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 문식성 반영을 위한 국어교육과정 개발 방향

        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어교육과정 개발 시에 기초 문식성을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 문식성의 개념과 교육 내용을 고찰하고 국내외 언어교육과정에서 기초 문식성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국어교육과정의 기초 문식성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문식성을 위한 영역 세부 범주가 설정되지 않았다. 둘째, 기초 문식성 내용 반영이 전반적으로 미흡하다. 셋째, 기초 문식성 성취기준 하나에 지나치게 많은 학습 요소를 포함시켰다. 넷째, 기초 문식성 내용 요소의 계열성이 부족하다. 다섯째, 기초 문식성 내용에 대한 성취기준 해설 누락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기초 문식성 반영을 위한 국어교육과정 개발 원리와 내용 체계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어교육과정에 기초 문식성을 반영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므로 국어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반적인 논리도 포함하여 국어교육과정 개발의 원리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I inte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asic literacy and seek ways to reflect Basic literac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st, The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of Basic literacy were considered, and Basic literacy was reviewed England, America, Korea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The Basic literacy result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a detailed category of domain for Basic literacy has not been established. Second, the reflection of Basic literary content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rd, too many learning elements were included in one Basic literacy achievement standard. Fourth, the sequence of Basic literary content elements is insufficient. Fifth, there is a problem of omission of the explanation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Basic literacy content.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n example of the principle and content system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to reflect Basic literacy was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 : ‘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심영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연구는 국어교육학의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먼저 학제적인 연구를 통해서 그 연구 영역과 과제를 좀더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보고, 언어 발달을 연구하는 학문의 관심 영역과 연구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학년 문식성의 핵심이 되는 기초 문식성의 개념은 그다지 명료하지 못해 기초 문식성을 재개념화 하여 초기 읽기 수준은 ‘단어와 독자의 배경 지식을 중심으로 한 읽기’로, 초기 쓰기 수준으로 ‘통사적 변이와 통제가 자유롭지 못한 단문 형태의 글쓰기’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검토한 뒤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과 지도 단계 등도 살펴보았다.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은 기존의 ‘발음중심 지도 방법’과 ‘의미중심 지도 방법’을 검토하였는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교수 학습 방법 안내와 교재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지만 가장 기본적인 음운 인식과 음독 방법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개별적인 활동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끝나버렸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사회인지적 접근법을 기초로 한 기초 문식성 교육의 설계 원리 세 가지를 제시하고, 이 원리를 토대로 ‘일으키기’, ‘이어가기’, ‘바꾸기’, ‘매듭짓기’라는 4단계의 ‘놀이를 통한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subj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needs to survey the subject more elaborately by studying inter-discipline. After that I re-conceptualize the fundamen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he level of early reading is ‘reading based on the words and background knowledge of readers’ and the level of early writing is ‘writing based on simple sentences which are not free from of variations and controls of syntax.’ And I survey the methods of fundamental literacy which are ‘based on the pronunciation’ and ‘based on the meaning’, the two methods are very helpful to guide of teacher and to develop text, but they can not solve the problem of cognition of phoneme of [æ] and [e]. So alternatively I proposed the method of fundamental literacy based on play which are detracted from social-cognitive approach, and it is composed of four steps which are beginning, connecting, changing, and concluding.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이수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esent state in basic literacy curriculum and find the convergent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ands achievement standards but reduces detailed informations about basic literac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KSL curriculum subdivides level and suggests sufficient and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it also emphasizes basic literacy’s function as learning tool. I invested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s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ed convergent method. As a result, I found three principals: First, Korean language and KSL curriculum’s convergence can rebuil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specific levels. Second, KSL and content-subjects curriculum’s convergence can grow Korean language ability as learning tool. Thir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convergence can manage indivisualiz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cording to these principals, I suggested ‘basic literacy curriculum’s convergent management model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 언식성 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중심으로

