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 기독교 순례길 조성과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윤홍근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3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status to the Jeju pilgrimage, on the basis of the basic needs of pilgrims of cultural goods to the Development Plan aims to look at. Jeju Olle way that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ecological resources oriented nature walking tours were popular. However, the purpose of which is to olle path of meditation, healing and the way the concept of dilution Some side effects, such as natural pollution and the absence of security has been exposed. Local members desire of Christian pilgrimage trail engaged in June 2012the first course the way of obedience after the opening Martyrdom of the way, the way of the mission, including the Christian way of reconciliation,pilgrimage course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a new tourism products identified motivation behind Tourists’ needs based on the pursuit of spirituality and health, wellness,natural environment, cultural experiences. Jeju pilgrimage trail to seek spirituality through religion-centric seems to be positioned as a tourism demand. 본 연구는 올레길의 보완재 내지 대체재로써 제주 순례길 조성과 운영실태를 알아보고, 관광객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바탕으로 문화상품의 개발 방안까지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전국적인 걷기열풍으로 제주도 올레길은 생태자원의체험에 중점을 두는 자연중심형 도보여행을 각광을 받았다. 그러나 올레길의당초 취지인 명상의 길, 힐링의 길 개념이 희석되고, 자연오염 및 치안부재 등일부 부작용이 노출됐다. 이런 올레길의 약점보완 차원에서 지역교계의 성지순례 자원화 욕구가 맞물려 2012년 6월에 제1코스 ‘순종의 길이 개장한 이후’순교의 길, 사명의 길, 화해의 길 등 기독교 순례길 코스가 개발되었다. 현재순례길의 관광상품은 순례길 지도 제작 및 순례길 로고, 표지석 설치 등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새로운 문화상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관광객의 관광동기를 파악한 뒤 관광객들의 욕구(추구 편익)에 따라 영성추구와 건강웰빙, 자/연환경, 문화체험, 기독교 스토리텔링의 개발 등 문화상품화가 추진되어야 한다. 앞으로 순례길은 소비, 관람형 관광형태인 올레길과 달리 종교 체험이나교육 등 가치 지향적 여행문화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걷기를 통해 영성을 추구하는 종교중심형의 관광수요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주 순례길도 관광객들의 욕구(추구 편익)에 따라 문화상품 개발방안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15세기 朝家의 吉再 追崇과 인식

        김훈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0 No.-

        Gil-Jae(吉再) had were highly revered during Chosun Dynasty in varying ways. The main agents of reverence in 15th century were Choga(朝家) including King and government officials. After the founding of Chosun Dynasty, Cho-g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oyalty. And Gil-jae became a symbolic figure of loyalty at that tim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reverence by Choga had affected to the way regard Gil-jae through out the Chosun Dynasty. In Choga’s interpretation, Gil-jae is representative of a loyal who didn’t serve a second lord. Also, he was a devoted son and a man of the cleanest integrity. To praise a noble character of Gil-jae, Chosun Dynasty promoted his position after his death and hired his descendants for government officials. And Gil-jae adopted as one of the main characters in 『SamGangHaengSilDo』(『三綱行實圖』) which is famous painting portraying the great men in history. The main characters of 『SamGangHaengSilDo』 were the representatives of values emphasized by Chosun Dynasty and confucianists. With a series of reverence to Gil-jae, Choga suggested a model figure to government officials and candidates. There were another approach regarding Gil-jae as a moralist. This approach was accepted within Sarim-School in 16th century.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Gil-jae between Choga and Sarim-School. 조선왕조 5백 년 동안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吉再 追崇이 이루어졌다. 이 중 15세기 길재 추숭의 주체는 국왕과 관료를 포함하는 朝家였다. 이때 확립된 조가의 길재 인식이 조선왕조 내내 영향을 미쳤다. 조가의 길재 추숭의 기본 내용은 世宗 때 모두 이루어졌다. 우선 後孫 錄用과 본인의 贈職이라는 褒賞이 있었다. 후손 녹용은 그 이후에도 계속 이루어지면서 조가에서 길재를 추숭하는 대표적인 방법이 되었다. 이와 함께 길재가 『三綱行實圖』의 충신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길재는 우리 역사상 충신을 대표하는 인물 가운데 한 사람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다. 15세기 길재에 대한 모든 글에는 길재가 ‘不事二君’을 내세워 조선왕조에 벼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왕조에 忠節을 바친 인물, ‘忠臣 吉再’가 길재의 가장 중요한 모습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 시기의 글에서는 ‘孝子 吉再’의 모습도 아주 자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효자 길재’는 ‘충신 길재’가 될 수 있는 바탕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또 15세기 조가의 길재 인식에서는 길재의 성품이 廉靜하여 재물에 욕심이 없었음을 특별히 강조한다. 이를 통해 길재는 효행과 충절뿐만 아니라 염치까지 갖춘 청렴한 인물로 그려진다. 길재에 대한 인식에서 ‘忠臣 吉再’ 못지않게 일반화된 내용이 ‘道學者 吉再’이다. 그러나 이 ‘도학자 길재’로서의 모습이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이후 사림파의 道統論이 확립되면서부터다. 15세기 조가의 길재의 학문에 대한 인식은 16세기 이후 사림파들이 강조한 ‘도학자 길재’의 모습과는 다르다.

