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오영찬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6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 대해 ‘기능적 출처’의 개념에 입각하여 새 로운 분류 체계와 분류 기호를 제시하였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기관이므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체계에 부합되고 편입이 가능하도록 문서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기능 적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그러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간명한 분류 기호가 부여됨으로써 문서의 검색과 활용에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체계에 맞춰 총독부박물관의 대기능은 학무국으로, 중기능은 학무국 산하의 과 단위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출처’ 개념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업무 기능은 서무, 고사사, 명승천연기념물, 고적, 박물관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계별 문서는 업무 내용에 따라 다시 2차 분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 세부기능의 순으로 분류 기호를 설정하였다. 총독부박물관 문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체계에서 ‘A 학무’에 해당된다. 중기능 분류 기호는 학무국 내 과별 조직의 변천과 기능을 고려하여 학무(01), 편찬(02), 종교(03), 사회교육(04), 박물관(05), 기타(06) 등으로 설정하였다. 소기능은 총독부박물관의 기능을 분석하여 추출하였으며, 2자리 숫자를 부여하 였다. 서무(01), 고사사(02), 명승천연기념물(03), 고적(04), 박물관(05)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계별 업무에 해당된다. 세부 기능과 그 아래 하위 기능은 계 내에서 업무 분장과 연결하여 다시 주제 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 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 new classification and code system on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ree points were noted that since the Museum belonged to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ly with the Archives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proven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a systematic and simple classification codes should be g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and using the official document.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are proposed in the order of major function, medium function, small function, and detailed function. The major function of the Archives is ‘A-Educational affairs’, medium function ‘Museum.’ The small function may be divided into General affairs (01), Temple (02), Scenic Spot and Natural Monument (03), Historical Site (04), and Museum (05). The detailed function and detailed sub-fun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various work assignments in each work units. I hope that this new classification system will make a contribution to organizing and utilizing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제품의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감성적 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및 분석, 외형적(External)소재 부분 중심연구

        송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09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생활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정의와 분류되는 방식, 트렌드를 분석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 분석을 통해 우리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제품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중하나인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 판매 및 이미지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먼저 제1장에서는 패커지 디자인의 분류와 분석을 하는 목적과 문제를 파악하고 연구의 방법파 범위를 설정해 본다. 제2장에서는 본격적인 패키지 디자인의 분류, 분석해본다. 패키지 디자인을 외형적 (External)인 것과 기능적 (Functional) 인 것으로 분류해보았다. 외형적 분류로는 소재, 가공, 구조, 부피, 투명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적 분류로는 제품 보호의 기능, 운반 용이의 기능, 정보전달·광고의 기능, 사용 용이의 기능, 심미적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현재 트렌드를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들 수 있는데 리뉴얼 (renewal), 감성(sensibility), ECO으로 정해 내용을 연구했다. 제3장에서는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를 분석하여 좀 더 패키지 디자인의 기본적인 것에 대해 연구 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좀 더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라는 것을 추출하였다. 앞으로도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연구함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의 사고의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팔리(Pāli)문헌에 나타나는 우뻬카(upekkhā, 平靜)의 역할과 구분에 대한 연구

