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 문식성 반영을 위한 국어교육과정 개발 방향

        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이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어교육과정 개발 시에 기초 문식성을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초 문식성의 개념과 교육 내용을 고찰하고 국내외 언어교육과정에서 기초 문식성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국어교육과정의 기초 문식성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문식성을 위한 영역 세부 범주가 설정되지 않았다. 둘째, 기초 문식성 내용 반영이 전반적으로 미흡하다. 셋째, 기초 문식성 성취기준 하나에 지나치게 많은 학습 요소를 포함시켰다. 넷째, 기초 문식성 내용 요소의 계열성이 부족하다. 다섯째, 기초 문식성 내용에 대한 성취기준 해설 누락의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기초 문식성 반영을 위한 국어교육과정 개발 원리와 내용 체계 예시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국어교육과정에 기초 문식성을 반영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이므로 국어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반적인 논리도 포함하여 국어교육과정 개발의 원리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I inte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asic literacy and seek ways to reflect Basic literac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st, The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of Basic literacy were considered, and Basic literacy was reviewed England, America, Korea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The Basic literacy result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a detailed category of domain for Basic literacy has not been established. Second, the reflection of Basic literary content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rd, too many learning elements were included in one Basic literacy achievement standard. Fourth, the sequence of Basic literary content elements is insufficient. Fifth, there is a problem of omission of the explanation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Basic literacy content.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n example of the principle and content system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to reflect Basic literacy was presented.

      • KCI등재

        기초문식성 관련 연구의 실태와 쟁점 탐구

        천경록 ( Cheon Gyeong R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학교교육 설계에 의하면, 기초문식성 교육의 책무성은 초등 국어과에 있다. 그러나 중요성에 비해 용어, 개념, 내용, 지도 자료, 지도 방법, 평가 방법 등과 관련하여 아직 연구 공동체에서 합의가 부족하여 교육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정책 효과도 낮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초문식성 관련 연구의 실태를 분석하고, 쟁점을 도출한 후에 초등국어교육 관점에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초문식성 관련 논문의 발표 편 수는 증가 추세에 있었지만, 연구 방법 면에서 인과성을 관찰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관련 용어와 지칭 내용에서도 발생적 문식성, 초기문해력, 초기아동기문식성, 기초문식성 사이에 혼란이 있었다. 이 중에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 할 때는 기초문식성이 가장 적절하였다. 정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은 한글해득, 유창성, 글씨쓰기, 받아쓰기로 제한하고, 그 대상도 글자에서 짧은글(문단) 수준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기초문식성을 발생적 문식성, 초기문해력(초기문식성), 기능적 문식성과 내용적으로 구별하고, 지도 방법은 발음중심의 지도 방법을 더 강화하며, 기능적 문식성과 관련지어 역방향으로 설계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reviewed the basic literacy related researches and drew a few issues. As a results, there are a lack of consensus in the research community regarding terms, concepts, contents, instruction and assessment methods and materials related it. Among emergent literacy, earaly literacy, early childhood literacy, and basic literacy, ‘basic literacy’ is the most appropriate when referred to elementary 1st and 2nd graders. The content of it should be limited to Hangul(Korean alphabets) decoding, fluency, and transcribing about alphabets, syllables, words, phase, sentence, and short passage. Developmentally, we make distinction between basic literacy and emergent literacy(the roots of literacy), early literacy, and functional literacy(meaning construction of text). To teach basic literacy, sound directed instruction and bottom up process model should be reemphasized. Finally more experimental research should be executed, and backward curriculum design from functional literacy be adopted.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 : ‘개미[ㅐ]와 베짱이[ㅔ]’가르치기

