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정신의 적용수준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가지향성을 중심으로 -

        한은수,정범구,이상빈,성을현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의 조직적수준의 적용이며, 결과이기도 하며, 이의 누적적 개념이기도 한 기업가지향성의 개념을 최고경영자, 종업원 개인, 경영층, 조직전체 수준에서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개념들 간의 상이성을 판별타당성 및 집중타당성과 혁신성과 및 기업 재무성과와의 관계를 통해 알아보고, 이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총 96개 기업의 설문응답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CEO기업가지향성, 종업원개인기업가지향성, 경영층기업가지향성, 조직기업가지향성 등의 수준별 기업가지향성은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에서는 각 수준별 기업가지향성은 혁신성과 및 기업의 재무성과에 상이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변수로 투입했을 경우에는 모든 변수에서 혁신성과가 기업가지향성과 재무성과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었지만 전체변수를 동시에 투입했을 때에는 조직수준의 기업가지향성만이 재무성과와의 관계에서 혁신성과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적용수준별 개념의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적용수준별 인과관계의 분석결과에서는 기업가지향성 수준별로 변수들 간 상호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CEO기업가지향성은 종업원개인기업가지향성, 경영층기업가지향성, 그리고 조직기업가지향성에 영향을 미치고 다시 종업원개인기업가지향성과 경영층기업가지향성이 조직기업가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과와 재무성과와의 관계에서는 CEO기업가지향성, 조직기업가지향성, 경영층기업가지향성이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기업가지향성 뿐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ttention that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applied at various levels of CEO, employe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as a who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concepts were examined b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rgence validity,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cepts and performance was analyzed. A total of 9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CEO'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mploye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nager'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that these variabl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firm 's innovation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when the variables of all levels were put into a single variable, the innovation performance mediates betwee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in all variables. However, when all variables are applied simultaneously, innovation performance has medi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This shows that there is a conceptual difference according to applied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y the application level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t is found that causality is formed amo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variables. In particular, CEO'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fluences employe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nager'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organizatio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gain, employe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nager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rm a causal relationship that influences organizatio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CEO'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manager'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only variables influencing financial performance are organizatio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ts future direc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동향 연구

        윤현중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5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hereafter) can be described as firm level entrepreneurial tendencies. Initially Miller(1983) clarifies the construct of EO, and defines an "entrepreneurial firm as one that engages in product marketing innovation, undertakes somewhat risky ventures, and is first to come up with proactive innovations, beating competitors to the punch". After Miller (1983), Covin & Slevin(1989) adopted EO as a uni-dimensional construct, and insisted that these three dimensions can be combined into a single scale. Since Covin & Slevin(1991), researchers including Lumpkin & Dess(1996) have explored the usefulness of EO. However not many attempts have been tri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previous empirical research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examine and find implications, current study classified the effects of EO as 1) main and mediating effects, 2) moderating effect, 3) other effects, and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validation of EO, which suggested by Miller(2011). After analyzing research results published in major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each research domain, current paper summarizes and evaluates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then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In doing so, we hope to provid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 for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은 “시장기회에 직면한 기업이 혁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성”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지난 30년 동안 많은 논의를 통하여 개념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현재 독자적인 이론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초기 연구는 경영성과와 연계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관계를 촉진하거나 혹은 제약하는 상황적인 조건들에 주목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를 증대시키는 메커니즘을 파악해 오고 있다. 하지만 비록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효과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관련된 주요 실증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류하고 종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Miller(1983)의 최초 연구부터 이를 회고한 Miller(2011)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업론 분야의 주요 저널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는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주효과’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를 소개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매개효과’ 연구를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특성과 조직특성이라는 주요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조절하는 주요 ‘조절효과’ 연구들을 정리하고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Miller(2011)의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론적, 방법론적인 제안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는 무엇이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윤현중(Hyunjoong Yoon) 한국전략경영학회 2014 전략경영연구 Vol.17 No.3