        박재은(Park, Jae-eun)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팔리(Pāli)어 우뻬카(upekkhā, 平靜)는 주요한 수행적 자질로서 소개된다. 그것은 중립적 느낌 또는 주관적 관념을 배제한 관찰, 존재를 차별하지 않는 지혜 등으로 표현되는데, 주로 내면적인 조화나 균형적 자질을 의미하는 정신적 중립의 태도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의 배경에는 5세기경 붓다고사가 편찬한 것으로 널리 알려진 Visuddhimagga(『청정도론』)가 놓여있다.『청정도론』은P āli nikāya (팔리 니꺄야)에 수록된 우뻬카를 중립, 집착, 관찰 등 그 기능에 따라서 열 가지 종류로 분류하는데, 현재 팔리 문헌을 토대로 한 우뻬카에 대한 개념적 이해나 논의는 대부분 이 분류법을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초기경전인 팔리 니까야를 검토해 보면,『 청정도론』에서 보다 좀 더 다채롭고 유연한 우뻬카의 용례들이 발견된다. 이러한 용례들은 통찰, 평온, 순수의식, 무지(無智), 만족, 원리(遠離), 중립, 편견 등 그 기능과 특성이 다양하게 세분되어 나타난다. 본고는 『청정도론』 을 저본으로 한 우뻬카에 대한 기존의 이해가 가지는 한계점을 지적하고 우뻬카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초기경전을 토대로 다양한 우뻬카의 용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먼저 팔리 니까야에 보이는 우뻬카에 대한 용례를 살펴보고 이들을 기능과 특성에 따라 구분하였다. 그리고 『청정도론』에서 제시한 열 가지 우뻬카의 기능적 분류를 검토해 본 후, 팔리 니까야의 용례를 기준으로 『청정도론』의 우뻬카의 분류법이 지닌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본고에서는 우뻬카에 대한 이해가 초기경전을 배제한 채 『청정도론』의 설명에만 의지할 경우 개념적 이해의 폭이 좁아진다거나 이 술어가 지닌 다양한 기능과 특성들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좀 더 세심한 접근이 요구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Upekhā is introduced as one of the major qualities of Buddhist practice. It has the meaning of a neutral feeling, observation without subjective conception, and wisdom free of discrimination; however, it is mainly understood as a neutral attitude of the mind which means an inner harmony or balancing quality. The background of this understanding originates in the Visuddhimagga 淸淨道論, published in the fifth century by Buddhagosa. Buddhagosa classfied Upekhā mentioned in the Pāli nikāya by 10 kinds according to its function such as neutrality, attachment, and observation. Mos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cademic discussion of Upekhā since then has been based on this way of classification - through Buddhist Abhidhamma scriptures in the later 5th century, beginning with Visuddhimagga, to modern literature. But when the Pālī nikāya is reviewed in detail, there exist more varied and flexible meanings of Upekhā than are categorized in Visuddhimagga. These various detailed classifications include discernment, calmness, pure consciousness, ignorance, satisfaction and detachment. Realizing these issues, I point out a limitation o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Upekhā based on Visuddhimagga, and at the same time show its various uses in the Pāli nikāya. I first examine the use of Upekhā as found in Pāli-nikāya, and then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 and characteristic. Second, I investigate the 10 kinds of functional classifications as found in Visuddhimagga. Finally, I examine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s of Upekhā in Visuddhimagga based on its use in Pāli nikāya. When we only rely on the expressions of Upekhā in Visuddhimagga and exclude those found in the nikāya, the horiz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Upekhā may be narrowed. Furthermore, there is the potential that the various meanings may become distorted or miscommunic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delicate approach towards the term of Upekhā.

      • 감성개념을 기반으로 한 패키지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감성개념 중심연구

        송미나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0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생활에서 패키지 디자인의 정의와 분류되는 방식, 트렌드를 분석하고 패키지 디자인의 소재분석을 통해 우리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패키지 디자인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제품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중하나인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 판매 및 이미지 형성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전반적인 내용은 감성과 패키지디자인의 관계와 배경에 대해 파악하고 패키지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제1장에서는 감성적 패키지 디자인이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과 연구하는 목적을 정확히 하고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설정해 본다. 제2장에서는 본격적인 패키지 디자인과 감성의 대해 정의와 발생배경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성요소를 분류 및 분석 해본다. 제3장에서는 패키지 디자인을 외형적(External)인 것과 기능적(Functional)인 것으로 분류해보았다. 외형적 분류로는 소재, 가공, 구조, 부피, 투명성 5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기능적 분류로는 제품 보호의 기능, 운반 용이의 기능, 정보전달·광고의 기능, 사용 용이의 기능, 심미적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현재 트렌드를 살펴보면 크게 3가지로 들 수 있는데 리뉴얼(renewal), 감성 (sensibility), ECO으로 정해 내용을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서 좀 더 연구되어야할 부분이라는 것을 추출하였다. 앞으로도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연구함에 따라 패키지 디자인의 사고의 변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어문장론』의 문장 유형 분류 연구 - 『표준국어문법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윤정원 ( Yoon Jung-w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2 No.-

