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술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중학생의 기술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명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중학생들의 학습태도를 매개로 기술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며, 조사 대상으로 학교 소재지를 고려하여 총 433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15년 10월 8일부터 29일까지이었다. 최종분석에는 불성실 응답 자료를 제외한 370부(85.5%)를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실천적 교수역량 척도, 학습태도 척도, 기술학습효과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술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태도는 기술학습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기술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학생들의 기술학습효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학습태도를 매개로 하여 기술학습효과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기술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은 직접적으로 기술학습효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으나 이것이 학습태도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기술학습효과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 on technology learn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was analyz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ttitude. The population for the survey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ree hundred seventy out of 43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incomplete responses. A survey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scale, learning attitude scale, technology learning effect scal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item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 had a positive impact on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mpact on technology learn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 had no direct effect on technology learn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 and technology learning effect of stu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 KCI등재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계향(Park, Kyeh-Hy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에게 실시하여 이 두 프로그램이 학습부진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의 H초등학교 5, 6 학년 아동중 검사를 통해 선정된 학습부진학생 6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고 실험집단에게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둘째,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습기술 훈련 및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에게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학습기술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effect of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this study were 60 student of the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 H Elementary School in Kangwon and selected 60 children whose Underachievers. Assing 20 of them to the experimental two group and another 20 to the control group, we tested the effect of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through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Underachiev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by improving their Learning Skill. Second, the Learning Strategies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Underachiev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by improving their Learning Strategies. In conclusion, the Learning Skill Training Program and Learning Strategies Program had the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kills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술 · 가정과‘정보통신기술의 활용’단원에서 문제 해결 과제 중심 수업이 개념 이해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아롱,이용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blem solving with task-based activities on understanding of major concepts and learning attitude in 'Applications of ICT' subject. In teaching the 4th class of 'Applications of ICT' subject, problem solving with reasoning task-based activities are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s and instructor-oriented teaching for the comparative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test result of concepts of ICT, while posttest found that the students with problem solving with reasoning task-based activities in experimental group marked average 5.87 point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significance level p<.05. Dividing concepts abou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nto four domain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oncept test about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methods and network, while the test results about the other two concepts, that is, expressions and patterns of information and compositions and types of communication network,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at significance level p<.05. Second, the research prov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problem solving with reasoning task-based activity teach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ith lecture, showed desirable change in learning attitude. From the results, the solving with reasoning task-based activity model is better teaching-learning method compared to lecture, revealing positive change in understanding major concep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earning attitude. 이 연구는 기술・가정과‘정보통신기술의 활용’단원에서 문제 해결 과제중심 수업이 주요 개념의 이해 정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차시에 해당하는‘정보통신기술의 활용’단원을 실험집단에게는 문제 해결 과제 중심 수업으로 진행하고 통제집단에게는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각 68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개념의 이해 정도와 학습 태도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에 대한 개념 이해 정도를 알아본 실험에서는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후검사에서는 문제 해결 과제중심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한 통제 집단보다 평균 5.87점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p<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보 통신에 대한 개념을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때, 통신의 원리와 방식, 네트워크의 연결에 대한 개념 이해에 관한 2개 영역의 검사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p<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2개 영역인 정보의 표현과 유형,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과 종류에 관한 개념 이해 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태도에 관한 실험에서는 문제 해결 과제 중심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학습태도가 더 바람직하게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정보통신기술의 활용’단원에서 문제 해결 과제중심 수업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주요 개념의 이해 정도와 학습 태도를 보다 긍정적으로 향상시킴을 보여준다.

      • 초등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박한숙 ( Han Sook Park ),조동관 ( Dong Gwan Ch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설계는 실험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이며 연구도구는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검사도구로 Guglielmino(1997)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그리고 자기효능감 검사도구로 Sherer 등(1982)이 만든 「General Self-Efficacy Scale」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수준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내용을 고려하여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기관리 기술 훈련은 16일에 걸쳐 매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검증을 통한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자기관리 기술 훈련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를 t검증을 해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학습열성과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단기간의 자기관리 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결론은 내릴 수 없으나 보다 장기간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with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 how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influences elementary students` self-efficacy. Data were from two sixth-grade classes consist of 56 students in O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Korea. Two adopted test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Guglielmino, 1997)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Sherer, 1982) were used in the study considering the study participants` developmental level and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had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sixteen times and tested after the training while the students in control group had not been trained. Self-management skill training had been done for 16 consecutive school days, an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in SPSS 12.0.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on both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However, T-test showed that training brought positive change on learning eagerness of self-directed leaning attitude and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subordinate of self-efficacy in experimental group. Result also urge the long-term training and future research on self-management skill although this study showed that short-term training of self-management skill h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논의

        한정선 ( Jung Sun Hahn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웹 기반 학습과 관련되어 이루어진 자기주도학습 연구는 주로 자기주도학습 수행에 필요한 교수-학습 전략을 다루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웹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학습능력을 기본 전제로 하며 이것은 곧 자기주도성과 개념적인 일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주도성은 자기주도학습의 원동력이 되는 학습자 고유의 성향으로 간주되지만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성이 실제로 발휘되는 데에는 정보기술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이 검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이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의해 그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향후 실증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Researche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Web-based Learning have included generally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performing self-directed learning. This article, based on reviews of empirical studies as well as theories of distance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direction, confirmed that learner`s independence and autonomous are prerequisites for successful learning in Web-based Learning, and two concepts consist in self-direction. Self-direction is regarded as an individual`s personality. Howev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factors influenced on the degree of self-direction are one`s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in Web-based Learning. Theref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self-direc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re empirically examined in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이러닝 소비자의 학습태도가 이러닝 품질 지각과 이러닝 만족 및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원주,이성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3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9 No.2