      • KCI등재후보

        길 찾기 능력에 따른 도보 내비게이션의 환경요소에 대한 연구

        한아름(Han, Ahreum),손홍배(Son, Hongbae),연명흠(Yeoun, Myeongheum)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2

        도시공간의 대형화와 복잡화에 따라 길을 찾는 행위는 사전지식이 있는 경우 간단한 일이지만 아무런 정보가 없는 경우 매우 어려운 일이 될 수 있다. 도시공간의 다양한 랜드마크와 이정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공간에 익숙해지기 까지 길을 헤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람들이 편리하게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보 내비게이션에 있어 필요한 지도의 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문헌 조사를 통해 사람들의 길 찾기 능력에 따른 길 찾는 방법과 도시를 이루고 있는 환경요소를 파악하였다. 길 찾기 능력은 두 가지로 구분 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실제 도로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는 1차 조사와 길 찾기 능력에 따라 환경요소를 어떻게 제공할지 제안하기 위한 2차 조사를 진행하였다. 2번의 조사 결과 길 찾기 능력에 상관없이 방향회전에 대한 정보는 공통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길 찾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방향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건축적 이질화 요소를 포함한 건물 또는 높이가 높은 건물 중심으로 제공, 길 찾기 능력이 뛰어나지 못한 경우 교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점을 중심으로 제공해줘야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길 찾기 능력에 따라 도시공간 및 환경 요소가 다르게 제공 된다면 사람들은 길 찾기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As urban space become more complicate and being larg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ight way to one’s destination. Although there exists various landmarks and milestones, most people feel difficulty in being familiar with urban space.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inclinations of wayfinding ability. We took second research to suggest proper information depending on one’s wayfind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commonly needed to provide information of rotating direction, regardless of wayfinding ability. In case a person who has good wayfinding ability, we should provide information focused on perceivable direction architecture difference components. Another case a person who dose not have good wayfinding ability, we have to provide information focused on landmarks those are located on the edge of the building. Also we expect that it will be more efficient if those components would be provided accordingly as one’s way-finding ability.

      • KCI등재

        조선시대의 길재 추숭과 출처의리(出處義理)

