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교육을 위한 어린이영성론 연구

        유선희(Sun Hee Yoo)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2 선교와 신학 Vol.30 No.-

        본 연구는 어린이영성 연구의 초종교적 경향성을 비평적으로 고찰하고 기독교원리에 입각한 어린이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해이와 나이의 어린이영성론을 고찰하되, 기독교교육은 일반영성교육과 달리 기독교영성에 기초한 교육이어야 함에 따라 이들의 어린이영성론을 기독교영성론의 관점으로 비평적으로 대화한 후, 이에 따른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해이와 나이의 어린이영성론은 관계성을 중요시하였지만 하나님↔인간의 인격적이고 쌍방적인 관계성을 표방하는 기독교영성과는 달리, 어린이→하나님(혹은 타인, 자연세계, 자아)이라는 일방적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어린이영성론은 영성이 어린이의 자연본성적 능력이라는 현상적 사실을 규명하였지만 영성의 원천이 하나님의 영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제시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해이와 나이의 영성론은 초종교적이고 보편적인 논점에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독교적 어린이영성교육 원리를 정립하는 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이와 나이는 어린이영성의 존재성을 학문적으로 입증하고 인지-언어적 능력에 관계없이 출생 후 모든 어린이는 영성적 능력이 있으며, 때문에 영아기를 포함한 모든 어린이의 영성형성의 가능성과 영성교육의 필연성을 인식시켜 주었다. 또한 이들은 어린이영성의 핵심인‘관계적 의식’을 통해 어린이영성이 무엇인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명료하게 규명해줌으로써 기독교적 어린이영성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중요한 자원을 제공해주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비평적 대화를 기초로 기독교 어린이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대전제는, 어린이의 생득적 영성을 교육적 통로로 삼지만 그것을 넘어서서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을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는 것에 있다. 둘째, 어린이영성교육의 목적은 어린이의 생득적 영성형성과 더불어 기독교적 영성형성을 돕는 것으로서 출생 후부터의 모든 어린이가 그 대상이 된다. 셋째,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의 실천방향은 경이감과 경외감의 경험, 하나님 경험, 전인적 안식과 삶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즉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어린이가 하나님, 타자, 자연세계, 자아와의 관계성 속에서 가치감, 신비감, 자각감과 같은 진기한 의식경험을 하도록 지원하고 촉진해야 한다(경이감과 경외감의 경험).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생득적인 영적 능력을 통해 경험되는 궁극적 실재가 곧 삼위일체 하나님임을 발견토록 하고 그를 만나고 예배하고 대화하며 관계맺도록 이끄는 교육을 실행해야 한다(하나님경험). 기독교 어린이영성교육은 어린이가 하나님과 만나고 대화하고 진리를 깨닫게 됨으로써 전존재적 평안을 누리며 자신과 세계를 향해 변형적 삶을 살아가도록 해야 한다(전인적 안식과 삶의 변형).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의 영성교육

