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조직의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통한 조직개발 사례 연구

        장환영,박경연 한국상업교육학회 2012 상업교육연구 Vol.26 No.2

        전통적인 조직개발 방법은 문제해결(problem-solving)식 접근으로서, 조직의 문제 진단, 해결책의 구안, 변화 관리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 AI)는 이와는 달리 조직의 긍정적 강점을 탐색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최초의 긍정적 질문으로부터 이미 조직의 변화는 시작된다고 보는 입장으로써 매우 급진적인 혁신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결과적으로 조직의 문화적 변혁을 통해 지속적이면서도 영향력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AI는 조직개발의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전통적 조직개발 방법에 익숙한 한국적 상황에 맞게 적용해 볼 필요성이 충분히 있다. 본 연구는 AI방법을 중소 교육서비스 조직에 응용한 사례를 탐구한다. 본 사례는 연구자들이 6개월간 동 조직에 일주일에 2회 이상 출퇴근하면서 같이 생활하고 관찰한 기록으로써, 중소교육서비스 조직이 한 단계 높은 수준으로 변화해 가는 데에 있어서 AI의 방법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고 성공적인 조직개발을 위해서는 어떠한 시사점들이 도출될 수 있는 지를 탐구하였다. 본 논문은 AI 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내용, 중소교육서비스기관에 대한 AI 실천사례, 그리고 사례로부터 얻은 시사점 등을 기술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appreciative inquiry practice conducted by small-size organization of which services were oriented towards education and career support for unemployed women. AI is distinct from traditional organization development(OD) in terms of the theory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constructionism and positive psychology. Whereas traditional OD is mainly equipped with the process of organization problem detection, problem diagnosis, intervention design, and change management, AI begins with appreciation of organization history and success experiences. This appreciation leads to change of dominant story lines and reconstruction of positive cores in organization. AI aims for problem-dissolving rather than problem-solving by reinforcing positive capacities and creating new images of future in organization. The paper described the overview of AI, especially theoretical background, AI principles, models and process, and then presented how those AI principles applied to the case of small-size organization. The implications learned from the case were provided as a conclusion.

      • KCI등재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이은주(EunJoo Lee)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두 명의 특수교사가 발달장애학생의 행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적용한 과정과 경험을 내러티브하게 보여준 것이다. 두 교사의 내러티브를 통해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도와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방법에 대하여 포괄적이면서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적용하고 있는 두 명의 특수교사에게 중재 과정과 중재 후에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성공은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접근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에도 깊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두 교사의 내러티브는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모든 절차를 명확히 준수하고 특히 문제행동의 이유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 평가를 심도 있게 수행했을 때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으며 동시에 학교 환경에서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실행하는 것은 어려운 부분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예방은 행동을 둘러싼 환경을 재구화할 때 효과적임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to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reveal that one systematic and intensive attempt and success of interventions for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ot only affect the attitude toward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t are also deeply involved in understand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two teachers narratives reveal that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of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s when all procedures are clearly followed and, especially, in-depth functional assessment to identify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s is performed. Implementing the process systematically has also proven to be very challenging. In addition, the narratives of the two teachers clearly show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roblem behavior prevention in the process of reflecting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 KCI등재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Appreciative Inquiry)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개발 연구