        본고는 북한의 문법서인 『조선어문장론』에 나타난 문장 유형의 종류와 그 구조에 관한 논의를 『표준국어문법론』에 나타난 남한의 문장 유형 분류 체계와 대비하여 살핌으로써, 『조선어문장론』의 문장 유형 분류 체계를 검토하고 그것으로 인하여 나타난 문법 기술상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결과, 『조선어문장론』과 『표준국어문법론』은 유사한문법 항목을 다루고 있으나 『조선어문장론』은 『표준국어문법론』에 비하여 기능 중심적인 시각에서 문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각각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선어문장론』은 구조 외에도 기능 또한 기준으로 삼아 문장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반면 『표준국어문법론』은 구조적인 측면에서만 문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점, 『조선어문장론』이 문장 구성 단위 `부` 및 `구`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기능을 제시하는 데 반해 『표준국어문법론』에서 문장 구성 단위 `구`를 설정하는 근거는 기능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조선어문장론』의 문법 기술은 『표준국어문법론』보다 상대적으로 기능 중심적인 성격을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the Syntax of Korean, compared with that of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hapter 1 suggests the necessity of discuss and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Chapter 2 discusses the table of contents on the Syntax of Korean and the Standard Korean Grammar. As a result, there is the system based on sentences in the Syntax of Korean. Chapter 3 discusses classification for sentences in the Syntax of Korean, dividing two sides, function and structure. And it discusses the speech sentence as an extra type. The functional sentence type classification implements by criteria of speaker`s intention, negation, voice. The structural sentence type classification implements by whether it has the core constituents or not, and whether it has the combination of the core constituents and the higher constituents. So sentences classified to non-subject sentence, incomplete sentence, independent constituent sentence, simple sentence, developing sentence, implication sentence, complex sentence. For speech sentence, it is uncertain that it is included to syntax in a categorical point of view. Chapter 4 summarizes arguments in this study and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yntax of Korean and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hapter 5 explains directions of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통사 단위 단어

        한정한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0 No.-

        국어의 단어는 통사부의 기본 단위라는 그 문법적 지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정의조차 분명하지 않은 혼란스런 개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지금도 국어교육이나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단어를 가르치고 있다. 단어에 대한 학계의 이러한 불분명한 태도는 교육 수요자들로부터 문법은 어렵고 접근하기 힘든 대상이라는 인상을 주고 있다. 이렇게 된 주요 이유는 첫째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단어로 부르는 것에 너무 많은 관점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고, 둘째로 언어 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단어 분류 체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우리는 단어를 분류하는 형태적 기준, 분포적 기준, 기능적 기준, 의미적 기준, 어휘적 기준, 정서법적 기준(어절) 등의 예들을 검토하면서, 이들의 원칙이 분명하며, 결코 함께 섞여 적용되어서는 안 되는 기준들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단어 분류의 논의가 학문적 엄밀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위의 여러 가지 기준 중 어느 한 가지 기준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밖에 없다. 본고는 기능적 기준이 그러한 대안으로 가장 적합하다고 보았다. 기능이란 문장 성분들이 문장 내 다른 성분들과 갖는 문법 관계(역할)를 말하며, 이것이 통사론의 기본 단위를 가장 잘 드러내 준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형태적 기준(자립이나 의존성)에 비해 다른 언어와의 비교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형태적 기준은 형태 단위 정보의 기준이고, 분포적 기준은 위치 결합 정보이며, 의미적 기준은 의미 단위 정보의 기준이지 문장 성분의 통사 단위 정보는 아니다. 우리는 단어 분류에서의 이러한 기준 분리 원칙이 오히려 통사 정보를 가장 잘 포착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 간의 상관

        박은영(Eun-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7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손 기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을 평가하고 손 기능과 기능적 수행도 평가인 일상생활활동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Children: WeeFIM), 대운동기능 분류체계(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 체계로써의 MACS에 대한 기초의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손 기능과 대동작 기능,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자료를 바탕으로, MACS와 WeeFIM 및 GMFCS와의 관계와 손 기능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MACS와 GMFCS의 상관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 .659이었다. WeeFIM과의 상관을 알아본 결과에서도 총점과의 상관은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r = -.576이었다. 손 기능 분류 체계로 평가한 수준에 따른 일상생활 활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평가도구로써 MACS는 임상적으로 유용한 평가 체계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evaluation systems,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and the functional status (WeeFIM)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o provide the foundation data about MACS for evaluation system of h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For this, sixty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sixty children were evaluated by using the MACS for their hand function and by using the GMFCS for their motor function. The functional status were assessed by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of Children (WeeFIM).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the GMFCS (r = .659, p < .05). The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WeeFIM was found (r = -.576, p < .05). The func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hand function level evaluated by using the MACS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 < .05). The MACS in practice will provide usefulness for assessment of hand func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 KCI등재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