        박은혜,조은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6 No.-

        Modern society is multi-cultural. The difference between multi-culturaleducation and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is that multi-culturalsituation is the same, but the content of education is different. The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knowledge, recognition, andattitude about other cultures.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dealswith more broad and deeper content of education that is needed inmulti-cultural society than in the Christian perspective. This study deals with multi-academic foundations-philosophical,psychological, bibl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It also deals with theapproach of public church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Christian education. To insis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spirituality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efinesmodern concept of spirituality and explains post-modern culture, criticalreflection of education, the discussion about religious education inschools, and negative images of Christianity in Korean society. Four elements of spirituality education are described from theoreticalfoundations: multi-cultural self, reflection and praxis, spirituality ofcommunity, and spirituality of participational in the society. First, a multi-cultural self that is post conventional with a strong identity ofhis/her own but accepts others as they are and knows to yield authorityas a leader to approach at an equal level. Second, showing his/herrelationship with God by reflecting and practicing in everyday life. Third, restoring and seeking God’s kingdom by always fulfilling others’and nature’s needs in life and bringing justice to the community. Lastly,is overcoming the formal spirituality by being more participational withGod’s vision in society. With these four elements, this study suggestsseveral considerations to develop a concrete spiritual education programfor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현대 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살고 있다.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은다문화적인 상황은 같지만 다른 문화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등을 주요 교육 내용으로삼고 있다. 기독교교육에서 다루는 다문화 교육의 가르치는 내용은 다문화 상황에 필요한보다 넓고 깊은 내용들을 기독교적인 관점으로 특정 다문화를 넘어서는 내용들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교육의 주요 요소들에 대한 기초를 세우기 위해 다학문적 기초-철학적 접근으로 타자성의 철학, 심리학적 접근으로 후 인습적 자아 정체성, 성서적 접근으로 구약과 신약의 다문화인에 대한 태도, 신학적 접근으로 볼프의 포용의 신학-와 기독교교육의 공교회적 접근을 살펴보았다.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해 영성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기 위해 현대의 영성 개념을 일상의 삶에서 나타나는 실천적인 총체적 변화를 의미하는 기독교적 영성과 특정 종교를 넘어선 영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사회에서 영성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포스트모던문화, 일반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학교의 종교교육의 방향,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론적 기초를 통해 얻은 다문화 기독교교육을 위한 영성교육의 요소를 네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후 인습적 성숙한 자아로 자신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은 있지만 타인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주체로서의 권위를 포기하고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에게 다가감을 위해 필요한 다문화적 자아이다. 둘째, 하나님과의 관계가 실생활에서 살아 있고 실제로 경험되는 성찰과 실천적 영성이다. 셋째, 여러 관계 속에서 자연과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채워 주고, 사회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하여 노력하며 파괴된 하나님의 세계의 회복과 조화를 위해 추구하는 공동체적 영성이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가지고 세상을향해 제도화된 형식적인 종교적 영성을 초월하여 공적 영역에서 책임적 역할을 수행하게하는 사회참여적 영성이다. 이 네 가지 요소를 가지고 여러 사역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구체적 프로그램을 개발 시 고려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 안에서 삶에 관여하는 영성교육의 추구

        최봉도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2

        본 논문에서는 시대적 요청에 따라 현대인들이 추구해야 하는 영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특별히 한국기독교가 추구하는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글을 전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제기된다. 과연 기독교의 영성은 무엇인가, 영성교육을 통한 성도의 영성형성이 가능한가,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전제로 할 때, 성도의 영성형성을 위한 영성교육의 특징과 역할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이다. 본문에서는 이를 위해 먼저 성서적 어원과 성경인물을 통한 영성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기독교 안에서 현대 사회적 정황과 신학적 논의 속에서 추구하고 있는 현대적 의미의 영성개념에 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중심으로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를 통해 전인적인 영성을 형성 할 수 있도록 영성의 특징과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특징과 역할을 알아봄으로써, 한국기독교가 당면한 현실적 문제 속에서 어떻게 영성교육을 통하여 영적 정체성과 주체성을 확립한 개인이 기독공동체의 상호관계와 사랑을 통하여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통합을 이룸으로써 영적 공동체를 형성하고 나아가 지역사회와 세계를 향해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Spirituality and Spirituality education which is pursued by today's people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Christian Spirituality in Korea. Before dealing with this, there are some questions raising: What is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Is it possible to build spirituality by edu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spirituality education for building spirituality?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swers to questions, the biblical origin 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s in the Bible are firstly explored. Secondly, it examines the concept of contemporary spirituality in Korean Christian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and theological discussion. Also, it considers the possibilities of spirituality education stressing on that concept. In order to build the spirituality for making the whole person through the good relationship with God, it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spirituality education. It suggests direction of how to solve the problem of Korean Christianity as a matter of fact. Finally, it proposes how to establish the identity to each individual person through the spirituality education, how to unite with christian community members to build the spiritual community in love and how to serv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world.

