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김기흥(Kim Ki-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신라의 김씨는 진흥왕대에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北齊書』에 보이는 신라왕 ‘김진흥’은 ‘왕인 진흥’으로 ‘김’은 ‘왕’의 의미이다. 김씨 왕실의 바로 앞에 있었던 다른 부계 혈통의 ‘예전 왕’들은 ‘옛 왕’ 즉 ‘석김(昔金)’에서 왕을 나타내는 ‘김’을 피하고 석(昔)만을 남겨 구분한 듯하다. 석씨에 앞서 집권하였던 왕실 계통은 시조 혁거세의 이름에 보이는 ‘광명’의 의미를 취하여 ‘박’이란 성씨로 구별하였다. 三姓은 석씨계 집단의 도태 후에 칭해진 것으로서 씨족이나 족단들이 준별되는 상태에서 賜姓하여 준 것이 아니었다. 기존 왕계에 따라 성씨를 나누고, 왕실과 친연관계가 있는 귀족들에 대하여는 부계 혈연관계에 따라 구분하여 가다가 결국 상대적 친소정도에 의해 성씨를 구별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지배층은 누대의 정치적 연합과 통혼관계를 통하여 복합적인 혈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중고기 성골왕실의 근친혼이 강화되며 권부의 핵심에서 도태되었던 박씨계에 대해 김씨계는 여전히 혈연적 유대감을 갖기도 하였다. 김씨 왕비가 대외적으로 박씨를 칭하기도 하고, 신라 말에는 김씨였을 가능성이 있는 신덕왕이 박씨를 칭하는 일도 나타났다. 신덕왕은 견훤이나 궁예 등이 신성한 자임을 선전하는 중에 신라 왕실의 권위를 다시 세우고자 퇴락한 김씨왕계 대신 신라 초기 왕계인 박씨의 원손임을 천명하는 복고적 행태를 보였다. 한편, 김씨의 경우 7세기에 이르러 김알지 이외에 중국의 신화적 제왕인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국제화의 진전 속에 왕실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정체성의 확대 시도이며, 아울러 국가 중추세력으로 등장한 가야계 김씨까지를 포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조를 중국의 신화적 존재로 설정하게 되자 중국의 김씨 시조인 김일제도 먼 일족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씨를 세조로 김일제를 원조라고 하고 그의 후손들이 요동에 피난한 양 말하였다. 그런데 김씨부인이 중국내에 본관을 둔 ‘경조(京兆) 김씨’ 임을 분명히 하고 중국내 연원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명의 성씨 관련 내용은 재당 신라계 귀화인들의 경계인적 사고방식에서 적극 윤색된 것으로 신라 김씨 왕실의 연원을 그대로 말한 것으로 볼 수 없다. Kim, one of the three House names(Kim, Seok, Park) that were used by members of the Shilla royal family, seem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565, by King Jin’heung-wang in his diplomatic dealings with China. At the time, the full and formal name that was used to refer to the Shilla king in diplomatic occasions was ‘Kim Jinheung.’ From the fact that such title literally meant ‘King Jin-heung,’ we can see that the term ‘Kim’ actually had the meaning of ‘King.’ It seems that the houses which provided former kings(which would make them ‘former royal families’), yet now stripped of power and shut out by the Kim House members, were not allowed to use the name ‘Kim,’ as such last name would falsely indicate that they were the present house in power making kings. They may have only been allowed to use the name ‘Seok-Kim(昔金),’ which would have meant ’Past king’ with the prefix ‘Seok(昔),’ while ‘Kim’ alone would be the equivalent of ‘(Present) King.’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kings and Houses which predated the ‘Seok’ kings and its house were also present at the time, and have been part of the Shilla dynasty’s central nobility class for quite some time. They were not to be referred to as ‘Seok.’ So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the last name ‘Park,’ which reflected the meaning of the term ‘Gwang’myeong(“light”)’ that can be found inside the Founder Hyeok’-geo‘se’s name. (‘Hyeok’geo‘se’ is usually referred to as “Park Hyeok‘geo’se”). Then in the 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to view the name Kim started to emerge. Unlike the previous thinking which believed that Kim Al-ji, the origin of the last name Kim, was the beginning of the house, the new idea came to argue that the mythical emperor of China, ‘Soho Geumcheon,’ was the true beginning and origin of the Kim house family members. This seems to have been a result of the Shilla government’s overall efforts to lift the status of the king and also enhance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it became necessary for the Shilla dynasty to boost its image and establish its prowess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Once the founder of the House name Kim was established as an ancient and also mythical being from China’s past, another historical figure named Kim Il-je(金日?), the origin of the Chinese last name Kim and whose origin can also be traced to the Huns(‘匈奴’),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tant relative of the Shilla royal family as well, and even be recorded in Shilla epitaphs. This caused a debate concerning the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Shilla royal Kim family was related to the Hun tribes, yet the possibility of the Shilla Kim house descending from the Huns is nearly nonexistent.

