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 오흐나 후렐수흐(UKHNAA Khurelsukh) 대통령 취임사에 나타난 몽골의 국정 목표

        전일욱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what a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ed the government goals expressed in the inaugural address? Second, what are the main goals of the government in the inaugural address? Third, what kind of functions are the national goals expressed in the inaugural address? Lastly,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entation of the government goals expressed in the inaugural address? was centered on. As a result, first, as the only external factor that affected the government goals expressed in the inaugural address, the Corona 19 factor was emphasized. Second, the main goals of the government in the inaugural address included goals in five fields: politics, economy, society, diplomacy, and environment. Third, the political goals appeared centered on the consensus function and the integration function, and the economic goals appeared as the goals for the production function. Fourth, the characteristics viewed as models of Crac and Dial showed characteristics with a goal orientation centered on production functions, integration functions, and execution functions. 본 논문은 몽골 제8대 후렐수흐 대통령의 취임사를 통해 첫째, 취임사에 나타난 대내외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은 무엇인지? 둘째, 취임사에 나타난 주요한 국정 목표는 어떤 내용인지? 셋째, 취임사에 나타난 국정 목표는 어떤 기능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목표들인지? 마지막으로 취임사에 나타난 국정 목표들의 정향의 특징은 무엇인지? 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취임사에 나타난 국정 목표에 영향을 준 대외적 요인으로는 유일하게 코로나19 요인을 강조하고 있었다. 국내 환경에 대한 상황인식은 모든 분야에서 부정적인 인식이라기보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취임사에 나타난 주요한 국정 목표로는 정치, 경제, 사회, 외교, 환경 등 5개 분야의 목표를 담고 있었다. 셋째, 취임사에 나타난 국정 목표의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았다. 정치목표는 합의기능과 통합기능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경제목표는 생산기능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사회목표는 통합기능과 집행기능을 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환경목표와 외교목표는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전개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취임사에 나타난 국정 목표의 특징은 우선 크라크와 디알의 유형화 모형으로 본 특징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면 생산기능과 통합기능 그리고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한 목표 정향을 가지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취임사의 함의적 특징은 대통령 출마 공약을 이행하려는 의지를 담은 정향을 보인다는 특징과 대외적 목표보다는 대내적 목표를 중심으로 국정 목표의 정향을 정하고 추진하겠다는 의지로 나타났다.

      • 교육목표의 개념·목적·기능

        안정수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1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7 No.-

        본 논구(論究)는 우리나라 공교육을 율하는 규범 체계에 있어 교육 목표 규정 조항이 결여되어 있음을 문제 제기의 출발점으로 삼고, 교육이 본질적으로 목표 지향적 활동이요 목표 개념을 상정하지 않는 교육이란 사실상 자기 모순이라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교육은 타인의 인격 구조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거나 그 구조의 가치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구성요소들은 유지하고 좋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는 특성은 발생치 않도록 방지하려고 시도하는 행위라는 정의(定議)에 기초하여 '교육목표'와 '인격' 개념을 상호 관련 시켜 교육목표의 개념을 도출하고 그것이 갖는 목적과 기능을 살폈다. 교육 목표는 교육을 통해서 이룩하고자 의도하는 바 피교육자의 일정한 인격 특성들 또는 하나의 인격 구조를 일컫는 것이요, 그 목적과 기능으로는 교육적 행위의 방향을 정해 줌, 교육 성과 측정의 척도가 됨, 사회적 가치질서의 안정화를 도움, 교육자의 자의식(自意識)을 고양시킴, 교육자의 활동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차폐(遮蔽)하기 등이 밝혀졌다. 끝으로 교육에서 목표 설정이 불가결의 일이라면 국가적 교육 목표는 가능한 사회적 기본이상(基本理想)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하며, 법률 속에 반영되어 교육적 행위의 규범으로서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The present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clarifying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aim" and investigating its purposes and function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is the fact that the existing laws of education in our country lack the articles and clauses concerning the educational aims. Education is understood as an aim-oriented or aim-guided action through which with intention specific aims are pursued. Educational aims are norms containing ideals for educands. They refer to specific personality states which educands should either achieve or at least approach. An educational aim is a norm describing the psychic dispositions (or a dispositional structure) set as an ideal for educands; it calls on educators to so act that as far as possible educands are enabled to realize this ideal. Educational aims can serve various purposes and fulfill various functions. What we examine here are those most important ones. They are orientation of educational action, standards for measuring success, stabilization or undermining of societal value systems, enhancement of self-confidence and the educator's social standing, protection of educators from control of their activities.