      • KCI등재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적 제언

        김은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3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Christian spirituality required in front of the ecological crisi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ecosystem problems are recognized as a serious crisis that can threaten human survival.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which humanity has taken for granted, has been questioned, and changes in human consciousness and thoughts at the root of the ecological crisis have become inevitable. The crisis of civilization demands a new spirituality, and the spirituality required in front of the ecological crisis must be a life-friendly spirituality. The discourses on the ecological crisis that have emerged since the 1970s provide a fundamental perspective on the ecological crisis. Ecological spirituality such as 'immanence', 'interrelationship', 'community', 'healing and emancipation', and 'sustainability' are concepts that can understand and aggregate the discussions of the various discourses above. Based on this, this paper examines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by dividing it into the areas of God, humans, and body. Through this, the Christian education was proposed as a practical place for self-depreciation for a simple lif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God, who emptied himself out of the transcendent God who reigns over all things, shared the pain of all things, maintained all things together, and lived in them. There, meditation and hospitality can be a place of practical Christian education where one can enrich one’s inner self for a simple life. Christian education was proposed as a place of holistic knowledge through ecological Christian spirituality that emphasizes the spirituality of the body from dichotomous thinking that belittles the body. There, the Holy Communion is important as a place where both holistic education to restore the spirituality of the body and ecological education can be held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I hope that Christian education will be a place of education not only for the reason but also for the holistic knowledge of Christ and for learning how to 'together' with the ecosystem and neighbors. 본 연구는 생태위기 앞에서 요구되고 있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하여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을 제언하는 글이다.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지금까지 인류가 당연히 여기고 있던 물질문명의 발전에 의문을 던지게 되었고 생태위기의 근원에 자리하고 있는 인간의 의식과 사고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문명의 위기는 새로운 영성을 요구하며 생태위기 앞에서 요구되는 영성은 생명친화적인 영성이어야 한다.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생태위기에 대한 담론들은 생태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제공해 준다. ‘내재성’, ‘상호관련성’, ‘공동체성’, ‘치유와 해방’, ‘지속성’이라는 생태영성의 개념들은 위의 다양한 담론들의 논의들을 이해하고 집약할 수 있는 개념들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하나님과 인간, 몸의 영역으로 나누어 기독교적 생태영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만물 위에 군림하시는 초월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만물이 출현하도록 자신을 비우시고 만물의 고통을 함께 나누시며 만물을 유지하시고 그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 이해를 통하여 소박한 삶을 위한 자기 비움의 실천적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묵상과 환대는 소박한 삶을 위하여 내면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기독교교육의 자리가 될 수 있다. 몸을 경시하는 이분법적 사고와 내세지향적인 시각에서 몸의 영성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하여 통전적인 앎의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성만찬은 몸의 영성을 회복하는 통전적인 교육과 생태학적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교육은 이성만이 아니라 통전적으로 그리스도를 알아나가며 생태계와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후보

        인성함양을 위한 기독교 교양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코메니우스 이론을 중심으로