      • KCI등재

        朝鮮 後期 開成 金氏 畵員 硏究

        박수희(Park Suhee)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256 No.256

        개성 김씨 집안은 조선 후기에 많은 화원을 배출하면서 당대 화단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했던 대표적인 화원 가문 중 하나였다. 개성 김씨 집안에서 처음으로 화원직에 진출하면서 화원 가문의 시조가 된 사람은 조선 후기의 뛰어난 도화서 화원이었던 復軒 金應煥(1742-1789)이었다. 김응환을 필두로 개성 김씨 기문에서는 2대 兢齊 金得臣(1754-1822)과 蕉園 金碩臣(1758-?). 3대 ?堂 金夏鐘(1793-?) 등 총 4대 100년 동안 화원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도화서에서 근무하면서 각종 의궤에 여러 번 종사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렇듯 한 집안에서 화원직을 반복적으로 계승하여 화원 가문을 이루는 현상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 생겨난 것이었다. 이는 17세기 인조 대 이후 중인 계층의 결속이 강화되는 것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조선 초기까지 양인과 양반층에서도 진출이 가능했던 경아전 등의 행정 관료직과 醫官, 譯官, 律官, 算官, 雲官, 陰陽官, 畵員 등의 기술 관료직은 직역 세습을 통하여 점차 폐쇄적인 계층을 형성 해갔으며, 이들이 바로 中人으로 분류되는 신분층이 되었다. 마찬가지로 17세기 이후부터 많은 화원을 계속적으로 배출하는 가문이 점차 늘어났고, 이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더욱 두드러졌다. 개성 김씨는 조선 중기부터 나타난 이러한 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가문이다. 집안을 화원 가문으로 만든 시조가 된 김응환은 곡산 노씨, 인동 장씨, 신평 한씨 등 선대의 유력한 화원 가문과의 혼인을 통하여 도화서에 진출할 수 있었고, 그 자손들에게 화원직을 세습하였다. 뿐만 아니라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은 당대의 많은 유력 화원 가문과 통혼하여 그 세력을 강화해 나갔고, 여타의 화원 가문이 형성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화원 가문간의 거듭된 혼인이 일반화된 것은 조선 후기 회원 사회의 중요한 특징이었다. 개성 김씨 화원 가문에서는 훌륭한 화원들이 다수 배출되었다. 특히 김응환은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의 시조로서, 그의 화풍은 조카인 김득신과 양자인 김석신 등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가풍은 김하종 등의 조선 말기 화원들에게까지 이어졌다. 또한 김응환과 김홍도 사이의 친밀한 교유 관계는 집안의 지손들에게 김홍도의 화풍이 전해지는 데 큰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개성 김씨 화원들과 통혼하였던 다른 화원 가문 출신의 회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개성 김씨 화원들과 직, 간접적으로 혼인관계에 있었던 가문은 인동 장씨, 양천 허씨, 신평 한씨, 곡산 노씨, 개성 이씨, 전주 이씨, 임천 백씨, 경주 최씨 등 총 8개 가문에 달하며, 이 집안 출신의 화원들은 조선 후기, 말기의 도화서에 큰 세력을 이루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화원 가문은 조선시대 중인 계층의 결속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화단을 이끌었던 또 하나의 원동력이었다.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의 형성과 확장은 조선 후기에 화원 사회의 성장함에 따라 자신들의 위치를 굳건히 하고 내적인 발전을 기하려고 애썼던 화원들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본고는 조선 후기의 화단을 회원 가문의 형성과 발전, 확장의 측면에서 연구하려는 취지에서 개성 김씨 화원 가문을 분석하려고 시도했다. 이는 조선 후기 화단의 발전을 단지 몇몇 뛰어난 화가들의 공로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좀더 구조적이고 입체적인 조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Gaeseong Kim family (開成 金氏) was one of the greatest painters' family which had a lot of famous painters in late Joseon period. The first painter from Gaeseong Kim family was Kim Eunghwan (金應煥), a competent painter in the Dohwaseo (圖畵署), the painters' studio of the court of Joseon. After he became an official painter of the Dohwaseo, so called hwawon (畵員), there were many great painters from the Gaeseong Kim family like Kim Deuksin (金得臣), Kim Eunghwan's nephew, Kim Seoksin (金碩臣), Kim Eunghwan's stepson, and Kim Hajong (金夏鐘), Kim Deuksin's son. Moreover, all of them belonged to the Dohwaseo and took part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court. This trend of succeeding the career of a hwawon in a family had been since the middle age of Joseon dynasty, which had the same context as bonding of the class of jungin (中人) since Injo (仁祖) period in 17th century.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administraive officials of the court like Kyoungajeon (京衙前) and engineer officials of the court like euiguan (醫官), yoekguan (譯官), yulguan (律官), sanguan (算官), eumyangguan (陰陽官). hwawon (畵員) succeeded to their career and built up a closing class, which was called jungin class. Likewise, families that produced a lot of hwawons in succession increased gradually, The Gaeseong Kim family is the most outstanding evidence that shows this phenomenon, Kim Eunghwan who made his own family a great hwawoen family could get his job through marriage to the Goksan Roh family (谷山 盧氏), the Indong Iang family (仁同 張氏), and the Sinpyeong Han family (新平 韓氏), and handed down his job to descendants. Moreover, the people of the Gaeseong Kim family enhanced their influences by marrying to other hwawon families and also had a great influences on establishing many other hwawon families. These were outstanding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of hwawons in late Joseon. The Gaeseong Kim families come forward in succession many competent hwawons Especially, Kim Enghwan is the founder of the hwawon family of the Gaeseong Kim family, his brush of painting had a great effect on his sons and grandson such as Kim Deuksin, Kim Hajong, etc. In additi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Kim Enghwan and Kim Hongdo (金弘道) played an important role to Kim Hongdo's effects to the Gaeseong Kim families' paintings. These kinds of social phenomena had great effects on other hwawons that had marriage relationships with the Gaeseong Kim family. The families that had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Gaeseong Kim family were seven, which were Indong Jang family (仁同 張氏), Yangcheon Heo family (陽川 許氏), Sinpyeong Han family (新平 韓氏), Goksan Roh family (谷山 張氏), Gaeseong Lee family (開成 李氏), Joenju Lee family (全州 李氏), Imcheon Baek family (林川 白氏), Kyeongju Choi family (慶州 崔氏), and the hwawons from these seven families acquired a huge influences on the Dohwaseo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tile way, the paintings of these hwawons such as Jang Hanjong, Lee Myeonggi, Lee Sumin, Baek Eunbae were influenced from the hwawons of Gaeseong Kim family deeply. This phenomenon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inters' families and the effects on one another. Establishment and enlargement of the Gaeseong Kim painters' family reflects on hwawons' constant efforts that would secure their own status and try to enhance themselves. This essay tried to analyze the Gaeseong Kim family painters in order to research the society of hwawons in late Joseon period in point of establishment, development, enlargement of painters' families. I think that this kind of view can help researchers to get out of the view to think paintings of late Joseon period were developed by only a few famous painters and offer them a wide view to see Korean art history.