        심영택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2 No.-

        초등학교 저학년 문식성 연구는 국어교육학의 매우 중요한 과제이지만 먼저 학제적인 연구를 통해서 그 연구 영역과 과제를 좀더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고 보고, 언어 발달을 연구하는 학문의 관심 영역과 연구 과제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저학년 문식성의 핵심이 되는 기초 문식성의 개념은 그다지 명료하지 못해 기초 문식성을 재개념화 하여 초기 읽기 수준은 ‘단어와 독자의 배경 지식을 중심으로 한 읽기’로, 초기 쓰기 수준으로 ‘통사적 변이와 통제가 자유롭지 못한 단문 형태의 글쓰기’로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재검토한 뒤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과 지도 단계 등도 살펴보았다.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은 기존의 ‘발음중심 지도 방법’과 ‘의미중심 지도 방법’을 검토하였는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교수 학습 방법 안내와 교재 개발에 많은 도움을 주었지만 가장 기본적인 음운 인식과 음독 방법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개별적인 활동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끝나버렸음을 지적하였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사회인지적 접근법을 기초로 한 기초 문식성 교육의 설계 원리 세 가지를 제시하고, 이 원리를 토대로 ‘일으키기’, ‘이어가기’, ‘바꾸기’, ‘매듭짓기’라는 4단계의 ‘놀이를 통한 기초 문식성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subjec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it needs to survey the subject more elaborately by studying inter-discipline. After that I re-conceptualize the fundament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The level of early reading is ‘reading based on the words and background knowledge of readers’ and the level of early writing is ‘writing based on simple sentences which are not free from of variations and controls of syntax.’ And I survey the methods of fundamental literacy which are ‘based on the pronunciation’ and ‘based on the meaning’, the two methods are very helpful to guide of teacher and to develop text, but they can not solve the problem of cognition of phoneme of [æ] and [e]. So alternatively I proposed the method of fundamental literacy based on play which are detracted from social-cognitive approach, and it is composed of four steps which are beginning, connecting, changing, and concluding.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방향

        이수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 the present state in basic literacy curriculum and find the convergent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ands achievement standards but reduces detailed informations about basic literacy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KSL curriculum subdivides level and suggests sufficient and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And it also emphasizes basic literacy’s function as learning tool. I invested the basic literacy curriculum’s management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nd suggested convergent method. As a result, I found three principals: First, Korean language and KSL curriculum’s convergence can rebuild basic literacy education for specific levels. Second, KSL and content-subjects curriculum’s convergence can grow Korean language ability as learning tool. Thir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convergence can manage indivisualized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According to these principals, I suggested ‘basic literacy curriculum’s convergent management model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관점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현황을 알아보고 교실 수준에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을 논의하는 것이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은 한글 책임 교육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 관련 성취기준과 수업 시수를 대폭 늘렸으나 성취기준은 도달점 기준으로 간결하게 진술되어 구체적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비해 한국어 교육과정은 기초 문식성 수준이 세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성취기준의 개수가 많고 구체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또한 내용교과 학습을 위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학습 도구로서 기초 문식성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으로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육과정들을 최적의 형태로 융합하는 관점을 제안하였다. 운영의 원리는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필요한 수준의 기초 문식성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 교육과정과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운영을 융합하여 학습 도구로서의 한국어 능력을 충실히 길러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평가를 융합적으로 일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원리를 고려하고 융합의 대상인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어 교육과정, 내용교과 교육과정의 상호작용과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를 가시화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을 위한 융합 관점의 기초 문식성 교육과정 운영 모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 방안

        김윤옥 ( Kim Yunok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0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기초 문식성 교육에 대하여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초 문식성에서 언식성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국어교육에서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식성이 초등학교 저학년 기초 문식성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기초 문식성 교육은 문자 언어 위주의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학생들의 언식성을 간과하여 지도되고 있다 보니 음성 언어와 분리되어 한글 해득 학습에 그치고 있어 학생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 학생들의 경험 이야기를 활용하여지도, 스토리텔링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통합적 지도 등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과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basic literacy education of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by reviewing the education content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refore I examined the importance of oracy in basic literacy and analyzed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y oracy. As a resul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running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Hangul characters although oracy is important in basic literacy. There was a limit to the development of student’ smooth communication ability. I suggest the improvement plan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based on oracy. There are teaching by using the students’ pesonal narrative, storytelling, picture book reading, and integrated guidance and so on. This study helps to develop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in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xt Korean language textbooks.

