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긍정적 재평가, 객관화 재평가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황화정,김근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 Vol.24 No.1

        본 연구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전략이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중인 20대 성인 중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선별하였다. 선별 과정에서 성관련 외상 경험자, IES-R-K 25점 이상, 외상 경험이 3개월 이내 또는 10년 이상 전 경험자는 제외하여 총 46명을 선별하였으나 각 집단에서 3명씩 탈락하여 객관화 재평가집단 20명, 긍정적 재평가집단 20명을 무선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vity와 Huppert(2016)의 프로토콜을 수정하였으며, 참가자에게는 ‘지금까지 타인으로 인해 경험했던 고통스러운 사건에 대한 다른 관점으로 생각하는 글쓰기’라고 소개하였다. 연구는 1) 대인관계 외상 회상 2) 재평가 교육 3) 7일간 일기 작성 4) 사후 검증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1)과 2) 절차는 대면/비대면으로 진행하였고 3) 절차는 온라인으로만 진행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재평가와 객관화 재평가에서 반응적 공격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긍정적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의 감소와 긍정정서 증가가 나타났으며 객관화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 감소가 나타났으나 긍정정서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사람 중에 반응적 공격성을 보이는 사람에게 인지적 재평가 두 가지 처치를 모두 사용하여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정서가 낮은 사람은 긍정적 재평가를 사용하여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가 높은 사람은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처치를 사용하여 부정정서를 감소시키도록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lecte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among adults in their 20s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two strategies of cognitive reassessment on the responsive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those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 total of 46 people were selected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excluding those with sexual trauma experience, IES-R-K score of 25 or more, and those with trauma experience within 3 months or more than 10 years ago, but 3 people were eliminated from each group, and 20 people in the detached reappraisal group and 20 people in the positive reappraisal group were random assignment. In this study, the protocol of Kivity and Huppert (2016) was modified and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writing that think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a painful event that has been caused by another pers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terpersonal trauma recall 2) re-evaluation training 3) diary for 7 days 4) post-verification, 1) and 2) procedures were conducted face-to-face/non-face, and 3) procedures were analyzed online only. As a result of the study, re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In addition, the positive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an increase in positive emotions, and the detached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redicted that both cognitive reappraisal measures can be us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who show reactive aggression. In addition, people with low positive emotions may be able to intervene to increase positive emotions by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those with high negative emotions can intervene to lower negative emotions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treatment.

      • KCI등재

        긍정적 재초점 및 긍정적 재평가와 대학생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횡단 및 종단 분석

        강현주,심은정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refocusing/positive reappraisal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is relationship i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line surveys including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questionnaire, an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university students in five universities in Busan, Gyeongnam and Daejeon twice over an interval of 8 week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6. A total of 285 students completed the first survey and 237 of them completed the second survey. SPSS macro analyses examining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refocusing/positive reappraisal controlling for experiential avoidance found that both of these showed negative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However, in longitudinal analyses, while positive reappraisal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ositive refocusing showed a trend of positive association. Moreover, whil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refocusing/positive reappraisal and depression were all significant in both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es,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reappraisal and depres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sitive reappraisals and reduce experiential avoidance as well as to promote the context-dependent use of the positive refocusing strategy in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본 연구는 긍정적 재초점 및 긍정적 재평가와 대학생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경험적 회피가 이 관계를 매개하는지 단기종단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대전 지역의 총 5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질문지, 수용-행동 질문지 Ⅱ 척도를 포함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2016년 9월부터 11월까지 8주 간격으로 2회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285명, 2차는 237명이 참여하였다. SPSS macro로 경험적 회피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한 긍정적 재초점 및 긍정적 재평가의 직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횡단분석에서 우울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으나, 종단 분석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우울은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긍정적 재초점과 우울은 정적 관계 양상을 보였다. 또한 긍정적 재초점 및 긍정적 재평가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가 횡단 분석에서는 모두 유의한 반면, 종단 분석에서는 긍정적 재평가와 우울의 관계에서만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 증상 개입에서 긍정적 재평가를 촉진하고 경험적 회피 수준을 감소시키는 노력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 및 맥락을 고려한 긍정적 재초점 전략 촉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인지적 재평가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재평가의 두 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김윤경,양진원,권석만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객관화 재평가와 긍정적 재평가라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하위 유형을 측정하는 척도를 마련하고, 각 유형별 개입이 사회불안이 높은 개인들에게 주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하위 유형에 대해 평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Cognitive Reappraisal Questionnaire: CRQ)를 개발한 후(N = 305),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N = 161). 개발된 척도는 객관화 재평가와 긍정적 재평가의 2요인 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 내적 합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역시 양호하였으며 두 재평가의 특성이 상이함도 확인되었다. 연구 2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N = 43)을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집단에 무선할당하고 서로 다른 90분간의 처치 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재평가 집단에서 사회불안의 감소,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능력과 긍정 정서의 증가가 유의하였다. 객관화 재평가 집단에서는 사회불안과 부정 정서의 감소, 객관화 재평가 능력의 향상 경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긍정적 재평가 처치의 경우 긍정적 재평가 능력이 향상되면서 긍정 정서가 높아지고 높아진 긍정 정서가 사회불안을 감소시키는 간접경로가 유의한 반면, 객관화 재평가 처치의 경우 객관화 재평가 능력의 향상이 사회불안의 감소로 이어지는 직접경로가 유의하다는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사회불안이 높은 개인들에게 두 가지 처치의 효과가 서로 다른 기제를 통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대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정서표현 양가성과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희선,이민규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2