      • KCI등재

        18~19세기 서해(西海) 도서주민(島嶼住民)의 거주 양태-백령도(白翎島) 거주 김해(金海) 김씨(金氏) 일가의 고문서(古文書) 자료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에서 백령도로 이주한 김해 김씨 일가의 약 130여 년 간의 생활 모습을 고문서 및 호적 자료를 분석하여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백령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섬 생활과 관련된 58건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51건이며,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 및 매매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건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는 先祖가 18세기 전반기에 황해도 내륙 고을인 長淵에서 백령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백령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백령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백령도에 수군진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이었다. 둘째, 백령도 김해 김씨 入島祖의 신분은 평민층이었으나 이후 그 후손들 중 일부는 19세기 중엽 이후 양반 및 중인층으로 신분을 상승시켰던 반면, 일부는 19세기 말까지도 평민층의 신분을 벗어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김해 김씨 일가는 전반적으로 도서지역 내에서는 최고 지배층 가운데 하나로 신분을 상승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백령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넷째, 일부 남아 있는 매매 관련 고문서 자료를 통해 김해 김씨 일가가 경제력 신장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김해 김씨 일가는 수군진의 요직을 수행하면서 세금 징수 및 특산물 供出에 적잖이 관여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렇듯 권력과 정보력, 노력이 누적되어 김해 김씨 김두기 일가는 현재 백령도의 최대 가문으로 자리 잡았던 것이 아닌가 보여 진다. This paper analyzes ancient documents and census registers related to Kimhae(金海) Kim(金) family, who moved from interior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Its members left fifty-eight sheets of material about their lives in the island. Fifty-one of them are census registers, and the rest are certificates of appointment and agreements for deed, etc. In case of ancient documents of Joseon Dynasty era, almost of them have been preserved by descendants of yangban(兩班) who have lived inland area. It is very rare that insular people from non-yangban class have kept nearly sixty sheets of paper and introduce them to the academic world. Thanks to them, we were able to understand how they have lived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er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Kimhae Kim Family's people moved from Jangyeon(長淵), inland town of Hwanghae Province to Baekryeong Island in the form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heir migration was a government policy to reinforce maritime defense. The government set up the naval post and moved people there, when pirates began to appear frequently. Secondly, its people were originally commoners when they first moved to the island. Some of them were yangban or middle-class since mid-19th century, while rest of them were commoners eve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Generally speaking, the family had flourished ever since, and was able to be one of the strongest family in the island. Thirdly, it is common that children's names were not written on the census regis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era. However, people of Kimhae Kim family wrote all the names of their children, even their young daughter. There are no children's names on the census register written in other islands with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they had a very different idea about their children. Finally, people of Kimhae Kim family constantly tried to improve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probably involved in collecting tax and products, assuming an important office at the naval post. It seems that Kim Du-Gi’s family was able to be the biggest family based on power, information, and efforts.

      • KCI등재

        조선 초기 실행 여성에 대한 도덕 권력의 처벌 - 조화(趙禾)의 처 이씨의 경우

        강명관 ( Kang Myeong Kwa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여성학연구 Vol.28 No.1