      • KCI등재

        종합적인 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 목표 제시 전략

        강대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1

        This study aimed to criticize the fact that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studies goal areas, such as knowledge, skill & thinking, value attitude & action, makes each goal area mutually exclusive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Based on this, it is argued that knowledge goals are achieved with skill & thinking goals, skill & thinking goals are achieved with knowledge. In addition, value attitude & action goals are achieved with knowledge and skill & thinking goals. Therefore, this study highlighted some misconceptions in the field that prevent collective recognition of social studies goals for the comprehensive citizenship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s ways to improve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tried to improve the curriculum goals, textbooks and tutorial unit goals, and ways of presenting behavioral areas in the dual purpose classification chart. Through this, the study is seeking a strategy for presenting social studies goals for comprehensive and balanced citizenship education acros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 그동안 사회과에서 이루어져 온 지식, 기능 및 사고, 가치 태도 및 행동 등 목표 영역의 분류와 제시는 각 목표 영역을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측면에서 상호 배타적으로 인식하게 만든다는 문제점을 지녔다.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걸쳐 종합적인 시민교육을 지향하는 사회과에서 지식 목표는 그 이면에 기능 및 사고 목표가 맞물려 있고, 기능 및 사고 목표는 지식 혹은 가치 태도 목표와 맞물리며, 교과교육 차원에서 추구하는 가치 태도 목표는 지식, 기능 및 사고 목표와 더불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걸쳐 종합적이고 균형 잡힌 시민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회과 목표 영역을 분절적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현행 목표 영역 분류 및 제시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세부 목표, 교과서와 지도서의 단원 목표, 이원목적분류표의 행동 영역 제시 방식의 개선을 통해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걸쳐 종합적이고 균형 잡힌 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 목표 제시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효율적인 사회과 기능 영역의 지도 방안 연구

        한춘희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ways to more effectively teach the objectives of the skills domains, which had received relatively poorer treatments than the knowledge goals that had been stressed much among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Skills refer to the abilities to perform a task skillfully through repetitive performance and involve a process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utilizing knowledge and data. Since skills have close relations with knowledge and data instead of being separate from them, it? critical to combine knowledge and skills in social studies classes. The ways to efficiently teach the skills domains, which had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need to segment the skills domains and select and present those skills that should be promoted in priority for each grade; second, the skills domains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s and textbooks. That is, the skills goals should be presented with emphasis in the overall goals, domain goals, and grade goals in addition to the knowledge goals; third, when the skills are presented on a certain page of a textbook, they need to provide enough information as to what skills should be instructed there and for what purposes,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by grades, and examples in everyday life to help the students learn and use those skills; fourth, the students can learn the skills through repetitive practice, which means the teachers should find and present examples in everyday life over and over again along with knowledge; and finally, they need to teach the basic skills of social studies, reading and writing, thoroughly. In today?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ne of the important dut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knowledge about various kinds of social phenomena. But it? more important to help them develop the capabilities to gather, analyze, interpret, and evaluate diverse data and information and to solve everyday problems with them. 본 논문은 사회과교육의 목표 중 지금까지 강조되어온 지식 목표에 비하여 비교적 소홀하게 다루고 있는 기능 영역의 목표를 좀 더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기능이란 반복 수행을 통해 무엇인가를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지식과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활용하는 과정이다. 사회과교육에서 기능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능 영역의 세분화와 각 학년별로 중점적으로 육성해야 할 기능을 선정하여 제시하여야 하고,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과서에 기능 영역을 좀 더 강조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기능을 교과서의 특정 페이지에 제시할 경우 여기에서 지도해야 할 기능이 구체적으로 무엇이며, 왜 이 기능을 지도하는지 그리고 단계에 따른 지도 방법을 알려주고 실생활의 사례를 통하여 직접 배운 기능을 활용하고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기능 영역의 지도는 반복이 중요하므로 지식과 함께 하되 실제 생활 사례를 통해 익히고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과의 기본 기능인 읽기와 쓰기 기능도 충실하게 지도해야 한다.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사회과교육의 중요한 임무는 여러 가지 사회 현상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자료나 정보를 수합·분석·해석·평가하여 일상 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다.