        박민수 한국대학선교학회 2009 대학과 선교 Vol.17 No.-

        The ideology of christian universities is to be strongly recognized in the education of christian liberal arts. To educate christian spirituality on the basis of christian value in th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education of humanity should be emphasized. For this purpose th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needs to be reconceptualize it's contents of direction, and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humanit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christian value system. Generally speaking, humanity is said to be composed of intellect, emotion and will. But concept of christian humanity should include mot only the inner attributes of the three components but also the nature of transcendent spirituality. It is to be emphasized that christian spirituality does not mean exclusively individual meditation or reflection. Instead, it signifies the recovery of relationships, that is, the relationship of God, and the nature. To cultivate christian humanity a paradigm shift is necessary in the area of christian liberal education, which has been dominantly influenced by modern ideas. In this article I propose the education theory of J. A, Comenius as a new paradigm for christian humanity education. He redefined the modern ideas of human nature in terms of christian ideology, which emphasizes organic harmony among intelligence, moral nature, and spirituality of the human nature. Humanity education in the christian liberal arts should integrate intelligence, moral character, and spirituality for the cultivation of whole human beings. Therefore, christian liberal education has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teaching of christian doctrines or ideas to cultivate integrated humanity, as J. A. Comenius well pointed out. 기독교 교양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로 하는 것은 기독교 대학 의 이념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다. 기독교 교양 교육에서 기독교 가치관 으로 영성교육을 하려고 할 때 먼저 인성과 인성교육에 대한 접근으로 시작하여야 한다. 기독교 교양 교육은 기독교 가치관을 통한 인성교육 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 인식하면서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재개념 화하여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성이라고 하면 지ㆍ정ㆍ의로 구분하 지만 기독교에서의 인성은 지ㆍ정ㆍ의 내면적 속성뿐 아니라 초월성인 영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특히 기독교에서의 영성은 독자적인 성찰이 아니라 지ㆍ정ㆍ의와 함께 포괄된 관계성 회복을 의미한다. 이 관계는 하나님과 사람과 우주와의 관계를 의미한다. 기독교 교양 교육에서는 근대주의 사상을 기초로 한 인성교육에 대 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기독교적인 인성교육에 대 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론으로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제 시하였다. 근대주의에서는 인성을 지ㆍ정ㆍ의의 세 영역으로 정의하였 다면 코메니우스는 근대주의의 인성을 새롭게 전환하고 있다. 그는 인 성을 지ㆍ정ㆍ의에서 탈피하여 지성ㆍ덕성ㆍ영성의 세 영역의 유기적 이면서 조화로운 관계를 인성이라고 말하고 있다. 기독교 교양 교육에 서의 인성교육은 지ㆍ정ㆍ의에서 더 나아가 지성ㆍ덕성ㆍ영성의 통합 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제 기독교 교양 교육은 기독교 진리와 가치관에 기초한 인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는 데 교육적 관심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특히 기독교 교양 교육은 학생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과목으로 발전되 어 가야 할 것이다. 앞으로 기독교 교양 교육은 인간의 모든 존재의 본질적인 원천이 되는 지성ㆍ덕성ㆍ영성을 조화롭게 갖춘 인성함양에 더 많은 교육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간성 회복을 추구하는 기독교 영성교육

        김도일 한국종교교육학회 2010 宗敎敎育學硏究 Vol.32 No.-

        본 연구는 기독교 영성교육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사조가 학습자들의 마음과 행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 시대를 사는 교육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며 해결책 모색을 시도한 연구이다. 감성주의, 자기중심주의, 상대주의에 빠져 있는 학습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파편화된 인간성을 가진 존재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기독교 영성교육을 제안한 것이다. 기독교 영성교육 연구는 영성에 대한 현대적 이해를 시도하였고, 삼위일체 신학에 근거한 통전적인 영성이해를 제시하였다. 이 이해를 토대로 하여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제고해 보았으며, 영성훈련이라는 개념대신 영성교육이라는 개념의 정당성을 타진하였다. 그리고 인간성 회복을 추구하는 기독교 영성교육의 본질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파편화되어가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영성교육의 본질을 파헤쳤고, 기독교 신학에 근거한 인간이해를 도모하였으며, 공동체를 향하여 거듭나게 하는 영성교육의 역할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영성교육의 세 가지 방법 즉, 개인적 차원과 공동체적 차원을 고려한 영성교육 방법, 유념적 차원과 무념적 차원을 고려한 영성교육 방법, MBTI를 활용한 영성교육 방법을 다루었다. 이러한 영성교육을 적절히 조화시키면 잃어버렸던 인간성을 회복하는 데에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 모형: 비블리오드라마를 중심으로

        최은택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0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3