        장경원(Chang, Kyung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AI(Appreciative Inquiry: 긍정적 탐색)는 긍정 심리학에 기반을 두고 제안된 것으로, 사람과 조직, 이들을 둘러싼 환경 내에 존재하는 긍정적인 요소들을 찾아 이를 발전시킴으로서 개인과 조직을 발전시키는 개인과 조직개발의 원리이자 방법론 이다.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을 운영할 교사를 위한 운영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장의 요구 조사, 프로그램 개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행 및 형성평가를 통한 보완,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지침 개발의 과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생들 대상 AI 프로그램의 주제 및 방향이 될 수 있는 긍정 주제들은 꿈, 리더십, 목표의식, 바른 인성, 배려, 대인관계, 자존감, 좋은 친구, 좋은 수업, 좋은 성적, 자유 시간 등이었다. 둘째, 목표수립 및 실천능력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는 목표, 몰입, 성실, 자신감을 긍정주제로 활용하였다. 셋째, 즐거운 학급 만들기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운영 할 때는 서로 존중하기, 긍정적 마인드 갖기, 서로 배려하기, 다함께 진하게 지내기가 긍정주제로 활용되었다. 넷째, AI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때는 가능한 학생들이 긍정단어를 스스로 도출할 수 있는 기회와 실천 계획을 실천한 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명목집단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내용을 모두 쉽게 공유하고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AI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교적응, 진로개 발 등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긍정적이고 성공적인 경험을 찾고 공유하는 가운데 긍정적인 학교문화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Appreciative Inquiry(AI) is a method for studying and changing social systems(groups, organizations, communities) that advocates collective inquiry into the best of what is in order to imagine what could be, followed by collective design of a desired future state that is compelling and thus, does not require the use of incentives, coercion or persuasion for planned change to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operating procedures for the teacher to operate the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needs of the field, program development, formative evaluation of a program, and program guidelines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e words for adolescents are dream, leadership, goal awareness, good character, c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steem, good friends, and good teaching. We can use these words for themes or directions of AI program. Secon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ositive words such as goal, flow, integrity, and confidence on workshop for goal setting. Third, in program for happy class, we can use positive cores such as Caring each other, respecting each other, having a positive mind-set, and uniting friendly stay. Fourth, It is desirable that students themselves select positive core about theme in AI program. Fifth, it is desirable to visualize discussed contents using the nominal group technique. AI programs for adolescents can hav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program for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development. Second, AI program may be a method of data collection for consultation and group counseling because we can hear a lot of story of students. Third, it is possible to create a positive school culture based positive and successful experiences and stories.

      • KCI등재

        사례연구 결과분석을 통한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창희,이찬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경영교육연구 Vol.28 No.2

        Appreciative Inquiry(AI) is an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intervention that focuses on learning from past and current successes as opposed to focusing on deficits and problems. The Appreciative Inquiry is a process that can move people and their organizations upward on the ladder of success in today’s competitive global environment of business. Despite increasing interest in the Appreciative Inquiry, it is very hard to find studies that combine various results or effects of the Appreciative Inquiry intervention with holistic approach. This study tried to explore 18 documents bases field experiences to propose an Appreciative Inquiry’s effectiveness framework by categorizing the results to identify what impact AI intervention had, what achievement one can expect from AI practice, and how it had contributed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e performed this research by applying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method to meta-analysis of case studies. The goals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are theory development, higher level abstraction, and generalizability in order to make qualitative findings more accessible for application in practice. From the 18 case studies, we have finally extracted total 9 effectiveness categories of Appreciative Inquiry -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Clarification of organization value and mission’, ‘Self-awareness through self-reflection’, ‘Activate participation of various organizations’, ‘Common ideal and setting vision’, ‘New perspective and knowledge sharing’, ‘Gaining positive energy to change’, ‘Building creative ideas and knowledge to change’, and ‘Settling Voluntary involvement to change’.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 이하 AI)는 조직이 현재 가지고 있는 결함과 약점에 집중하여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전통적인 문제해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조직이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강점과 성공요소에 집중하여 조직이 처해있는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해 보고자 하는 새로운 조직변화관리 기법이다. 그러나 이렇게 대두되고 있는 관심에 비해 AI가 조직 환경에서 어떠한 효과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AI에 대한 단일 사례연구는 어느 정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각 사례연구의 결과를 통합하여 AI가 조직에 미치는 효과와 이와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에 보고된 AI와 관련된 사례연구들을 수집하여 질적 메타분석법을 활용, AI가 조직과 조직의 구성원에게 미치는 효과성을 탐색해 보고, 도출된 효과들을 범주화(categorization)하여 하나의 효과 틀(framework)을 제시,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인 AI의 효과성 모형을 제안하여 조직에 AI를 적용하기 위한 근거와 방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업의 실무자들이 경영진에게 AI에 대한 설득력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개발로서의 새로운 접근법인 AI가 조직에 온전히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전문적 정체성 변화 탐색

