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Appreciative Inquiry)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개발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AI(Appreciative Inquiry: 긍정적 탐색)는 긍정 심리학에 기반을 두고 제안된 것으로, 사람과 조직, 이들을 둘러싼 환경 내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요소들을 찾아 이를 발전시킴으로서 개인과 조직을 발전시키는 개인과 조직개발의 원리이자 방법론 이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교사를 위한 운영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장의 요구 조사, 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행 및 형성평가를 통한 보완,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지침 개발의 과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생들 대상 AI 프로그램의 주제 및 방향이 될 수 있는 긍정 주제들은 꿈, 리더십, 목표의식, 바른 인성, 배려, 대인관계, 자존감, 좋은 친구, 좋은 수업, 좋은 성적, 자유 시간 등이었다. 둘째, 목표수립 및 실천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목표, 몰입, 성실, 자신감을 긍정주제로 활용하였다. 셋째, 즐거운 학급 만들기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운영 할 때는 서로 존중하기, 긍정적 마인드 갖기, 서로 배려하기, 다함께 진하게 지내기가 긍정주제로 활용되었다. 넷째, AI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때는 가능한 학생들이 긍정단어를 스스로 도출할 수 있는 기회와 실천 계획을 실천한 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명목집단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내용을 모두 쉽게 공유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적응, 진로개 발 등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긍정적이고 성공적인 경험을 찾고 공유하는 가운데 긍정적인 학교문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Appreciative Inquiry(AI) is a method for studying and changing social systems(groups, organizations, communities) that advocates collective inquiry into the best of what is in order to imagine what could be, followed by collective design of a desired future state that is compelling and thus, does not require the use of incentives, coercion or persuasion for planned change to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operating procedures for the teacher to operate the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of the field, program development, formative evaluation of a program, and program guidelines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e words for adolescents are dream, leadership, goal awareness, good character, c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good friends, and good teaching. We can use these words for themes or directions of AI program.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ositive words such as goal, flow, integrity, and confidence on workshop for goal setting. Third, in program for happy class, we can use positive cores such as Caring each other, respecting each other, having a positive mind-set, and uniting friendly stay. Fourth, It is desirable that students themselves select positive core about theme in AI program. Fifth, it is desirable to visualize discussed contents using the nominal group technique. AI programs for adolescents can hav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gram for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AI program may be a method of data collection for consultation and group counseling because we can hear a lot of story of students. Third, it is possible to create a positive school culture based positive and successful experiences and stories.

      • KCI등재

        교사와 학생의 사회적-과학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주제 선호도 분석

        박현주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科學敎育硏究誌 Vol.47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 중,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가 선호하는 SSI 주제를 조사하여 학교급별 학생과 교사가 선호하는 SSI 주제의 유사성을 코사인 유사도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 중, 고등학생 566명, 교사의 327명이었다. SSI 관련 선행연구 논문과 프로그램에 포함된 SSI 주제 60개를 환경, 과학기술, 보건·의학, 기타 사회 문제 영역로 구분하고 목록화하여, 연구 대상인 학생 또는 교사가 선호하는 주제 5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서베이몽키를 이용한 온라인으로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학생 및 교사별로 6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별로 주제의 선택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선택된 주제의 빈도를 기준으로 벡터 값을 계산하고, 학교급별 학생 간, 교사 간, 교사와 학생 간의 코사인 유사도를 측정하여 주제 선호 유사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학교급별 집단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0.982)가 초등학생과 중학생간(0.651) 또는 초등학생과 고등학생간(0.662)의 코사인유사도보다 높았다. 둘째, 교사의 학교급별 집단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초등, 중, 고등학교간의 모든 비교 집단에서 비교적 비슷한 코사인 유사도의 양상을 보였다. 셋째, 학생과 교사간 학교급별 SSI 선호 주제 유사도는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 집단간 코사인 유사도(0.974)가 다른 학교급의 비교 집단, 중학교급(0.621) 또는 고등학교급(0.645)보다 높았다. 즉 초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서로 선호하는 SSI 주제가 73.33%의 수준에서 유사하고, 반면, 중학교 또는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서로 선호하는 주제가 33% 수준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SSI 교육에서 학생에게 관심 있는 주제로 접근하는 것은 학습 동기 유발과 지속, 그리고 즐거운 학습 경험과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따라서, SSI 수업을 설계할 때, 학생 관심의 관점에서 주제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특히 교사가 학생의 선호도와 다소 차이가 있는 SSI 주제를 선별한 경우,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치밀한 교수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SSI topic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analyzed the similarity of students' and teachers' preferred SSI topics by school level using the cosine similarity measure. A total of 566 students and 327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y topics were identified and listed in the areas of environment, science and technology, health and medicine, and other social issues based on the literature and SSI programs. Students and teachers were asked to select five of their favorite topics. The data was collected online using SurveyMonkey. The collected data was divided into six group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frequency of topic selection was analyzed within each group. The topic preference similarity was analyzed by calculating vector values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selected topics and measuring the cosine similarity between students, teachers, and teachers and students by school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sine similarity of SSI Preferred Topics between students' school-level cohorts was higher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0.982) tha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0.651) or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0.662). Second, the cosine similarity of SSI Preferred Topics between teachers' school-level cohorts was similar for all comparison groups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ird, the SSI topic preference similarity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by school level had a higher cosine similarity between the elementary student and teacher cohorts (0.974) than the other school level comparisons, middle school (0.621) or high school (0.645). Access to topics of interest to students in SSI educa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motivation and persistence in learning, as well as an enjoyable learning experienc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learning. Therefore, when designing SSI lesson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 interest, especially if the teacher has selected SSI topics that are different from students' preferences. Careful instructional design will be needed to overcome the gap.