      • 외국인조선어학습자들의 쓰기기능교육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허철호(?哲豪)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4 중국조선어문 Vol.249 No.-

        이 론문에서는 조선어를 제2언어로 가르치고있는 교수자들에게 도움을 줄 목적으로 조선어쓰기교재구성과 관련되는 문제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론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로, 지난 시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조선으로 략함)의 외국인조선어교육 분야와 소학교국어교육분야에서 쓰기교육을 어떻게 진행하여왔는가에 대하여 간단히 개괄하였다. 둘째로, 쓰기교육을 과학화하는데 필요한 학습자등급별 기능지도목표와 기능지도사항, 기능지도내용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였다. 셋째로, 쓰기교재구성에서 나서는 요구와 쓰기기능평가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 KCI등재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발전방안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정민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suggestions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especially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 in the perspectives of educational taxonomy.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viewed the articl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2015 curriculum in Korea. We found that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cused the holistic approach to competency and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Also, a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ribute to alignment of objectivesinstructionassessment and wholeperson education using various dimension in example,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Bu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the hierarchies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key competencies and competencies of subject matters don’t have concrete articulation. In addition, performance standards are composed of ‘contents’ and ‘skills’ focused on cognitive domain including cognitive process. We suggests from these findings that we need to redefine the concept of ‘competencies’, ‘skills’, the discrimination of ‘competencies’ and ‘skills’, the development and articulation with subject matters of some lower constructs. It leads u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parents, teachers, schools about objectivesinstruction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분류학을 고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점을 도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구현 논리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발전방안을 교육목표분류학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써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강조점은 역량에 대한 통합적, 총체적 접근과 학습자중심 교육에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교육목표분류학은 목표수업평가의 일관성을 기하고 교육에 관계되는 모든 이들간의 의사소 통에 필요하고, 전인교육을 위한 목표들은 지식, 기능, 태도, 혹은 인지적, 운동기능적, 정의적 영역, 또는 인지적, 비인지적 영역에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련의 교육목표들은 위계를 가지고 있고,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의 관계는 기초적인 형식은 갖추었으나 실제적인 관계성은 불분명 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내용(영역,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요소)’과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육 내용과 경험의 방향 견인 측면에서 ‘역량’의 개념 정의, ‘기능’의 재정의, ‘역량’과 ‘기능’의 차이와 구분, 핵심역량의 하위 구인 개발과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함으로써 학교와 학생의 목표, 교육내용, 학습활동, 성취수준에 대한 의사소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목표 및 시나리오 기반 요구사항을 이용한 기능점수 분석

        최순황(Soonhwang Choi),김진태(Jintae Kim),박수용(Sooyong Park),한지영(Jiyoung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8