      • KCI등재

        기초문식성 지도 내용 및 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경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을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한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 데에 있다. 기초 문식성 지도 내용은 4개 대영역과 28개 소영역으로 구분하여 체계화 하였다. 3개 대영역은 ‘문식성의 기초’, ‘어휘 학습’, ‘한글 해득’, ‘의미 구성’으로 분류하였다. 소영역은 대영역을 토대로 읽기와 관련된 내용, 쓰기와 관련된 내용, 공통적으로 관련된 내용 등을 고려하여 다시 28개로 나누었다.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소영역을 중심으로 2~5개씩 개발되었다. 개발된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문식성의 기초 영역 24개, 어휘 학습 영역 9개, 한글 해득 영역 34개, 의미 구성 영역 21개 등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총 88개의 활동 내용은 현장의 적용 과정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다. 이렇게 구안된 활동 내용은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 자료 개발의 구체적인 지침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the teaching content of the beginning literacy and to establish the activity content of the teaching program in detail. The teaching contents of the beginning literacy were systemized by the category of 3 lagre spheres and 28 small spheres. The small spheres are spilited to 28 parts according to contents by the connection with the reading, writing, common related contents on the ground with the large sphere. The activity contents of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were developed at small sphere with the number of 2~5. The developed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s are 24 contents of begining literacy foundation sphere, 9 contents of vocabulary teaching sphere, 34 contents of Hangul apprehensibility, 21 contents of meaning construction. All the developed 88 activity contents were updated by the process of applying to actual teaching activities. I hope these developed activity contents could be the concrete guide book of the beginning literacy teaching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문식성 발달, 언어 발달, 문법교육

        제민경 ( Je Min Kyeo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2 No.-

        이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의 문식성의 지향을 언어 발달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문식성 발달을 위한 문법교육의 핵심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문식성 발달 단계를 ‘전 문식성(발생적 문식성), 기초 문식성, 학문 문식성’으로 접근하고, 이를 ‘일상적 언어, 추상적 언어, 은유적 언어’라는 언어 발달과 연계하였다. 핵심교육 내용의 제시는 언어 발달의 두 변곡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변곡점은 ‘문자 언어의 획득으로 인한 추상적 언어의 발달’ 지점이며, 두 번째 변곡점은 ‘은유적 언어의 발달로 인한 학문 문식성 발달로의 진입’ 지점이다. 첫 번째 변곡점에서는 기초 문식성 획득과 향상을 위한 음운 인식이 중요하며 이는 음운 규칙 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두 번째 변곡점에서의 은유적 언어 발달은 문법적 은유 개념과 관련되며, 이는 메타언어적 관점에서 문장 구조 지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초등교육에서의 학문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전환을 토대로 하여, 다른 문법지식과 상호 연계되면서 ‘정교화’의 방식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of elementary grammar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literacy. To this end, the stages of literacy development were approached as ‘preliteracy(emergent literacy), basic literacy, and disciplinary literacy’, and these were linked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of ‘everyday language, abstract language, and metaphorical language’. The presentation of the core educational contents was centered on two inflection points of language development. At the first inflection point, phonological awareness for acquiring and improving basic literacy is important,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Metaphor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second inflection point is related to the concept of grammatical metaphor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entence structure knowledge. Thes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interconnected and ‘sophisticated’ based on a shift in awareness of the need for academic literacy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 언식성 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 연구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중심으로

        이경화,유정오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5 초등교과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언식성(oracy)을 고려한 기초문식성 교육의 일환으로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을 위한 제안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으로 볼 때,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이들이 접하게될 기초문식성 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이전에 아이들이 경험하고 학습했던 언식성 활동들이 중요한 토대가 된다. 기초문식성 교육에서 언식성을 고려한다는 의미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전 영역에 기초문식성 내용인 언식성 요소를 성취기준으로 추가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국어교육과정 내용 영역의 성취기준에 언식성 활동을 관련짓는 것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언식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기초문식성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2009 개정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국어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저학년 성취기준 선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교육과정 성취기준 선정은 ‘순방향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문식성 내용’을 바탕으로 성취기준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국어 교육과정 내용 영역 성취기준에 기초문식성 내용의 ‘언식성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넷째, 국어교육과정 모든 내용 영역에서 기초문식성 내용과 관련한 ‘언식성활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 연구