        기업가적 지향성 개념은 조직 수준에 형성된 기업가정신을 파악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며, 1980년대 부터 개념적인 발전을 이루어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분야이다. 지난 30년 동안 기업가적 지향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축적되었지만 연구자들이 특히 주목한 부분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이다. 하지만 비록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별적인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긍정적인 정(+)의 성과 효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연구는 Rauch et al., Wiklund, Lumpkin, and Frese(2009)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발견할 수 없으며,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종합하고 있는 국내 연구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보고하고 있는 주요 실증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하여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분석결과들을 종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는 국내외 기존 연구들의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평균적인 효과 크기를 계산하였고 다음으로, Rauch et al.(2009)의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은 기업성과 범주와 국가유형 범주라는 두 가지 주요 맥락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적 지향성을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으로 측정하고 있는 대표적인 18편의 외국 논문들과 10편의 국내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 크기는 .26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 크기는 기업성과 범주와 국가유형 범주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는 객관적인 기업성과보다는 지각된 기업성과를 파악한 연구들의 경우에 더욱 크게 나타났으며, 재무적인 성과와 같은 최종 단계의 성과보다 혁신 및 해외시장진출과 같은 중간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업성과를 파악한 연구들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국외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보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Rauch et al.(2009)의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결과와 대부분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존재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 연구의 한계와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hereafter)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a firm is entrepreneurial representing one of the core research areas in entrepreneurship. Since the 1980s, a sizable researches of EO has examined not only measuring EO but also investigating its link with firm performance. However, only a few of researches has examined the cumulative knowled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O and firm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summarize the impact of EO on firm performance reflecting studies conducted with Korean business sampl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eta analysis conducted by Rauch, Wiklund, Lumpkin, and Frese(2009), we scrutinized and explored such unidentified aspects as performance category and country characteristics. With 18 representative samples which published in major entrepreneurship journal, and 10 samples whi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 we undertook a meta analysis exploring the intensity of the EO-performance relationship and assessed potential moderators affecting this relationship such category as performance and country. Analyses of 28 study samples with an N of 6,876 companies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of EO with firm performance is moderately large (r =.26). However, this relationship is higher for the samples of subjective performance rather than those of objective, and higher for the samples of medium performance such as innovative or international performance than those of final 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lly higher for the Korean samples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including Europe and United States. Based on thos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EO are discuss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ith some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 간 관계에서 중간관리자 전략 활동의 조절효과

        문혜선(Moon, Hye-Seon),이상명(Lee, Sang-Myeong)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3

        기업가적 지향성은 기업의 성장 및 성과 제고를 이끌어가는 주요한 요인으로서 이론적・실무적 차원에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나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조절하는 외부적 요인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떠한 기업 내부의 요인들에 의해 성과 제고를 촉진하게 되는지, 즉 기업가적 지향성-성과 간 관계의 조절요인으로서 기업 내부 요인에 중점을 둔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업 내부의 실행 활동 측면에서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을 성과로 실현하는 내부 전략 활동의 주체로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크게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로서의 역할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실행자로서의 역할로 구분하였다. 또한 중간관리자가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 및 실행자로서 경영자 및 부서원과의 관계에서 수행하는 세부 전략 활동을 규명하고, 각각의 전략 활동이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기술혁신형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중간관리자가 기업가적 지향성의 확산자로서 전략 수립 과정에 참여하여 관련 내・외부 정보를 전략 수립에 반영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을 부서원과 공유・확산하는 활동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실행자로서 중간관리자가 새로운 전략 대안을 제시하고, 실행계획의 환경 적합성을 높이며, 부서원의 혁신활동을 촉진하는 활동은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더욱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hough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firms’ performance was discussed in many previous researches, the question how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tributes to firms performance in terms of internal process and activities remains unanswe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internal activities which impact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role of middle managers as a main agent of strategy implementation. We also examined strategy activities that middle managers conduct to exp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op management team to employee and to do entrepreneurial implementation by themselv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stream manag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We then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for the moderating impact of middle managers’ strategy implem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s’ performance. According to results, middle managers’ strategy activities to exp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top management team to employees, such as participating in strategy formulation, transferring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ideas from internal and external stakeholders, and communicating with employees about organizational purposes and strategic prioritie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moderating impa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relationship. Strategic activities of middle managers as an main agent who implement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uch as suggesting altenative strategy, searching for new opportunities from outside, adapting strategy to environmental change, and encouraging innovative activities of employees, also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 재검토 :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윤현중,Yoon, Hyunjoong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5