        본 논문은 목표 및 시나리오 기반의 요구사항을 이용하여 기능점수(function point)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능점수는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비용계산의 기본자료가 된다. 기능점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요구사항 도출 및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나 기존의 기능점수 방법론은 이를 다루지 않고 있다. 한편 시스템 개발의 초기단계에서 대부분의 요구사항은 자연어 형태로 수집된다. 목표와 시나리오 방법론은 자연어 형태의 요구사항을 사용하여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추적성에 대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목표 및 시나리오 기반의 요구사항으로부터 기능점수를 산정할 수 있다면 요구사항과 기능점수 간의 추적성 관리가 쉬워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목표와 시나리오 기반의 요구사항으로부터 기능점수를 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자연어 형태로 기술된 목표 및 시나리오로부터 기능점수 분석에 필요한 규칙을 제공한다. 제안된 방안은 Order Processing System 예제를 통해 적용 방안을 설명한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counting function point using goal and scenario based requirements. Funciton Point is a software sizing method and widely used as a basis to estimate software development cost. Requirements elicitation and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before function point analysis but function point analysis method doesn’t deal with requirements elicitation and analysis. For that reason, Function point extraction method from existing requirements method is needed and if the requirements method has advantage for traceability and elicitation, it is suitable for managing cost. Goal and scenario method is widely used as requirements elicitation and analysis. It has also good traceability.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 for extracting function point from requirements text gathered using the goal and scenario based requirements elicitation technique. The proposed method aims to establish and maintain traceability between function point and requirements text. Text based function point extraction guidance rules have been developed.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Order Processing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이태훈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4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ir resual vision in school settings and what kin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is necessary. In the U.S., Functional visual assessment are defined as key area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to identify demands for their education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Functional Vision Checklist as a screening & evaluation instrument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functional visual assessment theory and the analysis of relevant assessment t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question by categorizing the checklist into five visual function elements. Functional vision checklist The checklist consisted of 68 questions in five areas related to distant vision, near vision, visual field, contrast, lighting. Seco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15 experts showed that the mean was 3.0 or higher on the average and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s less than 0.3. This checklist may be considered valid. So,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less valid questions from the functional visual checklist and use them as a correction and supplement. 시각장애 학생이 학습과 일상 활동에 잔존 시각을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는지와 이에 따른 특수교육 지원 요구가 무엇인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시각장애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시각장애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과 교육적 지원 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진단・평가 과정에 기능시각 평가를 핵심 평가 영역으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각장애 학생의 진단ㆍ평가 과정에 사용할 기능시각 평가 도구로서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를 개발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외국의 기능시각 평가 관련 이론과 평가 도구의 분석에 기초할 때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는 원거리 시력, 근거리 시력, 시야. 대비, 조명 다섯 가지 시기능 요소로 검목표를 범주화하고, 학습과 생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기능적 활동들로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적절하다. 둘째, 이러한 이론적 기초에 근거하여 개발한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 문항들에 대해 시각장애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문항 적합도를 4점 척도로 검증한 결과, 모든 문항들이 평균 3.0 이상, 변이계수 0.3 이하로 나타나 타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능시각 평가 검목표에 대해 상대적으로 타당도가 낮은 문항들을 삭제하여 적정 수의 문항들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기능 분석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2 實科敎育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kills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noa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nstuctional objectives of teacher’s guide. To achieve the purpose, 40 achievement standards and 654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used verbs were generic term such as ‘know and understand’ in th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Second, the competencies of relationship formation and technology utilizaion showed the biggest coincidence in verb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Third, among the groups of skills related to subiect competencies, unreflected skills were much more than skills which were totally or partially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ructional objectives. Fourth, the seven skills such as ‘plan, design, practice, apply, suggest, evaluate and explore’ were simultaneously reflect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Otherwise the skills such as ‘operate, synthesize, estimate, examine, infer’ were not included in both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Fifth, it was suggested to improve achievement standards and eastablish hierarchy and range of action verbs utilized in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이 연구는 실과의 교과 역량을 재해석한 기능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학습목표에 반영된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 40개와 학습목표의 진술문 654개를 내용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의 성취기준과 학습목표 진술문에서 가장 빈번히 포함된 서술어는 포괄적 의미를 지닌 ‘알기, 이해하기’등 이었다. 둘째. 역량군별로 분류한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진술문에서 서술어의 일치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가정생활 분야에서는 관계형성능력이었고,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는 기술활용능력이었다. 셋째, 교과 역량별 관련 기능군 중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에 모두 또는 일부 반영된 기능들보다 전혀 반영되지 않은 기능들이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의 15개 기능 중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에 모두 반영된 것은 ‘계획하기, 설계하기, 실천하기, 적용하기, 제안하기, 평가하기, 탐색하기’의 7개였고,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은 ‘조작하기, 종합하기, 판단하기, 조사하기, 추론하기’의 5개였다. 다섯째, 성취기준의 진술 방식 개선,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진술에 활용될 행동동사의 범위와 위계 정립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계획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신정훈(Shin Jeonghoon),윤홍식(Yun Hongsik),권정환(Kwon Jeonghwan),양소명(Yang Somyu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2

        In recent years,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functional continuity of public institutions and has established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so that public institutions can build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This study is based on theories and precedents, functional classification and determine recovery time objective for effective introduction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of local government. Based on business reference model (BRM), Look for a way that The functions of local governments are classified into daily function and emergency function from perspective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and the logic of the case study, it was concluded that recovery time objective needs appropriate unity and that a flexible recovery time objectiv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 and the reality should be determined. 최근 국내에서 기능의 연속성에 대한 필요성 인식하여 공공기관에 대해 기능연속성계획을 구축하도록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신설하였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효과적인 기능연속성계획 도입을 위해 기능 분류와 복구목표기간에 대한 이론과 선행사례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기능 분류는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분류체계(BRM)에서 기능연속성 관점으로 일상기능과 비상기능으로 재분류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복구목표기간에 대해서는 해외 사례조사를 통한 분석과 논리에 근거하여 적절한 통일성이 요구되며, 기능의 특성과 현실 가능성을 반영한 유동적인 복구목표기간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