        김훈식 ( Hun Si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6

        길재는 조선왕조 5백 년 동안 추숭된 흔치 않은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5백 년이라는 시간 동안 길재에 대한 추숭이 한결 같지는 않았다. 추숭의 주체와 방법, 추숭의 내용 등은 시기에 따라 변화가 있었다. 15세기의 길재는 ‘孝子吉再’이자 ‘忠臣吉再’였다. 16세기 이후 士林들은 道學者로서의 吉再像을 만들고 키워갔다. 이제 길재는 ‘충신 길재’일 뿐만 아니라 ‘道學者吉再’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그 무게 중심은 점차 후자 쪽으로 기울어지고 있었다. 길재를 도학자로 그리기 위해 도통론을 비롯한 새로운 내용들이 덧붙여졌다. 그 새로운 내용 가운데 하나가 출처의리였다. 사림은 길재를 추숭하면서그가 恭讓王2년에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한 사실을 주목하고, 이를 출처의리의 실천으로 높이 평가하였다. 조선 왕조 개창 이후의 길재가 보여준 忠節과는 또 다른 내용의 節義였다. 고려 말에 출처의리를 실천한 길재를 가리켜‘逸民’이라고 하였다. 이 ‘逸民吉再’는 ‘충신 길재’보다 앞서 성립했던 길재의 모습으로 그려졌다. 출처론에 따르면 도를 실현할 수 없는 조정에서는 물러나야 한다. 그러한 처신이 절의를 실천하는 올바른 자세라고 했는데, 이때의 절의는 충절이 아니라 출처의리를 가리켰다. 사림들이 길재의 출처의리를 강조하면서 주목한 것은 선비의 도덕적 완성, 즉 ‘潔己之道’의 실천이었다. 군주에 대한 충절 못지않게, 혹은 그 보다 더 선비의 도덕적 완성에 무게를 둘 때 비로소 출처의리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하게 된다. 길재가 이 ‘결기지도’를 실천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그가 도학자였다는 점을 강조한다. 출처의리의 실천은 도학 공부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출처를 위해서는 政局의 機微를 살필 줄 아는 ‘見機之明’을 길러야 한다. 또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선택을 굳게 지킬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이러한 지혜와 용기는 모두 도학 공부를 통해서만 길러진다. 따라서 길재가 출처의리를 실천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도학자였기에 때문이라고 하였다. 길재의 출처의리를 드러내는 것은 ‘도학자 길재’를 추숭하는 새로운 내용 가운데 하나였다. Although Gil-jae(吉再) was held in respect during the whole periodof Chosun Dynasty, the aspect of the reverence was changed with thetimes. In the 15thcentury, Gil-jae was respected as a model of loyalty. However, after the 16thcentury, Salim added the image of Dohak-ja(道學者) to him. And Salim(士林) conferred Gil-jae an authenticity ofChosun`s Confucianism. By then, Gil-jae was famous for his loyalty to the Goryoe Dynasty. He showed the loyalty by rejecting the offer of government post fromthe Chosun Dynasty. However, Salim rather focused on the fact thatGil-jae had resigned the government post in the Goryeo Dynasty. Because ‘Discussion of on serving or not serving in the govermemt’(出處論) required that Seonbi(선비) should resign the government post ifthe government does not conform with Righteousness. For Salim, thefidelity(節義) was not just a loyalty, but ‘Righteouness about on servingor not serving in the government`(出處義理). Therefore, Gil-jae`sresignation in the Goryoe Dynasty was recognized as the example ofmorality. Salim insisted that Gil-jae had been able to lead a moral life bystudying Dohak(道學). Sailm thought that Dohak could influence peopleto make correct judgement about the situation, and have an indomitablewill. As their point of view, Gil-jae`s virtuous behavior was due to thefact that Gil-jae was Dohak-ja. And this was one of the reason thatSalim considered and admired Gil-jae as a symbolic figure in Chosun`sConfucianism.