        기업가적 지향성은 신생기업의 사업 성공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향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은 시장기회를 포착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자원이 부족하고 조직 성장을 위한 수단들을 모색하기 쉽지 않은 중소 벤처기업들이 고려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경영성과를 대상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심도 있게 비교하고 있는 실증연구들은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존 실증연구들을 검토하여 그 동안 논의가 제한적이었던 두 가지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재검토하였다. 첫째, 기업가적 지향성의 선형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비선형적인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둘째,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는 방식을 달리 하더라도 분석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지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1,497개 중소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한 논문의 분석결과, 매출액 증가율과 같은 재무적 성과를 경영성과로 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 성과와 같은 혁신성과에 대한 기업가적 지향성의 비선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패턴은 기업가적 지향성의 측정 방법을 달리하더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 한계 및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driver for success of business ventures. Sinc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ventures usually lack in business experience, firm level entrepreneurship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firm performance. Following those logics, traditional approaches assu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is linear, but recently studies start to report non-linear relationships. However, only a few researches examines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ith diverse performance indicators. Current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oth on financial and innovative performance with 1,497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ventures. This study finds that there i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but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nnovative performance, measured by product novelty and patent issued. Also those relationship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different measuremen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s with some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기업가지향성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채주석 ( Joo-seok Chae ),황일영 ( Il-yeong Hwang ),이남겸 ( Nam-gyum Lee ),김희성 ( Hee-sung Kim )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3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하여 인적자원관리와 전략실행을 연계시킴에 따라 대두되었고, 전략적 경영연구에 대한 출현으로 기업가 지향성은 최근 심도있게 연구되는 주제이다. 이에 인적자원관리와 기업가지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새롭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기업은 기업가적 활동을 중요시하며, 기업가지향성을 갖춘 기업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특히, 중소ㆍ중견기업에서 최고경영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고, 또한 강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최고경영자을 대상으로 한 조직 수준에서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기업가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기업가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기업가지향성이 경영성과(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경영성과에 대한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하여 기업가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결과, 첫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기업가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은 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익 각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지향성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평균매출액, 평균영업이익, 평균당기순익 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의의, 그리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SHRM) has emerged in order to secur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by link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with strategy and execu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been studied intensively in recent years due to the emergence of strategic management research. An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a new and growing field. Firms take account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would like to operate as companies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role of CEO is very important and emphasized in SMEs, research o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CEO is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nd verify a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 argument that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HRM and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HRM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In order to better explain the effect of SHRM on management performance,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 a result, first, SHRM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Thir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average sales, average operating profit, and average net profi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topics a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개인주의가 기업가적 지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안진원,유대현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countries’ students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ism on develop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count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conduct two analysis. Firstly, the comparative study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both students will be implemented by conducting F-test and t-test. Secondl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an independent variable – individualism – and dependent variables – innovativen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will be conducted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 of individualism on developi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rior to implementation of two analysis, this study has implemented the survey to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estimat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 cultural variable to influe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e question of survey is divided into two parts –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cluding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innovativeness and a cultural variable, individualism. As other precedent comparative studies of Chines and Korean potential entrepreneurship concluded, Chinese students have shown high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an Korean students. However, on the contrary to prior studies on cultural factors and entrepreneurship, only Chinese student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individualism. Any dependent variables of Korean students were not affected by individualism variable. 본 연구의 목표는 한중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비교하고 개인주의가 한중의 기업가지향성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분석을 실시한다. 첫 번째 영역에서는 F검정과 t검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비교하였고, 두 번째 영역에서는 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변수에 대해서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여러 문화적 변수들 중에 개인주의에 집중하였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종속변수로 놓고 문화적 변수인 개인주의를 독립변수로 하여 개인주의가 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질문은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내재적 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주의(Individualism)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비교한 기존의 연구들의 결론과 마찬가지로,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문화적 요인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오직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만이 개인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한국의 대학생들의 어떤 종속변수도 개인주의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 KCI등재