        조선 성립 이후 유교적 가부장제는 여성을 남성에게 성적으로 종속된 존재로 규정하고 여성의 성적 욕망을 통제하려 하였다. 여성의 성욕과 그것의 언표, 실현을 모두 음란으로 규정하였다. 합법적 결혼을 통한 사회적으로 공인된 배우자와의 성적 결합 외에는 어떤 성적 결합도 모두 음란으로 규정되었다. 아울러 최초의 배우자의 부재, 사망으로 인한 재혼, 삼혼의 경우도 역시 음란으로 규정하고 처벌하였다. 그 처벌은 해당 여성의 자손을 관직에서 배제하는 것으로 그 구제적인 방법은 자녀안(恣女案)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었다. 자녀안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자녀안에 오른 여성을 처벌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검토하려고 한다.이 논문에서 표본으로 들 사례는 조선의 건국의 공신이었던 조준(趙浚)의 조카인 조화(趙禾)의 처 김씨다. 『실록』에 의하면 김씨는 성적 추문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그녀는 왕족이었던 이지(李枝)와 57세에 재혼하였다. 성적 추문이 사실인지는 확인할 수 없고, 재혼이 도덕적 과오일 수 없지만, 당시 사족체제는 그것을 ‘음란’으로 규정하였다. 우리는 김씨가 성적 욕망을 실현하는 과정을 둘러싼 풍문이 진실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하나 분명히 존재했던 것은, 여성의 성욕 자체를 부도덕한 것으로 단죄하는 남성-사족의 도덕 권력이었다.성적 ‘음란’은 어떤 컨텍스트에 의해 규정되는 성질일 뿐, 특정한 욕망의 존재, 행위의 실천 그 자체가 본래 음란성을 갖는 것은 아니다. 김씨의 음란은 남성-사족의 권력에 의해 규정된 것일 뿐이었다. 한편 김씨의 행위는 조화가 그의 장모 곧 김씨의 어머니와 성관계를 가졌던 것이 계기가 되었던 것이니, 그 원인의 제공자는 조화에게서도 찾을 수 있었다. 하지만 조화는 음란으로 규정되지도 않았고, 처벌되지도 않았다. 조화의 장모와의 간통은 스쳐 지나가는 듯한 무심한 어조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김씨의 행위에 대한 처벌은 그의 아들 조심과 조유례, 조유신의 관로를 막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심지어 사위나 외손서, 사위의 사위에까지 번졌다. 거의 50년에 걸쳐 김씨의 자식들을 관직에서 배제했던 것이다. 조유례와 조유신은 합리적인 언어로 조모를 방어했지만 사족체제의 도덕 권력을 그런 합리적 이유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김씨는 자녀안에 의해 처벌된 최초의 사례다. 그 처벌의 과정은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대간의 김씨와 그의 자손에 대한 처벌은 사족사회에 널리 퍼졌을 것이고, 그것은 사족 여성들을 성적 욕망의 표현을 억압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사족 여성은 김씨와 그 후손의 처벌 사례를 보고, 자신의 성적 욕망을 언표하거나 실현하는 것을 스스로 제한해야만 했을 것이다. 남성-사족이 기녀와 여비(女婢)와의 복수적 성관계를 갖는 것과 견주어 보자면 너무나도 비대칭적인 것이었다. 남성-사족이 바라는 유교적 가부장적 사회는 그렇게 하여 구축되고 있었던 것이다. Mrs. Kim was the wife of Jo Hwa who was a cousin of Jo Joon as one of the contributors to the foundation of Joseon. She didn't hesitate to express her sexual desires. Sex scandals involving her continued, though not finally confirmed to be true. She also remarried Lee Ji from the royal family when she was 57. It was never wrong, but the noble rule system defined her remarriage as lewd. It is still uncertain that rumors over how Mrs. Kim fulfilled her sexual desires were really true. Some of the rumors might have been reasonable, but how much they were based on realities are not still unknown. However, there was one things that was never changed. It was the moral powers of noble men that judged women's sexual desires as just immoral. In dealing with Mrs. Kim who was the wife of Jo Hwa, therefore, the focus should be put on the powers of noble men who covered themselves under the name of morality.Armed with moral powers, noble men defined that it is all lewd whether women just hold, verbally express or realize sexual desires. By the way, being sexually 'lewd' is just a human trait that is defined within particular contexts. In other words, having or realizing sexual desires itself should not be characterized by lewdness. Mrs. Kim was just forcedly led by the moral powers of noble men to be defined as a lewd woman.Meanwhile, Mrs. Kim's deviating behaviors first began after she found her husband Jo Hwa had sex with her mother. Therefore, those behaviors might be attributed to that husband. Nevertheless, however, Jo Hwa was neither judged as lewd, nor punished. The adultery that he committed with his mother-in-law was just described as a trivial or ignorable episode.Punishments on Mrs. Kim had lots of effects on other people. Her son Jo Sim, Jo Yoo-rye and Jo Yoo-shin were prohibited from being in career as governmental officials. Even her son-in-law and the husband and son-in-law of her daughter's daughter were not exceptional. Jo Yoo-rye and Jo Yoo-shin defended their grandmother by using resonable words, but moral powers of the noble rule system did neither accept, nor even consider any of the words. Severe attacks by the powers on Mrs. Kim and her off springs were probably widely known to people of the noble society, greatly contributing to suppressing noble women's sexual desires. Presumedly, noble women had to stop revealing verbally or give up meeting their sexual desires. For noble women, it was too asymmetrical since noble men could have multiple sexual relationships with lots of different women including kinyeo or entertaining women and female slaves. At last, the Joseon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e way that noble men wanted. But in fact, it was disastrous to not only women, but also men.