      • KCI등재

        길 문화콘텐츠의 생태학적 해석 - 경기옛길을 중심으로 -

        유영초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Trail-walking has been established as a major cultural content for travel and health. A lot of walking trails such as Ollegil, Dullegil, etc. have been built, and the proposal of building ‘Korea Dullegil’ at the level of a national policy was made. But there have been no basic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way is this?’, ‘What people is it that walk?’, ‘Why do they walk?’, and ‘How is it that they should walk?’, raised yet. Instead, in most local governments, the authorities concerned have paid attention to the economic gains, such as promoting tourism in the regions, through building trails. In this paper, the present writer will consider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Way’ in the first place and then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Gyeonggi-yetgil(the old routes in Gyeonggido Province).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the vision and the way of restoring the Gyeonggi-yetgil will become clear in conclusion.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reviewed, Way has the whole significance beyond the sense of a specific physical space for walking. It contains not only the abstract itinerary of the past times, the journey of life of the past people, the lifestyles and methods of the people, but it contains philosophical attitudes and norms on which the principles originated from such times and people have been projected, as well. In addition, we could tell that in the principles and the methods of Way is implemented the principle of Lao Tzu, who said that people learn from the earth, the earth learns from the sky, and the sky follows Tao(道) and Tao(道) learns from the nature. In the history of Way, which has embodied such principle of the nature, have been inscribed the functions fulfilling biological, social, political, cultural, philosophical, and religious desire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the natural ecology condition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Gyeonggi’, the Gyeonggi-yetgil(the old trails in Gyeonggido Province) will be the space functioning as the basic road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in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Moreover, it will be the way to spiritual enlightenment or the way to wisdom in terms of the implication of old routes. Therefore, the Gyeonggi-yetgil will establish itself as the old routes of wisdom in Gyeonggido Province, the center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function as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and make way to the future through the nature and the history condensed in itself. The vision of the Gyeonggi-yetgil will consist in paving way for the current that to consolidate its identity the owners of the routes build ‘the basic routes radiating toward all directions’ of their own accord. For this sak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ecology, such as network, diversity, circularity, systemicity, and development potential,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routes. The Gyeonggi-yetgil should promote the network and the circularity between society and ecosystem, and enhanc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routes through bringing itself to political, cultural, and philosophical issues on the basis of its history and the nature. 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value, philosophy, knowledge, and methodology of walking should be developed, and by means of that system the Gyeonggi-yetgil should serve as a future-oriented and developmental role model. Specifically, a positive outlook and understanding for natural ecology such as historic great aged trees and traditional ecology in the Gyeonggi-yetgil is necessary. And it should contain not only a variety of ‘trail schools’ but also ‘the route for healing and meditation’, ‘the route to peace’ for overcoming ‘the Northern Limit Line of thinking’ and ‘the feminine-friendly route’ in gender perspective, etc. 길 걷기가 여행과 건강 등의 중요한 문화콘텐츠로 자리잡았다. 이는 올레길, 둘레길, 숲길 등 각종 지역 브랜드와 명칭의 500여개의 1200여개의 걷는 길 코스가 이를 반증한다. 그러나 길 문화콘텐츠들이 대체로 ‘이 길이 어떤 길인가?’, ‘왜 걷는가?’, ‘누가 걷는가?’, ‘어떻게 걸을 것인가?’와 같은 이런 근본적인 의미의 기능이탑재된 것이 아니라 대체로 막연한 지역관광활성화의 경제성 측면이 더 부각되어보인다. 본고는 우선 ‘길의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경기옛길의 정체성을 규명해 보는 가운데, 길의 의미에 정초한 비전과 방향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검토한 바로는, ‘길’은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의 이동을 위한 걷는 길은 물론, 추상적인 시간이 담긴 여정, 생활양식과 방법, 나아가 철학적인 태도와 규범 등 세상의 총체적 원리를 포함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호프스테드의 문화 이해에 따른 상징과 의례, 영웅과 가치의 측면을 걷는 길에적용하여, 우선 걷는 길의 문화적 표층인 상징과 명칭을 이해하기 위해 경기옛길의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경기’의 자연 생태적 조건과 역사적 의미로 볼 때한반도의 중심에서 사방의 근본기능을 수행하는 곳이 되며, ‘옛길’의 종교적 함의가 주는 측면에서는 깨달음의 길, 지혜의 길이라는 의미를 확인했다. 따라서 경기옛길은 ‘한반도에서 사방의 근본이 되는 경기의 길로서 길에 응축된 자연과 역사를 통해 미래를 열어가는 지혜의 옛길’이라는 정체성을 갖는다.