        E-learning is a powerful tool that promotes lifelong learning for individuals, and using e- learning services is a valuable activity for self-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s it enhances and expands an individual's abilities and qualities for individual growth.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s success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onsumers'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on their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e-learning satisfaction, and e-learning reuse intenti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64 adults who had e-learning experience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conducted by a private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learning satisfaction, and e-learning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learning reuse intention. E-learning satisfaction showed a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quality and reuse intention. Secondly, consumers with higher levels of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more positive learning attitudes perceived the e-learning education qualities more highly. The perception of e-learning qualit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learning satisfaction. Thirdly, although consumers' technological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e-learning satisfaction, they had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reu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indirect and direct effects of learning attitudes on e-learning reuse intention were significant, indicating that learning attitudes play a crucial role in the success of e-learning. To promote the success of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e-learning education and include services that support consumers' active learning attitudes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learning system. 이러닝은 개인이 평생교육을 지속하도록 촉진하는 강력한 수단이며 이러닝 서비스 이용은 개인의 능력과 자질을 고양하고 확장시켜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자기개발 및 인적자본 투자 활동으로서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과 학습태도가 이러닝 품질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닝 만족과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했다.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수집한 264명 표본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품질 지각은 이러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닝 만족은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닝 만족은 품질 지각과 재이용 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 수준이 높고 학습태도가 적극적일수록 이러닝이 제공하는 교육 품질을 높게 지각하였다. 이러닝 품질 지각은 소비자 특성과 이러닝 만족 사이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기술적 역량과 학습태도는 이러닝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재이용 의도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닝 재이용 의도에 대하여 학습태도의 간접효과와 직접효과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는 학습태도가 이러닝의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이러닝의 성공을 도모하기 위해 이러닝 교육 품질의 제고에 주력할 뿐 아니라 학습에 임하는 소비자의 적극적인 학습태도를 갖추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를 이러닝 시스템의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만화경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전문직 정체성 및 주관적 경력 성공의 구조적 관계

        이수영 ( Lee Suyoung ),임은섭 ( Lim Eunseob ),전승현 ( Jeon Seunghyu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3 HRD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만화경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전문직 정체성 및 주관적 경력 성공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만화경 경력 태도와 주관적 경력 성공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는 2022년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464개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의 분석을 위해 SPSS 및 Process Procedure for SPSS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진정성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균형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무형식 학습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만화경 경력 태도의 도전은 주관적 경력 성공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무형식 학습 활동과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인력의 전문직 정체성을 증진하고 경력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informal learning activity,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between kaleidoscope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464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member DB of KIRD learning platform, alpha-campu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to 26, 202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Second, balance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Third, challenges directly affect subjective career success and indirectly affe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through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to support career development of researcher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KCI등재

        대학 e러닝 환경에서 수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김미영,최완식,이규녀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of learners(learning skills, ability of ICT use, attitude to school, self-concept) and the success of their learning( achieveme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under e-Learning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characters of a learner when the e-Learning for a university is designed and operated by exploring the characters of learners which affects the success of learning under e-Learning circumst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kills and the abilities of ICT use and the learner's attitude to schoo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learning skills and self-concep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success of learning under e-Learning circumstances, so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i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en e-Learning is designed and operated for the successful learning. 이 연구는 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학습기술, ICT활용능력, 학교에 대한 태도, 자아개념)이 수업성공(학업 성취도, 참여도, 만족도)과 어떠한 관계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e러닝 환경에서 수업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탐색하여, 대학 e러닝 설계 · 운영시 고려해야 할 학습자 특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특성 중 학습기술, ICT활용능력, 그리고 학교에 대한 태도는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둘째, 학습기술과 자아개념은 만족도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결론적으로 대학 e러닝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이 수업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수업성공을 위하여 e러닝 설계· 운영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노인정 봉사학습이 초등 통합교육 환경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에게 미친 영향

        양여경(Yang, Yeo Kyung),박승희(Park, Seung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병합한 노인정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애학생을 ‘봉사제공자’로서 비장애학생과 동등하게 봉사학습에 참여하게 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그 교육적 효과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노인정 통합적 봉사학습(inclusive service learning)이 학생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인성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친사회적 행동, 학업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화폐관리 기술, 사회적 측면에서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2개교의 3, 4학년 장애학생 8명, 비장애학생 22명이다.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여 15명의 실험집단 학생들(장애학생 4명, 비장애학생 11명)에게 노인정 봉사학습 프로그램을 총 17회기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인정 봉사학습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장애학생들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들에 비해 화폐관리 기술이 더 큰 폭으로 향상되었으며, 실험집단 비장애학생들 또한 화폐관리 기술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은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서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일상적인 봉사활동이 아닌 ‘봉사학습’에 주목하여 초등 통합교육 환경에서 봉사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긍정적 성과를 양적 자료로 보고하는 첫 번째 예비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봉사학습의 보다 활발한 적용을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clusive service-learning program of visiting senior citizen’s centers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wo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students(4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1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of the School A and B located in Seoul. The program, visiting two senior citizen’s centers located near to the School A, was carried out with 17 sessions on every Saturday. In this study,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of all participating students,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the money management skill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 money manage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Lastly,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in their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n inclusive service-learning program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tudents" prosocial behaviors, money management skill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