        소기업 CEO의 역경지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지향성의 매개역할

        구웅모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 벤처창업연구 Vol.15 No.3

        This study aimed to der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ity quotien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which are the internal competency of start-up entrepreneu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small business CEO. As in previous domestic studies, we deviated from analyzing internal competency as a single-dimensional functional relationship to business performance, and attempt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competences of start-up entrepreneur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adversity quoti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 a parameter, and the customer orient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control and ownership, which are sub-elements of adversity quoti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ownership of the adversity quoti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s ownership influences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the other hand, endurance, sub-element of adversity quotien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is means that in the rapidly changing New Normal era, endurance of entrepreneur can no longer have a large impa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his study gives implications for the entrepreneur's competencies that must be developed first and the tendency to be developed together. Furthermore, it can be helpful in policy designing start-up support programs and guidelines for investors' investment standards. 본 연구는 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기업가의 내적역량인 역경지수, 기업가지향성, 고객지향성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처럼 내적역량을 기업성과에 대한 단일 차원의 함수관계로 분석하는데서 벗어나서, 창업기업가의 내적역량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역경지수를 독립변수,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역경지수의 하위요소인 통제력과 주인의식은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경지수의 주인의식만이 기업가지향성의 매개를 통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가의 주인의식은 기업가지향성을 통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역경지수의 하위요소인 지속성은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변하는 뉴노멀 시대에서 창업가의 지속성은 더 이상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가의 역량 중에서 우선 개발해야하는 역량이 무엇이고 함께 개발되어야하는 성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나아가 정책적으로 창업지원 프로그램 설계 및 투자자의 투자기준의 가이드라인 설계 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원,신제구 리더십학회 2020 리더십연구 Vol.11 No.3

        This study verifie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of CEOs at small-and-medium enterprises(SMEs) affected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absorptive capacity and the moderated media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behavior. While many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measure EO with the perspective of CEOs, this study was done with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refore, this finding verified the relationship among EO, absorptive capac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empirically, which could make the CEOs of SMEs which should run a business successfully with their limited resources develop the innovativ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effectively. The findings confirmed the positive direct effect of the CEO’s EO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between EO and innovative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O and absorptive capacity and, also to moderate the indirect effect of EO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absorptive capacity. These findings empirically verified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EO of CEOs at SMEs positively influences the innovativ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strengthened by absorptive behavior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present study expands existing leadership researches and presents interest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Key words: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Innovative Behavior,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mall-and-Medium-sized Enterprises(SMEs), CEO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최고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innovative behavior)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가 지향성과 혁신행동의 직접효과 및 조직구성원의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을 경유하는 간접효과를 규명하였고, 이러한 간접효과가 조직지원인식(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기업가 지향성과 혁신성과 간의 선행연구들은 경영자의 관점을 바탕으로 많이 진행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관점에서 최고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을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중소기업에서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유효한 방안에 대한 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 및 조직구성원의 흡수역량과 조직지원인식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에게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 간 직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흡수역량은 기업가 지향성과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셋째, 기업가 지향성과 흡수역량 간 관계는 조직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에의해 조절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넷째, 기업가 지향성이 조직구성원의 흡수역량을 경유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최고경영자의 기업가 지향성과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의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지속적인 혁신성과 창출의 효과적인 방안에 관한 기존 연구의 범위 확장에 기여하였고,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키워드: 기업가 지향성, 혁신행동, 흡수역량, 조직지원인식, 중소기업, 최고경영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