        이경화,유정오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언식성(oracy)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위한 제안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으로 볼 때,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이들이 접하게될 기초문식성 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이전에 아이들이 경험하고 학습했던 언식성 활동들이 중요한 토대가 된다. 기초문식성 교육에서 언식성을 고려한다는 의미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전 영역에 기초문식성 내용인 언식성 요소를 성취기준으로 추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내용 영역의 성취기준에 언식성 활동을 관련짓는 것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언식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기초문식성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2009 개정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교육과정 성취기준 선정은 ‘순방향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문식성 내용’을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국어 교육과정 내용 영역 성취기준에 기초문식성 내용의 ‘언식성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넷째, 국어교육과정 모든 내용 영역에서 기초문식성 내용과 관련한 ‘언식성활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 연구

        김윤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considering oracy of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and investigated the case of basic literac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as a multiple case study. As a resul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That is sharing personal narrative, writing, writing along and publishing. Therefore,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was guided by whole language approach by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students’ experiences. It was suitable for first-year student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guidance through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one year. This study helps to develop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in 1st grad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xt Korean language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의 특성을 탐색하고, 다중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진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경험 이야기 나누기, 글로 쓰기, 따라 쓰기, 출판하기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발표력을 향상시키고, 한글을 해득하는데 도움이 되며,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며,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방법이다. 그리고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과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꾸꾸)의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운영,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초문식성 학습 자료의 문제점을 찾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의 분석 기준을 ‘학습 내용 측면’과 ‘지도 원리 측면’으로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은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 5종 13권이며(국어 기초학습, 꾹꾹 다지는 국어, 꿈이 자라는 국어, 찬찬한글, 한글 한마당), 분석한 내용은 교차 검토를 거쳐 최종적인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학습 내용 측면에서는 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이 균형적으로 선정되지 못한 점, 음운 인식 관련 학습 자료가 부족한 점, 학습자의수준을 고려한 기초 어휘를 제시하지 못한 점, 유창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소홀히 다룬 점이 문제였다. 지도 원리 측면에서는 기본학습 개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 기능 및 전략에 대한 안내가 미흡한 점, 반복적인 연습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 점, 학습 단위를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못한 점, 학습 동기를 증진하는 다양한 감각 활동이 부족한 점이 문제였다. 결론 이상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을 구성할 때에는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을 골고루 반영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 최소화를 위하여 기본 개념의 명시적 제시 일관적인 기능 및 전략의 제시, 반복적인 연습의 기회 제공, 세분화한 학습 단위의 제시,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활동구성 등의 지도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셋째, 학습 자료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수정이 가능한 형식과 개별 파일 및 합본 파일을 함께제공해야 한다. 넷째, 최신성을 반영한 학습 자료 확보를 위해 새로운 자료를 꾸준히 개발하고 기개발된 자료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with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and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by critically reviewing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basic education improvement support site.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nalysis criteria for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were prepared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nd ‘instruction principle’. The analysis targets 13 volumes of 5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basic education improvement support site (Korean basic learning, hard-pressed Korean, dream-growing Korean, Chanchan Hangul, Hangul Hanmadang),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ross-reviewed. Results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the problems were that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s were not selected in a balanced manner, lack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phonological recognition, failure to present basic vocabulary considering the learner's level, and neglect detailed learning elements of fluency. In terms of guiding principles, the lack of explicit presentation of basic learning concepts, lack of guidance on functions and strategies, failur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repetitive exercise activities, failure to subdivide and present learning units, and lack various sensory activities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critical review, first, when constructing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 the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 should be evenly reflected and th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n order to minimize learners' cognitive burden, explicit presentation of basic concepts, presentation of consistent functions and strategies,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repetitive practice, presentation of segmented learning units, and composition of activities using various senses should be reflected.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modifiable formats, individual files, and combined files should be provided together. Fourth, in order to secure learning materials that reflect the latestness, new materials should be steadily developed and pre-developed materials should be regularly updated.