      • KCI등재

        18~19세기 인천(仁川) 덕적도(德積島) 주민(住民)들의 거주 양상-김해(金海) 김씨(金氏) 일가의 고문서(古文書) 분석 사례-

        임학성 ( Lhim Hak-s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5

        이 연구는 고문서 자료를 분석하여 18~19세기 仁川의 德積島에서 거주한 金海 金氏 일가의 생활 양태를 고찰한 것이다. 김해 김씨 일가는 조선 후기에 덕적도로 이주해 온 이후 자신들의 도서 생활과 관련한 56점의 고문서 자료를 남겼는데, 이 중 호적 관련 고문서가 48점으로 가장 많고 나머지 자료는 관리 임명 관련 고문서이다. 조선시대 고문서 자료가 거의 내륙 양반의 후손 집안에서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경향에 비추어볼 때, 도서 지역 더군다나 비양반 후손의 집안에서 60점에 가까운 고문서 자료가 보존되어 학계에 소개되는 것은 드문 일이라 하겠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후기 도서 주민의 생활 모습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었다. 첫째, 덕적도의 김해 김씨 일가의 先祖가 조선 후기 덕적도로 入島한 이후 가문이 번창하여 현재까지 덕적도 내 최대 가문을 이루고 있다. 先祖가 덕적도로 入島한 이유는 조선 후기 海賊의 출몰이 잦아지면서 조선 정부가 덕적도에 水軍鎭을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거 입도시켜 海防을 강화시키는 정책을 추진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둘째, 김해 김씨의 선조가 덕적도로 입도할 당시의 신분은 알 수 없었으나, 후손 집안에서 보관하고 있는 고문서 자료들을 분석해 보면 평민신분층에서 중인신분층으로 신분을 상승시키려 노력했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19세기 말 준호구 자료에서까지 평민신분층 부녀자의 호칭인 ‘조이(召史)’를 기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아직은 평민 상층~중인 하층 정도의 신분을 지녔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조선시대의 대다수 호적 자료에는 嬰·幼兒 자녀를 기재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었는데 반하여, 이들 일가의 호적 자료에는 영유아, 특히 女兒까지도 충실하게 호적에 기재하고 있었다. 이는 수군진이 설치된 다른 섬 지역의 호적 자료에서도 잘 확인되지 않는 특징이었다. 이로써 덕적도 김해 김씨 일가의 어린 자녀에 대한 인식이 매우 각별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reviews Kimhae Kim Family members' lives who resided in Deokjeokdo, Incheon, in the eighteenth and the nineteenth centuries, analyzing fifty-six sets of old document they left. Forty-eight sets are family register, and the rest is about appointment of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extant material concerning Joseon period have been preserved in the inland area, by the descendants of the nobles. Therefore, it is very rare that almost sixty pieces of old document have been preserved until now in the insular area, and besides, by the descendants of the commoners. Thanks to that, the author was able to access to how they lived in the insular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follows. First of all, some people of Kimhae Kim family moved to Deokjeokdo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flourished and grew to the biggest family in the island. Their migration was a matter of policy. As piracy became frequent, the government began to set up a naval base and made people move there for a purpose of maritime defence. Secondly, it is unknown to which class they belonged when they settled down in Deokjeokdo, but Kimhae Kim Family Papers show that they tried to rise to the middle class. Women were labeled as Jo’i (召史), appellation of female commoners, even i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which tells that they still belonged to the upper part of commoner or to the lower part of middle class. Thirdly, it was general not to register names of children in the family register in the Joseon period. However, Kimhae Kim family wrote their young members’ name, even little girls’ name. It is pretty unique; there is few case like this in other islands with a naval base. It shows that it was very different how Kimhae Kim family viewed its young kids.

      • KCI등재

        오묘제를 통해 본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 변화

        김나경(Kim, Na-gy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는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 인식을 오묘에 봉안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신라에서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여러 명의 시조가 등장하는데, 특히 김씨의 경우에는 왕위를 독점한 이후에 성씨의 시원인 알지가 아닌 시조들이 나타난다. 이는 신라 왕실의 시조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시조 인식은 그에 대한 제사를 통하여 나타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제사 대상이 세대마다 교체되는 오묘제에 주목하였다. 중대부터 신라에는 유교적 예제인 오묘가 실시되는데, 신라 오묘제의 최고 수위에는 태조대왕과 시조대왕이 모셔진 바 있다. 먼저 혜공왕대 오묘 개편으로 봉안된 미추의 경우에는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오른 시봉지군의 자격과 오랫동안 나라를 지켜온 공덕이라는 명분 하에 왕실의 시조로 부상하였다.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서는 오로지 미추만을 시조로 표현하였으며, 기존의 태조와 구분하기 위하여 시조대왕이라는 신라만의 묘호로 미추를 모시게 된 것이다. 그리고 혜공왕대 이전 오묘에는 시조위에 태조대왕이 모셔졌는데, 문헌 기록에는 오묘의 태조대왕이 유일한 ‘태조’에 대한 흔적이다. 비록 태조는 「진흥왕 순수비」에 일찍부터 나타났지만 중대에 이르러서야 성한이라는 태조의 이름이 등장하게 된다. 한편, 태조 성한은 소호금천씨 및 김일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당시 신라와 당의 활발한 교류로 인한 결과로 추정된다. 특히 소호금천씨는 왕실 이외의 가야계 유신 등의 김씨와도 연결된 것으로 보이다가 결국 알지 전승과 함께 김씨의 기원으로 고려까지 전래된다. 결국 알지는 김성의 연원으로서 일종의 시조신으로 기능하였기 때문에 오묘가 아닌 별도의 제사에 모셔졌으며, 김씨 왕실의 조상신으로 태조대왕 및 시조대왕이 오묘와 관련된 기록에 남아있게 되었다. 처음 오묘제가 수용될 때에는 태종 무열왕의 공적을 기리기 위함과 동시에 기존의 태조 인식과 결합하여 태조대왕이 모셔졌다가 혜공왕대에 이르러 시봉지군인 미추가 새롭게 부상하였다. 그러다가 하대에 무열왕계가 아닌 나물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다른 변동 없이 김씨 왕실의 시조격인 미추가 오묘에 계속 안치될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progenitor of the S illa Kim’s royal family, focusing on King Taejo the great(太祖大王) and King Sijo the Great(始祖大王) enshrined in the Omyo(五廟). The Confucian example of Omyo was implemented in Silla from the Middle Ages. King Michu became the founder of the Kim royal family by King Hyegong because he was the first Kim king and protected Silla for a long time. The Samguksaki(三國史記) and The Samgukyusa(三國遺事) stated that only King Michu was the founder(始祖). King Michu was named King Sijo the great, who only used Silla to distinguish from King Taejo. Before King Hyegong, there was King Taejo the great in Omyo, which was recorded only in the Samguksaki(三國史記). King Taejo first appeared in King Jinheung"s Sunsubi Monument(「眞興王巡狩碑」), at which time it was unknown who King Taejo was. It was not until the 7th century that the name Taejo Seonghan appeared intact in Silla. Taejo Seonghan appeared as King Taejo the great of Omyo, who was recorded as descendants of the Soho Geumcheon(少昊金天氏) and Kim Ilje. This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Tang(唐) at that time. In the end, Kim Al-ji was a kind of Progenitor God, so he was enshrined at a memorial service other than the Omyo. On the other hand, records of King Taejo the great and King Sijo the great remained as Ancestor God of the Kim’s royal family of Silla.