      • KCI등재

        길놀이의 연행체계와 의미 분석

        남성진(Nam, Sung-Jin)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20 No.-

        본 연구에서는 오랜 세월 지속되어 온 신유형 길놀이의 연행양상을 중심으로 연행기반과 연행 요소를 파악하고 연행체계와 의미를 분석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마을굿이나 고을굿에서 펼쳐지는 길놀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행요소를 추출하고, 그것을 토대로 연행체계와 의미를 밝힌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신유형 길놀이를 온전하게 실현하려면 전승주체인 인적 기반과 시?공간의 환경 및 경제적 기초인 물적 기반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반은 길놀이 전승의 토대가 된다. 둘째, 길놀이의 연행요소는 크게 진풀이와 가무악극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행체계는 각각의 연행요소들이 특정한 방식이나 일정한 원리에 따라 계통적으로 서로 결속되어 있다. 셋째, 길놀이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서로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작용하거나 상호 관련되어 펼쳐진다. 넷째, 길놀이는 연행체계를 적절히 가동함으로써 관념을 구체화하고 현실적 의미를 지니며 지속될 수 있었다. 여기서는 세 가지로 요약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신유의 추상적인 관념을 형상적 이미지로 바꾸어 현실화를 추구하였다. 신을 내세워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하며 사회적?인위적 재앙에 대한 심판을 제기하였고, 길놀이를 통해 이상적 관념을 가장 구체적인 사실로서 받아들여 현실이 되게끔 하였다. 다음은 대동 난장을 터놓아 긍정의 기운을 모아내고 수평적 균형과 통합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공동체 사회의 수평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 대동 관념을 뭉쳐내고 길놀이에 내재된 구심과 원심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마을돌이를 통해 공동체의 숨통을 열고 억압된 현실 너머에서 혁신적 가치를 찾고자 하였다. ‘부분’이 ‘전체’로 거듭나 지속적인 집단 흥에 빠져듦으로써 역동성이 발현되며 신명 상승으로 새로운 가치를 찾게 되었다. 마침내 길놀이 너머의 공간은 다시 현실로 연결되어 당대의 문제와 대면하게 됨으로써 현실 극복의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길놀이는 다양한 연행기반과 연행요소를 통하여 연행체계를 구축하였고, 거기서 새로운 의미가 창조되어 끊임없이 당대에 혁신적 가치를 부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bases and elements of performance based on shinyuhyeong(神遊形) gilnori, which was traditionally performed, and to analyze its performance system and signific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erformance elements are extracted from cases of gilnori performed in village exorcism or county exorcism and performance system and significance are discovered based on this. As a result, human and material performance bases are required to soundly perform shinyuhyeong(神遊形) gilnori, and these bases become the foundation of transmission of gilnori. Performance elements are largely composed of jinpuri and gamuakgeukhi(歌舞樂劇?), and performance system is systematically bound by a certain way or principle of each performance element. Thus, gilnori is performed through engagement or interaction of various elements. These are wholly harmonized in performance system and form the unified whole through combination and unity. Establishing and combining performance system properly are the ways of strengthening performance structure. Gilnori embodies an idea by moderately using performance system and it was able to be continued through it with realistic signification. It firstly pursued actualization by changing abstract ideas of shinyu(神遊) into formative images. Then, it tried to realize balance and horizontal combination by gathering positive spirits through daedong nanjang. It also tried to find innovative value over suppressed reality by opening up the life of community through village play. In conclusion, gilnori has established performance system through various bases and elements of performance, and new signification has been created from there, giving innovative value to its era. An extempore and dynamic cultural base of gilnori should be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succession to this study in order to be a nutritive element and soil for creating various traditions of gilnori festival.