      • KCI등재

        학습전략과 적응수행 : 긍정심리자본과 조직공정성의 영향력

        조윤형(Yoonhyung Cho),최우재(Woojae Choi)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2

        개인학습전략은 주어진 문제 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지는 학습동기의 발현방식이다. 개인학습전략은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으로 구분된다. 표면학습전략은 수단적 동기에 의해 발현되며, 주어진 과제의 정해진 답을 찾는 데에 초점을 둔다. 반면에 심층학습전략은 내재적인 학습동기에 의해 학습이 촉발되며, 근본적인 원리를 탐구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경험에 연계하는 접근방식이다. 본 연구는 개인학습전략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이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및 조직공정성(분배, 절차)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습전략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하여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매커니즘과 상황적 맥락으로 조직공정성의 영향력을 통해 학습전략의 차별적 효과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응답 원천을 상사와 부하들로 구분하였으며, 연구변수는 6개월의 시간 차이(T-1, T-2)를 두고 측정하였다. 총 793개 설문지 쌍(pair)이 가설검증에 활용되었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은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표면학습 전략은 긍정심리자본에 부(-)의 영향력을 보였으며, 심층학습전략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표면학습전략과 심층학습전략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에도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넷째, 표면학습전략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적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심층학습전략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정(+)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표면학습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부(-)적인 관계는 분배공정성에 의해 완화되었으며, 절차공정성에 의해 상쇄되었다. 또한, 심층학습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정(+)적인 관계는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에 의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차별적인 검증결과를 보여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학습전략은 적응수행과 같은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두 유형의 학습전략은 환경의 속성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습전략 연구의 이론적 확장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ndividual learning strategies are ways which individuals generate learning motivation to deal with problems and obstacles they might face. There are two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surfac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learning strategies on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rategies and adaptive performanc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employees and their bosses at two intervals six months apart. A total of 793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both surface learning and deep learning strategies had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adaptive performance. Second, surface learning strategies had a nega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deep learning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ive performance. Fourth,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learning and adaptive performan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Contrary to expectation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lso showe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learning and adaptive performance. Fifth, the results of the moderation effects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mitig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le it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eep learning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inally,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adaptiv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학 기반의 커리어코칭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문상숙 아시아상담코칭학회 2024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 Vol.6 No.1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긍정심리학 기반의 커리어코칭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23년 11월까지 국내 학술논문과 국내 학위논문 중 주제범위 고찰 방법에서 제시한 6단계 과정을 거쳐 최종 12편의 문헌을 선정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정된 12편 모두 긍정심리학의 강점 발견을 커리어코칭의 주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11편이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고, 1편은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문조사 설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초, 중, 고, 대학생 등 학생이 9편(75%)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연구가 2편(17%) 있었다. 종속변인으로는 자기효능감(6편)와 진로성숙도(5편)가 가장 많이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긍정심리학 기반의 커리어코칭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질적, 양적연구를 제안한다. 둘째, 생애주기에 따른 다양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긍정심리학의 다양한 개념을 적용한 커리어코칭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ends in positive psychology-based career coaching through a scoping review of relevant topics and proposes desirabl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goal,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using a six-step process outlined in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selecting a final set of 12 articles from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omestic theses until November 2023. All 12 selected articles utilized positive psychology's strengths discovery as a key component in career coaching programs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Among them, 11 articles employ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s, while one article utilized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The majority of the studies (75%) focused on student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ith the remaining 17% dedicated to researching career interruptions in women.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were self-efficacy (6 articles) and career maturity (5 articl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ree main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irstly, the study suggests conducting divers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y-based career coaching. Secondly, it recommends conducting research targeting participants at various life stages. Lastly, the study proposes exploring career coaching research that applies various concepts from positive psychology.

      • KCI등재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마음’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이경수(Lee, Kyung-soo)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gurative methods and meanings of "mind" in Baek Seok"s poetry. For that purpose, the study first looked into the frequency and environments of "mind" in his poems on the basis of the division of korea and examined the ways of mind embodiment and spatialization in his poems through the metaphorical structure theory of Lakoff. Taking notice of the special uses of adjectives embellishing "mind" in his poems, the investigator also examined how the meanings of "mind" were established in his poems through the usages of those adjectiv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oetic word "mind" was used separately from "heart" and chosen to show certain positive values in his poems. The study also focused on the process in which the abstract poetic word "mind" obtained concreteness in his works. The poet granted brightness, depth, and weight to "mind" in his poems, thus achieving the embodiment of "mind." Taking advantage of Lakoff"s metaphorical structure theory, the investigator also found that he used "mind" as a metaphor for a container holding something or a space with a layer. The embodiment and spatialization of "mind" resulted in emotional concreteness in his poems. In Baek Seok’s poetry after the division of korea, the idiomatic usage of “mind” stood out and brought out typed theme of nor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through the combination of poetic diction as ‘red mind’, Baek Seok’s poetry brought out the aspiration of socialism.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adjectives depicting the states of "mind" in his works; "sad" and "sorrowful" were usually used to reveal compassion for the object, and "lonely," "solitary," "poor" and "white" were used to show the speaker"s self-examination attitude.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usages and meanings of "mind" and the adjectives describing the states of "mind," the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and understanding the poet"s "mind" in its relations with the ways that "mind" had been understood in the Oriental culture and especially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ind" in the mind studies of Confucianism.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study was influenced by a recent research trend of integrated humanism to settle down the theoretical system of mind understanding in Oriental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modern human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