      • KCI등재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경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한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데에 있다.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은 4개 대영역과 28개 소영역으로 구분하여 체계화 하였다. 3개 대영역은 ‘문식성의 기초’, ‘어휘 학습’, ‘한글 해득’, ‘의미 구성’으로 분류하였다. 소영역은 대영역을 토대로 읽기와 관련된 내용, 쓰기와 관련된 내용, 공통적으로 관련된 내용 등을 고려하여 다시 28개로 나누었다.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소영역을 중심으로 2~5개씩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문식성의 기초 영역 24개, 어휘 학습 영역 9개, 한글 해득 영역 34개, 의미 구성 영역 21개 등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총 88개의 활동 내용은 현장의 적용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다. 이렇게 구안된 활동 내용은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 자료 개발의 구체적인 지침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the teaching content of the beginning literacy and to establish the activity content of the teaching program in detail. The teaching contents of the beginning literacy were systemized by the category of 3 lagre spheres and 28 small spheres. The small spheres are spilited to 28 parts according to contents by the connection with the reading, writing, common related contents on the ground with the large sphere. The activity contents of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were developed at small sphere with the number of 2~5. The developed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s are 24 contents of begining literacy foundation sphere, 9 contents of vocabulary teaching sphere, 34 contents of Hangul apprehensibility, 21 contents of meaning construction. All the developed 88 activity contents were updated by the process of applying to actual teaching activities. I hope these developed activity contents could be the concrete guide book of the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기초문식성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진용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struc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on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In Section 2, we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literac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theoretical basis. Each wa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beginning literacy, period, contents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previous research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First, each educational community confirmed that they did not agree on the timing aspect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Second, although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re different, they showed a common pattern in ‘linking letters and sounds, and using picture books / fairy tal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and recognized that there was lack of connectivity. 이 연구는 기초문식성 지도에 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과 지도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기초문식성의 특성과 교육내용을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재구성하였다. 각각은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교육시기,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 기초문식성의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설문조사 항목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로 투입하였다. 설문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각 교육공동체는 기초문식성 교육의 시기 측면에 대한 합의를 하지 못한 것을 확인했다. 둘째, 교육공동체에 따라서 지향하는 지도방법과 내용이 다르나, 글자와 소리 연결, 그림책/동화 활용하기에서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상호간의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국어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문식성 지도 실태와 인식 조사

        이경화,전제응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7 No.1

        국어교과서는 평생 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 교육의 기초를 결정하는 입문 자료의 성격을 지닌다.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에 반영된 초기 문자 교육은 기초문식성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문식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현장의 지도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토대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저학년 국어교과서 개발 방향을 모색하였다. 기초문식성 지도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지도 시기와 유치원 연계면, 학생 수준 실태면, 지도 내용면, 지도 방법면, 국어 교과서 및 자료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저학년 국어교과서 개발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학년 교과서는 기초문식성을 학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자료를 확보하여 제시해야 한다. 둘째, 초기문자 지도 내용의 체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기초문식성 지도를 위한 균형적인 접근법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낱말 및 제재 선정 기준과 활용 방식의 원리를 제시해야 한다. Korean textbook is the introductory tools which decid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may be rightly be called as the lifelong education. Early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reflected at the korean textbook of the lower grade student should be approached at the level of beginning literacy. In this study, I surveyed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literacy and tried to search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lower grade student\ s textbook according to the new korean language curriculum on the ground of the teaching status and the teacher\ s view of the beginning literacy at school To find out the instruction status and teacher\ view of beginning literacy, I surveyed the instruction period, the connection of education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and kindergarten, the status of student\ s level, the context of instruction, the method of the instruction, korean textbook and materials. With the basis of these studies, I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textbook as follows. First sufficient time and materials to study beginning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lower grade korean textbook. Second, the context systematization of early character instruction should be done. The third, the balanced approach for the instruction of beginning literacy should be proposed. The forth, the selection criteria of word and material, and the principle of application method should be proposed.

      • KCI등재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 연구

        김윤옥,신의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22 새국어교육 Vol.- No.130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총체적 언어 접근과 프레네 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지도 사례를 조사하였다. 먼저, 세종시 초등학교 1학년을 담임하고 있거나 담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에 대해 면담하였다. 그리고 해당 사례를 찾아 교사와 심층면담하고 1년간의 교육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은 발표 방법 익히기, 경험 이야기 나누기, 글로 쓰기, 따라 쓰기, 질문하기, 고쳐 쓰기, 출판하기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경험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1년 동안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다. 결론: 총체적 언어 접근에 기반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초등학교 1학년 발달 단계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기초 문식성 지도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경험을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으로 구성하고, 통합적으로 지도하며, 초등학교 1학년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