      • KCI등재

        신라 박씨왕 시대의 왕실 세력과 신분 편성

        김병곤(Kim, Byoung-g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28 No.-

        신라 건국 초기에는 시조 朴赫居世를 포함해 박씨 성을 가진 7명의 왕이 존재하였다. 초기 기사를 불신하는 연구자들은 박씨 왕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국사』를 편찬케 했던 眞興王이 김씨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조 혁거세가 박씨였고 건국 초기 총 7명의 박씨 왕들이 재위하였다는 행적이 고려시대까지 전승되었다. 이는 후대 김씨 왕족과 구별되는 혈통을 가진 시조와 후예 왕들이 실재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신라인들이 분명히 전승시켰던 결과였다. 박혁거세는 육촌민의 추대로 즉위하여 왕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독자 세력이 미약하였다. 이에 2대왕 南解는 선진 철제기술을 지닌 석씨 집단과 혼인하여, 육촌의 영향력을 희석시키며 독자 세력 확장을 도모했다. 또 3대왕 儒理는 왕비의 아버지를 葛文王으로 책봉해 왕비 가계의 권위를 증대시켰다. 4대 왕으로 석씨 왕족의 시조 脫解가 즉위하였다. 탈해 역시 독자세력의 확보를 위해 새로 유입된 김씨 집단과 결탁하였다. 5대왕인 유리왕의 2자 婆娑는 김씨 史省부인과 혼인해 석씨 왕족과 김씨 집단의 밀착을 약화시키며 김씨에 대한 왕실 영향력을 확산시켰다. 파사왕의 적자인 6대왕 祗麽도 김씨 愛禮부인과 혼인하고 그녀의 아버지 마제를 갈문왕으로 책봉하였다. 파사왕과 지마왕은 김씨 집단과 거듭된 혼인을 통해 지지세력의 확산과 왕실 권위를 고양시켰다. 반면 유리왕의 장자 逸聖이 7대 왕으로 박씨 □禮부인과 혼인했고, 그의 장자 阿達羅가 8대 왕으로 박씨 內禮부인과 혼인하였다. 일성왕과 아달라왕은 족내혼을 통해 박씨 왕족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박씨왕 재위기 斯盧國의 신분 편성을 보자. 우선 혁거세의 박씨 왕족과 남해왕의 사위로 왕위에 오른 석탈해와 그 일족 그리고 박씨 왕과 거듭 혼인 관계를 맺으며 갈문왕에 책봉된 김씨 가계 등이 왕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층 지배집단으로 박씨 왕족의 방계 혈족 그리고 혁거세를 추대해 사로국을 건국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한 육촌장과 그 일족 및 누대에 걸쳐 왕의 측근으로 요직을 수행한 瓠公일가와 같은 인물이 위치하였다. 그리고 명확한 계층 분화가 확인되지 않지만, 육촌장의 방계 후손이나 각 촌에 소속된 마을의 장 등이 중하위 계층으로써 일반민과 구별되는 신분층으로 존재했을 것이다. In the early days of Silla, There were seven kings whose name was Park including the founder of dynasty Hyeoggeose(赫居世). Some researchers deny the presence of Park king. Even though king Jinheung(眞興王) who compiled ‘Gugsa(國史)’ was Kim, the act of 7 king’s region was Handed down to the Goryeo Dynasty. This means that there was fathers and kings who distinct with Kim king and This is result of Silla people’s spread. As you can see from six village people recommendation of Parkhyeoggeose’s power was weak. Second king Namhae(南解王) weakend six village people’s influence by make son in row with Seogtalhae(昔脫解) who had advanced iron skill. Third king Yuri(儒理王) made queen’s father Galmoonwang(葛文王) to made queen family powerful. Fourth king was Seog founder Talhae. Talhae also conspired with Kim’s group to made more powers. The second son of Yuri and fifth king Pasa(婆娑王) married with Kim sasoung(史省) the Seok king and Kim group was weakend so the Kim could have more powers. The sixth king Zima(祗麽王) of Pasa son also married with Kim aere(愛禮) and made her father Galmoonwang. Pasa and Zima could power up supportive force and royal authority. But Yuri son Ilsung(逸聖) seventh king married with Park □rae(□禮) and his son Adalla(阿達羅) eighth king married with Park naerae(內禮). Ilsung king and Adala king reinforced cohesion by family wedding. As you can see from the Park king times Saroguk(斯盧國) identity formation. Park family and Seoktalhae’s family and Kim family Constituted a royal family. And There was dominant group which was six village headman and Hogong(瓠公) family. There is no clear stratification but there was six village headman’s descendent and village leader who was low level than public.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박주 ( Park Joo ) 한국여성사학회 2011 여성과 역사 Vol.- No.15