        홍예리,이옥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designed based on the appreciative inquiry approach on change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t the secondary schools. To this end, 14 secondary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various teaching careers were recrui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with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female PE teachers changed from (a) being unwelcomed to being irreplaceable, (b) from a solitary explorer on a career path to holding hands until retirement, and (c) being unconfident teacher to growing learner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a) encounter with positive role models, (b) continuous emphasis on strengths rather than deficits and (c) exclusive program designed for female PE teachers. The positiv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female P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explored in this study lies in its distinction from change through acquisition; rather it arises from active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탐구 이론을 기반으로 설계한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변화에 미친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이 다양한 중등 여자체육교사 14명을 모집하여 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결과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자체육교사들의 전문적 정체성은 (a) 불필요한 존재에서“대체 불가의 존재”로, (b) 나 홀로 진로 고민에서 “손잡고 정년까지”로, (c) 자신 없는 교수자에서“성장하는 학습자”로의 변화된 정체성을 형성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여자체육교사의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a) 긍정적 ‘롤모델’과의 만남, (b) 지속적‘강점’ 강조와 반복, (c)‘여자’체육교사끼리의 공동체 활동 기회가 주요 요인이었다. 본연구에서 탐색 된 여자체육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긍정적 형성과 변화는 단순히 습득으로서의 학습된 정체성이 아닌 함께 성찰하고 공유하며 형성한 참여로서의 학습된 정체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과학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박기락,최효식,연은모,Park, Kirak,Choi, Hyosik,Yeon, Eun Mo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이 연구는 과학 태도 과학 탐구 능력과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를 검증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중학교 전 학년 502명을 대상으로 과학 태도 검사(MARS) 과학 탐구 능력 검사(TSPS)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 검사(PBI)를 하였으며, 1학기 1 2차 과학 지필평가 자료를 수집 후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탐구 능력이나 과학 학업 성취도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학업 성취도에,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는 과학 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과학 태도, 그리고 과학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을 매개로 과학학업 성취도에 간접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인 과학 태도와 인지적 요인인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과 교수 - 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가정에서는 자녀의 과학 태도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부모가 긍정적 양육 태도를 지닐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middle school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science inquiry skills on the science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50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had no direct influence on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However,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were found to have meaningful direct effects on their achievements. Students' perception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lso presente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In addition, the students'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revealed an indirect effect on science achievement, through their ow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Research findings called for more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skills to improve their science achievements. At home, parents need to ha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o influence their children's attitudes regarding science.

      • KCI등재

        긍정탐구리더십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김진욱,장영철,안치성,조영덕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2

        본 논문은 긍정탐구리더십(Appreciative Leadership)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긍정탐구리더십에서는 리더를 ‘서로 다른 스타일의 리더십들의 통합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으며, 자문과 방향 제시가 가능한 사람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Withney & Trosten-Bloom, 2010). 또한 긍정탐구리더십은 ‘전체를 위한 조직의 목표를 가진 공유가치시스템과 개인의 강점에 기초한 성장을 통해 미래의 건설적인 공동창조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긍정적 리더십 행동의 한 방식’으로도 설명하고 있다(Withney & Trosten- Bloom, 2010). 긍정 질문과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구성원들을 몰입시키며, 긍정적 리더는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영감을 불어넣으며, 스스로 소중하다고 느끼도록 한다. 연구결과, 긍정탐구리더십의 하위 요인 중 Inspiration(영감불어넣기)는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Inquiry(질문하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tudies on Appreciative Leadership have recently started in Korea as well. A leader in Appreciative Leadership is defined as a person who can effectively handle a mixture of various styles of leadership and suggest advice and future directions (Withney and Trosten-Bloom, 2010). Also, Appreciative Leadership can be explained as one way of appreciative leadership behavior which enables constructive accomplishment of mutually creative tasks for future through growth based on individuals’strengths, as well as a shared value system with organizational goals for all (Withney and Trosten-Bloom, 2010). Appreciative Leadership leads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ward positive inquiries and open discussions so that they become fully engaged in the organization while Appreciative Leader motivates and inspires his/her members and enables them to feel that they are of value to the organization. Study results show that Inspiration among sub factors of Appreciative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engagement in the organization and their tasks while Inquiry positively influences in employees’ organizational engagement.