        We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gnitive Reapprais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in twenties. Cognitive Reappraisal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Detached Reappraisal.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250 in their 20s nationwid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Covert Narcissism,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significant; Positive Reappraisal was negatively related to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Detached Reappraisal was positively related to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was positive. Second, only Detached Reappraisal ha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here Covert Narcissism affects Depression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is study suggests psychological variable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treat it. The limit and further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대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인지적 재평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인지적 재평가를 긍적적 재평가와 객관화 재평가로 나누어 각각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 20대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두 종류의 인지적 재평가 중 긍정적 재평가는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객관화 재평가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긍정적 재평가와 객관화 재평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가 인지적 재평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는 객관화 재평가를 사용할 때는 나타났지만, 긍정적 재평가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의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심리적 변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가족지지와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처리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동순(Kim, Dong-Soon),엄명용(Um, Myung-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본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가 지각하는 환경요인인 가족지지와 개인요인인 정서처리가 외상 후 성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상황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가 어떠한 매개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변수들로 구성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 후 이를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중부지역에 소재한 A대학 병원의 유방암 생존자 166명에 대한 직접 설문조사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처리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재평가와 외상 후 성장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처리 수준은 긍정적 재평가를 매개로 하여 외상 후 성장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정서처리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유방암 생존자가 인식한 가족지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외상 후 성장 정도는 높아졌지만, 가족지지 수준은 유방암 생존자의 긍정적 재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방암 생존자가 경험하는 긍정적 재평가 정도가 증가할수록 외상 후 성장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 정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family support, their emotional processing, and patient’s post-traumatic growth in South Korea, as well as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reappraisal of breast cancer. For the study, a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related variables was presented and tes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Survey data of 166 breast cancer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 of breast cancer patient’s perception of the emotional processing led to increased post-traumatic growth and cognitive reappraising of breast cancer. Secondly, cognitive reappraisal of breast cancer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the emotional processing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ly, the more breast cancer patient’s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post-traumatic growth. On the other hand, breast cancer patient’s perception of the family support did not give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cognitive reappraisal of breast cancer. Lastly, the higher the level of breast cancer patients’ cognitive reappraisal of breast cancer, the higher possibility of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ers suggested possible intervention methods as well as the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최서경,양수진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40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were significance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In addition, the dual mediated effect of positive-reappraisal and experiential-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failure-tolerance was found. That is, the self-compass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emerging adulthood is an effective emotional adjustment, which plays a positive role in looking at and facing negative situations such as failure from the perspective of growth. Findings of the study shed light on the need of early interventive approach to support self-compassion in young adults, which was fully accompanied by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that facilitate construc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overcome failure consequences. Furthe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진입기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PROCESS macro를 통해 이중매개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자기자비가 긍정적 재평가와 경험회피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실패내성의 증진을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실패내성의 증진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인지·정서적 요인인 긍정적 재평가를 높이고 행동 요인인 경험회피를 낮춤으로써 실패에 대한 내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실패내성을 키우기 위해 자기자비적인 태도와 이에 수반되는 인지, 행동적 측면의 포괄적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

        이유현,정소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the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312 university students from seven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Daegu and Busan. In order to analyze the mai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happi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nin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i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catastrophizing has been shown to negatively affect happiness. Second, Among the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ining, positive refocusing, catastrophizing, and positive reappraisal, only the effects of positive reappraisal on happiness were found to vary by gender.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positive reappraisal on happiness is found to be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w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enhance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and what strategies should be emphasized according to gend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대구, 부산에 위치한 총 7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12명이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행복감에 미치는 주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8.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홉 가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에서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긍정적 재평가는 대학생들의 행복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파국화는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파국화, 긍정적 재평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 조절효과를 실시하였다. 다섯 가지 전략 중 긍정적 재평가가 행복감 미치는 정적 영향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자보다 여자가 긍정적 재평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입해야하는지 그리고 성별에 따라서 어떤 전략에 중점을 두어야하는지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 긍정적 재평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정,임유경,송동호,천근아 한국자폐학회 2019 자폐성 장애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verity of autism traits, behavior problems(externalizing behavior/internalizing behavior) of 196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ged 2-13, and their mother's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s strategies on the parental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S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autism, behavior problems and parental stress. The instruments included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s, Child Behavior Checklist,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s sex and age were not associated with parental stress, whereas mothers of children with higher severity of autism and behavior problems experienced significantly more parental stress than less severity group. The severity of behavior problem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parental stress. The study further showed that positive reappraisal strategy was the only mediator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of autism and parental stress, whereas i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 between severity of behavior problems with parental stress. Result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ap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parent eduction efforts. 본 연구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의 자폐특성과 문제행동의 심각도와 어머니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양육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자폐특성과 문제행동의 심각도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폐증 평정척도, 문제행동(내재화/외현화)척도, 양육 스트레스,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동의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폐특성의 심각도가 심각할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긍정적 재평가 전략이 자폐특성 심각도와 양육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문제행동 심각도와 양육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의 경우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장면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한 치료 및 부모교육의 실제적인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분노에 대한 반추, 주의분산 및 긍정적 재평가가 기분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전소현,권호인,권정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9 No.2

        People use a variety of strategies to regulate their negative moods. Some strategies are more effective than others at reducing these mo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umination, distraction, and positive reappraisal strategies on angry mood and blood pressure. A total of 4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umination group(N=14; 8 males, 6 females), a distraction group(N=15; 8 males, 7 females), or a positive reappraisal group(N=15; 8 males, 6 females). Participants received a penalty if they caused anger in the social interaction situation.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cause anger, ruminate, practice distraction, and perform positive reappraisal strategies. Researchers measure participants mood and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he feeling of anger and after the emotion regulation. In this way, we investigated effec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ith respect to anger. Results indicate that rumination, distraction, and positive reappraisal strategies were able to decrease angry mood and increased positive mood. Also, all strategies decreased minimum blood pres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