cultivar and quality. In Korea and Japan, many Chrysanthemums were sold in the month of big events, and in Australia and Vietnam, evenly throughout the year. Chrysanthemums are sold mainly for gifts and anniversaries. In Korea, Japan, and Australia, mixed-type Chrysanthemums mixed with standard and spray types are mainly sold, whereas, in Vietnam, spray type Chrysanthemums are the most sold. For spray type, Anemone was preferred compared with Spider. For standard type, double sales were the highest; Pompon sales were also high in three countries, except for Korea. It was found that bright colors, such as white, ivory, and yellow, were sold a lot and that the overall level of sales was low for green ones. This research should b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customized varietie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country.

      • KCI등재후보

        차 사발 제작시 소성발색(열꽃현상) 관한 연구

        장기덕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2

        For drinking tea in a ceramic bowl bowl of tea. Porcelain tea bowl us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materials. Drinking tea in tea bowl molding has been determined in various ways. The powdered green tea in the tea bowl is called a container. This paper is produced firing tea bowls color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were studied. Making tea bowls plastic color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to develop a suitable clay. Focusing on how to mix clay and plastic, and other materials produced by analysis to compare the tea bowls were studied. Making tea bowl in this study, analysis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was found. 1. 1% of iron oxide in the clay is included in an absorbent clay is adequate, and that affects the density of the clay. 2nd. The particle size of the kaolin is different pink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of different sizes. 3rd. Low plasticity kaolin content, the higher the difficulty in forming a spinning wheel. However,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kaolin is the weight and the colors were brighter. In addition, the absorption rate is higher sintering conditions are not good bowl. 4th. Tea bowl itself is encountered when making the paint with clay slip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appeared more likely. 5th. After scratching Tea bowl making clay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did not show as well. 6th. In this study, glazing and firing immediately after drying afford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are well represented. 7th.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must appear in the glaze on the point had pin hole . In addition, around the pin hole mass is always present in the quartz. 8th. Thin glazing , the glaze is mixed with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as well. 9th. 950℃ reduced at the start firing, 1170℃ sintering proceeds from the oxidation. ( Low temperature firing is best suited to neutral ) 10th.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is a partial oxidation. This is a metal oxide ( iron ) and due to the reaction with the alkali soluble. 11th. Heating the faster the cooling rate is slow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is fine. Besides the moisture content state, i.e. in the kiln, the temperature rising rate, cooling rate, pressure, depending on the conditions such as to influence was confirmed. I tea bowl with good functionality and beauty to be studied. This study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and thu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evelopment of suitable clay will. Focusing on how to mix clay and firing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were analyzed. Through the study of art and tea bowls Sintering Color (Flower Shape) by utilizing techniques were proposed utilization of the tea bowl. 차 사발은 차를 마시기 위한 도자기 그릇이다. 이러한 도자기 차 그릇에는 다양한 형태와 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차 그릇 조형은 차를 마시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 결정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가루차 즉, 말차(末茶)를 담는 그릇을 차사발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 사발 제작 시 나타나는 소성 발색(열꽃현상)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제시된 연구 자료를 근거로 하여 차 사발 제작시 소성 발색(열꽃현상)에 적합한 소지를 개발하는 것이며, 혼합한 소지와 소성 방법을 중심으로 소성 발색(열꽃현상)을 분석하여 다른 재료 및 소지로 제작한 차 사발을 비교하고 제작 기법에 따른 다양한 차 사발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른 상호 비교와 특성 제시를 통해 차 사발을 제작,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 소지에 있어 철분이 1 %전후 포함 되어 있는 소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다공질로서 흡수성이 있는 소지가 적합하며, 소지의 밀도 정도도 큰 영향을 끼친다. 두 번째, 핑크 카올린의 체 거름의 정도에 따라 즉, 핑크 카올린의 입도를 달리하면 소성 발색(열꽃 현상)의 크기 조절 가능 하였다. 세 번째, 카올린의 배합 비율이 점토의 배합 비율에 비해 수치가 높을수록 가소성이 낮아 물레 성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렇지만 카올린 배합 비율이 높을수록 색상은 밝아졌고 배합 소지의 무게는 가벼워졌다. 또한, 흡수율은 높아 졌으며 소지의 소결 상태는 좋지 않았다. 네 번쩨, 성형 시 발생하는 자체 소지 슬립이 자연스럽게 분장 될 경우 소성 발색(열꽃현상)이 더욱 확연하게 나타났다. 다섯 번째, 슬립 분장이 되었더라도 굽 칼로 굽을 깎거나 성형 후 소지를 긁었을 경우에는 소성 발색(열꽃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 번째, 일반적 도자기 소성과정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의 발색 소성의 경우에는 옹기 소성 방식과 같이 건조 후 바로 시유를 하여 소성할 때 소성 발색(열꽃현상)의 발현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 번째, 소성 발색(열꽃현상)이 나타나는 지점은 반드시 유약에 핀홀(pin hole)이 동반 되었다. 또한 핀홀의 주위(즉 열꽃의 중심부)에는 언제나 석영 입자가 덩어리 형태로 형성되어 존재하였다. 여덟 번째, 유약은 재를 매용제로 사용하는 투명유로 얇게 시유 할 때, 소성 발색(열꽃현상)의 발현이 잘 이루어진다. 아홉 번째, 소성 분위기는 950℃에서 약한 환원 분위기로 소성을 시작하여 1170℃에서 산화 소성으로 마무리 하여 소성 한다. (온도가 낮은 중성염 분위기가 발색에 적합하다) 열 번째, 소성 발색(열꽃현상)은 일종의 부분산화 현상으로 소성 시 흙속의 금속산화물인 철분과 가용성 알카리 염류와의 반응에 의한 것이다. 열한 번째, 온도의 상승 속도가 빠르고, 냉각의 속도가 느릴 때에 소성 발색(열꽃현상)은 잘 발현되었다. 그 외에도 가마 안의 소성분위기 수분 함량이나 온도상승 속도 ․ 냉각 속도 ․ 기압 등 소성의 조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우리나라의 도자이면서 우수하고 차별화 된 기능성과 현대적 심미성을 갖춘 다도구를 연구해 오고 있다. 이 연구는 소성 발색(열꽃현상)의 원인을 밝히고 적합한 소지를 개발하는 것이며, 혼합한 소지와 소성 방법을 중심으로 소성 발색(열꽃현상)을 분석하여 다른 재료 및 소지로 제작한 차 사발을 비교하고 제작 기법에 따른 다양한 차 사발 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