      • KCI등재후보

        긍정적 탐구(Appreciative Inquiry)를 활용한 참여형 학부모 교육 사례 연구

        장경원(Kyungwon Chang),이종미(Jong-mi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4

        이 연구는 긍정적 탐구(AI)가 참여형 학부모 교육 방법론으로 활용 가능한지 탐색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한 초등학교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와 행복하게 대화하기’라는 주제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준비단계로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및 AI 운영을 위한 긍정주제를 선정하였다. 고학년학부모들은 긍정주제로 밝게 표현하기, 잘 들어주기, 공감해주기를 선택하였고, 저학년학부모들은 잘 듣고 반응하기, 사랑표현하기를 선택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전개단계로 본격적으로 AI의 4D 프로세스가 이루어 졌다. 발견하기 단계에서는 1:1 교차 인터뷰방법을 활용하여 주제와 관련한 성공 경험을 발굴, 공유하였다. 꿈꾸기 단계에서는 월드 카페 방법을 활용하여 자녀와 행복하게 대화하는 구체적인 모습을 상상하였다. 설계하기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수립하였다. 실현하기 단계에서는 수립한 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개인의 실천다짐을 작성, 발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정리단계로 전체 과정을 통해 배운 것을 정리하는 성찰활동을 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학부모들은 서로의 성공사례를 공유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얻었고, 자신을 성찰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였지만, 관련 주제에 대한 추가 강의가 없고 시간이 부족한 제한점이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AI를 활용한 학부모 교육은 자신의 경험을 발표하고 성찰하게 하는 강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향후 다양한 주제의 학부모 교육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Appreciative Inquiry (AI) as a methodology for parent education.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 topic of parental education was ‘happy talk with children.’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eps. The first stage, also known as the ‘preparing step,’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of the program and selecting a positive core to implement during the AI program. Parents of grades 4, 5, 6 selected ‘positive expression, listening, and empathy,’ while parents of grades 1, 2, 3 defined ‘listening and response’ and ‘expression of love’ as positive cores. The second stage, the developmental stage, consisted of four steps: Discovery, Dream, Design, and Destiny. First, in the discovery step, participants searched for and shared their good experience by using a 1:1 cross-interview method. Second, in the dream step, they discussed their future vision by utilizing the World Cafe method. Third, in the design step, they made concrete ideas for action plans. Fourth, in the destiny step, they established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practice. The third step was the wrap up step. Participants wrapped up what that they learned during the program. Participants commented that this program’s strengths as acquisition lots of information and reflection on self, Limitations included absence of lecture and lack of time. AI would be a good methodology for parent education.

      • KCI등재

        긍정적 탐구 활동이 신규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

        김현주,이영희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19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2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ppreciative inquiry (AI)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ew nurses. Method :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60 new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 classes of AI education and in-unit AI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 Results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ver time. Satisfaction with the AI education scored 3.69,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he reason why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was that AI education helped them to adapt and the in-unit AI activities made staff more cooperative and the atmosphere of the unit more positive. Conclusion : When applying AI activities to new nurses to promot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orkshop in which the participants can fully concentrate on education and to extend the period of use to one year in order to maintain the effect of AI activities.

      • KCI등재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rganization Development Techniques and Appreciative Inquiry(AI)

        정상철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take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AI technique. In particular, I intend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rganizational development techniques and AI. Traditional OD approaches to change focus on identifying and solving core organizational problems and deficits. These traditional OD techniques use a primarily negative approach. On the other hand, AI is a decision to choose affirmative, valuing, and generative ways to understand the system and to build on the strengths and vitality of the members rather than on a deficient analysis of the problematic aspects of an organization. AI, developed by David Cooperrider, suggests new organizational learning methodology for sustainable organizational change with collaborative, constructive, and participatory approach of positive inquiry. That is, AI is a powerful organizational change methodology through self-fulfilling learning and positive dialogue of members regarding their future value, not deficits and problems. In today's challenging environment of increased globalization,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economic pressures, and expectations in the contemporary work force, AI is an essential tool. Findings of this paper are limited by a theoretical study in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OD techniques and AI. Therefore quantitative methods should be employed to test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with large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