      • KCI등재

        향가에 그려진 길 위의 여성

        신재홍(Jae Hong Shin)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4

        본고는 향가에 나타난 ‘길 위의 여성’ 형상과 그 문학사적 의의를 찾아보았다. <서동요>, <헌화가>, <도천수관음가>, <제망매가> 등 네 편의 작품에 그려진 형상을 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논한 것이다. 향가 네 편의 길 위의 여성 형상은 하나하나가 개성 있고 인상적이다. 유배 길을 가다가 사랑을 이룬 선화 공주, 부임길에 따라 나섰다가 꽃과 시를 헌정 받은 수로 부인, 눈 먼 아이를 안고 길을 달려와 분황사 부처께 무릎 꿇은 희명, 남은 이에게 종교적 전망을 얻게 하고 저승길로 떠난 망자 누이 등은 배경 기사의 서술로써 형상화된 것이다. 그것은 다시 향가 작품 속에서 생생한 모습으로 재현되었다. <서동요>에는 선화 공주의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성격과 상대를 덥석 안는 과감한 행동이, <헌화가>에는 아름다움에 대한 수로 부인의 열망과 중앙 귀족으로서의 당당함이, <도천수관음가>에는 신 앞에 기도하는 자세의 몸과 구원을 바라고 다짐하는 마음이, <제망매가>에는 죽음을 받아들인 상태에서 혈육의 정성어린 천도에 힘입어 극락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그려진 것이다. 이러한 길 위의 여성 형상은 상당히 넓은 편폭에 걸쳐 있다. 유배, 부임과 같은 현실적이고 제도적인 일에서부터 왕생극락과 같은 종교적이고 관념적인 전망에 이르기까지, 고난과 절망의 의미에서 반전을 통한 성취와 여유 있는 풍류의 의미까지, 공주와 귀족 부인에서 평민 여성까지 다양한 여성 인물의 다채로운 사건과 지향이 그려져 있다. 다른 장르에 비해 보아도 향가에 나타난 그 형상은 다채롭고도 구체적이다. 길을 가는 행위의 주체성도 분명하고 각 작품을 통해 그려진 인물의 성격도 뚜렷하다. 서사 문학에서 길 위의 여성 형상이 고난의 의미에 치우친 데 비해 향가에서는 낭만적이기도 하고 모성이 강조되기도 하며 이념적인 지향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가에 그려진 길 위의 여성 형상은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하겠다. We intend to show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the poetic genre of Shilla dynasty, and find meanings of the figures through this study. The figures appear in four Hyanggas, Seodongyo, Heonhwaga, Docheonsugwaneumga, and Jemangmega. The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are made into stories in back-story of Hyangga. Princess Seonhwa was sent into exile cause of Seodongyo. Lady Suro became heroine of her husband’s parade being on the way to his post. Heuimyeong ran toward temple to pray for her son’s recovery. Sister of poet said goodbye and went to the world beyond. These figures of woman are represented in the poems of Hyangga. In Seodongyo Seonhwa is described with the character of challenging passions, active inclinations and daring behaviors. In Heonhwaga Mrs. Suro shows desires for beauty and dignified attitudes. In Docheonsugwaneumga, Heuimyeong the mother of sick son is described with the body of praying and the mind of yearning for relief. In Jemangmega Sister of poet is going to the Buddhist paradise after her brother’s supplication for her eternal rest. The breadth of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is large. From the real road to ideal road, from suffering to success, and from the noble to the commoner, the various women are described with varied appearances. The figures have concrete images and meanings of woman s subjectiveness to walk the road. Compared with Korean narrative literatures in which the suffering women are figured, Hyangga has romantic relationships, earnest motherhood, and ideological intentions. Therefore the figures of woman on the road in Hyangga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후보