        정경재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s which have figurative similarities such as 'appendage which is elongated' rather than the words with functional similarities like 'a hilt of an object', a longish part attached to a leaf or a pileus can also be called jaru.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er jaru can prototypically quantify 'a tool or a weapon with a hilt'. Even though an exact meaning of jaru signifies only a limited part of an object instead of a whole, human has repeatedly interacted with a hilt of an object and it helps the classifier jaru quantify a whole object. Therefore, the categories that could be quantified by the classifier jaru have been extended while 'functional features' of jaru, an object handled by hands, are emphasized. Therefore, 'a pipe, a rod, or a cone', an object without a hilt but handled by hands, can be quantified with the classifier jaru. 본고는 자립명사 '자루'가 지시하는 대상의 변화와 이에서 발달한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립명사 '자루'는 원형적으로 '도구나 무기의 손잡이'를 지시하는데, 손으로 잡고 다루는 사물의 '손잡이'라는 기능적 유사성보다 '어떤 사물에 덧붙은 가늘고 기름한 형상의 부속물'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지시 대상을 확장해 나간다. 그 결과 '잎'이나 '버섯갓'에 달린 기름한 부분도 '자루'로 칭할 수있게 되었다. 분류사 '자루'도 원형적으로 '손잡이를 지닌 도구나 무기'를 수량화한다. 손잡이를 의미하는 '자루'가 사물 전체를 수량화할 수 있게 된 데에는, 사물 전체가 아닌 사물의 손잡이 부분과 반복적인 신체적 상호작용을 한 인간의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분류사 '자루'의 수량화대상 확장 과정에는 가늘고 기름하다는 형상적 속성 과 함께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이라는 기능적 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리, 회초리, 옥수수'와 같이 손잡이는 없지만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을 자루 로 수량화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연결주의에 기반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스키마와 분류체계 연구

        임경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논문은 디지털 시대의 대안적 학습이론을 탐색하여 디지털 리터러시의 개념을 구조화하고, 디지털과 리터러시의 상호작용에 천착하여 새로운 분류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개념 범주화 방법인 스키마를 활용하여 디지털과 리터러시의 각각의 속성과 관계정보에 따른 속성 값으로 슬롯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리터러시는 51개 슬롯의 속성 값들이 24개의 동형을 이루고, 다시 9가지의 관계 정보를 이루는 정보체계를 갖게 된다. 이를 종합하면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자원을 탐색하고 통합하여 정보의 질과 가치를 판정하고,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외부의 지능을 이용하고 연결하여 콘텐츠 제작 및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in the digital age to structure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digitality and literacy to establish a new classification system. Utilizing the schema as a conceptual categorization method, slots were derived based on the attributes and relationship between digitality and literacy. The study found that digital literacy is represented by a system of information comprising 51 slot attributes forming 24 isomorphs, which in turn constitute nine types of relational information. Synthesizing these results, digital literacy can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navigate and integrate digital resources to evaluate the quality and value of information, utilize external intelligence through online interactions, and connect to create content and generate new value.

      • KCI등재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

        정경재 ( Kyeong Jae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s which have figurative similarities such as ``appendage which is elongated`` rather than the words with functional similarities like ``a hilt of an object``, a longish part attached to a leaf or a pileus can also be called jaru.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er jaru can prototypically quantify ``a tool or a weapon with a hilt.`` Even though an exact meaning of jaru signifies only a limited part of an object instead of a whole, human has repeatedly interacted with a hilt of an object and it helps the classifier jaru quantify a whole object. Therefore, the categories that could be quantified by the classifier jaru have been extended while ``functional features`` of jaru, an object handled by hands, are emphasized. Therefore, ``a pipe, a rod, or a cone``, an object without a hilt but handled by hands, can be quantified with the classifier jar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