        This study suggests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Christian family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isky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day, we live in a chaotic epoch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cience caus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gave rise to a wide array of changes throughout the society. Korean Church in these circumstances is required to have relevant responses to the kaleidoscopic changes. Especially, not to mention the face-to-face public worship service, in the situation where the congregation members even find it difficult to meet one another in a small group, it becomes a crucial issue how Christians maintain their faith and community in the healthy spirituality. As such, viewing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will become much more important,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For the research, this paper, first of all, attempts to understand the era of Covid-19. It is to see what the Novel Corona Virus is and what the feature of the epoch of Covid-19 might be.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this research discusses what Christian spirituality is asked for and the orientation towards which Christian education should go on. It is particularly to say that a spiritual education for the family becomes integral. The education for the family might be possible through Bibliodrama so that this study establishes a specific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employing Bibliodrama. The discussion above shows three academic significances. First, this paper, within the domain of Christian education, suggests an alternative research which is to solve Korean Church’s diverse problems caused by Covid-19. Second, this research attempts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Covid-19 period within the Christian education area. Finally, when specif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s required, this study considers that Christian education within the family is overarching, thus proposing a specific model for familial-spiritual education hiring Bibliodrama.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 한국교회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독교 가정을 위한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오늘날 우리는 혼란의 시대를 살고 있다.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19 바이러스 팬데믹 사태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오늘날 한국교회에는 많은 변화와 더불어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특별히 대면예배는 물론, 성도들 간의 만남과 접촉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어떻게 영성관리를 하면서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과 대안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앞으로는 가정에서의 신앙생활이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보고, 코로나19 시대의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코로나19 시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COVID-19)와 코로나19 시대의 특징(언컨택트 문화, 홈 루덴스 현상, 가정 문제의 심화)에 대해 살펴본 뒤, 앞으로의 기독교 영성교육은 이러한 사회적 특징들을 염두에 두고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좀 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기독교 영성교육의 개념과 방향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가정을 위한 기독교적 가정영성교육의 모형을 수립해 보았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는 비블리오드라마를 선택하였고, 마태복음 25장 14-30절의 달란트 비유를 가지고 구체적인 예를 제시해 보았다. 이는 웜업, 연기, 성찰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이 과정 속에서 가족 구성원들은 성서를 기반으로 한 기독교 영성을 추구하며, 기독교적 믿음과 공동체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을 촉진하는 교육 기전에 대한 연구 -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황인혜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If Christian spirituality encompasses all areas of a Christian’s life, a Christian’s spirituality must effectively exert influence even on one’s social roles. Until now, most discussions on Christian education for spirituality have tended to remain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conducted to overcome this limitation, reveals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promotes the expansion of a Christian’s spirituality into one’s social relationships, and suggests practical educational plans according to that mechanism. First, as the initial basis of an educational mechanism that can promote the social expansion of personal spirituality, a new dynamic mechanism of personal spirituality called the ‘living membrane of faith’ is presented. As a second basis, Kim Hyun-sook’s concept of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which is a medium of social influence of personal spirituality, is introduced. This study goes on to show that both the first and second bases have one thing in common; they function like an open ‘door.’ The educational mechanism by which a person’s spirituality leads to social expansion is through the points of contact of ‘relationship,’ ‘openness,’ and ‘equality’ which these two foundations share. And according to this educational mechanism, the following contents are proposed. The first is the principle of balance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spirituality. The second is the addition of ‘contemplative listening’ as a group activity to each educational content. And the third is the three-dimensional personal network that spreads social influence in the lives of learners as well as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at can be practiced in local churches through that network. This study analytically shows with practical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how the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generally known as the core of personal spirituality, can be effectively extended to social relationships with fellow humans, through two new concepts: the ‘living membrane of faith,’ and the ‘self as authentic person’ associated with the ‘postconventional Christian identity.’ 기독교 영성이 그리스도인의 전 삶의 영역을 포괄하는 것이라면 개인의 영성은 사회적 역할에까지 효과적으로 영향력을 발휘해야 하는데, 그동안 대부분의 기독교 영성 교육의 논의는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었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연구는 한 기독교인의 영성이 사회적 관계로 확장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육 기전을 제시하고, 그 기전에 따른 실용적 교육방안들을 제안한다. 먼저,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 기전의 첫 번째 기초로서 ‘믿음의 생명막’이라는 새로운 개인 영성의 역동적 기전을 제시한다. 두 번째 기초로서는 개인 영성의 사회적 영향력의 매체가 되는 김현숙의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감’ 개념을 소개한다. 그리고나서 이 첫 번째 기초와 두 번째 기초가 모두 열리는 ‘문’과 같은 기능을 하는 공통점을 갖는다는 것을 분석적으로 밝힌다. 바로 이 두 가지 기초가 동일하게 갖고 있는 바, 문과 같은 기능을 하는 ‘관계성,’ ‘개방성,’ ‘평등성’이라는 접촉점들이 개인 영성의 사회적 확장 기전의 통로이며, 이 통로를 교육의 내용과 교수-학습과정으로 활성화하는 것이 교육의 기전이다. 밝혀진 이 교육 기전에 따른 영성교육의 실제 방안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제안한다. 첫째는 영성교육 내용의 영역들을 균형있게 구성하는 것이고, 둘째는 각각의 교육영역에 ‘관상적 경청’ 성격의 통합적 대화모형을 추가하는 것이고, 셋째는 학습자들의 삶에서 사회적 영향력 전파를 가져올 수 있는 입체적인 인격적 관계망을 드러내 주고 지역교회들에서 그 관계망에 따라 실천할 수 있는 실제적 영성교육 내용들과 방법들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이 연구는, ‘믿음의 생명막,’ 그리고 ‘탈인습적 기독교인 자아정체감’을 수직적으로 확장한 ‘인격적 자아’라는 두 가지 새로운 개념을 통해서, 일반적으로 개인 영성의 핵심이 된다고 알려진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떻게 효과적으로 동료인간과의 사회적 관계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실제 교육 내용들과 방법들을 통해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기독교 교육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찬목(Kim Chan Mok)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0 로고스경영연구 Vol.8 No.1