        김윤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considering oracy of the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refore,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and investigated the case of basic literacy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as a multiple case study. As a result,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was carried out in the process. That is sharing personal narrative, writing, writing along and publishing. Therefore,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considering oracy was guided by whole language approach by integrating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students’ experiences. It was suitable for first-year students.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guidance through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one year. This study helps to develop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method in 1st grade elementary school and the next Korean language textbook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의 특성을 탐색하고, 다중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진 기초 문식성 지도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경험 이야기 나누기, 글로 쓰기, 따라 쓰기, 출판하기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발표력을 향상시키고, 한글을 해득하는데 도움이 되며,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언식성을 고려한 기초 문식성 지도는 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며,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방법이다. 그리고 기초 문식성 지도 프로그램으로 꾸준히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문식성 지도 방법과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꾸꾸)의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운영,이경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기초문식성 학습 자료의 문제점을 찾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의 분석 기준을 ‘학습 내용 측면’과 ‘지도 원리 측면’으로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은 기초학력향상지원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 5종 13권이며(국어 기초학습, 꾹꾹 다지는 국어, 꿈이 자라는 국어, 찬찬한글, 한글 한마당), 분석한 내용은 교차 검토를 거쳐 최종적인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학습 내용 측면에서는 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이 균형적으로 선정되지 못한 점, 음운 인식 관련 학습 자료가 부족한 점, 학습자의수준을 고려한 기초 어휘를 제시하지 못한 점, 유창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소홀히 다룬 점이 문제였다. 지도 원리 측면에서는 기본학습 개념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 기능 및 전략에 대한 안내가 미흡한 점, 반복적인 연습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 점, 학습 단위를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못한 점, 학습 동기를 증진하는 다양한 감각 활동이 부족한 점이 문제였다. 결론 이상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기초 문식성 학습 자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을 구성할 때에는기초 문식성 학습 내용을 골고루 반영하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 최소화를 위하여 기본 개념의 명시적 제시 일관적인 기능 및 전략의 제시, 반복적인 연습의 기회 제공, 세분화한 학습 단위의 제시,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 활동구성 등의 지도 원리를 반영해야 한다. 셋째, 학습 자료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수정이 가능한 형식과 개별 파일 및 합본 파일을 함께제공해야 한다. 넷째, 최신성을 반영한 학습 자료 확보를 위해 새로운 자료를 꾸준히 개발하고 기개발된 자료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with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and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by critically reviewing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basic education improvement support site.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nalysis criteria for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were prepared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and ‘instruction principle’. The analysis targets 13 volumes of 5 basic literacy learning materials provided by the basic education improvement support site (Korean basic learning, hard-pressed Korean, dream-growing Korean, Chanchan Hangul, Hangul Hanmadang),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cross-reviewed. Results In terms of learning content, the problems were that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s were not selected in a balanced manner, lack of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phonological recognition, failure to present basic vocabulary considering the learner's level, and neglect detailed learning elements of fluency. In terms of guiding principles, the lack of explicit presentation of basic learning concepts, lack of guidance on functions and strategies, failure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repetitive exercise activities, failure to subdivide and present learning units, and lack various sensory activities to promote learning motiv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critical review, first, when constructing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 the basic literacy learning content should be evenly reflected and th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considered. Second, in order to minimize learners' cognitive burden, explicit presentation of basic concepts, presentation of consistent functions and strategies,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repetitive practice, presentation of segmented learning units, and composition of activities using various senses should be reflected. Third, in consideration of the util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modifiable formats, individual files, and combined files should be provided together. Fourth, in order to secure learning materials that reflect the latestness, new materials should be steadily developed and pre-developed materials should be regularly upd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