        본 연구는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해 재조명한 것이다. 정순왕후 김씨(1745~1805)는 경주 김씨 金漢?(1723-1769)의 딸로서 영조35년(1759) 15세에 영조의 계비가 되었으며, 그 후 왕대비, 대왕대비의 지위를 누리며 모두 46년간 국모의 지위에 있었다. 순조 즉위 후에는 3년 반 동안 수렴청정까지 하면서 대왕대비의 지위까지 누렸지만 후사가 없었다. 순조 5년(1805) 1월 12일에 61세를 일기로 창덕궁에서 승하하여 영조의 元陵에 합장되었다. 먼저 정순왕후 김씨의 리더십에 대한 배경으로서 친정 가문인 경주 김씨 가문과 어릴 때부터의 총명하고 당찬 그녀의 개인적 성품과 리더로서의 역량 등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국왕과의 관계속에서의 리더십으로 영조대에 있어서 계비로서의 리더십, 정조대 왕대비로서의 리더십, 순조대 대왕대비로서의 리더십에 대하여 대표적인 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정순왕후 김씨의 정치적 리더십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영조대에 있어서 17년간의 계비로서의 정치적 리더십의 경우를 살펴보면, 조선왕조의 여러 계비들 가운데 영조의 계비였던 정순왕후 김씨의 경우 영조와 51세의 나이 차이가 있었으며 친자식이 없는 경우였다. 그녀는 친자식이 없는 가운데 계비로서의 지위를 누리기 위하여 자신의 친정 가문의 소속 당파인 노론 벽파를 이용하여 지위를 보존하고자 하였다. 결국 왕위계승자였던 사도세자의 비극적인 죽음에도 경주 김씨 친정가문을 통해서 개입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정조대 24년간 왕대비로서의 정치적 리더십의 경우를 보면, 조선왕실에는 수많은 왕대비들이 있었다. 그 중 정순왕후의 경우는 특별한 존재였다. 그녀는 그녀의 손자뻘에 해당되는 정조와의 권력쟁탈전의 수장으로서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하였던 것이다. 그 결과 자연히 왕권과 충돌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그녀는 내명부의 수장으로서의 리더십 뿐만 아니라 정치적 리더십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녀는 그녀의 정치적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구사하였다. 정조대 정순왕후는 여러 차례 언서를 하교하며 정치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즉 종사를 위하여 후사 문제와 역적 토벌에 앞장섰던 것이다. 정조는 그녀의 정치적 리더십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추진하였다, 이에 대하여 정순왕후 역시 끊임없이 도전하였던 것이다. 셋째, 4년간의 대왕대비로서의 정치적 리더십의 경우를 보면, 1800년 6월 정조가 승하하고 나이 어린 순조가 즉위하자 정순왕후는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3년 반 동안의 수렴청정을 행하였다. 정순왕후는 노론 벽파의 강력한 후원자였다. 대왕대비가 된 정순왕후는 女君 또는 女主로 자처하며 `垂簾聽政節目`을 제정하여 수렴청정을 행하였다. 정순왕후는 3년 반 동안의 수렴청정을 통해 총 480건의 하교를 명하면서 국정에 깊이 개입했다. 정조가 구축한 탕평정치의 기반을 파괴하고 자신의 친인척들과 심환지를 비롯한 노론 벽파의 세력확장을 후원했다. 정순왕후가 수렴청정 기간 동안 국정 운영의 제일 과제로 삼은 것은 정치, 군사 등 여러 방면에서 정조가 구축한 탕평정치의 기반을 타파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정순왕후는 왕의 계비로서, 왕대비로서, 대왕대비로서 그의 지위와 역할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한 여성이었다. 그녀는 총명하고 논리적이고 결단력이 있었다. 그리고 오랜 경험으로 정치 감각이 있었고 늘 명분을 중시하였다. 그녀의 정치적 영향력이 영조와 정조대에는 미약하였으나, 순조대에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This research rethinks the political leadership of Queen Jeongsoon, who is the second wife of King Yeongjo. Queen Jeongsoon Kim(1745-1805), daughter of Kim Han-gu, got married King Yeongjo at the age of 15. After that, she became the highest royal person as the Queen Mother(Wang Daebi) and the Grandmother of the King (Daewang Daebi). The characteristics of her leadership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Queen Jeongsoon had no child among many second wives of kings in Joseon Dynasty. This made her utilize her family`s political faction, Noron Peok-pa, to establish her status. As the result, she played a role in dead of Crown Prince Sado. Second, there were many mothers of king. Among them, Queen Jeongsoon was one of the special queens. After her grandson King Jeongjo being crowned, she had tried to intermeddle in government administrations. But King Jeongjo did not want to her participation and wanted to strengthen his power. In King Jeongjo reign, she proclaimed Hangul(Korean alphabet) message to wield political power, especially in succeeding the crown and in suppression a rebellion. She utilized her status as the Queen Mother. Third, after King Jeongjo died, 11-year-old boy King Sunjo ascended to the crown. She reigned behind the curtain for three and half years as the Queen Grandmother. In that period, she gave more than 480 adminstration documents and tried to abolish fairness policy to each opposite political parties, called TangPyeongChaek(Policy of Impartiality), issued by King Jeongjo. In summarizing, she showed her leadership in various ways as the Second Queen, the Mother Queen and the Grandmother Queen. She was intellectual, logical and decisive person. She had a political sense and followed a justification. She played her role as the loser in King Jeongjo reign and winner in King Sunjo reign during her lifetime.