        본 논문은 기독교 교육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연구된 것이다. 기독교 세계관 형성을 목표로 하는 기독교교육 과목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과,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라 영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본 논문의 연구 과제이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과 영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근거로,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기독교교육은 대학예배, 기독교와 삶, 기독교탐사, 애덤앤이브, 기독교 대화 등의 과목들로 구성하였고, 영성은 초월성, 긍정성, 삶의 의미, 열린 마음과 같은 하위 차원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예배」는 초월성, 삶의 의미, 열린 마음의 영성 요인에 영향을 주고, 「기독교탐사」는 초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와 삶」은 긍정성과 열린 마음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성의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차이 여부도 검증되었다. 긍정성 요인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성의 학년별 차이에 있어서는, 초월성 요인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다. 1학년의 영성이 가장 높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영성의 평균이 낮아졌다. 초월성과 삶의 의미영성 차원은 종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무교와 기독교, 기독교와 불교, 무교와 천주교, 기독교와 천주교 사이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독교 교육의 방향성과 전략에 대한 의미있는 함의를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has two goals. One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hristian education subject targeting formation of christian world view on spirituality. The other i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spiritu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roughly: literature review,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is development, and empirical analysis. The subject of christianity education contains chapel, christian life, chrixplorer, Adam & Eve, and dialogue with christianity. Spirituality also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transcendence, positiveness, meaning of life, and opened min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re are significant influences of chapel on transcendence, meaning of life, and opened mind. Chrixplorer influences on transcendence. Christian Life also impacts on positiveness and opened mind.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spiritu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positiveness mean. Transcendence dimension has differences among grades. Transcendence and meaning of life dimens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respectively. Especially,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irreligion and christianity, christianity and buddhism, irreligion and catholicism, and christianity and catholicism. These results give us some meaningful insights how to develop christianity education curriculum and brings up university students for christian university in the future.

      • KCI등재

        기독교대학의 복음적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하나님 나라의 성육신적 영성교육의 신학과 실행방안-

        최영근 ( Young Keun Choi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6 대학과 선교 Vol.30 No.-