        길놀이의 제의적 특성과 전통

        남성진(Nam Sung-Jin)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10 No.-

        길놀이는 본놀이에 앞서 마을의 거리에서 펼쳐내는 놀이 일체를 일컫는다. 공동체신을 맞이하는 길에서는 곧 신의 행렬이 된다. 신과 인간이 길 위에서 한판 푸지게 펼쳐내는 신명(神明)이고 축제(祝祭)인 것이다. 이글에서는 대동놀이로 펼쳐지는 길놀이 민속을 통하여 전통적인 공동체문화의 특성과 지속을 읽어 보고자 한다. 앞놀이로서 길놀이는 사람들이 모두 뒷치배 역할을 하며 놀이 행렬을 따르므로 자연스레 대동놀이가 되어 마을 전체를 뒤집는 축제적 변혁이 일어나고, 나아가 제의적 구조 속에서 신탁(神託) 행위가 나타난다. 사람들이 길을 걸으면서 신을 모시고 놀이를 한다는 것은 신 앞에서 평등함을 추구하고 선언한다는 것이며 차별을 깨부수는 열린 굿판이라 할 수 있다. 대동놀이로서 길놀이는 공동체가 지향하는 방향이 되고 지침이 되며 대동과 평등을 향해 나아가는 방법이고 수단이다. 길놀이가 비일상적 제의 공간에서 행할 때는 여러 가지 특성을 지니게 된다. 첫째 신등을 앞세우고 신기를 모시고 풍물을 울리며 나아가는 길놀이로서 신맞이 행렬은 청신과 오신의 제차(祭次) 일환으로 연행되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대대적인 환영연(歡迎宴)이고 정성이 깃든 영접의례라 할 수 있다. 둘째, 초자연적인 기운이 감싸고 있는 마을의 상징적 표식 공간에서 길놀이가 시작된다는 것은 신이 이곳으로부터 현세로 등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길놀이를 통하여 현실과 신계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두 세계가 서로 고립된 것이 아닌 상호 소통하여 성속결연(聖俗結緣)의 체계망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신의 형상이거나 신을 대리하는 상징체가 길에 앞장선다는 것은 신과 마을 구성원들이 함께 평면적 개념으로 이동하면서 신력에 의해 마을이 정화되며 액을 몰아내며 복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화의 창구 구실을 하던 마을의 여러 갈래 길은 현대에 와서 큰 신작로나 계획적으로 구획된 '도로'에 의해 단순화되고 획일화 되었다. 더불어 길놀이의 전통은 공연화, 상품화되면서 앞놀이로서의 개념과 제의성이 소멸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오늘날 저항적 집단의례와 대학집회 때나 열사 추모 행사를 할 때면 으레 제의성을 띤 길놀이를 한다. 이때의 길놀이 전통은 마을 대동굿의 길놀이와 편싸움놀이를 그대로 표방하면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길놀이의 소생은 집단의례의 제의적 전통이 복구되었음을 의미하고, 전통적 공동체문화의 부활과 복원을 염원하는 피지배 민중들의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삶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이다. Gilnori is the all kinds of entertainment prior to main entertainment on the street of the village. It is the welcoming parade the community's god. It is the Sinmyung and festival which god and human get together joyfully.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inform traditional traits and continuity through Gilnori custom as Daedongnoli. As a prior entertainment, Gilnori becomes a Daedongnoli without artificial control, for all the people follow the parade as dancing. And then it changes to the festival all over the village. Furthermore an oracle appears in a ritual structure. Having entertainment with god worship walking on the street, human search and declare the equality of the people in front of a god. Also, it is the worship place where they liquidate the discrimination. Gilnoli is the goal and direction of the community. And it is the way and process of the community's harmony and equality. Gilnoli has some traits when it is done as a unusual ritual service. First, Gilnori with holy lanterns, holy flags and korean folk music as a welcoming god parade is the whole reception and sincere ritual to the god in the process of in the community. Second, Gilnori starts on the symbolic spot in the village which has supernatural mood means god comes out here to our world. So, Gilnori correlates the real world with the divine world. And the two worlds are not separated but they make a network between human and divine by communication. Thirdly, the face or the symbol of god’s leading the parade means god and all people of the village move together and the village will be purified, expel the misfortune and be blessed. The streets which were used as the ways of the cultural interaction become the big road and simple boulevard which is built by the modern plans. And, the concept as a prior entertainment and ritual qualification has diminished while the tradition of Gilnori becomes the performance and commercial event.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esistance group ritual against authority, college meeting or the memorial ceremony, Gilnori is done naturally. Here, Gilnori shows traditional meaning and value of the Daedongnoli and Pyeonssaumnoli. So the revival of the Gilnori means the revival of ritual tradition of the group ritual, the revival of traditional community culture and the recovery the common people's subjective and independent living.