      • KCI등재

        「가락국기」를 통해본 가야 건국주체세력 출자에 관한 연구

        김명옥(Kim Myung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이 글은 가야계 건국주체 세력 출자에 관해서 살핀 글이다. 금관가야 건국신화인 「가락국기」는 난생신화이고, 고령 대가야 건국신화는 감응신화인데, 다 동이족계 신화이다. 두 설화는 건국주체 출자를 ‘하늘’이라고 했다. 그런데 삼국사기 「김유신열전」에 김유신의 조상을 “헌원의 후예요. 소호금천 씨의 후손”이라고 밝히고, 「문무왕릉비문」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투후의 후손”이라고 했으며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 씨가 세조世祖이며, 중시조는 일제日磾라고 했다. 이러한 자료들에 따르면 가야 건국세력들의 세조는 소호금천 씨이며 중시조는 김일제이다. 소호금천 씨는 중국 산동지역에 있는 대문구문화의 주인공인데, 새를 토템으로 삼은 동이족이다. 소호금천 씨는루공토기를 제작하고, 편두를 했으며, 새를 숭배했다. 새는 태양을 상징한다. 소호금천 씨의 문화와 가야계의 문화는 매우 유사한데, 낙동강 유역에서 새 모양의 토기가 출토되고, 망자 넋을 하늘로 인도하기 위해 큰 새의 깃털을 사용하는 장례풍습, 편두 흔적, 낙동강 유역에서 출토된 루공토기 등에서 문화의 상관성이 확인된다. 김일제는 가야계 중시조로, 전국시대 동호(고조선)의 일부가 흉노에 흡수되었다가 한漢나라에 포로가 되었는데, 그의 후손들은 왕망이 세운 신新나라 조정에서 활약하다 후한이 들어서면서 요동까지 와서 은거했다. 이때 고조선유민과 융합되었고, 그 세력의 일부는 남하해서 가야를 건국했고 일부는 신라의 김 씨 왕족이 되었다. 다만 가야계 신라인들이 원시조와 중시조만을 언급하고 수로왕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점은 정치적 상황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역사는 천손사상을 내포한 난생신화가 고조선 이후, 은나라 및 진나라, 서국, 부여, 고구려, 신라, 가야의 건국신화로 계승된 점에서도 확인된다. 따라서 가야계의 건국세력의 원시조는 소호금천 씨, 중시조는 김일제이며, 김일제의 후손세력과 고조선의 유민이 결합한 세력을 건국세력으로 파악했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wer generation of founding subjects of Gaya region. The “Record of the State of Gaya” is the founding myth of Geumgwan Gaya and the myth of human birth from egg. The founding myth of Goryeong Great Gaya is the worshiping myth. Both of myths are from Eastern babarians world. In two myths, the founding subjects came from the ‘heaven.’ However, the “Biography of Kim Yu-shin”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describes that the ancestors of Kim Yu-shin were the ‘“descendants of Heonwon and of Soho Geumcheon”. The “King Munmu Stele Inscription” says, “the ancestors of Kim Yu-shin were the descendants of Tuhu performing the religious rites for the heaven”. The “Epitaph of Daedanggo Mrs. Kim Tomb” shows that Soho Geumcheon was the founding leader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the clan was Ilje( ).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s above, the founding leader of the founding power was Soho Geumcheon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the kingdom again was Kim Ilje. Soho Geumcheon is the subject of Dawenkou culture in Shandong, China, which was Eastern Barbarians worshiping a bird as totem. Soho Geumcheon made Longquan earthenware, shaped a head by pressing it and worshipped bird. The bird symbolizes the sun. The culture of Soho Geumche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Gaya world. The bird-shaped earthenwares have been found along the Nakdonggang riverside. The funeral custom using a feather of a big bird for guiding the deceased to the heaven, shaping a head by pressing and Longquan earthenware found along the Nakdonggang riverside verified the cultural correlation between Soho Geumcheon and Gaya. Kim Ilje is the ancestor flourishing Gaya world again. A part of Dongho(Gojoseon)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was occupied by the Huns and he was captured by the Han. His descendants served in the royal court during the Xin dynasty established by Wang Mang and retired to Liaodong as the Later Han was established. At that period, they were united with migrants of Gojoseon. Some of them went south and built Gaya. A part of them became the royal family of Silla, the Kims.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Silla people included in Gaya world talked about the ancestors who founded the country and flourished the country again but didn’t mention about King Suro because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The history above wa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myth of human birth from egg containing the belief on the descendants of the heaven was continued to the founding myths of Eun dynasty, Jin Dynasty, Seo dynasty, Buyeo, Goguryeo, Silla and Gaya since Gojoseon. Accordingly, the original founding father of Gaya world was Soho Geumcheon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Gaya again was Kim Ilje. It was understood that the power combining the descendants of Kim Ilju with the migrants of Gojoseon was the founding power.

      • KCI등재후보

        대응과 치유로서의 신천 강씨의 편지 쓰기

        정보라미 (재)한국연구원 2021 한국연구 Vol.- No.9

        The letter excavated from the tomb of Suncheon Kim was in the middle and late 16th century excavated from the tomb of Suncheon Kim, located in Bukil-myeon, Cheongwon-gun, Cheongju-si, Chungcheongbuk-do in 1977. A total of 192 letters were excavated at the Suncheon Kim tomb, of which 189 are all Korean letters. Among the 189 Korean letters, 127 were written by Shincheon Kang, the mother of Suncheon Kim, and 116 of them were sent to her daughter, Suncheon Kim. This study focused on the aspect that the bitter and deep sadness that Shincheon Kang repeatedly said in his letter was related to his husband’s aff air, and examined the sad and gloomy inner side of Shincheon Kang by limiting the object with seven letters related to i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aspect of women’s self-narrative as a countermeasure to their situation, and as a breakthrough to break through the situation mentally. 본고에서 다루는 신천 강씨의 한글 편지는 1977년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군 북일면에 위치해 있던 순천 김씨의 묘에서 출토된 16세기 중후반의 간찰 자료로 이른 바 ‘순천 김씨묘 출토 간찰’에 포함되는 것이다. 순천 김씨 묘에서는 총 192장의 간찰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189장이 모두 한글 편지이다. 이 한글 편지 189장 가운데는 순천 김씨의 어머니인 신천 강씨가 딸 순천 김씨에게 써보낸 것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고는 신천 강씨가 편지에서 거듭거듭 드러내 보인 처절하고도 깊은 서러움이 남편의취첩(取妾)과 관련되었음에 주목하여, 취첩의 사정과 관련된 편지로 그 대상을 한정하여신천 강씨의 서글프고 울울한 내면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소극적이나마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서, 그 상황을 정신적으로나마 타개해나가고자 하는 나름의 돌파구로서 신천 강씨의 편지 쓰기가 이루어진 측면이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