        이 논문은 대학의 생존 위기와 기독교 정체성의 상실이라는 이중적 위기에 직면한 기독교대학이 설립정신과 교육목적에 부합한 차별성 있는 교육을 통한 기독교대학 정체성 회복과 기독교적 인성교육의 한 방안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 논문은 복음적 인성교육을 미래사회 지도자 양성을 위한 기독교대학의 차별화된 교육으로 제안하면서, 그 핵심을 하나님나라의 성육신적 영성을 함양하는 교육이라고 주장한다. 하나님 나라의 성육신적 영성교육은 복음이 단지 교리나 지식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복음의 가치를 공감하고 실천할 수 있는 인성과 덕성을 함양하고,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정체감과 공동체성과 세계관을 바르게 확립하고, 이웃과 사회와 자연과 세계에 대하여 책임적인 존재로 살아가도록 하는 전인격적, 통합적 영성교육의 차원으로 나가야 한다. 복음과 문화를 상관관계적으로 통합하여 지정의의 전인격을 복음의 가치로 변화시키고, 개인을 단절과 고립으로부터 자유케 하여 이웃과 지역사회와 세계와 연대하고, 공동체적배움과 소통과 실천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샬롬의 가치인 정의와 사랑과 평화를 글로컬 사회에 실현하는 복음적 인성교육이다. 하나님 나라의 성육신적 영성교육의 신학적 논거는 첫째, 리처드 니버의문화변혁적 복음의 모델, 둘째, 호켄다이크의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 셋째, 테오 순더마이어의 “콘비벤츠”(Konvivenz)로서의 선교, 넷째, 토마스 그룸의 관계적, 공동체적, 실천적 교육과정으로서의 “커네이션”(conation),다섯째, 한남대학교의 초대 학장이었던 윌리엄 린튼이 주장한 기독교대학의 이념이다. 이러한 신학적 논거 위에서 하나님 나라의 성육신적영성교육의 실행은 다음 몇 가지 차원을 포괄한다. 첫째, 신앙과 학문의 통합과 복음과 문화의 상관관계적 교육; 둘째, 복음의 진리를 지정의의 전인격적 차원으로 구현하여 배움과 나눔과 섬김을 실천하는 통전적 교육; 셋째, 자아를 초월하여 공동체와 연대하고 하나님 나라의 샬롬을 지역사회 공동체에 실현해 나가는 공동체적 교육; 넷째, 교수와 학생의 인격적 만남과 공동체적 소통을 통해 학생의 주체적 각성과 자기 계발을 이끌어 주는 상호주체적 관계적 교육. 이러한 교육의 실행은 교과 과정과 비교과 활동은 물론, 기독교대학 구성원의 기독교적 정체성의 재확립과 대학의 교육체계와 조직의 효율적 재정비를 통해 종합적으로,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근대화 시대에 한국의 근대교육과 고등교육의 발전을 이끌었던 기독교대학이, 인간성 상실과 공동체성 해체의 후기 근대 사회에서는 생명의 가치와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인성교육의 발전을 이끌어 가야 한다. This paper proposes an alternative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Christian university, which can restore the Christian identity and reinforce Christian education proper to the founding ideals and educational goals. It is necessary because the Christian universities should find a way to cope with the university restructuring strongly driven by the government and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The evangelical personality education can realize a distinctive and excellent Christian education, which should foster the spirituality incarnating the kingdom of God. The incarnational spirituality education aims at a holistic, integrated education, not restricted to a cognitive learning, but leading to a comprehensive learning - knowing, sharing, and practicing the values of the Gospel while cultivating religious personality and moral character. Nurturing the spirituality purposes to establish a right relationship with God to develop self-esteem, community values, and responsibility for neighbor, society, nature, and the world. It is the incarnational spirituality education to infiltrate the values of the Gospel such as truth, love, and service into the whole personality. It will transform the whole person to forge links with neighbor, local community, and glocal society and help to realize on earth the core value of the kingdom of God, that is, shalom encompassing justice, peace, and love. The incarnational spirituality education can be argued on the theological bases supported by H. Richard Niebuhr’s model of the Gospel transforming culture, Johannes F. Hoekendijk’s idea of missio dei, Theo Sundermeier’s missiological concept of Konvivenz, Thomas H. Groome’s educational theory of conation, and William A. Linton’s ideal of the Christian university. This paper suggests how to practice the incarnational spirituality education, presenting cases and examples of the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The incarnational spirituality education should include first, culture-transforming education correlating faith with learning; secondly, holistic, practical education enabling the whole personality to know, share, practice the values of the Gospel; thirdly, communal and glocal education transcending the self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nd facilitate the realization of shalom in the glocal society; finally but not least, mutual relational edu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rough personal meeting and communal life sharing. The success of the alternative evangelical education will rely on the best use of curricular cours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fficient educational systems that the Christian university will m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