      • KCI등재

        조선 후기의 吉再 追崇과 백성 교화

        김훈식(Kim, Hun-Sik)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2 No.-

        조선왕조 전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吉再 追崇은 시기에 따라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그 변화 가운데 백성 교화와의 연관성에 관해서 살피고자 한다. 15세기까지 길재 추숭은 백성 교화와 무런 관계도 없었다. 그러나 16세기 후반기부터 길재 추숭이 백성 교화라는 문제와 관련을 맺기 시작했으며, 조선후기의 길재 추숭에서 이 내용은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길재를 추숭할 때 烈女 藥哥를 거론하는 사실에서 명확하게 살필 수 있었다. 세종 때 열녀 약가가 알려졌을 때부터 중종 때까지 약가 이야기와 길재 이야기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같은 마을에서 같은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지만 두 사람의 이야기는 별개로 전해지고 있었다. 17세기 초엽에 갑자기 이 두 사람이 한 이야기 속에 같이 등장하였다. 길재가 백성을 교화한 대표적인 사례로 약가가 거론되었다. 약가의 이야기 속에는 그가 길재로부터 감화를 받았음을 강조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길재의 행실에 감화를 받아, 혹은 그의 가르침을 받아 같은 마을에 살던 아낙네가 貞節을 실천했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글에서 는 이 이야기를 ‘吉再-藥哥’ 談論이라고 불렀다. 이 ‘길재-약가’ 담론이 성립한 배경에는 지배층의 백성 교화에 대한 관심이 놓여 있었다. 지배층이 백성 교화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기는 16세기부터였다. 이런 추세 속에서 길재 추숭에도 백성 교화에 대한 관심이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이웃에 살던 약가가 길재에게 감화를 받아 守節하였다는 이야기가 만들어졌다. 길재 이야기와 약가 이야기가 길재의 교화와 약가의 감화라는 내용으로 하나의 이야기 속에 등장하게 된 것이다. 17세기 초엽에 그 모습을 명확하게 드러낸 ‘길재-약가’ 담론은 이후 길재 추숭의 기본 내용 가운데 하나로 자리 잡았다. 특히 17세기 이후 편찬된 私操 史書 속에서 이 ‘길재-약가’ 담론이 계속 재생산되었다. 그 담론 속에서 길재는 이웃 주민들에게 도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鄕先生’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길재-약가’ 담론은 길재가 ‘충신 길재’ ‘도학자 길재’로서 뿐만 아니라 ‘향선생 길재’로서도 추숭되었음을 알려준다. The Appearance of Reverence for Gil-jae(吉再) had been experienced chang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his article researches the changes in an aspect of the edification of people. There had been no relationship with reverence for Gil-jae and the edification of people until 15th century. However, since in the late 16th century, reverence for Gil-jae was connected with the edification of people. Furthermo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Gil-jae wa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figure in the edification of people. We can also find out these changes in the story of Yak-ga(藥哥), the virtuous woman. Yak-ga was contemporary of Gil-jae and they lived in same town. The virtuous story of Yak-ga had become known to people since the era of King Sejong. Until the era of King Joonjong, there had been no relationship with the story of Yak-ga and Gil-jae. However, in the early 17th century, Gil-jae suddenly appeared in the story of Yak-ga as an example of virtuous behavior. In the new version of story, Yak-ga’s virtuous behavior was influenced by Gil-jae. And this story was treated as one of the Gil-jae’s achievements. Since 16th century, the governing class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had become interested in edification of people, and this interest was the reason why they revised Yak-ga Story. In the 17th century, Yak-ga story successfully reproduced and became an essential part of Gil-jae’s achievements. Through this alteration, Gil-jae had become revered not only as ‘Dohak-ja(道學者)’ but also as ‘Hyang-seon-saeng(鄕先生)’.

      • KCI우수등재

        국내 주요 걷기여행길의 이용행태에 대한 시멘틱 네트워크(Semantic Network) 분석

        이태숙,전채남,이태환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걷기여행길에 대한 인식 및 이용행태를 파악하고자 제주올레길, 지리산둘레길, 해파랑길에 대한 최근 10년(2009.07- 2019.06)간의 온라인 포털(네이버/다음 블로그, 네이버/다음 카페)과 소셜미디어 서비스(트위터,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톰(TEXTOM)과 UCINet, NodeX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걷기여행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세부적으로는 3개의 걷기여행길별 방문 목적, 동반자 유형, 감성 이미지, 숙박 장소, 해당 길의 특성, 해당 길의 명소 등을 TF 및 TF-IDF 값을 통해 산출하였고, 걷기여행길별 관심도 추이와 월별 관심시기, 주요 키워드도 규명하였다. 연도별 분석에서 해파랑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료량이 증가하였고, 제주올레길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산둘레길은 관심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F 및 TF-IDF값 산출 결과에서는 제주올레길은 ‘맛집’과 ‘카페’가, 지리산둘레길은 ‘펜션’과 ‘민박’이, 해파랑길은 ‘맛집’과 ‘펜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정어휘 분석에서는 3개의 걷기여행길 모두에서 ‘힐링’, ‘행복’의 표현들이 나타나 걷기여행의 정서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걷기여행객 니즈에 부합하는 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cludes analysis of text data over the last 10 years (2009. 7- 2019. 6) from online portals and social media services targeting the JejuOlle, the JirisanDulle, and the Haeparang trail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use of walking trails.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extom program, Ucinet and NodeX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hree walking trails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the purpose of visit, types of companion, emotional image, accommo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famous sites of the trail, and other in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using TF and TF-IDF values for each walking trail. As a result, interest trends and major keywords for each walking trail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ime series analysis by year, the data volume of Haeparang-gil has increased over tim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ejuOlle-gil, and interest in JirisanDulle-gil has decreased. Calculation of TF and TF-IDF values for keywords have indicated that the two significant words for JejuOlle-gil were ‘restaurant’ and ‘cafe’ while JirisanDulle-gil showed ‘pension’ and ‘B&B’, and ‘restaurant’ and ‘pension’ for Haeparang-gil. Moreover, findings upon sentiment analysis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showed that all three walking trails had expressions such as ‘healing' and ‘happi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to develop and improve contents that would fulfill walking traveler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